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 드레스실

申请号 KR1020110037139 申请日 2011-04-21 公开(公告)号 KR101191252B1 公开(公告)日 2012-10-16
申请人 박성희; 发明人 박성희;
摘要 PURPOSE: A temporary dress room is provided to smoothly open and close a curtain and to maintain beautiful appearance thereof. CONSTITUTION: A temporary dress room comprises a support rod(10), a ceiling support(20), a dress hanging pole(40), a curtain rail member(50), and a curtain hanger ring(60). The support rods are perpendicularly placed at an interval. The ceiling support adheres to ceiling and supports the ceiling. The dress hanging pole is installed on a support rod holder. The curtain rail member can open and close curtains through the curtain hanger ring. The curtain hanger ring forms a hanging piece with a hanging hole.
权利要求
  • 양측으로 적정간격을 두고 수직 상으로 위치하는 지주봉(10)과, 상기 양 지주봉(10)에 홀더(30)에 의하여 설치되는 드레스 걸이봉(40)과, 상기 지주봉(10)에 의하여 천장에 밀착되게 지지하도록 천장 받침구(20) 및 상기 양 천장 받침구(20)의 외측부에 수평으로 구비하면서 커튼 걸이링(60)을 통해 커튼(70)을 걸어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커튼 레일부재(50)로 구성하는 간이 드레스실로서,
    상기 천장 받침구(20)에는 한 측단부에 커튼 레일부재(50)의 마감캡(51)을 끼우도록 형성한 내입홈(21)에 걸림공(23)을 갖는 리브(22)를 형성함과, 상기 마감캡(51)에는 걸림공(23)에 걸려 결속되도록 하는 걸림편(52)을 형성하여 커튼 레일부재(50)를 천장 받침구(20)에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드레스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걸이링(60)은 커튼 레일부재(50)의 외부에 끼워져 회동되지 않도록 커튼 레일부재(50)의 외면형상의 굴곡에 맞게 삽입구멍(61)을 형성하고 전면 하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수직 상으로 걸이공(63)을 형성한 걸이편(6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드레스실.
  • 说明书全文

    간이 드레스실{temporary dress room}

    본 발명은 실내에 옷 등을 걸어 놓을 수 있는 행가에 커튼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 드레스실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천장에 기둥으로 밀착되게 설치되는 천장 받침구에 커튼 레일부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 커튼의 걸기가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 드레스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간이 드레스실로는 일례로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로 실용신안등록출원 2009-0011470호 "간이 드레스실'이 소개된바, 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측으로 적정간격을 두고 지주봉(1)에 의하여 천장에 밀착되게 지지하도록 천장 받침바(2)를 구비하고 양 지주봉(1)에 홀더(5)에 의해 드레스 걸이봉(6)을 구비함과,

    상기 양 천장 받침바(2)의 외측단에 걸치도록 커튼 걸이봉(3)이 설치하여 커튼 걸이봉(3)에 커튼을 걸어 개폐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바,

    첫째; 천장 받침바의 외측단에 걸치도록 설치된 커튼 걸이봉이 회동되어져 조립과정이나 사용 중에 빠지게 되는 사례가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

    둘째; 커튼 걸이봉에 커튼을 걸기 위해 끼워진 걸이링이 회동으로 커튼고리를 끼우는 구멍이 위 또는 아래로 위치변경되어 커튼을 걸 때 커튼 고리의 구멍위치를 일일이 맞추면서 걸어야 하는 상당한 번거로움이 있다.

    셋째; 커튼에 구비된 걸이끈을 커튼 걸이봉에 연결할 때 벨크론 테이프에 의하여 탈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커튼이 당겨지거나 할 때 분리되는 경우가 많아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제품의 반품사례가 빈번하고 제품의 이미지를 실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으로 천장 받침바에 기존의 커튼레일을 설치할 수 있으나 커튼레일에 커튼 로울러가 좌우 이동되도록 형성된 안내홈이 커튼 무게 또는 커튼이 당겨질 경우 중간 부분으로 올수록 안내홈의 벌어지는 폭이 커져 커튼 로울러가 빠지게 되는 사례가 빈번하여 반품 및 제품의 신뢰성을 실추시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대부분 원형 링을 커튼 봉에 끼워 커튼을 개폐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양측으로 지주봉에 의하여 천장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천장 받침구에 커튼 레일부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커튼을 원활히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커튼 레일부재에 커튼을 걸어주는 커튼 걸이링을 회동되지 않도록 끼워주어 커튼을 걸고리로 끼울 때 정 위치에서 간편히 끼울 수 있으면서 외관상 미려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해결 수단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측으로 적정간격을 두고 지주봉에 의하여 천장에 밀착되게 지지하도록 천장 받침구를 구비하고, 상기 양 천장 받침구의 외측부에 수평으로 구비하는 커튼 레일부재에 커튼을 커튼 걸이링에 의해 걸어 커튼을 개폐하도록 하는 간이 드레스실로서,

