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광 가능한 면봉

申请号 KR1020080012539 申请日 2008-02-12 公开(公告)号 KR1020090087221A 公开(公告)日 2009-08-17
申请人 이경율; 发明人 이경율;
摘要 A cotton swab is provided, in which the penetration hole can easily remove earwax and which can be radiated by a plurality of penetration holes. A cotton swab comprises: a barred body(10) which is formed to be radiated; and a cleaner(20) equipped in both ends of the barred body. The barred body is equipped with the cleaner in both ends and makes view clarity possible in cleaning the inside of the ear since it is radiated. The cleaner is formed of a plurality of penetration holes(22). The penetration hole exposes the barred body and radiates the light of the barred body radiating through the exposed penetration hole.
权利要求
  • 발광 가능하게 형성되는 봉체; 및
    상기 봉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소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가능한 면봉.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체는 케미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가능한 면봉.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제부 상에는 상기 봉체가 노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가능한 면봉.
  • 说明书全文

    발광 가능한 면봉{SWAB CAPABLE OF LUMINESCENCE}

    본 발명은 발광 가능한 면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면봉의 봉체를 발광 가능한 케미라이트로 형성함에 따라 귓구멍을 소제 할 시에 케미라이트의 발광에 따른 시야확보가 용이한 발광 가능한 면봉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있어서 귀는 매우 중요한 기관으로 오관의 하나로서 청각을 맡는 기관이며 이러한 기는 외이, 중이, 내이의 세부분으로 구분되는데 외이는 귀바퀴와 외청도가 있고, 외청도와 중이 사이에 고막이 있으며, 내이에는 와우각과 전정부와 삼반규관이 있다.

    일반적으로 귀지는 외청도와 고막사이에 먼지, 땀, 오물 등이 한데 뭉쳐서 귓구멍(외청도)의 내벽에 붙는데, 이들 귀지가 발생한 귓구멍 내벽은 상당히 예민하여 미세한 외부 충격에도 쉽게 상처를 입게 되며 이것이 발전하면 염증으로 진전되고 중이염으로까지 진행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귀지는 심할 경우 청각장애를 유발하고 이롭지 못한 각종 세균이 기생하므로 주기적으로 청소가 필요한데, 이러한 귀지의 청소에는 면봉이나 귀이개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귓구멍 소제는 본인이 직접 하는 경우도 있으나, 귓구멍 내에 상처가 발생하여 약을 바르거나 본인이 직접 하기 어려운 경우 타인에 의해 귓구멍 소제가 이루어 지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 귓구멍의 구조상 내부가 어두워 시야확보가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른 실수로 인해 귓구멍 내부에 상처를 입히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면봉의 봉체를 발광 가능한 케미라이트로 형성함에 따라 귓구멍을 소제 할 시에 케미라이트의 발광에 따른 시야확보가 용이한 발광 가능한 면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광 가능하게 형성되는 봉체와, 상기 봉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소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가능한 면봉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봉체는 케미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소제부 상에는 상기 봉체가 노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가능한 면봉은,

    첫째, 봉체를 발광 가능한 케미라이트로 형성함에 따라 귓구멍을 소제 할 시에 케미라이트의 발광에 따른 시야확보가 용이하여 정확하고 깔끔한 소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소제부 상에 봉체가 노출되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됨에 따라 이를 통한 발광이 가능하며, 관통공에 의해 귀지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가능한 면봉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가능한 면봉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가능한 면봉의 사용항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가능한 면봉(1)은 발광 가능하게 형성되는 봉체(10)와, 상기 봉체(10)의 양단에 구비되는 소제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봉체(10)는 그 양단에 추후에 설명될 소제부(20)가 구비되고, 발광가능하게 형성되어 귓구멍 내부의 소재시에 시야확보를 가능케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봉체(10)는 내부에 반응촉매(cataiyst)가 충전되는 플라스틱 튜브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플라스틱 튜브의 내측에는 내부에 형광성 중간물질(intermediate)이 충전되는 유리관 앰플(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케미라이트인 것으로 한다.

    사용시에는 전술한 플라스틱 튜브로 이루어지는 봉체(10)는 가볍게 구부려 꺾어 내측에 구비되는 유리관 앰플이 파열되고, 이에 따라 반응촉매와 형광성 중간 물질 간의 반응에 따라 빛을 발광하게 된다.

    전술한 케미라이트로 이루어지는 봉체(10)의 양단에는 소제부(20)가 구비되는데, 이 소제부(20)는 귓구멍 속을 소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부드러운 솜이 뭉쳐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소제부(20) 상에는 다수의 관통공(22)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공(22)은 봉체(10)가 노출되도록 하여 노출된 관통공(22)을 통해 발광하는 봉체(10)의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소제부(20)를 통해 가려져 있던 봉체(10)의 단부에서도 발광이 가능하게 되어 시야확보가 더욱 용이해 지게 되며, 동시에 이 관통공(22)은 걸림턱의 역할을 하여 귓구멍 속의 귀지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가능한 면봉(1)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플라스틱 튜브로 이루어지는 봉체(10)는 가볍게 구부려 꺾어 내측에 구비되는 유리관 앰플이 파열되고, 이에 따라 반응촉매와 형광성 중간물질 간의 반응에 따라 빛을 발광하게 된다.

    이때, 면봉의 소제부(20) 측을 귓구멍 속에 삽입하여 귀지를 제거하거나 상처가 있는 경우 연고를 바르게 되는데, 봉체(10)가 발광됨에 따라 시야확보가 용이하여 깔끔한 귀지의 제거가 가능하고, 정확한 상처부위에 연고를 바를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제부(20)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22)을 통해 빛이 더 발광 됨에 따라 시야확보가 더욱 용이해 짐과 동시에 이를 통해 귀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발광 가능한 면봉(1)은 귓구멍뿐만 아니라 콧구멍 등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가능한 면봉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가능한 면봉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가능한 면봉의 사용항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광 가능한 면봉

    10 : 봉체

    20 : 소제부

    22 : 관통공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