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즈 진열대 및 그 진열장

申请号 KR2020120003667 申请日 2012-05-03 公开(公告)号 KR200463014Y1 公开(公告)日 2012-10-16
申请人 송광섭; 송민섭; 发明人 송광섭; 송민섭;
摘要 본 고안은 렌즈진열대 및 그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투명한 렌즈진열판 하부측에서 조명수단이 작동을 하고, 상기 렌즈진열판과 조명수단 사이에 표면이 홍채색과 유사한 색상인 착용테스터가 좌우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어 렌즈구매자가 렌즈를 착용하였을 때의 느낌을 최대한 표현하고 있는 렌즈진열대 및 그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면(前面)에 가로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의 내측 저면(底面)에 설치된 조명수단(120); 이격배치된 양측판 및 양단이 상기 양측판의 대향면 중단에 각각 결합된 투명평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에 끼워져 상기 투명평판이 상기 조명수단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끼움틀(140); 상기 끼움틀의 양측단 상단에 거치되며, 가장자리에 돌출단이 형성된 유리받침부(160); 상기 유리받침부에 끼움설치되는 투명판재로서, 상면에 렌즈가 삽입될 수 있는 다수개의 원형홈이 형성된 렌즈진열판(170); 및 상면이 홍채(虹彩) 색채로 채색되어, 상기 가로틈에 삽입되는 테스트판 및 상기 테스트판의 후단에 하방으로 직각형성되어 상기 끼움틀의 투명평판에 걸쳐지는 걸림판으로 구성되는 착용테스터(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렌즈진열판의 원형홈에 담긴 렌즈가 상기 착용테스터와 겹쳐지도록 배치될 때 렌즈의 실제 착용상태를 가상(假想)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진열대를 제공한다.
权利要求
  • 전면(前面)에 가로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의 내측 저면(底面)에 설치된 조명수단(120);
    이격배치된 양측판 및 양단이 상기 양측판의 대향면 중단에 각각 결합된 투명평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에 끼워져 상기 투명평판이 상기 조명수단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끼움틀(140);
    상기 끼움틀의 양측단 상단에 거치되며, 가장자리에 돌출단이 형성된 유리받침부(160);
    상기 유리받침부 내부에 끼움설치되는 투명판재로서, 상면에 렌즈가 삽입될 수 있는 다수개의 원형홈이 형성된 렌즈진열판(170); 및
    상면이 홍채(虹彩) 색채로 채색되어, 상기 가로틈에 삽입되는 테스트판(151) 및 상기 테스트판의 후단에 하방으로 직각형성되어 상기 끼움틀의 투명평판에 걸쳐지는 걸림판(152)으로 구성되는 착용테스터(15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렌즈진열판의 원형홈에 담긴 렌즈가 상기 착용테스터와 겹쳐지도록 배치될 때 렌즈의 실제 착용상태를 가상(假想)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진열대.
  • 삭제
  • 제1항에서,
    렌즈와 식염수를 담을 수 있는 투명용기, 상기 투명용기에 결합되는 투명뚜껑 및 상기 투명뚜껑의 상면에 확대경이 부착된 렌즈케이스(18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렌즈케이스가 상기 원형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진열대.
  • 제1항에서,
    상기 렌즈진열판의 원형홈과 매칭되도록 다수개의 확대경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덮개판(19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투명덮개판은 상기 렌즈진열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원형홈에 삽입된 렌즈를 상기 투명덮개판의 확대경을 통하여 확대관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진열대.
  • 상면이 투명판재인 육면체의 진열장으로서,
    상기 진열장의 상단에 제1항의 렌즈진열대가 서랍형식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진열장.

