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된 핸드 드라이어 및 수도 꼭지

申请号 KR1020157014784 申请日 2013-11-08 公开(公告)号 KR101699295B1 公开(公告)日 2017-01-24
申请人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发明人 하틀리마르쿠스리; 웨스턴토마스앤드류;
摘要 화장실용세척/건조겸용스테이션. 이스테이션은사용자의손을세척하기위해물을방출하기위한물 유출구를포함하고, 이것은메인수원에접속된다. 이스테이션은또한사용자의손을건조시키기위해공기류를방출하기위한공기유출구를포함한다. 공기류는메인전원에접속된블로어모듈에의해발생된다. 메인전원에의접속은커넥터유닛을통해실시되고, 이것은메인전원에하드-와이어링된다. 블로어모듈은블로어모듈의모듈식교체를허용하도록커넥터유닛상의전기커넥터에접속되는전기커넥터를포함한다. 메인수원에의접속은동일한또는추가의커넥터유닛을통해실시되고, 이것은메인수원내에배관접속된다. 유동-제어밸브는커넥터유닛에서메인수원을차단시키기위해각각의커넥터유닛상에제공된다. 밸브의유입포트는메인수원에접속되고, 밸브의유출포트는물 유출구에접속된다.
权利要求
  • 세척/건조 겸용 스테이션용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공기류를 발생하기 위한 블로어 모듈, 및 커넥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유닛은 메인 전원에 하드-와이어링(hard-wired)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와 메인(mains) 수원 내로 배관접속될 수 있는 유동-제어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유동-제어 밸브의 유출 포트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물 유출구 갖는 물 분배 부품, 및 상기 블로어 모듈과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된 공기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공기 유출구를 통해 공기류를 보내는 공기 방출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블로어 모듈은 상기 커넥터 유닛 상의 덕트를 통해 상기 공기 유출구에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블로어 모듈은 상기 커넥터 유닛 상의 상기 전기 커넥터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블로어 상의 전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메인 전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세척/건조 겸용 스테이션용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유닛 상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상의 통전 중인 단자와의 우발적인 물리적 접촉을 감소시키기 위해 피복된 전기 커넥터인, 세척/건조 겸용 스테이션용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기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부품은 상기 커넥터 유닛의 내측의 실링된 구획실의 내측에 위치되는, 세척/건조 겸용 스테이션용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된 구획실은 제거가능한 전면 커버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구획실의 내측에 접근하기 위해 제거될 수 있는, 세척/건조 겸용 스테이션용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접근 패널이 상기 전면 커버에 제공되고, 상기 접근 패널은 상기 전면 커버를 제거하지 않고 상기 유동-제어 밸브에의 접근을 허용하는, 세척/건조 겸용 스테이션용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어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실링된 구획실의 내측의 저전압 제어기에 접속되는, 세척/건조 겸용 스테이션용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분배 부품 및 공기 방출 부품은 싱크대의 세면기에 인접하여 장착될 수 있는 단일의 고정시설의 일부로서 포함되는, 세척/건조 겸용 스테이션용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모듈은 상기 고정시설 상의 덕트에 상기 커넥터 유닛 상의 덕트를 연결하는 공기 호스를 통해 상기 공기 유출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세척/건조 겸용 스테이션용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블로어 상의 공기 흡기구를 통해 흡인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공기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필터 모듈의 모듈식 교체를 위해 상기 블로어 모듈 상의 상기 공기 흡기구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는, 세척/건조 겸용 스테이션용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说明书全文

    조합된 핸드 드라이어 및 수도 꼭지{A COMBINED HAND DRYER AND TAP}

    화장실은 종종 핸드 드라이어를 장착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 이 핸드 드라이어는 독립형 핸드 드라이어로서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싱크대의 세면기에서 자신을 손을 씻은 다음에 손을 말리기 위해 종종 화장실의 다른 부분에 위치해 있는 핸드 드라이어로 걸어갈 것이다.

    또 어떤 때는 세척용 물을 방출한 다음에 사용자가 화장실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도록 사용자의 손을 말리기 위한 공기류를 방출하는 겸용의 척/건조 스테이션의 일부로서 핸드 드라이어가 통합된다.

