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면대에 샤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대

申请号 KR2020040002233 申请日 2004-01-30 公开(公告)号 KR200348126Y1 公开(公告)日 2004-05-03
申请人 방성윤; 发明人 방성윤;
摘要 본 고안은 세면대에 샤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이 간편하며, 샤워기의 샤워헤드를 세면대의 일측에 고정시키기가 용이하고, 비누 등의 세면용품을 안착시킬 수 있는 받침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게 이루어져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权利要求
  • 물이 분사되는 샤워헤드와, 상기 샤워헤드를 수도꼭지와 연결시키는 샤워호스와, 상기 샤워헤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대로 이루어지는 샤워기에 있어서,
    상부에 샤워헤드가 끼움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한 고리부가 구비되고, 그 하부면 중심측 적소에 체결홈이 형성되며, 하부 단부측 외주면 적소에 나사를 갖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고리부재와;
    상기 고리부재의 하부에 구비되고, 원형봉상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단부측 외주면 적소에 체결공이 구비되고, 그 하측면 중심측 적소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구비되고, 원형봉상체로 형성되며, 상측면 중심측 적소에 그 외주면의 상부에서 하부로 소정위치까지만 나사산이 형성되는 끼움편이 외향돌출되게 구비되고, 하측면 중심측 적소에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편이 돌출형성되며, 그 하부 외주면 적소에 상부에서 하부로 테이퍼지게 이루어지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와셔와 조임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에 샤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대.
  • 제1항에 있어서,
    중심측 적소에 나사를 갖는 체결공이 관통형성되는 사각판상체형상의 받침부재와;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형성되는 끼움공을 갖는 원통형상체의 외주면 적소에 소정길이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 적소에 고정공이 관통형성되는 돌출편이 연장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체결공과 상기 회전부재의 고정공은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구비되는 끼움편의 하단부에 상기 받침부재의 끼움공이 끼움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에 샤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대.
  • 说明书全文

    세면대에 샤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대{hanger for fix washstand with shower device}

    본 고안은 샤워기의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샤워를 하거나 신체를 씻기 위하여 사용되는 샤워기의 샤워헤드를 세면대의 일측에 거치 및 고정시키기 용이하도록 세면대에 샤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는 욕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씻거나 샤워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샤워기는 물이 분사되는 샤워헤드와, 샤워헤드를 급수부와 연결하는 샤워호스와, 욕실의 일측 벽면 적소에 설치되는 샤워기의 걸이대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샤워기는 사용시에 사용자가 샤워기의 샤워헤드를 파지한 후 사용하거나 욕실의 일측 벽면 적소에 설치된 샤워기의 걸이대에 샤워헤드를 끼운 채 사용하도록 이루어지며, 사용 후에는 욕실에 설치된 샤워기의 걸이대에 끼움결합시켜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세면대에서 머리를 감거나 아이들을 씻기거나 머리를 감겨줄 때에 세면대에 설치되어 있는 수도꼭지를 사용하는 대신 샤워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즉, 수도꼭지는 물을 분사하는 분사범위가 좁고, 분사방향이 일정하기 때문에 수도꼭지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통해 머리를 감거나 아이들을 씻기거나 머리를 감기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범위가 넓으며, 손으로 파지하여 필요로 하는 방향으로의 자유로운 전환이 가능한 샤워기를 수도꼭지 대신 사용하여 머리를 감거나 아이들을 씻기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샤워기를 이용하여 세면대에서 머리를 감는 경우에는 한 손으로 샤워기를 파지한 후 다른 한 손으로 머리를 감아야 하는데 한 손만을 사용하여 머리를 감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두 손을 사용하여 머리를 감거나 기타 동작을 하기 위하여 샤워기를 세면대 바닥면에 놓거나 기타 위치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물의 수압에 의하여 샤워기가 고정되지 않으며, 샤워기의 샤워헤드 전면부를 통하여 분사되는 물이 사방으로 튀거나 이로 인해 사용자의 의복이 물에 젖는 등의 불편함이 있어 샤워기의 샤워헤드 전면부를 통하여 분사되는 물이 일정방향을 향하도록 샤워기의 샤워헤드를 손으로 고정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아이들을 씻기거나 머리를 감겨줄 때에도 한 손으로 아이를 안은 후 다른 한 손으로 샤워기를 파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아이들의 씻기거나 머리를 감겨주기가 매우 불편하였으며, 또한, 샤워기를 세면대의 바닥면에 놓거나, 벽면에 설치된 샤워기의 걸이대에 걸어둔 다음 사용하기 위해서 다시 세면대의 바닥면에 놓인 샤워기를 들거나, 벽면에 설치된 샤워기의 걸이대에서 샤워기를 다시 분리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이 간편하며, 샤워기의 샤워헤드를 세면대의 일측에 고정시키기가 용이하고, 비누 등의 세면용품을 안착시킬 수 있는 받침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게 이루어져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면대에 샤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세면대에 샤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세면대에 샤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걸이대가 세면대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세면대에 샤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걸이대가 세면대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걸이대, 3...세면대,

