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미

申请号 KR2020140005879 申请日 2014-08-05 公开(公告)号 KR2020160000525U 公开(公告)日 2016-02-15
申请人 문인성; 发明人 문인성;
摘要 본고안은호미에관한것으로, 호미는김을매거나감자나고구마등 농작물을캘 때쓰는쇠로만든농기구로사용자가선 자세로작업이가능한길이를갖는호미자루를포함하여허리나다리에무게가오는것을방지하여작업능률을향상시키고, 호미날이볼록한호의형상을이루고있어고랑이나이랑의작업뿐만 아니라한 번에넓은면적에서제초작업이가능하고호미날이비틀린구조로잡초와함께딸려오는흙의양이줄어작업능률을향상시키는호미를제공한다.
权利要求
  • 좌우의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 사이의 하측 에 칼날부가 마련된 호미 날과;
    상기 호미 날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호미 자루를 포함하고,
    상기 칼날부는 하측으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된 호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미 날은 전방 측이 오목하도록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된 호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미 날은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 사이의 적어도 일부분이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휘어져서 비틀린 구조를 갖는 호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미 자루는 상기 호미 날의 제2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호미 날의 제1단부는 뾰족하도록 형성된 호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미 날의 제2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호미 자루가 끼워지는 관 형상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호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미 자루는 사용자가 선 자세로 사용 가능한 길이를 갖는 호미.
  • 说明书全文

    호미 {Weeding hoe}

    본 고안은 김을 매거나 농작물의 경작을 위하여 사용되는 호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미는 김을 매거나 감자나 고구마 등 농작물을 캘 때 쓰는 쇠로 만든 농기구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호미(50)는 호미 날(61)과 호미 자루(62) 및 손잡이(70)로 구성된다. 보통 호미 자루(62)는 길이가 짧다. 호미 날(61)은 지방과 토양, 농작물에 따라 형상이 약간씩 다르나 호미 날(61) 끝이 뾰족한 역삼각형 형태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호미는 호미 날이 뾰족한 역삼각형 형태이기 때문에 지면과 닿는 호미 날의 접촉 면적이 작아서 한 번에 많은 양을 제거할 수가 없다.

    즉, 한 번에 파낼 수 있는 면적이 작으므로 작업 면적 대비 상대적으로 많은 호미질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역삼각형 형태의 호미는 고랑과 이랑의 지형에서는 작업 효율이 낮다.

    또한, 제초 작업을 할 때, 잡초가 호미 날 양 옆으로 빠져 나가기 때문에 일시에 많은 양을 제거할 수가 없고, 제거된 잡초와 함께 많은 양의 흙이 딸려온다. 이는 더 많은 노동력을 요구하여 힘이 많이 들고 작업 효율을 저하시킨다.

    한편, 호미는 호미 자루의 짧은 길이로 인하여 쪼그린 자세로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허리, 다리 등에 큰 무리가 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01384호(2010.01.06 공개)

    본 고안은 지면에 대한 호미 날의 접촉 면적이 크고 한 번에 많은 양의 잡초를 제거할 수 있는 호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고랑이나 이랑 등 지형에 상관없이 김매기, 또는 경작 작업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호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제초 작업을 할 때, 호미 날의 좌우 양 옆으로 잡초가 빠져나가지 않는 호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잡초와 함께 딸려오는 흙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호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장시간 작업을 할 때 허리나 다리 등에 무리가 오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호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호미 날은 접촉면적은 크게 하면서도 농작물들 사이의 잡초를 농작물의 훼손 없이 제거하거나 세밀한 작업도 가능한 호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미는, 좌우의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 사이의 하측에 칼날부가 마련된 호미 날과; 상기 호미 날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호미 자루를 포함하고, 상기 칼날부는 하측으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미 날은 전방 측이 오목하도록 구부러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부로부터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 사이의 적어도 일부분이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휘어져서 비틀린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호미 자루는 상기 호미 날의 제2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호미 날의 제1단부는 뾰족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미는, 상기 호미 날의 제2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호미 자루가 끼워지는 관 형상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미 자루는 사용자가 선 자세로 사용 가능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호미 날이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호미날의 칼날부가 하측으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대한 칼날부의 접촉 면적이 크기 때문에, 한 번에 넓은 면적을 파낼 수 있고 많은 양의 잡초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평지에서 뿐만 아니라, 고랑이나 이랑 등에서도 땅을 파거나 잡초를 제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의 실시예는 호미 날의 전방 측이 오목하도록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제초작업 시 제거된 잡초가 끌려오지 않고 호미 날의 좌우 양옆으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호미 날의 비틀린 구조에 의하여 농작물을 캐거나 제초작업을 할 때 호미 날에 실려서 잡초와 함께 딸려오는 흙의 양을 줄일 수가 있다. 이에 따르면, 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기다란 호미 자루에 의하여 선 자세로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므로 허리나 다리에 무게가 오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작업능률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호미 날의 뾰족한 제1단부에 의하여 농작물들 사이의 잡초를 농작물의 훼손 없이 제거하거나 하는 각종의 세밀한 작업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호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미 날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미 날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미를 구성하는 연결부재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 중에서, 방향을 나타내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후방 등은 사용자에 의한 본 고안의 사용행태를 고려하여 정의한 것으로, 호미 자루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이 전방이고 맞은 편이 후방이 된다. 좌측 및 우측은 사용자의 좌우이고, 좌우방향의 수직 방향이 상측 및 하측을 나타낸다.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미(1)는 호미 날(20) 및 호미 날(20)에 연결된 호미 자루(10)로 구성된다.

