강제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와 그 방법

申请号 KR1020080129277 申请日 2008-12-18 公开(公告)号 KR1020100070636A 公开(公告)日 2010-06-28
申请人 엑스앤와이(주); 发明人 김병웅;
摘要 PURPOSE: An apparatus for forcibly and automatically cleaning and disinfecting hands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completely wash the hands for regular hours and to optimally keep the hands of an operator clean. CONSTITUTION: An apparatus for forcibly and automatically cleaning hands comprises; a main body which is composed of an upper body, a front part, a sink, and a support; a water tap(20) for supplying water to a user; a washing solution supplying device; an antiseptic solution supplying device(40); a drier(50) for supplying warm air to dry the hands of the user; a sensor(60)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body of the main body and senses the access of the hands; an alarm(70) for warning the state that the hands do not completely washed; and a controller(80).
权利要求
  • 작업자의 손을 세정 및 소독하기 위한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에 있어서,
    단독 또는 2개 이상 일렬 또는 병렬로 설치되며, 상부체(12)와, 상기 상부체(1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정면부(14)와, 상기 정면부(14)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된 세정수 등이 수집되어 배수되는 개수대(16)와, 상기 개수대(16)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대(18)로 이루어진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며 사용자에게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전(20);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며 사용자에게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정액 공급기(30);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며 사용자에게 소독액을 공급하기 위한 소독액 공급기(40);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며 세정후 사용자의 손을 건조시키기 위한 온기를 공급하기 위한 건조기(50);
    상기 본체(10)의 상부체(12)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손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60);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완전하게 수세하지 않는 경우 이를 경고하기 위한 경보기(70); 및
    상기 급수전(20), 상기 세정액 공급기(30), 상기 소독액 공급기(40), 상기 건조기(50), 상기의 감지장치(60) 및 상기 경보기(70)에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전(20)은
    상기 물을 공급받기 위해 수도라인에 연결되는 급수관(22);
    상기 급수관(22)에 설치되어 물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24);
    상기 급수관(22)의 단부에 설치되고 본체(10)의 정면부(14)에 돌출 형성되는 콕(2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전(20)의 급수관(22)에는 정전시 또는 비상시 급수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조절밸브(28)가 연결되어 본체(10)의 정면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공급기(30)는
    상기 본체(10) 내측에 설치되며 세정액을 충전 및 보관하기 위한 용기(32);
    상기 용기(32)에 연결되며 세정액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34);
    상기 펌프(34)에 의해 펌핑되는 세정액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관(36); 및
    상기 이송관(36)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10)의 상부체(12)의 하부로 돌출 설치되는 콕(3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액 공급기(40)는
    상기 본체(10) 내측에 설치되며 소독액을 충전 및 보관하기 위한 용기(42);
    상기 용기(42)에 연결되며 소독액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44);
    상기 펌프(44)에 의해 펌핑되는 소독액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관(46); 및
    상기 이송관(46)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10)의 상부체(12)의 하부로 돌출 설치되는 콕(4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50)는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열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52);
    상기 히터(52)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기(54); 및
    상기 송풍기(54)에 의해 이송되는 열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본체(10)의 상부체(12)의 하부로 돌출 설치되는 노즐부(5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60)는 시작, 세정, 건조 단계에서 사용자의 손이 접근되는 가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상기 콘트롤러(8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근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기(70)는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저 또는 벨로 형성되며;
    상기 콘트롤러(80)에는 사용자가 강제적으로 필수적이고 충분하게 수세, 건 조, 소독 등을 행하기 위한 시간이 설치되는 장소 및 목적에 따른 요구사항에 따라 정해져 입력되고 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를 이용한 자동 수세 및 소복방법에 있어서,
    작업자의 손이 감지장치(60)에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00);
    상기 감지장치(60)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접근된 것으로 판단되면, 급수전(20)을 작동시켜 사용자에세 물을 공급하는 단계(S110);
    일정시간 후 수세중인 사용자의 손이 상기 감지장치(60)에 2차로 접근되었는지를 감지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
    상기 감지장치(60)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접근된 것으로 판단되면, 세정액 공급기(30)를 작동시켜 세정액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단계(S130);
    일정시간 후 건조기(50)를 일시적으로 작동시킨 후 정지시키는 단계(S140);
    감지장치(60)에 수세중인 사용자의 손이 3차로 접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50);
    사용자의 손이 감지장치(60)에 접근된 것으로 판단되면, 수세시간이 규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60);
    상기 판단단계(S160)에서 규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기(70)를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불충분한 세정상태를 경고하는 단계(S170);
    상기 판단단계(S170)에서 규정된 시간 이상으로 세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건조기(5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물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S180);
    사용자의 손이 감지장치(60)에 4차적으로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90); 및
    상기 판단단계(S190)에서 사용자의 손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건조기(50)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소독액 공급기(40)를 작동시켜 사용자의 손을 소독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세 및 소독 방법.
  • 说明书全文