    5...샤워헤드, 10...고리부재,

    11...고리부, 13...체결홈,

    15...결합공, 30...지지부재,

    31...끼움홈, 33...체결공,

    50...고정부재, 51...끼움편,

    53...결합편, 55...플랜지,

    71...와셔, 73...조임너트,

    75...나사, 80...받침부재,

    81...통공, 83...안착부,

    90...회전부재, 91...끼움공,

    93...돌출편, 95...고정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물이 분사되는 샤워헤드와, 상기 샤워헤드를 수도꼭지와 연결시키는 샤워호스와, 상기 샤워헤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대로 이루어지는 샤워기에 있어서, 상부에 샤워헤드가 끼움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한 고리부가 구비되고, 그 하부면 중심측 적소에 체결홈이 형성되며, 하부 단부측 외주면 적소에 나사를 갖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고리부재와; 상기 고리부재의 하부에 구비되고, 원형봉상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단부측 외주면 적소에 체결공이 구비되고, 그 하측면 중심측 적소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구비되고, 원형봉상체로 형성되며, 상측면 중심측 적소에 그 외주면의 상부에서 하부로 소정위치까지만 나사산이 형성되는 끼움편이 외향돌출되게구비되고, 하측면 중심측 적소에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편이 돌출형성되며, 그 하부 외주면 적소에 상부에서 하부로 테이퍼지게 이루어지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와셔와 조임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중심측 적소에 나사를 갖는 통공이 관통형성되는 사각판상체형상의 받침부재와;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형성되는 끼움공을 갖는 원통형상체의 외주면 적소에 소정길이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 적소에 고정공이 관통형성되는 돌출편이 연장형성되는 회전부재와; 받침부재의 통공과 회전부재의 고정공은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며, 고정부재에 구비되는 끼움편의 하단부에 받침부재의 끼움공이 끼움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세면대에 샤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세면대에 샤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걸이대가 세면대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세면대에 샤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대(1)는 고리부재(10)와, 지지부재(30)와, 고정부재(50)로 구성된다.

    상기 고리부재(10)는 상부에 물이 분사되는 샤워기의 샤워헤드(5)가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하여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리부(11)가 구비되고, 그 하부면 중심측 적소에 상기 지지부재(30)가 끼움결합되기 위하여 소정지름 및 소정깊이를 갖는 체결홈(13)이 형성되며, 하부 외주면 적소에는 나사(75)를 갖는 결합공(15)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대략 원형봉상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재(1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체결홈(13)에 끼움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30)의 지름은 고리부재(10)의 끼움홈(31) 지름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하측면 중심측 적소에는 그 내주면에 나사홈을 갖고, 소정지름 및 소정깊이로 형성되는 끼움홈(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0) 상부의 단부측 외주면 적소에는 지지부재(30)와 고리부재(10)가 끼움결합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33)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리부재(10)의 하부면 중심측에 형성되는 체결홈(13)에 상기 지지부재(30)를 끼움결합시킨 다음, 상기 고리부재(10)의 하부 단부측 적소에 형성되는 결합공(15)과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부 단부측 적소에 형성되는 체결공(33)을 상호 동일한 위치에 위치시킨 후 나사(75) 등의 체결부재를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고리부재(10)와 지지부재(30)의 결합 및 고정이 보다 견고해진다.

