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발 수납체

申请号 KR20150000143 申请日 2015-01-08 公开(公告)号 KR200476713Y1 公开(公告)日 2015-03-26
申请人 发明人
摘要 가발수납체가개시된다. 가발수납체는, 가발이수납되는수납공간이내부에형성되며, 가발의수납상태를확인하는표시부가표면에형성된수납박스와, 수납박스의내부에서가발의수납된상태의가장자리를따라설치되는수납가이드부재를포함한다. 수납가이드부재는, 가요성재질로라운드형상을이루며수납박스의내부에설치되며, 길이방향의일측면에는길이측정이가능한표시눈금부가형성될수 있다.
权利要求
  • 가발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발의 수납 상태를 확인하는 표시부가 표면에 형성된 수납 박스; 및
    상기 수납 박스의 내부에서 상기 가발의 수납된 상태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수납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 가이드부재는, 가요성 재질로 라운드 형상을 이루며 상기 수납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길이 방향의 일측면에는 길이 측정이 가능한 표시 눈금부가 형성되는 가발 수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가이드부재는 길이 방향의 타측면에 사용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되는 가발 수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가이드부재는,
    상기 수납 박스의 내부에서 상기 가발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메인 가이드부재;
    상기 메인 가이드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 박스에는 상기 서브 가이드부재가 수납되는 수납 포켓이 형성되는 가발 수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가이드부재의 표면에는 음이온 코팅층이 부착되며,
    상기 수납 박스의 저면에는 상기 수납 가이드부재의 위치를 규제하는 복수개의 고정 돌기가 돌출되는 가발 수납체.
  • 说明书全文

    가발 수납체{WIG CASE}

    본 고안은 가발의 안정적인 수납이 가능하고, 가발 또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가발 수납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발은 단발, 장발 또는 파마 등의 다양한 헤어 스타일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발은 헤어 스타일 등의 형상 보존이 중요한 바, 수납 공간이 형성된 수납 박스의 내부에 수납된다. 즉, 외부 충격 또는 흔들림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가발이 엉키거나 헤어 스타일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납 박스의 내부에 보관된다.

    그러나, 수납 박스의 내부에 수납된 가발은 수납 박스가 흔들리는 경우, 가발이 수납 박스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가발모의 엉킴 또는 헤어스타일이 변경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수납 박스에 수납된 가발은 헤어 스타일에 따라 전체적인 크기가 달라 보여, 사용자의 착용 사이즈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6-0057705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가발이 위치 변경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납되며, 가발 또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가발 수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가발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가발의 수납 상태를 확인하는 표시부가 표면에 형성된 수납 박스와, 수납 박스의 내부에서 가발의 수납된 상태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수납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수납 가이드부재는, 가요성 재질로 라운드 형상을 이루며 수납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길이 방향의 일측면에는 길이 측정이 가능한 표시 눈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수납 가이드부재는 길이 방향의 타측면에 사용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수납 가이드부재는, 수납 박스의 내부에서 상기 가발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메인 가이드부재와, 메인 가이드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 박스에는 서브 가이드부재가 수납되는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수납 가이드부재의 표면에는 음이온 코팅층이 부착될 수 있다.

    수납 박스의 저면에는 수납 가이드부재의 위치를 규제하는 복수개의 고정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발을 수납 박스의 내부에서 위치 규제하는 수납 가이드부재의 표면에 눈금부를 형성하여, 가발이 수납 박스의 내부에서 정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수납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가발의 크기 및 사용자의 머리 크기의 측정이 함께 가능하다. 이에 따라 가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발이 수납 가이드부재에 의해 수납 박스 내부의 수납 공간에서 위치 변경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가발 수납체의 흔들림 등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수납 가이드부재에 의해 가발이 수납 공간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정위치 상태에서 수납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발이 위치 변경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되어, 가발모의 엉킴 등이 발생되지 않아 가발의 품질 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발 수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발 수납체의 수납부와 덮개부를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수납 가이드부재에 가발이 위치 규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가발을 수납 박스의 내부에서 위치 규제하는 수납 가이드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수납 가이드부재를 펼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납 가이드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발 수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발 수납체의 수납 가이드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발 수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발 수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발 수납체의 수납부와 덮개부를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발 수납체(100)는, 가발(11)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12a)이 내부에 형성되며 가발(11)의 수납 상태를 확인하는 표시부(16)가 표면에 형성된 수납 박스(10)와, 수납 박스(10)의 내부에서 가발(11)의 수납된 상태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수납 가이드부재(20)를 포함한다.