    본 발명은 세척/건조 겸용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실의 세척/건조 스테이션의 설치, 수리 또는 점검을 향상시키는 것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화장실용 세척/건조 겸용 스테이션으로서, 상기 스테이션은 사용자의 손을 세척하기 위해 물을 방출하기 위한 물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물 유출구는 메인(mains) 수원에 접속되고, 상기 스테이션은 사용자의 손을 건조시키기 위해 공기류를 방출하기 위한 공기 유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류는 모터-구동식 팬 유닛을 포함하는 블로어 모듈에 의해 발생되고, 상기 블로어 모듈은 메인 전원에 접속되고; 상기 메인 전원에의 접속은 커넥터 유닛을 통해 실시되고, 상기 커넥터 유닛은 상기 메인 전원에 하드-와이어링(hard-wired)되고, 블로어 모듈은 상기 팬 유닛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커넥터 유닛 상의 전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수원에의 접속은 동일하거나 추가의 커넥터 유닛을 통해 실시되고, 상기 커넥터 유닛은 상기 메인 수원 내로 배관접속되고, 유동-제어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의 유입 포트는 상기 메인 수원에 접속되고, 상기 밸브의 유출 포트는 물 유출구에 접속되는, 화장실용 세척/건조 겸용 스테이션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팬 유닛은 메인 전원 내에 하드-와이어링되지 않는다. 오히려, 메인 전원에의 접속은 중개 커넥터 유닛을 통해 제공된다. 이 커넥터 유닛은 메인 전원에 하드-와이어링되고, 그러면 전기 접속은 팬 유닛의 경우 블로어 모듈 및 커넥터 유닛 상의 각각의 전기 커넥터를 통해 실시된다.

    유사하게, 메인 수원에의 접속은 커넥터 유닛을 통해 실시된다. 이것은 메인 전원에 팬 유닛을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바로 그 커넥터 유닛일 수 있고, 또는 이것은 별도의 커넥터 유닛일 수 있다. 어느 경우에서나, 이 커넥터 유닛은 메인 수원에 배관접속되고, 메인 수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유동-제어 밸브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척/건조 스테이션을 보수점검 또는 수리하는 것을 간소화한다. 팬 유닛은 간단히 전기 커넥터를 단절시킴으로써 메인 전원으로부터 단절될 수 있고, 팬 유닛을 교체하기 위해 부품의 임의의 하드-와이어링과 간섭하는 요구사항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른 한편, 배관접속 시스템 내에 스톱 밸브를 설치하여 폐쇄(이것은 또한 다른 세척/건조 스테이션 등으로부터 메인 수원을 차단하는 단점도 가질 수 있다)시킬 필요 없이 메인 수원이 유동-제어 밸브에서 차단될 수 있으므로 유동-제어 밸브의 하류의 물-회로 부품의 수리 또는 교체도 단순화된다.

    커넥터 유닛 상의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 상의 임의의 통전 중인 단자(들)과의 우발적인 물리적 접촉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기 위해 피복될 수 있다. 이것으로 인해 주 회로 차단기에서 메인 전원을 단전시키지 않고도 설명된 방식으로 팬 유닛을 교체하는 것이 더 안전해진다.

    "피복되었다"고 함은 커넥터 상의 임의의 통전 중인 단자가 이 통전 중인 단자에의 물리적인 접근이 억제되도록 어떤 방법으로든지 커버 또는 은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이 통전 중인 단자는 "노출"되지 않은 통전 중인 단자이다.

    전기 커넥터의 피복은 또한 세척/건조 스테이션의 관련 부품의 안전한 '모듈식'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접속 유닛 상에 피복된 전기 커넥터를 갖는 손 세척/건조 스테이션을 설치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a) 상기 메인 전원에 상기 커넥터 유닛을 하드-와이어링하는 단계, b) 커넥터 유닛에서 상기 메인 수원에 배관접속하는 단계, c) 상기 팬 유닛에 상기 커넥터 유닛을 접속하기 위해 상기 전기 커넥터를 맞물리는 단계, 및 d) 상기 물 유출구에 상기 (폐쇄된) 유동-제어 밸브의 상기 유출 포트를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a)는 단계 b)로부터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고, 및/또는 단계 c)는 단계 d)로부터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모듈식 설치이다. "독립적으로"라고 함은 이 단계들이 상이한 시간에서 및/또는 상이한 사람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예를 들면, 단계 a) 및 b)는 신축 건물의 초기 건축 단계 중에 실행될 수 있고, 반면에 단계 c) 및 d)는 사업 계획의 더 적절한 시간에, 예를 들면, 건물의 정비(fitting-out) 중에 실행될 수 있다.

    단계 a) 및 b)는 자격을 갖춘 전기기사 및 자격을 갖춘 배관공에 의해 실시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단계 a) 및 b)에서 커넥터 유닛(들)의 설치 후에 메인 전원은 전기 커넥터 상의 피복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되고, 유사하게 메인 수원은 유동-제어 밸브에 의해 차단된다. 결과적으로, 일반적인 보수점검 기사 또는 설치기사는 메인 전원 도는 메인 수원을 차단할 필요 없이 단계 c) 및 d)를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상당히 조직화된 노동력 또는 상용 건물의 제반설비를 간섭하는 다양한 임시 면허 및 임시 허가가 허여되어야 하는 엄격한 안전 표준을 가진 국가에서 특히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단지 하나의 커넥터 유닛만이 제공될 수 있고, 메인 수원에의 접속은 메인 전원에 팬 유닛을 접속하는 바로 그 커넥터 유닛을 통해 실행된다. 이것은 특정의 경우에 커넥터 유닛의 설치를 단순화 및 가속화할 수 있다. 다른 한편, 특정의 다른 경우에, 예를 들면, 특정 국가의 법규가 자격을 갖춘 상이한 전문가(예를 들면, 자격을 갖춘 전기기사 및 자격을 갖춘 배관공)에 의한 2 개의 커넥터 유닛의 설치를 요구하는 경우에, 별개의 커넥터 유닛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유동-제어 밸브는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센서 신호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트리거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전기적으로 활성화되는 유동-제어 밸브일 수 있다.

