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

申请号 KR2020130008230 申请日 2013-10-07 公开(公告)号 KR200475319Y1 公开(公告)日 2014-11-24
申请人 황병설; 김지윤; 发明人 황병설; 김지윤;
摘要 본 고안은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공급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냉수 공급라인을 온/오프(on/off) 개폐하는 냉수 밸브; 상기 욕조의 수전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온수 공급라인을 온/오프(on/off) 개폐하는 온수 밸브; 상기 욕조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욕조 내로 공급되는 물에 대한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전의 조작을 통해 상기 냉수 밸브와 상기 온수 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온(on) 동작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냉수 밸브와 상기 온수 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온(on) 동작을 오프(off) 동작으로 자동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权利要求
  •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공급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냉수 공급라인을 온/오프(on/off) 개폐하는 냉수 밸브;
    욕조의 수전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온수 공급라인을 온/오프(on/off) 개폐하는 온수 밸브;
    상기 욕조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욕조 내로 공급되는 물에 대한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전의 조작을 통해 상기 냉수 밸브와 상기 온수 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온(on) 동작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냉수 밸브와 상기 온수 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온(on) 동작을 오프(off) 동작으로 자동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대기전력이 필요 없는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신호를 발생시키는 압력스위치이거나,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컨트롤러로 대기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가 동작되도록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의 상부벽에 마련되며, 냉수 밸브와 상기 온수 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미리 결정된 시간만큼 온(on) 동작시키는 밸브 동작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说明书全文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WATER SUPPLY CONTROL DEVICE}

    본 고안은,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욕조 내로 공급되는 물이 미리 설정된 수위까지 자동 제어될 수 있도록 한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욕조란 목욕을 할 수 있도록 물을 담은 용기를 가리킨다. 유아용을 제외한 일반적인 욕조는 성인이 들어가서 누울 수 있을 정도의 부피를 가지며,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보통이다.

    화장실 등의 코너 영역에 주로 설치되는 욕조의 주변에는 수전이 설치된다. 수전은 욕조에 직접 부설되기도 하고 욕조의 상부 벽면에 설치되기도 한다.

    이처럼 욕조와 수전은 함께 사용되기는 하지만 개별적으로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예컨대, 욕조의 수위를 조절하거나 욕조 내의 물에 대한 수온을 조절하려면 수작업으로 수전을 조작해야만 한다.

    한편, 가정집 등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숙박시설, 예컨대 여관이나 모텔, 혹은 호텔 등의 경우, 수전을 잠그지 않아 욕조에서 물이 흘러넘쳐 물이 낭비될 수 있는 요인이 크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모텔에 투숙한 취객이 목욕을 위해 욕조 내에 물을 받을 경우, 자신이 원하는 수위로 물을 받아 목욕을 하면 그만이지만 취기로 인해 수전을 틀어둔 상태로 잠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전을 통해 물이 계속해서 욕조로 공급되어 흘러넘치게 되기 때문에 물이 낭비될 수 있다.

    특히, 늦은 밤 시간에는 투숙객이 있는 관계로 관리자가 일일이 확인할 수 없는데, 만약 오전까지 계속해서 수전이 열려 물이 흘러넘치고 있다면 실제로 큰 낭비가 아닐 수 없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한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의 구조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6-011425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1-001698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2-001460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2-0027043호

    본 고안의 목적은, 욕조 내로 공급되는 물이 미리 설정된 수위까지 자동 제어될 수 있도록 한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공급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냉수 공급라인을 온/오프(on/off) 개폐하는 냉수 밸브; 상기 욕조의 수전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온수 공급라인을 온/오프(on/off) 개폐하는 온수 밸브; 상기 욕조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욕조 내로 공급되는 물에 대한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전의 조작을 통해 상기 냉수 밸브와 상기 온수 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온(on) 동작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냉수 밸브와 상기 온수 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온(on) 동작을 오프(off) 동작으로 자동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감지부는 대기전력이 필요 없는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신호를 발생시키는 압력스위치이거나,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컨트롤러로 대기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가 동작되도록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센서일 수 있다.