  • 说明书全文

    렌즈 진열대 및 그 진열장{Lens Display Stand and Showcase}

    본 고안은 렌즈진열대 및 그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투명한 렌즈진열판 하부측에서 조명수단이 작동을 하고, 상기 렌즈진열판 하부에 표면이 동공의 홍채(虹彩) 색채와 유사한 색상이 채색된 착용테스터가 좌우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어 렌즈구매자가 렌즈를 착용하였을 때의 느낌을 최대한 표현하고 있는 렌즈진열대 및 그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안경판매점에서 판매되는 안경이나 렌즈는 소비자에게 보기 좋은 형태로 진열되는 것이 중요하다. 안경 제품은 안경진열대에서 마음에 드는 제품을 소비자가 직접 착용해 볼 수 있으므로, 안경진열대상에서의 진열상태보다 소비자의 착용상태가 구매에 영향력을 미친다. 반면, 렌즈는 보건위생상 법률적으로 샘플 착용이 금지되어 있어, 판매자가 소비자의 시력을 검사한 후에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시력에 적합한 제품을 착용과정 없이 판매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렌즈 중에는 단순히 시력 보정을 위한 렌즈뿐만 아니라 미용렌즈와 같이 다양한 모양과 색채가 소비자의 주요구매 포인트가 되는 렌즈도 다량 존재하는데, 이 경우 착용시의 느낌이 무엇보다도 중요함에도 착용상태를 확인하지 못하고 렌즈를 구매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현재의 미용렌즈 판매방식은 구매자가 직접 착용이 금지된 관계로, 렌즈 착용시의 문양이나 색채를 촬영한 포트폴리오를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마음에 드는 렌즈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주로 활용한다. 그러나 이런 경우 사진이 제공하는 색감이 실제와 다를 수도 있으며, 본인의 홍채 색채와의 조화를 확인할 수가 없어서 구매자에게 가장 적합한 렌즈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참고도 1]

    상기 [참고도 1]은 현재 렌즈 진열을 위하여 사용되는 진열대로서, 다단으로 된 층에 다수개의 원형홈이 형성되어 있어 그 원형홈마다 삽입된 렌즈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진열대의 경우에는 진열의 의미보다 보관적 성격이 훨씬 강하고 렌즈 개개의 특성을 제대로 확인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색감과 무늬에 따른 미감이 각기 다른 렌즈별 특성을 좀 더 쉽게 확인하여 구매자의 취향에 적합한 렌즈를 선택할 수 있는 렌즈 진열대의 개발이 필요하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렌즈를 삽입할 수 있는 원형홈이 다수 형성된 투명판 하부측에 LED 조명과 같은 발광장치를 설치하여 렌즈의 무늬와 색감을 극대화시킨다.

    또한 렌즈를 착용하였을 때에 홍채와의 조화를 가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해당 렌즈가 위치한 원형홈 아래측에 홍채색으로 채색된 판을 설치하되,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설계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원형홈에 렌즈를 직접 넣지 않고 확대경이 상부측에 부착된 렌즈케이스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확대경을 통하여 렌즈의 문양과 색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전면(前面)에 가로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의 내측 저면(底面)에 설치된 조명수단(120); 이격배치된 양측판 및 양단이 상기 양측판의 대향면 중단에 각각 결합된 투명평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에 끼워져 상기 투명평판이 상기 조명수단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끼움틀(140); 상기 끼움틀의 양측단 상단에 거치되며, 가장자리에 돌출단이 형성된 유리받침부(160); 상기 유리받침부 내부에 끼움설치되는 투명판재로서, 상면에 렌즈가 삽입될 수 있는 다수개의 원형홈이 형성된 렌즈진열판(170); 및 상면이 홍채(虹彩) 색채로 채색되어, 상기 가로틈에 삽입되는 테스트판(151) 및 상기 테스트판의 후단에 하방으로 직각형성되어 상기 끼움틀의 투명평판에 걸쳐지는 걸림판(152)으로 구성되는 착용테스터(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렌즈진열판의 원형홈에 담긴 렌즈가 상기 착용테스터와 겹쳐지도록 배치될 때 렌즈의 실제 착용상태를 가상(假想)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진열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고안은 칼라렌즈나 미용렌즈와 같이 렌즈에 새겨진 문양이나 색감이 중요하지만, 직접 착용하기 어려운 렌즈제품의 특성상 표면이 홍채색인 착용테스터를 이용하여 실제 착용시의 느낌을 확인할 수 있어 구매자의 적절한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

    2. 특히, 본 고안은 렌즈진열판의 하부측에 조명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특히 빛의 직진성이 강한 LED소자를 이용하고 있어 렌즈의 색감과 문양을 명확하고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다.