    커넥터 유닛은 커넥터 유닛의 내측의 실링된 구획실 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전기 커넥터에 접속하는 전원과 관련된 고전압 부품 및/또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센서에 접속하는 전원과 관련된 저전압 부품일 수 있다. 이 부품은 PCB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이것은 또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실 내측의 부품을 실링하는 것은 통전 중인 부품과 물의 유해한 접촉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것은 특히 고전압 부품의 경우에 중요하다.

    실링된 구획실은 부분적으로 제거가능한 전면 커버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이것은 구획실의 내측에 접근하기 위해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면 커버를 제거하지 않고 유동-제어 밸브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전면 커버 내에 또는 전면 커버의 일부로서 접근 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커넥터 유닛에 접속되는 주 공급을 차단할 필요 없이 메인 수원에 유동-제어 밸브를 접속하는 것 및 후속하여 유동-제어 밸브를 점검하는 것을 도와준다.

    유동-제어 밸브는 물 유출구에 압입-끼워맞춤 접속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밸브는 적절한 압입-끼워맞춤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고, 그러면 물 유출구로부터의 파이프를 압입-끼워맞춤 커넥터 상에의 압입 끼워맞춤에 의해 물 유출구에의 파이프식 접속이 실시될 수 있다.

    팬 유닛은 800W를 초과하는 출력 정격을 갖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비교적 저전압 표준의 메인 전원을 운영하는 특정 국가에서 "고출력"의 전원에 접속해야 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는 플러그-앤드-소켓 또는 핀-앤드-소켓 커넥터일 수 있다.

    물 유출구는 물 분배 부품 상에 제공될 수 있고, 공기 유출구는 공기-방출 부품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들 부품은 싱크대의 세면기에 인접하여 장착될 수 있는 단일의 고정시설로서 결합될 수 있다.

    블로어 모듈은 커넥터 유닛 상의 덕트를 통해 공기 유출구에 접속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유출구가 고정시설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경우, 커넥터 유닛 상의 덕트를 고정시설 상의 덕트에 접속하기 위해 공기 호스가 제공될 수 있다.

    공기 유출구는 경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좁은 슬릿의 형태인 에어-나이프 유출구일 수 있다.

    블로어 모듈 상의 공기 흡기구를 통해 흡인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공기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필터 모듈은 이 필터 모듈의 모듈식 교체를 위해 블로어 모듈 상의 공기 흡기구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화장실 내의 세척/건조 겸용 스테이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세척/건조 겸용 스테이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세척/건조 겸용 스테이션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배열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블로어 또는 컴프레셔의 분해도이고;
    도 5는 팬 유닛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배열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블로어 모듈(팬 유닛을 포함)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블로어 모듈의 내측의 팬 유닛의 스프링-장착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8은 스프링-장착 배열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리된 팬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대응하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스프링들 중 하나를 위한 장착 배열체의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배열체에서의 사용을 위한 필터 모듈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블로어 모듈에 필터 모듈의 부착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3의 배열체에서 사용되는 커넥터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커넥터 유닛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15는 백 플레이트 상에 장착된 일부의 부품을 포함하는 커넥터 유닛의 일부를 형성하는 백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전면 커버의 내측을 보여주는 커넥터 유닛의 전면 커버 형성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명확화를 위해 장착된 부품의 일부를 제거한 도 15의 백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세척/건조 겸용 스테이션

    도 1 및 도 2는 화장실 내의 세척/건조 겸용 스테이션(1)을 보여준다.

    세척/건조 스테이션(1)은 사용자의 손을 세척하기 위한 급수전 또는 수도꼭지 및 후속하여 사용자의 손을 건조시키기 위한 핸드 드라이어를 포함한다.

    수도꼭지는 싱크대(5)의 세면기(5a)에 인접하여 장착되는 고정시설(3)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고정시설(3)는 싱크대(5)의 세면기(5a)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주 본체(7) 및 이 주 본체(7)로부터 싱크대(5)의 세면기(5a) 상으로 돌출하는 토수구(spout; 9)를 포함한다.

    요구에 따라, 세척용 물은 물 공급 파이프(11)(도 2)를 통해 주 공급 라인(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되고, 물 공급 파이프(11)는 주 본체(7)와 토수구(9) 내에서 이 토수구(9)의 선단부에 제공된 하방을 향하는 물 유출구(13)(도 2)까지 연장한다.