    상기 욕조의 상부벽에 마련되며, 냉수 밸브와 상기 온수 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미리 결정된 시간만큼 온(on) 동작시키는 밸브 동작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욕조의 수전으로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공급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냉수 공급라인을 온/오프(on/off) 개폐하는 냉수 밸브; 상기 욕조의 수전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온수 공급라인을 온/오프(on/off) 개폐하는 온수 밸브; 상기 욕조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욕조 내의 물에 대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 상기 욕조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욕조 내의 물에 대한 수온을 선택하는 수온 선택 스위치; 상기 욕조 내의 물에 대한 수온을 감지하는 수온감지센서; 및 상기 수위 센서, 상기 수온 선택 스위치 및 상기 수온감지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수위 센서, 상기 수온 선택 스위치 및 상기 수온감지센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냉수 밸브와 상기 온수 밸브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수위 센서는 상기 욕조의 측벽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되며, 다수의 상기 수위 센서는 저수위 센서, 중수위 센서, 고수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욕조의 측벽은, 상부 영역에 수위 측정용 통공이 형성되고 하부 영역에 물배출구가 형성되는 내측벽부; 상기 내측벽부와의 이격공간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상기 욕조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측벽부; 및 상기 외측벽부의 개구부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는 후크부와, 상기 외측벽부의 개구부 외측에 지지되는 지지턱부와, 상기 지지턱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벽부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벽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수위 센서는 상기 이격공간에서 상기 내측벽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격공간 쪽의 상기 내측벽부에는 상기 수위 센서가 안착되는 센서안착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욕조 내로 공급되는 물이 미리 설정된 수위까지 자동 제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처럼 욕조 내로 공급되는 물이 미리 설정된 수위로 자동 제어되는 경우, 수전이 계속 열린 상태로 욕조로 흘러넘침에 따라 발생되는 낭비 요인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만약, 수위 센서와 수온 선택 스위치가 갖춰지는 경우라면 욕조 내로 공급되는 물이 미리 설정된 수위와 수온으로 자동 조절됨에 따라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물을 받아 물이 낭비될 수도 있고 혹은 물을 너무 조금 받아 불편할 수 있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온 조절에 실패하여 너무 물이 뜨겁거나 차가워서 다시 냉수나 온수를 추가로 더 넣어야 하는 불편함 또는 낭비적인 요인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에서 욕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측벽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에서 욕조의 측벽에 대한 부분 단면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는 욕조(100) 내로 공급되는 물이 미리 설정된 수위까지 자동 제어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냉수 밸브(130), 온수 밸브(140), 감지부(150), 그리고 컨트롤러(170)를 포함한다.

    욕조(100)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욕조(100)는 목욕을 할 수 있도록 물을 담은 용기를 가리킨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욕조(100)는 유아용을 제외한 일반적인 욕조(100)로서, 성인이 들어가서 누울 수 있을 정도의 부피를 가지며,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욕조(100)는 측벽(110)과 상부벽(120)을 구비하는 통 형상을 갖는다. 상부벽(120)은 일정한 면적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양팔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욕조(100)의 주변에는 욕조(100) 내로 냉수, 온수, 혹은 냉온수를 공급하는 수전(101)이 배치된다. 수전(101)은 욕조(100)의 상부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수전(101)을 통해 냉수, 온수 혹은 이들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냉수 밸브(130)는 욕조(100)의 수전(101)으로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공급라인(131)에 마련되어 냉수 공급라인(131)을 온/오프(on/off)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냉수 밸브(130)는 기계식 전동 밸브 혹은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는데 후자의 것이 바람직하다.

    온수 밸브(140)는 욕조(100)의 수전(101)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라인(141)에 마련되어 온수 공급라인(141)을 온/오프(on/off)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온수 밸브(140) 역시, 냉수 밸브(130)와 마찬가지로 기계식 전동 밸브 혹은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감지부(150)는 욕조(100)의 일측, 다시 말해 욕조(100)의 측벽(110)에 배치되며, 욕조(100) 내로 공급되는 물에 대한 수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감지부(150)로서, 대기전력이 필요 없는 상태에서 컨트롤러(170)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신호를 발생시키는 압력스위치가 적용될 수도 있고, 컨트롤러(170)로 대기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컨트롤러(170)가 동작되도록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센서일 수도 있다. 이하, 감지부(150)가 압력스위치인 것으로 설명한다.