    3. 한편 본 고안은 렌즈진열판의 원형홈에 직접 렌즈를 담지 않고 렌즈케이스를 이용하여 렌즈 교체시나 청소가 번거로웠던 점을 해결하였다. 또한 유리받침부에 렌즈진열판을 엎어서 손쉽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렌즈케이스가 없는 경우에도 세척이 쉽다.

    4. 또한 본 고안은 칼라렌즈나 미용렌즈와 같이 렌즈에 새겨진 문양이나 색감이 중요한 구매포인트가 되므로 렌즈케이스에 확대경을 부착하여 좀 더 세밀한 문양관찰이 가능하여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렌즈진열대 및 렌즈진열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진열대 및 렌즈진열장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렌즈진열대 및 렌즈진열장의 세부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진열판이 유리받침부에 삽입되는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케이스의 도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렌즈진열대에 렌즈케이스가 삽입된 형태의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투명덮개판의 실시예이다.

    본 고안은 전면(前面)에 가로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의 내측 저면(底面)에 설치된 조명수단(120); 이격배치된 양측판 및 양단이 상기 양측판의 대향면 중단에 각각 결합된 투명평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에 끼워져 상기 투명평판이 상기 조명수단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끼움틀(140); 상기 끼움틀의 양측단 상단에 거치되며, 가장자리에 돌출단이 형성된 유리받침부(160); 상기 유리받침부 내부에 끼움설치되는 투명판재로서, 상면에 렌즈가 삽입될 수 있는 다수개의 원형홈이 형성된 렌즈진열판(170); 및 상면이 홍채(虹彩) 색채로 채색되어, 상기 가로틈에 삽입되는 테스트판(151) 및 상기 테스트판의 후단에 하방으로 직각형성되어 상기 끼움틀의 투명평판에 걸쳐지는 걸림판(152)으로 구성되는 착용테스터(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렌즈진열판의 원형홈에 담긴 렌즈가 상기 착용테스터와 겹쳐지도록 배치될 때 렌즈의 실제 착용상태를 가상(假想)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진열대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렌즈와 식염수를 담을 수 있는 투명용기, 상기 투명용기에 결합되는 투명뚜껑 및 상기 투명뚜껑의 상면에 확대경이 부착된 렌즈케이스(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렌즈케이스가 상기 원형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진열대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렌즈진열판의 원형홈과 매칭되도록 다수개의 확대경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덮개판(1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투명덮개판은 상기 렌즈진열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형홈에 삽입된 렌즈를 상기 투명덮개판의 확대경을 통하여 확대관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진열대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면이 투명판재인 육면체의 진열장으로서, 상기 진열장의 상단에 제1항의 렌즈진열대가 서랍형식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진열장(200)을 함께 제공한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진열대 및 렌즈진열장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진열대 및 렌즈진열장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렌즈진열대 및 렌즈진열장의 세부분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를 포함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을 구성요소별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I. 렌즈진열대(100)

    1. 몸체부(110)

    상기 렌즈진열대(100)는 내부가 빈 정사각 또는 직사각의 육면체로서, 전면에 가로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즉 상자형인 것을 기본형상으로 한다. 이 외에도 [도 3]에서와 같이 후면에 없이 구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 몸체부(11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성요소들이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재 설치되는 것을 기본 형상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으나 진열대로서의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는 목재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된 가로틈은 후술하는 착용테스터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끼우기 위한 삽입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착용테스터의 두께가 통과할 수 있는 두께로 틈이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착용테스터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착용테스터의 좌우 이동거리에 준하여 상기 가로틈의 가로길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조명수단(120)