    급수전은 종래의 센서 및 제어 루프(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는 "핸즈프리" 작동용으로 구성된다. 즉, 물은 세척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의 검출에 응답하여 물 유출구(13)를 통해 방출된다. 대안적으로, 급수전은 수동 작동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시설(3)은 또한 핸드 드라이어의 공기 유출구를 포함하고, 핸드 드라이어는 주 본체(7)와 토수구(9)의 내측을 이 공기 유출구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 덕트로서 사용한다. 이 경우, 고정시설 상에는 각각의 손에 대해 하나씩의 2 개의 에어-나이프 유출구(15)가 존재한다. 에어-나이프 유출구는 토수구(9)의 양측에 제공되고, 토수구(9)로부터 분기되는 공급 덕트(17)를 따라 연장한다.

    핸드 드라이어는 종래의 센서 및 제어 루프(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는 "핸즈프리" 작동용으로 구성되고, 이것은 (전술한 세척 위치와 구별되는) 건조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의 검출에 응답하여 팬 유닛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시킨다. 그러면 팬 유닛은 사용자의 손을 건조시키기 위해 고정시설(3)를 통해 그리고 에어-나이프 유출구(15)를 통해 외부로 공기류를 구동한다. 대안적으로, 핸드 드라이어는 수동 작동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분리된 팬 유닛(24)이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도 1 및 도 2의 싱크대의 하측에 숨겨져 있는 하부 조립체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3에서 하부 조립체(16)를 볼 수 있다. 이것은 커넥터 유닛(19), 필터 모듈(21) 및 팬 유닛을 포함하는 블로어 모듈(23)의 3 개의 모듈식 부품을 포함한다.

    팬 유닛

    팬 유닛(24)은 원심 블로어, 또는 컴프레셔(25)를 포함한다.

    도 4에 원심 블로어(25)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전기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27), 모터의 출력 샤프트에 연결되는 원심 팬 임펠러(29), 및 확산기(33)를 포함한다.

    공기는 구동 유닛(27) 상의 공기 흡기구(27a)(이 공기 흡기구(27a)는 도 4에서는 보이지 않으나 도 6에서는 볼 수 있다)를 통해 팬 임펠러(29)에 의해 블로어(25) 내로 축방향으로 흡인된다.

    확산기(33)는 정압 회복을 위한 다수의 와류 베인(swirl vane)을 포함하는 확산기 링(31) 및 이 확산기 링(31) 상에 끼워맞춤되고, 그리고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29)로부터의 공기류를 환형의 팬 유출구(35a)를 통해 안내하는 확산기 캡(35)을 포함한다(사용 시, 공기류가 팬 유출구(35a)를 벗어날 때,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어느 정도의 잔류 와류가 공기류 내에 존재한다).

    팬 유닛(24)는 또한 확산기 캡(35) 상에 끼워맞춤되는 매니폴드(37)를 포함한다. 이것은 도 5에서 볼 수 있다. 매니폴드(37)는 공기류를 수집하여 이것을 매니폴드(37)의 일측 상의 노즐(39)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방출한다(또한 도 7을 참조할 것).

    팬 유닛(24)은 블로어 모듈(23)의 외부 케이싱(43)에 고정되는 모터 버킷(41) 내에 수직으로 스프링-장착되고, 팬 유출구(35a)는 상방을 향하고(도 7을 참조할 것), 공기 흡기구(27a)는 하방을 향하고(도 6), 그리고 임펠러의 회전 축선(A)(이하, "팬 축선")을 수직으로 연장한다.

    이 스프링 장착 배열체는 상부 세트의 스프링(45) 및 이 상부 세트의 스프링(45)으로부터 (팬 축선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격된 하부 세트의 스프링(47)을 포함한다. 도 8에서 가장 명확하게 이들 스프링 세트를 볼 수 있다.

    하부 세트의 스프링(47)는 팬 축선(A)의 주위에서 등각도로 이격되는 4 개의 코일 인장 스프링(47a)(이들 중 3 개는 도 8에서 볼 수 있다). 각각의 스프링(47a)은 여기서 30 도인 팬 축선에 대한 평면 각도(θ)로 팬 축선(A)을 따라 연장한다. 따라서, 하부 세트의 스프링은 원추 각도(θ) = 30°인 원추대형의 구성으로 배치된다. 원추대형의 구성에 의해 스프링(47a)은 축방향 및 반경방향의 양자 모두의 성분을 가지는 하중에 저항할 수 있다. 스프링(47a)은 균일한 하중 지지 반응을 제공하도록 동일한 스프링 상수 k = 1.1 N/mm 및 동일한 길이 l = 12.7 mm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상부 세트의 스프링(45)은 팬 축선의 주위에서 등각도로 이격된 4 개의 코일 인장 스프링을 포함한다. 스프링은 2 개의 비교적 강성의 스프링(45a)(k = 7.5 N/mm, l = 12.7mm) 및 2 개의 비교적 약한 스프링(45b)(k = 1.1 N/mm, l = 12.7mm)의 2 개의 그룹으로 배치된다. 도 9에서 2 개의 그룹의 스프링을 볼 수 있다.