    상기 천장 받침구의 한 측단부에 커튼 레일부재의 마감캡을 끼우도록 형성한 내입홈에 걸림공을 갖는 리브를 형성함과, 상기 마감캡에는 걸림공에 걸려 결속되도록 하는 걸림편을 형성하여 커튼 레일부재를 천장 받침구에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커튼 걸이링은 커튼 레일부재의 외부에 끼워져 회동되지 않도록 레일부재의 외면형상의 굴곡에 맞게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삽입구멍을 형성하면서 전면 하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걸이공을 갖는 걸이편을 형성하여 커튼을 걸고리로 끼울 때 정 위치에서 간편히 끼울 수 있도록 한 것을 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이 천장 받침구에 커튼 레일부재를 탈착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어 조립식에 부합되면서 유동성이 없이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기 커튼 걸이링을 회동되지 않고 걸이공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커튼을 걸고리로 끼울 때 누구나 간편히 끼울 수 있으면서 설치된 커튼의 외관상 미려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이는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구성을 보인 일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행가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일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커튼 레일부재의 결속을 보인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커튼 레일부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커튼 레일부재에 커튼을 걸은 상태도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에 의해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서,

    부호 H는 행거(H)로, 양측으로 적정간격을 두고 위치하면서 다수개의 봉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되 상단에 위치하는 봉이 내부에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받치도록 하면서 천장 높이에 맞게 설정하도록 하는 지주봉(10)과,

    상기 양 지주봉(10)에 홀더(30)에 의하여 1단 혹은 2단 이상으로 설치되는 드레스 걸이봉(40)과,

    상기 지주봉(10)에 의하여 천장에 밀착되게 지지하도록 천장 받침구(20)및 상기 양 천장 받침구(20)의 외측부에 수평으로 구비하면서 커튼 걸이링(60)을 통해 커튼을 걸어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커튼 레일부재(50)로 구성한 것이다.

    도 3, 4에서와 같이, 상기 커튼 레일부재(50)는 상단의 양측으로 돌출부를 갖으면서 하방이 곡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으로 마감캡(51)이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천장 받침구(20)에는 한 측단부에 커튼 레일부재(50)의 마감캡(51)을 끼우도록 형성한 내입홈(21)에 걸림공(23)을 갖는 리브(22)를 형성하며, 상기 마감캡(51)에는 걸림공(23)에 걸려 결속되도록 하는 걸림편(52)을 형성하여 커튼 레일부재(50)를 천장 받침구(20)에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천장 받침구(20)에 한 측단부에 형성된 내입홈(21)에 커튼 레일부재(50)의 양측단에 위치한 마감캡(51)을 끼우면서 눌러주면 마감캡(51)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편(52)이 내입홈(21)에 형성된 걸림공(23)에 걸려짐에 따라 마감캡(51)이 빠지지 않고 결속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커튼 레일부재(50)가 고정상태를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중에 커튼 레일부재(50)가 유동되거나 빠지는 우려가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사 또는 다른 곳에 설치하기 위하여 분리할 경우에는 내입홈(21)에 마감캡(51)을 끼우는 방향의 반대위치에서 긴 막대 등으로 걸림편(52)을 눌러주면 걸림공(23)으로부터 걸림편(52)이 이탈되어 커튼 레일부재(50)를 천장 받침구(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6에서와 같이, 상기 걸이링(60)은 커튼 레일부재(50)의 외부에 끼워져 회동되지 않도록 커튼 레일부재(50)의 외면형상의 굴곡에 맞게 상단부는 돌출부에 의해 넓고 하부는 좁은 삽입구멍(61)을 형성하고 전면 하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수직상으로 걸이공(63)을 형성한 걸이편(62)을 형성하여 커튼(70)을 걸고리(71)로 끼울 때 간편히 끼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커튼 걸이링(60)은 커튼 레일부재(50)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되지 않고 좌우로만 이동되기 때문에 커튼(70)이 걸어지는 걸이편(62)이 항시 전면의 정 위치에서 위로 올라가거나 내려가지 않아 커튼(70)을 걸고리(71)에 의하여 걸이편(62)에 형성된 걸이공(63)에 쉽게 끼워 걸 수 있고 커튼(70)에 걸어진 부분이 위 아래로 틀어지지 않고 가지런히 정렬이 이루어져 커튼이 외관상 미려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 지주봉 20: 천장 받침구
    21: 내입홈 22: 걸림공
    50: 커튼 레일부재 51: 마감캡
    52: 걸림편
    60: 커튼 걸이링 61: 삽입구멍
    62: 걸이편 63: 걸이공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