    상기 조명수단은 상기 렌즈진열판에 진열되는 렌즈의 색채나 문양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명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조명수단(120)은 상기 몸체부의 내측 저면(底面)에 설치되는데, 상기 몸체부의 내측 저면 전체에 발광소자를 설치하거나 상기 저면의 가장자리측을 둘러 발광소자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수단(120)의 전력은 충전장치를 이용하거나 전력공급선을 별도로 설치하여 공급될 수 있으며, 전원 ON/OFF 장치를 추가로 장착하여 간편하게 발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명수단(120)은 LED소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반 형광소자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LED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40% 이상의 소비전력이 절감되고, 소자 자체의 수명이 7000시간 이상이므로 내구성이 좋으면서도 발광력이 강하여 효율적이다. LED소자는 빛의 직진성이 좋아 미세한 문양의 인식력이 높은 강점이 있으므로 렌즈의 색감이나 무늬를 확인하는 데 있어 적합한 발광소자에 해당한다.

    3. 조명덮개판(130)

    상기 조명덮개판(130)은 상기 몸체부(110) 저면너비의 투명 또는 반투명 판재로 제작되어 상기 조명수단(120)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빛반사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수단(120)의 조명이 상기 몸체부 저면 전체에 고루 퍼져 은은한 느낌이 들도록 빛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조명덮개판(130)이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조명덮개판(130) 상부에 상기 끼움틀이 설치되므로 상기 끼움틀(140)의 바닥지지대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4. 끼움틀(140)

    상기 끼움틀(140)은 상기 조명수단(120) 또는 상기 조명덮개판(13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는 투명판재로서, 상기 투명평판의 양측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것이다. 상기 끼움틀이 설치될 때 양 측판으로 인해 상하로 빈공간이 형성되게 되는데, 상부측의 빈 공간에서 상기 착용테스터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끼움틀(140)에는 상기 착용테스터(150)가 하나 이상 끼움설치 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끼움틀(140)의 상부 중간에 상기 측판과 평행한 돌출선을 형성하여 상기 착용테스터(150) 각각의 이동너비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몸체부(110)의 가로틈도 상기 착용테스터(150)의 이동너비에 맞게 2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착용테스터(150)

    상기 착용테스터(150)는 본 고안의 핵심적인 구성요소로서, 표면이 홍채(虹彩) 색채로 채색된 판재이고 상기 몸체부(110)의 가로틈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끼움틀(140)의 후단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착용테스터(150)의 각 단부는 일정 굴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가로틈으로 삽입되지 않은 부분으로서 상기 착용테스터(150)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타단은 상기 끼움틀(140)의 후단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굴곡면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 착용테스터(150)는 상기 렌즈진열판 하면에 위치하여 좌우이동하여 상기 렌즈진열판의 원형홈의 일부배열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렌즈의 색채가 상기 착용테스터(150)에 의해 투영되는 홍채색에 의해 어떠한 색채를 띄는지, 홍채색과 어떤 조화를 이루는지 등 실제 렌즈 착용상태를 가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준다.

    6. 유리받침부(160)

    상기 유리받침부(160)는 상기 끼움틀(14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진열판(17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돌출단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리받침부(160)는 2가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그 첫번째는 렌즈진열판의 원형홈에 담긴 식염수나 렌즈를 쉽게 세척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리받침부에 상기 렌즈진열판을 엎어서 식염수를 제거할 수도 있으며, 상기 유리받침부에 물을 채워 상기 렌즈진열판을 세척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끼움틀(140)의 측판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리받침부(160)가 설치될 때 상기 유리받침부(160)의 지지대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유리받침부(160)에 삽입되는 렌즈진열판(170)의 하면에서 상기 착용테스터(150)가 자유롭게 좌우이동될 수 있도록 조력한다.