    상기 고정부재(50)는 대략 원형봉상체로 형성되고, 그 상측면 중심측 적소에는 지지부재(30)와 끼움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30)의 하측면 중심측 적소에 형성되는 끼움홈(31)의 지름과 대응되는 지름으로 이루어지는 끼움편(51)이 외향돌출형성되며, 상기 끼움편(51)의 외주면상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소정위치까지만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50)의 하측면 중심측 적소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편(53)이 돌출형성되고, 하부 외주면 적소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테이퍼지게 이루어지는 플랜지(5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50)의 하측면에 돌출형성되는 결합편(53)에 결합되기 위한 조임너트(73)가 더 구비되고, 상기 결합편(53)과 조임너트(73)의 사이에 와셔(71)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와셔(71) 및 조임너트(73)에 의하여 상기 걸이대(1)를 세면대(3)의 일측에 장착시 세면대(3)에 장착 및 설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세면대에 샤워기의 샤워헤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대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고리부재(10)와 지지부재(30)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고리부재(10)의 하부면 중심측에 형성되는 체결홈(13)에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부를 소정깊이까지 삽입 및 끼움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리부재(10)와 지지부재(30)를 끼움결합시킨 후 상기 고리부재(10)의 하부 외주면 적소에 형성되는 결합공(15)과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부 외주면 적소에 형성되는 체결공(33)을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시킨 다음, 상호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는 상기 결합공(15)과 체결공(33)에 나사(75) 등의 체결부재를 체결 및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고리부재(10)와 지지부재(30)가 결합 및 고정된다.

    즉, 상기 고리부재(10)의 하부에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부를 끼움결합시킨다음 상기 고리부재(10)를 좌, 우로 회전하여 상기 고리부재(10)의 하부 외주면 적소에 형성되는 결합공(15)을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부 외주면 적소에 형성되는 체결공(33)과 동일한 위치에 놓이게 하거나, 상기 지지부재(30)를 좌, 우로 회전하여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부 외주면 적소에 형성되는 체결공(33)을 상기 고리부재(10)의 하부 외주면 적소에 형성되는 결합공(15)과 동일한 위치에 놓이게 한 후 나사(75) 등의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관통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고리부재(10)와 상기 지지부재(30)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0)의 하부에 상기 고정부재(50)의 상부를 결합시킨다. 즉, 상기 지지부재(30)의 하부면 중심측에 형성되는 끼움홈(31)에 상기 고정부재(50)의 상부면 중심측에 구비되는 끼움편(51)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끼움편(51)의 외주면상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상기 끼움홈(31)의 내주면상에 형성되는 나사홈에 의하여 상기 끼움편(51)은 상기 끼움홈(31)에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끼움편(51)은 그 외주면상에 상부에서 하부로 소정위치까지만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재(5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끼움편(51)을 상기 지지부재(3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끼움홈(31)에 결합시킬 때, 상기 끼움편(51)이 상기 끼움홈(31)상에 완전히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30)의 하부면과 상기 고정부재(50)의 상부면이 맞닿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고정부재(50)의 끼움편(51)이 상기 지지부재(30)의 끼움홈(31)에 완전 결합시 상기 지지부재(30)의 하부면과 상기 고정부재(50)의 상부면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30)의 끼움홈(31)에 상기 고정부재(50)의 끼움편(51)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끼움편(51)의 하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이 완료된 걸이대(1)를 세면대(3)에 설치하는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걸이대(1)를 세면대(3)의 일측에 설치하기 위하여 세면대(3)에는 수도꼭지가 구비되는 부분의 좌측 또는 우측 바닥면상에 상기 걸이대(1)의 고정부재(50) 하부면에 형성되는 결합편(53)이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결합편(53)의 지름과 대응되는 지름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세면대(3)의 수도꼭지가 설치되는 부분의 좌측 또는 우측 바닥면상에 형성되는 구멍에 상기 걸이대(1) 고정부재(50)에 형성되는 결합편(53)을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세면대(3)의 구멍 상부로 끼움결합되어 하부로 노출되는 상기 고정부재(50)의 결합편(53)에 와셔(71)를 결합시킨 다음 조임너트(73)를 체결하여 조임으로써 체결이 완료된다. 즉, 상기 걸이대(1)를 상기 세면대(3)의 구멍 상에 설치할 때 구멍의 하부를 통하여 외부로 일부분 노출되는 상기 결합편(53)에 와셔(71)를 끼움결합시킨 다음 조임너트(73)를 상기 결합편(53)에 체결하여 조임으로써 체결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걸이대(1) 고정부재(5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결합편(53)을 상기세면대(3)에 형성되는 구멍의 상부에서 하부로 결합시킨 다음, 조임너트(73)를 체결할 시에 조임너트(73)의 조임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세면대(3)에 형성되는 구멍 주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걸이대(1)의 고정부재(50) 하부에 형성되는 플랜지(55)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이대(1)의 고정부재(50) 하부면에 합성수지재질의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세면대(3) 구멍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세면대(3)에 형성되는 구멍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완충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세면대(3)에 설치된 걸이대(1)의 고리부재(10) 상부에 구비되는 고리부(11)에 샤워헤드(5)를 끼움결합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샤워기를 손으로 고정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양 손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세면대(3)에서 머리를 감거나 아이들을 씻기거나 머리를 감겨주기가 매우 간편하며, 샤워기의 샤워헤드(5)를 통하여 분사되는 물이 안정적으로 세면대(3)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할 수 있어 샤워기의 샤워헤드(5)를 통하여 분사되는 물이 사방으로 튀기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는 등 샤워기를 통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샤워기의 샤워헤드(5)가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걸이대(1)는 사용시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샤워기의 샤워헤드(5)가 끼움결합되는 고리부재(10)의 고리부(11)가 소정각도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세면대(3)의 일측에 설치되는 걸이대(1)에 샤워기의 샤워헤드(5)를 끼움결합시켜 사용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샤워헤드(5)가 끼움결합되는고리부재(10)의 고리부(11)의 바닥면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소정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하여 상기 고리부재(10)의 고리부(11)에 끼움결합되는 샤워기의 샤워헤드(5)가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걸이대(1)에 끼움결합되는 샤워기의 샤워헤드(5)를 사용하여 머리를 감거나 세면을 하기가 매우 용이해진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세면대에 샤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걸이대가 세면대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걸이대에 구성을 일부 달리한 것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걸이대(1) 고정부재(50)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끼움편(51)에 비누를 안착 및 수납할 수 있는 받침부재(80)와 상기 받침부재(80)를 고정 및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부재(90)가 더 구비된다.

