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용 이랑 성형장치

申请号 KR2020120009568 申请日 2012-10-23 公开(公告)号 KR200467634Y1 公开(公告)日 2013-06-24
申请人 박효영; 发明人 박효영;
摘要 본 고안은 이랑을 형성하기 위한 휴대용 이랑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두둑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흙을 모아주도록 작동하는 성형부;로 구성되어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특히, 협소한 공간이나 복잡한 장비가 이동하기 어려운 고지대에서도 쉽게 이동 및 작업이 가능한 휴대용 이랑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权利要求
  • 전체적으로 두둑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정한 간격으로 굴곡부(11)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20);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흙을 모아주도록 작동하며, 중심축(O)을 중심으로 대칭된 구조로 다수가 형성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중앙부분으로 모아져 흙을 모을 수 있도록 일정한 경사각(a)을 형성하고 있는 성형부(30);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형성되며, 성형부(30)에서 모은 흙을 고르게 평탄작업을 하기 위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평탄부(4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휴대용 이랑 성형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说明书全文

    휴대용 이랑 성형장치{A apparatus for portable ridge extrude}

    본 고안은 이랑을 형성하기 위한 휴대용 이랑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특히, 협소한 공간이나 복잡한 장비가 이동하기 어려운 고지대에서도 쉽게 이동 및 작업이 가능한 휴대용 이랑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 밭 등지에서 농작물의 재배시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랑을 구획하여 두둑을 성형하는 배토작업을 실시함으로써 농작물이 용이하게 성장할 수 있으며,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두둑을 형성한 후에는 노지나 비닐피복 재배시 분포에 이식한 후 15∼30일 사이에 도복 방지와 작물 생육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배토작업을 실시하여 이랑 사이의 토양을 작물의 포기 밑에 모아주어 농작물의 뿌리 내림을 깊게 하는 동시에 뿌리줄기를 고정함으로써 풍우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배토작업을 사람이 호미나 괭이 등을 이용하여 인력에 의존하여 실시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농작물의 원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이를 배제하고 있는 실정이며, 근자에 들어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배토기를 이용하여 배토작업을 기계적으로 실시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배토작업을 기계적으로 실시하는 배토기의 일예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91403호 명칭 무동력 회전원판배토기』가 제안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 10-2009-0032607호(원스톱 이랑 성형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상술한 실용신안등록 제291403호나 공개특허 10-2009-0032607호는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하기에는 장치 자체가 너무 커서 사용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계적 구성장치의 복잡성으로 인해 제작 및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내포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용 이랑 성형장치는 전체적으로 두둑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흙을 모아주도록 작동하는 성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본체는 일정한 간격으로 굴곡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성형부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칭된 구조로 다수가 형성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중앙부분으로 모아져 흙을 모을 수 있도록 일정한 경사각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본체의 후방에는 성형부에서 모은 흙을 고르게 평탄작업하기 위한 평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평탄부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특히, 협소한 공간이나 복잡한 장비가 이동하기 어려운 고지대에서도 쉽게 이동 및 작업이 가능한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이랑 성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이랑 성형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이랑 성형장치의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내지 도 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전체적으로 두둑과 고랑으로 이루어진 이랑에서 두둑의 형상과 유사한 형태의 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딱딱한 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일정한 간격으로 굴곡부(11)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손잡이부(20)는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20)는 손잡이 바 결합부(21)가 본체(10)의 외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손잡이 바 결합부(21)에는 손잡이 바(22)가 결합하여 사용자가 손잡이 바(22)를 이용해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 바 결합부(21)와 손잡이 바(22)는 통상의 핀(P)을 통해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손잡이 바 결합부(21)는 도 3에서와 같이 힌지(H)를 더 구성하여 회전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20)는 본체(10)와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통상의 볼트(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성형부(30)는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되어 흙을 모아줄 수 있도록 직선 또는 곡선 형태의 날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성형부(3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내측 방향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일정한 경사각(a)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상기 성형부(30)는 도 4에서와 같이 중심축(O)을 중심으로 대칭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성형부(30)는 본체(10)와 일체형으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성형부(30)를 ㄱ자 형태로 형성한 후 이를 통상의 볼트를 이용해 결합하는 구조로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평탄부(40)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평탄부(40)는 본체(10) 및 본체(10)에 형성되어 있는 성형부(30)에 의해 모아진 울퉁불퉁한 흙을 일정하게 평탄작업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평탄부(40)는 성형부(30) 작업 이후에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체(10)의 후방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평탄부(40)는 연질의 합성수지 계열의 재질로 형성하되, 본체(10)에서 상, 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휴대용 이랑 성형장치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랑을 형성하고자 하는 밭에 본 발명의 휴대용 이랑 성형장치(50)를 위치시키는데,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성형부(30)를 통해 흙을 모아줄 수 있도록 본체(10)의 전방이 작업하는 진행방향과 일치시킨 상태로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후, 사용자가 손잡이부(20)를 잡고 이동하게 되면, 성형부(30)가 흙을 내측으로 모아주게 된다.

    특히, 상기 성형부(3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내측 방향으로 모아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부(30)를 통해 이동하는 작업만으로도 흙이 내측 방향으로 모아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돔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0)의 형상에 의해 두둑의 형상을 형성하면서 두둑이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본체(10) 및 성형부(30)에 의해 두둑 형상이 성형된 부분을 평탄부(40)가 마지막으로 평탄작업 하도록 작용하여 협소한 공간 내에서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랑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 상술한 본체(10)에는 굴곡부(11)가 다수 형성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이랑 형성 작업시에 본체(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제작, 사용, 유지보수 및 보관이 비교적 쉽기 때문에, 고지대와 같이 작업공간이 열악한 공간에서도 이동 및 사용이 매우 간편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 : 본체
    11 : 굴곡부
    20 : 손잡이
    21 : 손잡이 바 결합부 22 : 손잡이 바 P : 핀
    30 : 성형부
    40 : 평탄부
    50 : 휴대용 이랑 성형장치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