    2 개의 비교적 약한 스프링(45b)은 원추 각도(θ) = 30°를 갖는 제 1 원추대형의 구성으로 배치되고, 이 구성은 팬 유닛(24)을 위한 양방향의 축방향 지지를 제공하도록 제 1 세트의 스프링의 원추대형의 구성에 대해 반전되어 있다.

    2 개의 비교적 강성의 스프링(45a)는 제 2 원추대형의 구성으로 배치된다. 팬 축선(A)에 대한 스프링(45a)의 평면 각도(∞)에 대응하는 이 제 2 원추대형의 구성의 원추 각도(∞)는 제 1 원추대형의 구성의 원추 각도(θ)와 상이하다. 이 경우 ∞ = 50°이다.

    강성의 스프링(45a)은 매니폴드(37) 내의 방출 노즐(39)로서 팬 유닛(24)의 동일 측 상에 배치된다. 약한 스프링(45b)은 팬 유닛(24)의 대향 측 상에 배치된다. 이것은 양방향의 비대칭적 반응 특성을 갖는 상부 세트의 스프링(45)을 제공한다. 즉, 강성의 스프링(45a)은 공기류가 노즐(39)을 통해 방출될 때 팬 유닛(24) 상의 횡방향 반발력에 저항하도록, 특히 기동 시의 팬 유닛(24)의 "킥(kick)"을 제어하도록 '경성(hard)' 반응 특성을 제공하고, 반면에 비교적 약한 스프링(45b)은 블로어(25)의 기동 단계 후의 정상 상태에서 발생하는 더 작은 진폭의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해 더 양호하게 적합된 반대 방향으로 더 유연한 '연성(soft)' 반응 특성을 제공한다.

    인장 스프링 대신 압축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인장 스프링은 비교적 짧은 비하중(unloaded) 길이의 이점을 제공한다.

    스프링(45a, 45b, 47a)은 스프링의 비하중 길이를 최소화하도록 그 비하중 상태에서 코일-밀착(coil-bound)되어 있다. 스프링 상의 압축성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각각의 스프링(45a, 45b, 47a)은 양 단부에서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하나의 강성의 스프링(45a)을 위한 장착 배열체는 도 7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구성이 다른 스프링(45b, 47a)의 각각을 위해 사용된다. 스프링(45a)은 루프형 단부를 갖고, 일단부에서 팬 유닛(24) 상에 하방으로 나사체결되는 와셔(51)에 의해, 그리고 타단부에서 모터 버킷(41)의 벽 내에 형성된 체널 내에 스냅-끼워맞춤되는 스냅 링(53)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배열체는 스프링(45a) 상에 과도한 압축성 하중을 부가하지 않고 모터 버킷(41)과 팬 유닛(24)의 상대적 변위를 허용하도록 스프링(45a)의 어느 정도의 선회 이동을 허용한다.

    모터 버킷(41)은 블로어 모듈(23)의 외부 케이싱(43) 내측에 수용된다. 블로어 모듈(23)을 위한 공기 흡기구(27a)의 역할을 하는 그릴(55)(도 6)은 팬 유닛(24) 상의 공기 흡기구(27a)에 인접하여 모터 버킷(41)의 저면 상에 제공된다.

    필터 모듈

    필터 모듈(21)은 도 11에서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서는 블로어 모듈(23)에 접속되어 있다.

    필터 모듈(21)은 필터(61)를 수용하는 필터 케이싱(59)을 포함한다.

    필터 케이싱(59)은 체임버(63)를 포함한다. 체임버(63)의 일단부에는 케이싱(59)의 하단부 면(59a) 내에 형성된 공기류 유입구가 존재한다. 체임버(63)의 타단부에는 케이블(23)의 상단부 면(59b) 내에 형성된 공기류 유출구가 존재한다.

    필터 케이싱(59)의 이 공기류 유입구는 일련의 흡기 슬롯(65)을 포함하는 "루버식(louvred)" 유입구이다. 공기류 유출구는 상단부 면(59b)의 중심에 형성된 원형 유출구(67)이다.

    상단부 면(59b)은 사용 시 블로어 모듈(23)의 하단부와 결합 맞물림을 위 그 주위에 리베이팅(rebating)된다. 그릴(55)의 주위의 시일(71)은 유출구(67)의 주위에서 필터 케이싱(59)의 상단부 면(59b)에 접촉하여 실링한다. 따라서 공기류는 필터 케이싱(59) 내측의 체임버(63)를 통해 블로어 모듈(23) 내로 흡인되고, 공기류 유출구(67) 및 그릴(55)을 통해 블로어 모듈(23) 내에 진입한다. 필터 모듈(21)은 블로어 모듈(23)에 필터 모듈(21)을 고정하기 위해 블로어 모듈(23) 상의 캐치 표면에 대해 고정되는 캐치(73)(도 3)를 구비한다.