    강제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와 그 방법{System for Forcible Automatic Cleaning and Disinfecting Han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강제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손을 설정된 규정에 따라 강제적으로 정확하고 필수적으로 수세하게 하여 최상의 위생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 와, 그 수세 및 소독 장치를 이용한 수세 및 소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인 제조장은 물론 특히 식료품을 제조 또는 가공하거나 생산하는 장소에서는 작업자의 위생상태가 최상의 조건을 유지해야 한다. 특히, 사용자가 손으로 식료품을 직접 제조하거나 처리하는 경우 작업자의 손의 위생상태가 최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작업자의 손을 최적의 위생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손 소독장치 또는 수세장치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종래의 하나의 실시예가 실용신안등록 제20-257406호에 공지되어 있다.

    그 실용신안등록 제20-257406호의 손 자동 소독장치는, 손의 접근상태에 따라 온수를 지동으로 배출시키도록 제1근접센서를 갖는 온수 배출관을 중간부에 두고 상단부에 건조공간부와 살균 공간부를 갖는 손 자동 세척 본체와, 그 본체내의 하단에 급수호스를 통해 급수된 물을 소정온도로 가열한 후 그 가열된 온수가 온수 배출관을 통해 자동 배출되도록 온수히터를 내장시킨 온수기와, 본체의 하단 측면에 건조공간부로의 손 접근상태를 감지하는 제2근접센서의 감지신호로부터 동작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링블로워와, 그 링블로워와 건조공간부를 송풍관과 배풍관으로 연결하고 송풍관에는 링블로워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가열한 후 그 가열된 공기를 건조공간부로 송풍시키는 온풍히터와, 살균 공간부 상단면에 살균수 공급탱크와 제3근접센서� �� 설치하고 그 살균 공간부로 손이 근접하여 그 근접된 상태를 제3근접센서가 감지할 때 살균수 공급탱크에 저장된 살균수를 자동 분사시키는 살균수 분사노즐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1차로 온수로 씻고, 2차로 온풍으로 건조하고, 3차로 살균수로 살균하여 손을 청결하고 유지할 수 있어 식품가공이나 조리는 물론 의약품 제조시 작업자의 손 관리를 위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소독장치 또는 세정장치는 다소의 문제점이 초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각각의 세정, 소독, 살균 등의 과정을 작업자가 임의로 실행함으로써, 각각의 과정을 충실하고 완벽하게 실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손이 규정된 위생상태로 유지될 수 없으며, 이는 결국 제품의 위생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각각의 과정을 임의로 선택하여 실행함으로 인해 필수적인 단계를 누락함에도 이를 감시하거나 경고할 수 없어 작업자의 위생관념을 고취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단계를 필수적이고 정확하게 강제적으로 실시하게 하여 작업자의 손의 위생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 와 그 수세 및 소독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작업자가 규정된 과정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이를 경고하거나 강제로 이행케 하여 작업자의 위생관념을 고취시킬 수 있는 강제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 와 그 수세 및 소독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같은 목적들은, 작업자 또는 시술자의 손을 세정 및 소독하기 위한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에 있어서, 단독 또는 2개 이상 일렬 또는 병렬로 설치되며, 상부체와, 그 상부체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정면부와, 그 정면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된 세정수 등이 수집되어 배수되는 개수대와, 그 개수대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본체; 그 본체에 설치되며 사용자에게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전; 본체에 설치되며 사용자에게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정액 공급기; 본체에 설치되며 사용자에게 소독액을 공급하기 위한 소독액 공급기; 본체에 설치되며 세정후 사용자의 손을 건조시키기 위한 온기를 공급하기 위한 건조기; 본체의 상부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손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완전하게 수세하지 않는 경우 이를 경고하기 위한 경보기; 및 급수전, 세정액 공급기, 소독액 공급기, 건조기, 감지장치 및 경보기에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은 또한, 작업자의 손이 감지장치에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감지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접근된 것으로 판단되면, 급수전을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물을 공급하는 단계; 일정시간 후 수세중인 사용자의 손이 감지장치에 2차로 접근되었는지를 감지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감지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접근된 것으로 판단되면, 세정액 공급기를 작동시켜 세정액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단계; 일정시간 후 건조기를 일시적으로 예열시킨 후 정지시키는 단계; 감지장치에 수세중인 사용자의 손이 3차로 접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의 손이 감지장치에 접근된 것으로 판단되면, 수세시간이 규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단계에서 규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기를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불충분한 세정상태를 경고하는 단계; 판단단계에서 규정된 시간 이상으로 세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건조기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물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 사용자의 손이 감지장치에 4차적으로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그 판단단계에서 사용자의 손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건조기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소독액 공급기를 작동시켜 사용자의 손을 소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세 및 소독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 와 그 방법에 의하면, 수세를 규정시 간이상으로 충분한 시간동안 실시하여야 하므로 사용자 손의 완전한 세정을 이룰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단계를 필수적이고 정확하게 실시하게 하여 작업자의 손의 위생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규정된 과정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이를 경고하거나 강제로 이행케 하여 작업자의 위생관념을 고취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의 일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를 이용한 수세 및 소독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는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는 3개가 일렬로 연접되어 설치되어 있으나, 실제적인 설치시에는 1개 또는 2개 또는 3개 이상의 본체(10)를 일렬로 또는 병렬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체(10)는 사용설명서, 거울 등이 설치될 수 있는 상부체(12)와, 그 상부체(1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정면부(14)와, 그 정면부(14)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된 세정수 등이 수집되어 배수되는 개수대(16)와, 그 개수대(16)의 하부에 설치되며 본체(10)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8)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지지대(18)의 적정 위치에는 그 본체(10)의 설치높이를 조절하거나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레벨러(18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의 일측면에는 후술되는 세정액 공급기에 세정액을 충전하기 위해 호스가 연결되는 주입구(102)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세정액 공급기의 용기에 잔존하는 세정액의 양을 표시하기 위한 잔량표시 점검구(104)가 형성되며, 동일하게 본체(10)의 타측면에는 후술되는 소독액 공급기에 소독액을 충전하기 위해 호스가 연결되는 주입구(106)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소독액 공급기의 용기에 잔존하는 소독액의 양을 표시하기 위한 잔량표시 점검구(10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체(10)의 상부체(12)에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볼 수 있는 거울(M)이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전(20)이 설치되어 있다. 그 급수전(20)은 물론 수도 또는 다른 급수원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다.