    밸브 동작 스위치(160)는 욕조(100)의 타측, 다시 말해 욕조(100)의 상부벽(120) 또는 수전 옆에 배치되며, 냉수 밸브(130)와 온수 밸브(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미리 결정된 시간만큼 온(on)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밸브 동작 스위치(160)에는 타이머 기능이 내장될 수 있다. 예컨대, 30초가 설정되어 있다면 밸브 동작 스위치(160)를 한 번 누르면 30초 동안 밸브(130,140) 중 어느 하나가 온(on) 동작된 후 저절로 오프(off) 동작될 수 있다. 받아진 물의 양이 적다면 밸브 동작 스위치(160)를 여러 번 눌러 사용하면 된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감지부(150)로서의 압력스위치와 연결되며, 수전(101)의 조작을 통해 냉수 밸브(130)와 온수 밸브(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온(on) 동작된 상태에서 감지부(150)의 신호에 기초하여 냉수 밸브(130)와 온수 밸브(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온(on) 동작을 오프(off) 동작으로 자동 컨트롤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수전(101)을 동작시키면 냉수 밸브(130)와 온수 밸브(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온(on) 동작되고 수전(101)을 통해 물이 배출되면서 욕조(100)에 받아지게 되는데, 욕조(100) 내에 받아지던 물이 감지부(150)로서의 압력스위치에 도달되어 압력스위치를 동작시키면 압력스위치가 컨트롤러(170)로 전원을 공급하여 컨트롤러(170)로 하여금 냉수 밸브(130)와 온수 밸브(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온(on) 동작이 자동으로 오프(off) 동작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수전(101)을 열어 놓기는 하였지만 컨트롤러(170)의 작용으로 인해 수전(101)으로부터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자동 제어를 할 경우, 예컨대 모텔에 투숙한 취객이 욕조(100) 내에 물을 받기 위해 수전(101)을 열어 놓고 깜빡 잠이 든 경우일지라도 욕조(100)에서 차오르던 물이 감지부(150)로서의 압력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시점에서 컨트롤러(170)의 작용으로 인해 냉수 밸브(130)와 온수 밸브(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온(on) 동작이 자동으로 오프(off) 동작됨으로써 수전(101)으로부터 물이 배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물이 낭비되는 일이 없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70)는 중앙처리장치(171, CPU), 메모리(172, MEMORY),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71)는 본 실시예에서 감지부(150)의 신호에 기초하여 냉수 밸브(130)와 온수 밸브(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온(on) 동작을 오프(off) 동작으로 자동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7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71)와 연결된다. 메모리(17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7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7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70)는 감지부(150)의 신호에 기초하여 냉수 밸브(130)와 온수 밸브(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온(on) 동작을 오프(off) 동작으로 자동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욕조(100) 내로 공급되는 물이 미리 설정된 수위까지 자동 제어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처럼 욕조(100) 내로 공급되는 물이 미리 설정된 수위로 자동 제어되는 경우, 수전(101)이 계속 열린 상태로 욕조로 흘러넘침에 따라 발생되는 낭비 요인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는 욕조(100) 내로 공급되는 물이 미리 설정된 수위와 수온으로 자동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냉수 밸브(130), 온수 밸브(140), 수위 센서(150a), 수온 선택 스위치(160a), 그리고 컨트롤러(1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감지부(150) 및 밸브 동작 스위치(160) 대신에 위 센서(150a) 및 수온 선택 스위치(160a)가 적용된 경우이다.

    욕조(100)에는 욕조(100) 내의 물에 대한 수온을 감지하는 수온감지센서(180)가 마련될 수 있다.

    수위 센서(150a)는 욕조(100)의 일측, 다시 말해 욕조(100)의 측벽(110)에 배치되며, 욕조(100) 내의 물에 대한 수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위 센서(150a)는 컨트롤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수온 선택 스위치(160a)는 욕조(100)의 타측, 다시 말해 욕조(100)의 상부벽(120)에 배치되며, 욕조(100) 내의 물에 대한 수온을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수온 선택 스위치(160a)가 단순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수온 선택 스위치(160a)는 수온을 선택할 수 있는 온도 패널(panel) 혹은 조절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온 선택 스위치(160a) 역시, 컨트롤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수위 센서(150a), 수온 선택 스위치(160a) 및 수온감지센서(180)와 연결되며, 수위 센서(150a), 수온 선택 스위치(160a) 및 수온감지센서(180)의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냉수 밸브(130)와 온수 밸브(140)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컨트롤한다.

    예컨대, 컨트롤러(170)는 욕조(100) 내로 공급되는 물이 수위 센서(150a)의 위치까지 공급되도록 하는 한편 수온감지센서(180)의 센싱정보를 토대로 수온 선택 스위치(160a)에 의해 선택된 온도에 맞게 냉수와 온수가 공급되도록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70) 역시, 중앙처리장치(171, CPU), 메모리(172, MEMORY),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수위 센서(150a)와 수온 선택 스위치(160a)가 마련되고 이들이 컨트롤러(170)에 의해 컨트롤되면서 냉수 밸브(130)와 온수 밸브(140)를 동작시키기 때문에, 정해진 수위만큼 또한 정해진 온도만큼의 물이 욕조(100) 내로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욕조(100) 내로 공급되는 물이 미리 설정된 수위와 수온으로 자동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처럼 욕조(100) 내로 공급되는 물이 미리 설정된 수위와 수온으로 자동 조절됨에 따라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물을 받아 물이 낭비될 수도 있고 혹은 물을 너무 조금 받아 불편할 수 있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온 조절에 실패하여 너무 물이 뜨겁거나 차가워서 다시 냉수나 온수를 추가로 더 넣어야 하는 불편함 또는 낭비적인 요인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욕조(200)는 측벽(210)과 상부벽(220)을 구비하는 통 형상을 갖는데, 이러한 구조에서 수위 센서(251~253)는 욕조(200)의 측벽(210)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된다.