    즉, 중심측 적소에 나사(75)를 갖는 통공(81)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통공(81)의 좌, 우측에 비누 등의 세면도구를 안착 및 수납시킬 수 있는 안착부(83)가 구비되는 사각형상의 받침부재(80)가 구비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형성되는 끼움공(91)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체로 이루어지며, 그 외주면 적소에 소정길이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 적소에 고정공(95)이 관통형성되는 돌출편(93)이 연장형성되는 회전부재(9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받침부재(80)와 회전부재(90)는 상기 받침부재(80)의 통공(81)과 회전부재(90)의 고정공(95)은 나사(75)의 체결에 의하여 상호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90)는 상기 고정부재(50)에 구비되는 끼움편(51)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전부재(90)의 끼움공(91)을 상기 고정부재(50)의 끼움편(51)에 끼움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50)의 끼움편(51)에 끼움결합된 회전부재(90)는 상기 끼움편(51)의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안착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회전부재(90)에 형성되는 끼움공(91)이 상기 고정부재(50)의 끼움편(51)에 끼움결합되어 좌, 우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기 위하여 상기 끼움공(91)의 지름은 상기 끼움편(51)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90)의 상, 하 길이는 상기 고정부재(50)의 끼움편(51)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30)의 하부면과 상기 고정부재(50)의 상부면에 맞닿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30)와 상기 고정부재(50)의 소정간격 이격된 거리만큼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받침부재(80)가 사각판상체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비누 등의 세면용품이 상기 받침부재(8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안착부(83)에서 떨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부재(80)가 대략 사발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받침부재(80)의 상부면 좌, 우측에 구비되는 안착부(83) 바닥면에 소정크기의 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80)의 상부면 안착부(83) 가장자리에 소정두께를 갖는 단턱이 구비되어 상기 받침부재(80)의 안착부(83)에 안착 및 수납된 세면용품이 외부로 이탈되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80)의 상부면 좌, 우측에 형성되는 각 안착부(83)의 바닥면에 슬롯형상 또는 다양한 형상의 배출공이 다수개 관통형성되어 안착부(83)상에 형성되는 물 등이 배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과정 및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고리부재(10)와 지지부재(30)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고리부재(10)의 하부면 중심측에 형성되는 체결홈(13)에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부를 소정깊이까지 삽입 및 끼움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리부재(10)와 지지부재(30)를 끼움결합시킨 다음 상기 고리부재(10)의 하부 외주면 적소에 형성되는 결합공(15)과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부 외주면 적소에 형성되는 결합공(15)과 체결공(33)을 동일한 위치에 놓이게 한 다음 나사(75) 등의 체결부재를 체결 및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고리부재(10)와 지지부재(30)가 결합 및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0)의 하부에 상기 고정부재(50)의 상부를 결합시킨다. 즉, 상기 지지부재(30)의 하부면 중심측에 형성되는 끼움홈(31)에 상기 고정부재(50)의 상부면 중심측에 구비되는 끼움편(51)을 결합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끼움편(51)을 상기 지지부재(3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끼움홈(31)에 끼움결합시키기 전에 상기 고정부재(5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끼움편(51)에 상기 회전부재(90)를 결합시킨다. 즉, 상기 고정부재(50)의 끼움편(51)을 상기 지지부재(30)의 끼움홈(31)에 끼움결합시키기 전에 상기 고정부재(50)의 끼움편(51)에 상기 회전부재(90)의 끼움공(91)을 끼움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90)의 외주면 적소에서 연장형성되는 돌출편(93)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공(95)에 받침부재(80)의 통공(81)을 동일한 위치에 놓이도록 위치시킨 다음 나사(75) 등의 체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받침부재(80)의 통공(81)과 상기 회전부재(90)의 고정공(95)에 나사(75)를 체결하여 상기 회전부재(90)와 받침부재(80)를 결합시킨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90)에 관통형성되는 끼움공(91)의 지름이 상기 고정부재(5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끼움편(51)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이루어져 상기 회전부재(90)가 상기 고정부재(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회전부재(90)의 돌출편(93)과 결합된 받침부재(80)가 보다 자유롭게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90)를 그 중심측에 관통형성되는 끼움공(91)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재(50)의 끼움편(51)에 결합시킨 다음 상기 고정부재(50)의 끼움편(51)을 상기 지지부재(30)의 끼움홈(31)에 체결하여 결합을 완료시킨다. 이때, 상기 끼움편(51)의 외주면상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상기 끼움홈(31)의 내주면상에 형성되는 나사홈에 의하여 상기 끼움편(51)이 상기 끼움홈(31)에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결합이 완료된 걸이대(1)를 세면대(3)에 설치할 경우 먼저, 상기 걸이대(1)의 고정부재(50) 하부면에 구비되는 결합편(53)을 세면대(3)의 수도꼭지가 구비되는 부분의 좌측 또는 우측 바닥면상에 형성되는 구멍에 끼움결합시킨다.