    그 급수전(20)은 물을 공급받기 위해 수도라인(미도시)에 연결되는 급수관(22)과, 그 급수관(22)에 설치되어 물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24)와, 급수관(22)의 단부에 설치되고 본체(10)의 정면부(14)에 돌출 형성되는 콕(26)을 구비한다. 한편, 급수관(22)에는 물의 온도를 설정하고 수량을 조절하며 정전시 또는 비상시 솔레노이드(24)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조절밸브(28)가 본체(10)의 정면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사용자에게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정액 공급 기(30)가 설치된다. 세정액은, 물비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세정액 공급기(30)는 본체(10) 내측에 설치되며 세정액을 충전 및 유지하기 위한 용기(32)와, 그 용기(32)에 연결되며 세정액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34)와, 그 펌프(34)에 의해 펌핑되는 세정액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관(36)과, 그 이송관(36)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10)의 상부체(12)의 하부로 돌출 설치되는 콕(38)을 구비한다. 그 콕(38)은 물론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세정액 공급기(30)는 용기(32)에 세정액을 충전하기 위해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102)에 연결되는 주입관(302)을 구비한다. 또한, 그 용기(32)는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점검구(104)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어, 그 용기(32)의 세정액의 잔류량을 확인 또는 점검할 수 있는 것이다.

    동일방식으로, 본체(10)의 내부에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소독액을 공급하기 위한 소독액 공급기(40)가 설치된다.

    그 소독액 공급기(40)는 본체(10) 내측에 설치되며 소독액을 충전 및 유지시키기 위한 용기(42)와, 그 용기(42)에 연결되며 소독액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44)와, 그 펌프(44)에 의해 펌핑되는 소독액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관(46)과, 그 이송관(46)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10)의 상부체(12)의 하부로 돌출 설치되는 콕(48)을 구비한다. 그 콕(48)은 물론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그 소독액 공급기(40)는 용기(42)에 소독액을 충전하기 위해 본체(10)의 타측에 형성된 주입구(106)에 연결되는 주입관(402)을 구비한다. 또한, 그 용기(42)는 본체(10)의 타측에 설치된 점검구(108)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어, 그 용기(42)내의 소독액의 잔 류량을 확인 또는 점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체(10)의 내측에는 세정후 사용자의 손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기(50)가 설치된다.

    그 건조기(50)는 열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52)와, 그 히터(52)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기(54)와, 그 송풍기(54)에 의해 이송되는 열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본체(10)의 상부체(12)의 하부로 돌출 설치되는 노즐부(56)를 구비한다.

    한편, 본체(10)의 적정위치, 즉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상부체(12)의 적정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60)가 설치된다.

    그 감지장치(60)는 본체(10)의 상부체(12)의 대체로 상부에 배치되며 시작, 세정, 건조 단계에서 사용자의 손이 접근되는 가를 감지하여 이를 후술되는 콘트롤러에 송신하도록 형성되는 근접센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의 내측의 적정 위치에는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완전하게 수세하지 않는 경우 이를 경고하기 위한 경보기(70)가 설치된다.