    필터(61)는 체임버(63)를 구획하도록 필터 케이싱(59)의 내측에 배치되고, 필터(61)는 체임버(63)를 단순히 채우고 있지 않는다. 따라서, 체임버(63)를 통과하는 공기류는 필수적으로 필터(61)를 통과해야 한다.

    필터(61)는 TechnostatTM와 같은 플리스(fleece; 61a)의 층 및 HEPA 매체(61b)의 층을 포함하는 HEPA 필터이다. 필터(61)의 정확한 구성을 변화될 수 있다.

    체임버(63)는 팬 유닛(24)으로부터 발생하여 그릴(55)을 통해 후측으로 전파되는 소리를 약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팽창 체임버의 역할을 한다(소리는 공기류의 반대 방향으로 전파된다).

    초기 시험은 더 우수한 성능의 저역-통과 음향 필터를 제공하기 위해 팽창 체임버(63)와 필터(61)의 음향 임피던스가 상호 작용하도록 팽창 체임버의 저역-통과 차단 주파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필터(61)의 음향 임피던스는 음향 성능에 유익한 작용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차단 주파수의 감소는 흡기 슬롯(65)을 통해 외부로 저주파 노이즈의 전달을 억제하는데 도움을 준다.

    차단 주파수의 감소는 핸드 드라이어의 내측의 필터(61)의 고유 음향 임피던스를 이용함으로써 에어-나이프 유출구(15)에서의 배출 공기속도를 손상시키지 않고, 그리고 팽창 체임버(63)의 전체 길이(L)를 증가시킬 필요없이 달성된다.

    커넥터 유닛

    커넥터 유닛(19)은 종래의 벽 고정시설를 이용하여 벽 상에 장착되도록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유닛(19)은 싱크대의 하측에 위치되므로 사용자로부터 은닉된다.

    커넥터 유닛(19)은 다양한 접속을 위한 허브의 역할을 한다. 첫째, 커넥터 유닛(19)은 고정시설(3) 상의 물 유출구(13)를 메인 수원(도시되지 않음)에 접속한다. 둘째, 커넥터 유닛(19)은 블로어 모듈(23)(및 다양한 다른 부품들)을 메인 전원(도시되지 않음)에 접속한다. 셋째, 커넥터 유닛(19)은 고정시설(3) 상의 에어-나이프 유출구(15)를 팬 유닛(24) 상의 방출 노즐(39)에 접속한다.

    공기 접속

    에어-나이프 유출구(15)는 커넥터 유닛(19)의 상부를 통해 연장하는 보 덕트(73)을 통해 팬 유닛(24) 상의 방출 노즐(39)에 접속된다. 이 엘보 덕트는 도 14에서 볼 수 있다. 에어-나이프 유출구(15)는 공기 호스(75)(도 3)를 통해 엘보 덕트(73)의 일단부에 접속된다. 이 공기 호스(75)는 그 상단부에서 (도 1에서 싱크대의 하측의) 고정시설(3)의 주 본체(7)에, 그리고 그 하단부에서 엘보 덕트(73)의 단부(73a)에 접속된다. 블로어 모듈(23) 상의 방출 노즐(39)은 가요성 시일을 통해 엘보 덕트(73)의 대향 단부(73b)에 접촉하여 실링한다.

    사용 시, 공기는 블로어 모듈(23)로부터 엘보 덕트(73) 내로 방출되고, 다음에 공기 호스(75)를 따라 상승하여 중공의 주 본체(7)까지 운반된 후에 결국 에어-나이프 유출구(15)를 통해 강제 배출된다.

    커넥터 유닛(19)의 전면 커버(79) 상에 탄성의 슬라이딩 캐치(77)가 제공된다. 캐치(77)는 커넥터 유닛(19) 상의 블로어 모듈(23)을 고정하기 위해 블로어 모듈(23) 상의 캐치 돌출부(도시되지 않음)와의 로킹 맞물림을 위해 스프링-편향된다. 캐치(77)는 엘보 덕트(73)의 각각의 단부(73b)와 실링 맞물림 상태로 방출 노즐을 파지한다.

    캐치의 수동 해제를 위한 푸시 로드(79)가 제공되고, 이 푸시 로드(79)가 제공되고, 사용 시 이 푸시 로드(79)는 촉수 방지를 위해 블로어 모듈(23) 및 필터 모듈(21)의 후측에 은닉되어 있으나, 블로어 모듈(23)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캐치(77)를 해제하기 위해 커넥터 유닛(19)의 하측으로부터 접근이 허용된다.

    물 접속

    메인 수원에의 접속은 커넥터 유닛(19)의 내측에 수용되는 기적으로 활성화된 유동-제어 밸브, 이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81)를 통해 이루어진다. 솔레노이드 밸브(81)의 유출 포트(81b)는 메인 수원 내에 배관접속되도록 배치되고, 일단 이것이 배관접속되면, 솔레노이드 밸브(81)는 커넥터 유닛(19)에서 메인 수원을 차단하는 유동-제어 밸브의 역할을 한다.