    그리고, 세면대(3)의 구멍 상부로 삽입결합되어 하부로 노출되는 상기 결합편(53)에 와셔(71)를 끼움결합시킨 다음 조임너트(73)를 체결하여 조임으로써 체결이 완료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대(1)의 각 구성요소들간에 결합을 완료한 다음 세면대(3)에 설치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먼저 상기 고정부재(50)를 세면대(3)에 설치한 다음 상기 고정부재(50)의 상부에 회전부재(90)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부재(90)에 받침부재(80)를 결합시키거나, 상기 회전부재(90)와 받침부재(8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50)의 상부에 회전부재(90)를 결합시킨 다음 상기 회전부재(90)의 상부에 지지부재(30)를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부에 고리부재(10)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걸이대(1)가 세면대(3)에 설치완료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세면대(3)에 설치된 걸이대(1) 고리부재(10)의 고리부(11)에 샤워헤드(5)를 끼움결합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샤워기를 손으로 고정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양 손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걸이대(1)의 적소에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진 회전부재(90)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90)와 연결된 받침부재(80)가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및 회전됨으로써 상기 받침부재(80)의 안착부(83)에 안착된 비누 등의 사용이 매우 간편해진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구성이 간단하고,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이 간편하며, 샤워기의 샤워헤드를 세면대의 일측에 고정시키기가 용이하고, 비누 등의 세면용품을 안착시킬 수 있는 받침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게 이루어져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