    그 경보기(70)는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부저 또는 벨 등으로 형성된다.

    한편, 전술된 각각의 구성요소, 즉 급수전(20)의 솔레노이드밸브(24), 세정액 공급기(30)의 펌프(34), 소독액 공급기(40)의 펌프(44), 건조기(50)의 히터(52) 및 송풍기(54), 감지장치(60), 경보기(70) 등에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80)가 본체(10)의 적정 위치에 설치된다.

    그 콘트롤러(80)는 각각의 구성장치를 제어할 뿐 아니라, 특히 사용자가 필수적이고 충분하게 수세, 건조, 소독 등을 행하기 위한 시간이 정해져 입력되거나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를 이용한 수세 및 소독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본체(10)의 정면에 정위치 한 작업자의 손이 감지장치(60)에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00).

    감지장치(60)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접근되었음이 감지되면, 그 감지장치(6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 콘트롤러(80)는 급수전(20)을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물을 공급한다(S110). 즉, 콘트롤러(80)는 솔레노이드(24)에 작동신호를 전달하여 급수관(22)을 통해 이송시켜 그 급수관(22)의 단부에 설치되고 본체(10)의 정면부(14)에 돌출 형성되는 콕(26)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되며, 사용자는 그 콕(26)을 통해 분출되는 물로 손을 세정한다.

    일정시간 후 감지장치(60)는 수세중인 사용자의 손이 2차로 접근되었는지를 감지한다(S120).

    감지장치(60)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접근되었음이 감지되면, 그 감지장치(6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 콘트롤러(80)는 세정액 공급기(30)를 작동시켜 그 세정액을 사용자에게 공급한다(S130). 즉, 콘트롤러(80)는 세정액 공급기(30)의 펌프(34)를 작동시켜 용기(32)내의 세정액을 펌핑하여 이송관(36)을 통해 이송하여 콕(38)을 통해 공급함으로써, 사용자는 비눗물과 같은 세정액으로 손을 닦을 수 있 는 것이다. 물론, 이 때 물을 계속하여 공급할 수 있으나, 세정액 투여기간 동안에는 물의 공급을 중지시킬 수 도 있다.

    이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건조기(50)의 히터(52)를 일시적으로 작동시킨 후 정지시킨다(S140). 이와 같이 건조기(50)를 일시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은 사용자가 열기를 느껴 건조기의 작동을 인식하게 하여 후속되는 건조단계를 준비하고, 또한 건조기를 예열하기 위함이다. 이때도 물은 계속하여 공급되어 사용자는 계속적으로 수세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다음으로 감지장치(60)는 수세중인 사용자의 손이 3차로 접근되었는지를 감지한다(S150).

    사용자의 손이 접근되었음이 감지되면, 콘트롤러(80)는 규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60). 즉, 사용자가 손을 규정된 시간동안 충분히 세정하였는가를 판단한다.

    그 판단단계(S160)에서, 규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콘트롤러(80)는 경보기(70)를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불충분한 세정사실을 경고한다(S170). 물론 이 경우에는 건조기(50)도 작동하지 않으며, 다시 단계(S150)를 실행하게 한다.

    판단단계(S160)에서 규정된 시간 이상 세정이 실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콘트롤러(80)는 건조기(5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물의 공급을 중단한다(S180). 즉, 콘트롤러(80)는 솔레노이드(25)에 정지신호를 전달하여 펌프(24)를 중지시켜 물의 공급을 중단함과 동시에, 건조기(50)의 히터(52) 및 송풍기(54)를 작동시켜 열기 또 는 온기를 본체(10)의 상부체(12)의 하부에 설치된 노즐부(56)를 통해 공급하여 사용자의 손을 건조시키는 것이다.

    이후, 콘트롤러(80)는 사용자의 손이 감지장치(60)에 4차적으로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90).

    판단단계(S190)에서 사용자의 손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콘트롤러(80)는 건조기(50)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소독액 공급기(40)를 작동시켜 사용자의 손을 소독한다(S200). 즉, 콘트롤러(80)는 건조기(50)의 히터(52) 및 송풍기(54)를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소독액 공급기(40)의 펌프(44)를 작동시켜 용기(42)내의 소독액을 펌핑하여 소독액을 이송관(46)을 통해 이송하여 콕(48)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하며, 이로써 사용자는 손을 소독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소독액은 충분하게 공급된 후 그 공급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세정, 건조 및 소독이 규정된 시간동안 충분하게 이루어짐으로 인해 작업자의 손은 항상 최적으로 위생상태를 보장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제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강제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의 일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제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를 이용한 수세 및 소독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20: 급수전

    30: 세정액 공급기 40: 소독액 공급기

    50: 건조기 60: 감지장치

    70: 경보기 80: 컨트롤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