    물 유출구(13)는 가요성 물 공급 파이프(11)(도 2)를 통해 솔레노이드 밸브(81)의 유출 포트(81a)에 접속되고, 가요성 물 공급 파이프(11)는 공기 호스(75)의 내측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하고, 엘보 덕트의 벽 내의 구멍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다(실제로 가요성 공급 파이프는 도 15에서 보이지 않는다). 엘보 덕트(73)의 벽과 가요성 물 공급 파이프(11) 사이에 기능적 공기-시일을 제공하기 위해 실링 그로밋이 사용된다.

    가요성 물 공급 파이프(11)는 종래의 압입 끼워맞춤에서 솔레노이드 밸브(81)의 유출 포트(81a)와 맞물림된다.

    전력 접속

    전력 접속은 커넥터 유닛(19)의 내측에 수용된 PCB(83)를 통해 실시된다.

    PCB(83)는 커넥터 유닛(19)의 내측의 실링된 "건조 구획실"(85)의 내측에 수용된다. 이 구성은 솔레노이드 밸브(81)로부터 PCB(83)를 절연시킨다. 결과적으로, 만일 솔레노이드 밸브(81)가 고장인 경우에 물은 PCB(83) 상으로 쉽게 누설될 수 없다.

    구획실(85)은 2 부재의 조립체이다. 구획실(85)의 제 1 부분은 커넥터 유닛(19)의 밸-플레이트(87) 상에 제공되는 직사각형의 내부의 주위 벽(87a)을 포함한다. 이 PCB(83) 및 다른 전기 부품은 이 주위 벽(87a)의 경계의 내측에서 백-플레이트(87) 상에 장착된다. 구획실(85)의 제 2 부분은 백-플레이트(87) 상에 끼워맞춤되는 커넥터 유닛(19)의 전면 커버(79)의 내측 상에 제공된다. 구획실의 제 2 부분은 2 개의 주위 벽(79a, 87a)이 주위 래버린스(labyrinth) 시일을 형성하도록 백-플레이트(87) 상의 주위 벽(87a)의 외측의 주위에 끼워맞춤되는 주위 벽(79a)을 포함한다. 이것은 물의 진입을 방지하도록 구획실(85)을 효과적으로 실링한다.

    물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의 예방조치로서, 외주 벽(87b)이 백-플레이트(87) 상에 제공된다. 이 외주 벽(87b)은 전면 커버(79) 상의 주위 벽(79a)의 외측의 주위에 연장되므로 3 개의 주위 벽(79a, 87a, 87b)은 함께 구획실(85)의 주위의 주위에 이중 래버린스 시일을 형성한다. 이러한 특정의 배열체에서, 중간 주위 벽(79a)의 네 번째 면은 커넥터 유닛(19)의 외부의 벽의 일부를 형성하므로 외주 벽(87b)은 내부의 주위 벽(87a)의 3 면 상에서만 연장되지만, 대안적으로 필요에 따라 각각의 내부의 주위 벽의 주위의 전체에 걸쳐 연장하는 외주 벽이 제공될 수 있다.

    내부의 주위 벽(87a)과 외주 벽(87b) 사이의 체널 내에서 연장하는 개스킷(91)이 백-플레이트(87)(도 17) 상에 제공된다. 이 개스킷(91)은 래버린스 시일을 통한 물의 진입의 기회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중간 주위 벽(79a)의 단부에 접촉하여 시일을 형성한다. 개스킷(91)은 구획실(85)의 주위의 전체에 걸쳐 연장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내주 벽과 외주 벽(87a, 87b) 사이에 배수구(93)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주위의 일부에만 연장한다. 이들 배수구(93)는, 구획실(85)의 주위의 어딘가에서 실링의 파손이 존재하는 경우, 구획실(85)에 물이 충만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버플로 유출구의 역할을 한다. 사용 시, 커넥터 유닛이 정상 배향(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배향)인 경우에, 배수구(93)는 구획실(85)의 저면에 존재하도록 위치된다.

    PCB(83)의 고전압 측은 구획실(85)의 주위 벽(들) 내의 케이블 글랜드(gland; 97)를 통해 외부로 연장하는 메인 전원 배선 룸(loom; 95)을 통해 메인 전원에 하드-와이어링된다. 케이블 글랜드(97)는 구획실(85) 내로의 물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룸(95)의 주위에 실링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드 와이어링"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 전기 접속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속은 배선을 통해 실시할 필요가 없다.