    호미(1)는 사용자가 호미 자루(10)를 잡고 지면에 호미 날(20)을 내려찍은 후 사용자 자신 측으로 끌어당기는 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호미 날(20)에는 제2단부(22)로부터 전방으로 길게 연장된 호미 자루(10)와 손잡이부(11)를 포함한다.

    또한, 전방으로 길게 연장된 호미 자루(10)는 사용자가 선 자세로 작업이 가능할 정도의 기다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호미 자루(10)의 길이는 성인의 보통 신장을 감안하여 80cm 에서 120cm 정도가 바람직하다. 기다란 호미 자루(10)에 의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는 선 자세로 작업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앉은 자세에서 작업 시 발생되는 허리와 다리의 통증을 해소할 수 있고, 이로써 향상된 작업효율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호미 자루(10)는 탄력성이 좋고 가벼운 나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미 날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미 날(20)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좌측의 제1단부(21) 및 우측의 제2단부(22)를 갖는다. 그리고 호미 날(20)의 제1단부(21)와 제2단부(22) 사이의 상측에는 오목한 칼등부(20-a)가 마련되고 하측에는 볼록한 칼날부(20-b)가 형성된다.

    도 3에서와 같이, 호미 날(20)은 제1단부(21)가 뾰족한 형태를 갖는다. 호미 날(20)의 뾰족한 제1단부(21)에 의하여 농작물들 사이의 잡초를 농작물의 훼손 없이 제거하거나 하는 각종의 세밀한 작업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호미 날(20)은 제1단부(21)와 제2단부(22)사이의 하측에 칼날부(20-b)를 갖고,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호미날(20)의 칼날부(20-b)는 볼록한 호 형태를 이루어 지면에 대한 칼날부(20-b)의 접촉 면적이 크기 때문에, 한 번에 넓은 면적을 파낼 수 있고 많은 양의 잡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평지에서 뿐만 아니라, 고랑이나 이랑 등에서도 땅을 파거나 잡초를 제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미 날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미 날(20)은 제1단부와 제2단부 사이의 적어도 일부분이 후방 또는 전방으로 휘어져 비틀린 구조를 갖는다.

    이때, 호미 날(20)은 제1단부와 제2단부 사이의 중간부-까지의 칼날부(20-b) 영역이 후방 또는 전방으로 휘어져 비틀린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미(1)의 호미 날(20)은 휘어져서 비틀린 구조로 인하여 사용자가 농작물을 경작하거나 제초작업을 할 때 잡초와 함께 딸려오는 흙이 쉽게 뒤로 빠지고 분산 된다.

    또한, 잡초와 함께 딸려오는 흙의 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호미 날(20)의 전방 측이 오목하도록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제초작업 시 제거된 잡초가 끌려오지 않고 호미 날의 좌우 양옆으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호미 날(20)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미 날(20)은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는데, 한 일례로 내구성이 우수한 크롬몰리브덴강(SCM21종)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호미 날(20)은 크롬몰리브덴강을 특수 열처리하여 내구성이 강한 강도와 경도를 갖도록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수 열처리된 호미 날(20)은 호미 날(20) 끝의 휨 현상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해진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미를 구성하는 연결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재(3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구조를 가지며, 양단부 중 한쪽의 외주에는 호미 날(20)의 제2단부(22)가 용접으로 견고하게 접합되고, 양단부 중 다른 쪽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는 호미 자루(10)의 삽입부(12)가 끼워진다.

    여기서, 연결부재(30)에는 호미 자루(10)의 삽입부(12)가 억지끼움방식에 의하여 끼워질 수 있다. 또는, 호미 자루(10)는 연결부재(30)에 끼워진 후 별도의 탈착수단에 의하여 연결부재(30)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거나 연결부재(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호미 자루(10)의 파손 등으로 인한 호미 자루(10)의 교체를 고려할 때, 호미 자루(10)는 연결부재(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될 수 있다.

    1 : 호미
    10 : 호미자루
    20 : 호미 날
    30 : 연결부재
    11 : 손잡이부
    12 : 삽입부
    20-a : 칼등부
    20-b : 칼날부
    21 : 제1단부
    22 : 제2단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