    이때, 다수의 수위 센서(251~253)는 저수위 센서(251), 중수위 센서(252), 고수위 센서(25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저수위 센서(251), 중수위 센서(252), 고수위 센서(253)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시킬 경우, 컨트롤러(270)가 그 위치에 맞게 수위가 자동 조절되도록 컨트롤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욕조(200) 내로 공급되는 물이 미리 설정된 수위와 수온으로 자동 조절됨에 따라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물을 받아 물이 낭비될 수도 있고 혹은 물을 너무 조금 받아 불편할 수 있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온 조절에 실패하여 너무 물이 뜨겁거나 차가워서 다시 냉수나 온수를 추가로 더 넣어야 하는 불편함 또는 낭비적인 요인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에서 욕조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 그리고 도 8은 도 7에서 측벽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욕조(300)는 측벽(310)과 상부벽(320)을 구비하는 통 형상을 가지며, 수위 센서(350)는 욕조(300)의 측벽(310)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우선, 욕조(300)의 측벽(310)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서 욕조(300)의 측벽(310)은 내측벽부(311), 외측벽부(312) 및 측벽 도어(313)를 포함한다.

    내측벽부(311)는 욕조(300)의 측벽(310)의 내벽을 이룬다. 이러한 내측벽부(311)의 상부 영역에는 수위 측정용 통공(311a)이 형성되고 하부 영역에는 물배출구(311b)가 형성된다.

    욕조(300) 내에 채워지는 물은 수위 측정용 통공(311a)을 통해 이격공간(S)으로 흘러 들어가 수위 센서(350)를 동작시키게 된다. 물이 빠질 때는 이격공간(S) 내의 물이 물배출구(311b)를 통해 욕조(300) 내로 향할 수 있다.

    외측벽부(312)는 내측벽부(311)와의 이격공간(S)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욕조(300)의 외면을 형성한다.

    측벽 도어(313)는 외측벽부(312)의 개구부(312a)에 착탈되는 구성이다. 즉 수위 센서(350)가 이격공간(S)에서 내측벽부(311)에 배치되기 때문에 수위 센서(350)를 설치하기 위해, 또한 수위 센서(350)를 유지보수하기 위해 측벽 도어(313)가 요구된다.

    이러한 측벽 도어(313)는 외측벽부(312)의 개구부(312a)에 형성되는 걸림턱(312b)에 걸려 지지되는 후크부(313a)와, 외측벽부(312)의 개구부(312a) 외측에 지지되는 지지턱부(313b)와, 지지턱부(313b)에 결합되는 손잡이(313c)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처럼 수위 센서(350)를 이격공간(S)에서 내측벽부(311)에 배치할 경우, 외부에서 수위 센서(350)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수위 센서(350)가 파손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추가의 이점이 있다.

    수위 센서(350)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측벽 도어(313)를 통해 도 7에서 도 8처럼 외측벽부(312)의 개구부(312a)를 개방하여 작업하면 된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욕조(300) 내로 공급되는 물이 미리 설정된 수위와 수온으로 자동 조절됨에 따라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물을 받아 물이 낭비될 수도 있고 혹은 물을 너무 조금 받아 불편할 수 있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온 조절에 실패하여 너무 물이 뜨겁거나 차가워서 다시 냉수나 온수를 추가로 더 넣어야 하는 불편함 또는 낭비적인 요인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욕조용 물 공급 제어장치에서 욕조의 측벽에 대한 부분 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욕조(400)는 측벽(410)과 상부벽(420)을 구비하는 통 형상을 가지며, 수위 센서(450)는 욕조(400)의 측벽(410)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욕조(400)의 측벽(410) 역시, 내측벽부(411), 외측벽부(412) 및 측벽 도어(4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이격공간(S) 쪽의 내측벽부(411)에는 수위 센서(450)가 안착되는 센서안착부(45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센서안착부(451)가 형성되면 수위 센서(450)의 설치 작업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욕조(400) 내로 공급되는 물이 미리 설정된 수위와 수온으로 자동 조절됨에 따라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물을 받아 물이 낭비될 수도 있고 혹은 물을 너무 조금 받아 불편할 수 있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온 조절에 실패하여 너무 물이 뜨겁거나 차가워서 다시 냉수나 온수를 추가로 더 넣어야 하는 불편함 또는 낭비적인 요인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욕조 101 : 수전
    110 : 측벽 120 : 상부벽
    130 : 냉수 밸브 131 : 냉수 공급라인
    140 : 온수 밸브 141 : 온수 공급라인
    150 : 감지부 160 : 밸브 동작 스위치
    170 : 컨트롤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