    솔레노이드(81), 및 고정시설(3) 상의 센서는 구획실(85) 내로의 물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 그로밋(99a, 101a)을 통해 외부로 연장하는 각각의 배선 룸(99, 101)을 통해 구획실(85)의 내측의 PCB(83)의 저전압 측에 접속된다. 솔레노이드(81) 및 센서에의 접속은 배선 룸(99, 101)의 단부에 제공되는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99b, 101b)를 통해 실시되고, 솔레노이드(81)나 센서의 어느 것도 PCB(83)에 하드-와이어링되지 않는다. 이것은 보수 또는 교체를 위해 센서 및 솔레노이드(81)의 용이한 단절을 가능하게 한다.

    유사하게, 블로어 모듈(23)은 PCB(83)에 하드-와이어링되지 않는다. 대신, 접속은 PCB(83)의 고전압 측에 하드-와이어링된 핀 소켓(103)을 통해 실시된다. 블로어 모듈(23) 상에 이 핀 소켓(103) 내에 플러그 접속되는 상보적 핀 커넥터(105)(도 12에서 볼 수 있음)가 제공된다. 이러한 배열체는 점검 및 교체의 용이화를 위해 메인 전원으로부터 블로어 모듈(23)의 용이한 단절을 가능하게 한다.

    핀 소켓(103)은 피복되어 있다. 피복물(103a), 이 경우 고무 마스크는 솔레노이드 밸브(81)의 고장의 경우에 물의 진입을 방지하는 것을 도와줄 뿐만 아니라 블로어 모듈(23)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핀 소켓(103)의 고전압의 통전 중인 단자와의 우발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도와 준다.

    설치/점검

    커넥터 유닛(19)의 설치는 PCB(83)의 고전압 측을 메인 전원에 접속하고, 솔레노이드 밸브(81)를 메인 수원에 접속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PCB(83)의 고전압 측의 메인 전원에의 접속은 구획실(85)의 내측에 접근하기 위해 커넥터 유닛(19)의 전면 커버(79)의 제거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물이 통전 중인 부품에 접촉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 수원에 솔레노이드 밸브(81)를 접속하기 전에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 전면 커버(79)가 교체되면, 구획실(85)은 물의 진입을 방지하도록 실링되고, 다음에 커넥터 유닛(19)에 접속되는 메인 전원을 단전시키지 않고도 메인 수원에의 접속이 안전하게 실행될 수 있다. 이것은 메인 전원을 단전하기 위한 면허가 요구될 수 있는 대형 상업용 건물에서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자격을 갖춘 전기기사와 대조적으로 자격을 갖춘 배관공을 이용하여 메인 전원에의 초기 접속 후 경우에 따라 메인 수원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메인 전원을 단전하기 위한 다중의 면허를 구하는 비용은 부담이 될 수 있다.

    커넥터 유닛(19)의 설치는, 예를 들면, 신축 건물의 초기 건축 단계 중에 초기 설치 단계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건물의 "정비"할 때까지 고정시설(3)의 설치를 지연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솔레노이드 밸브(81)는 메인 수원으로부터 커넥터 유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피복된 핀 소켓(103)은 통전 중인 단자와의 물리적 접촉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전면 커버(79)를 제거하지 않고 솔레노이드 밸브(81)에 접근하도록 커넥터 유닛(19)의 전면 커버(79)에 접근 패널(107)이 제공된다. 고정시설(3)의 후속되는 설치 중에 이 패널(107)은 솔레노이드 밸브(81)의 유출 포트(81a) 상에 물 공급 파이프(11)를 압입 끼워맞춤하기 위한 접근을 제공한다.

    저전압 플러그 커넥터(99b, 101b)도 또한 접근 패널(107)을 통해 접근가능하고, 마찬가지로 커넥터 유닛(19)의 전면 커버(79)를 제거하지 않고도 솔레노이드(81) 및 센서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될 수 있다.

    공기 호스(75)는 외부로부터 엘보 덕트(73)에 접속되고, 따라서 공기 호스를 끼워맞추기 위해 커넥터 유닛(19)의 내측에 접근할 필요가 없다. 공기 호스(75)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 타이(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정위치에 간단히 고정될 수 있다.

    블로어 모듈(23) 및 필터 모듈(21)은 커넥터 유닛(19)과 도킹함으로써 간단히 설치된다. 핀 커넥터(105)는 팬 유닛(24)에 메인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핀 소켓(103)과 맞물린다. 방출 노즐(39)은 고정시설(3) 상의 에어-나이프 유출구(15)에 팬 유닛(24)을 접속하기 위해 엘보 덕트(73)의 단부와 맞물린다. 블로어 모듈(23)은 커넥터 유닛(19) 상의 탄성 캐치(77)에 의해 정위치에 유지된다.

    블로어 모듈(23)은 고정시설(3) 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블로어 모듈(23)은 접근 패널(107)에의 접근을 방해하지 않지만, 블로어 모듈(23)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것은 커넥터 유닛(19) 상의 캐치(77)를 간단히 해제시킴으로써 고정시설(3)의 설치를 허용하도록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설치 후, 접근 패널(107)은 전면 커버(79)를 제거하지 않고 솔레노이드 밸브(81)의 보수, 점검 또는 수리를 위한 접근을 제공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