    7. 렌즈진열판(170)

    상기 렌즈진열판은 본 고안에서 핵심적인 부분으로서, 상기 조명수단의 상부에 설치되는 투명판재로 구성되고, 상부에 다수개의 원형홈이 형성되어 있어 각 원형홈에 렌즈를 넣어 진열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렌즈진열판은 다수개의 원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원형홈에는 렌즈와 식염수가 담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진열판이 유리받침부에 삽입되는 실시예인데, 이를 참고하면, 상기 유리받침부(160)에 상기 렌즈진열판(170)이 끼움설치되듯이 삽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렌즈진열판(170)은 복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8. 렌즈케이스(180)

    상기 렌즈케이스(180)는 렌즈와 식염수를 담을 수 있는 투명용기(181)와 상기 투명용기(181)에 결합되는 투명뚜껑(182)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투명뚜껑(182)의 상면에 확대경(183)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투명용기(181)에 담긴 렌즈가 상부에서 관찰시 확대되어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케이스의 도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렌즈진열대에 렌즈케이스가 삽입된 형태의 실시예이다. 이를 참고하면, 상기 렌즈케이스(180)는 상기 렌즈진열판(170)의 원형홈(171)의 지름에 알맞게 제작되어 상기 렌즈진열판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원형홈(171)에 직접 렌즈를 담아 진열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각 원형홈에 담긴 렌즈와 식염수를 교체하거나 청소하는 데 번거로운 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케이스(180)를 이용하게 간편하게 렌즈와 식염수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칼라렌즈의 경우에는 렌즈에 표현된 문양이나 홍채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의 색감이 중요한 구매포인트가 되므로, 구매자 입장에서는 렌즈의 문양이나 색감을 자세히 보기를 희망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상기 렌즈케이스의 투명뚜껑의 상면에 확대경을 부착하여 구매자가 구입하고자 하는 렌즈를 세밀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9. 투명덮개판(190)

    상기 투명덮개판(190)은 단순히 평면의 투명덮개판일 수도 있으나,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투명덮개판의 실시예와 같이 이는 상기 렌즈진열판의 원형홈과 매칭되도록 다수개의 확대경(191)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수개의 확대경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렌즈진열판(170)의 원형홈에 삽입된 렌즈를 상기 투명덮개판의 확대경(191)을 통하여 확대관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케이스(180)에 렌즈를 담아 상기 렌즈진열판의 원형홈에 삽입하지 않더라도 상기 투명덮개판의 확대경을 통하여 렌즈의 색감이나 무늬를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투명덮개판의 확대경(191)은 상기 렌즈진열판(170)의 원형홈(171)과 1대1로 매칭되도록 부착되거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Ⅱ. 렌즈진열장

    본 고안의 렌즈진열대(100)는 다른 기구나 장치의 일부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렌즈진열이라는 목적과 유사한 안경진열대와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구매하고자 하는 렌즈 선택을 위하여 상기 렌즈케이스를 상기 렌즈진열판으로부터 빼내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는데, 이 경우에 손쉽게 빼내기 위해서 서랍형식의 밀고 당길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렌즈진열대(100)가 서랍형식으로 구비된 렌즈진열장(200)의 일부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덮개판(190)도 상기 진열대(100)의 상면을 형성하기도 하지만 상기 렌즈진열장(2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다소간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청구범위는 이 건 고안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0 : 렌즈진열대 110 : 몸체부
    120 : 조명수단 130 : 조명덮개판
    140 : 끼움틀 150 : 착용테스터
    151 : 테스트판 152 : 걸림판
    160 : 유리받침부 170 : 렌즈진열판
    171 : 원형홈 180 : 렌즈케이스
    181 : 투명용기 182 : 투명뚜껑
    183 : 확대경 190 : 투명덮개판
    191 : 확대경 200 : 렌즈진열장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