    수납 박스(10)는 내부에 가발(11)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12a)이 형성되는 것으로, 수납부(12)와 ??개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 박스(10)는 무게 및 내구성을 위해 합성 수지 또는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 박스(10)는 평면 상태로 펼쳐지는 것도 가능하고, 수납 공간(12a)을 형성하도록 가장자리가 서로 끼움 결합으로 고정되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납 박스(10)는 가발(11)의 형상에 따라 다각형 또는 원형의 박스 형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납 박스(10)는 가장자리 부분이 끼움 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장자리 부분이 벨크로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납 박스(10)의 ??개부(14)의 표면에는 가발(11)의 수납 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수납 공간(12a)의 내부를 확인 가능한 표시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6)는 사용자가 수납 박스(10)의 내부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개부(14)의 표면의 일부분이 개방된 개구부(14a)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4a)는 ??개부(14)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다각형 또는 일부분이 라운드 형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개부(14)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14a)는 커버부재(16a)로 보호될 수 있다.

    커버부재(16a)는 개구부(14a)를 덮도록 ??개부(14)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이물질이 개구부(14a)를 통해 수납 박스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납 공간(12a)을 주시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커버부재(16a)는 개구부(14a)를 통해 이물질이 통과 되지 않으면서 수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방지하는 비닐 또는 투명 아크릴 등의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부재(16a)는 개구부(14a)에 고정된 상태로 부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슬라이딩 타입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도 가능하다.

    한편, 수납 박스(10)의 내부에는 가발(11)의 수납된 위치를 고정하는 수납 가이드부재(20)가 설치된다.

    도 3은 수납 가이드부재에 가발이 위치 규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가발을 수납 박스의 내부에서 위치 규제하는 수납 가이드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수납 가이드부재를 펼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가이드부재(20)는 수납 공간(12a)의 내부에서 수납 공간(12a)의 저면 부분에 라운드 형상을 이루면서 설치될 수 있다. 즉, 수납 가이드부재(20)는 수납 박스(10)의 내부에서 수납 공간(12a)의 저면에서 설정된 위치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가발(11)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납 가이드부재(20)는 수납부(12)의 내부에서 설정된 공간을 구획하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수납 가이드부재(20)는 가발(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띠 형상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양단은 고정부재(21)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재(21)는 벨크로부재 또는 반복적으로 접착 및 탈착이 가능한 점착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납 가이드부재(20)는 벨크로부재 또는 점착제 등의 고정부재(21)로 양단이 연결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납 가이드부재(20)의 양단이 서로 끼움 결합으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납 가이드부재(20)는 수납 박스(10)에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직사각형의 편평한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 가이드부재(20)는 수납 박스(1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라운드 형상으로 변형되어 가발(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납 가이드부재(20)는 형상의 변형이 용이한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납 가이드부재(20)는 수납 박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발(11)이 수납 박스(1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수납 가이드부재(20)의 측면에는 가발(11) 또는 사용자의 머리 둘레 크기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눈금부(22)가 표시될 수 있다.

    눈금부(22)는 수납 가이드부재(2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수납 가이드부재(2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눈금부(22)가 수납 가이드부재(2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 서로 다른 측정 단위를 갖는 눈금부(2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 가이드부재(20)를 이용하여 가발 또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를 측정하는 경우, 적절한 측정 단위를 선택하여 용이하게 가발 또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눈금부(22)가 수납 가이드부재(20)의 일측면에만 형성되는 경우에는, 타측 면에는 수납 가이드부재(20)의 사용 설명 표시부(24)가 기재 또는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 가이드부재(20)의 용도를 알고자 하는 경우 사용 설명 표시부(16)를 확인하여 수납 가이드부재(20)의 사용 용도를 파악하여, 가발(11) 또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발 수납체(100)는, 수납 가이드부재(20)에 의해 가발(11)이 수납 공간(12a)에서 위치 변경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가발 수납체(100)의 흔들림 등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수납 가이드부재(20)에 의해 가발(11)이 수납 공간(12a)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정위치 상태에서 수납되는 것이 가능한 바, 가발모의 엉킴 등이 발생되지 않아 가발의 품질 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납 가이드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발 수납체의 수납 가이드부재(120)는, 수납 박스(10)의 내부에서 가발(11)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메인 가이드부재(121)와, 메인 가이드부재(12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가이드부재(123)를 포함한다.

    메인 가이드부재(121)는 수납 박스(10)의 내부에 설정된 공간에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메인 가이드부재(121)는 가발(11)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가이드부재(121)에는 서브 가이드부재(123)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장될 수 있다.

    서브 가이드부재(123)는 가발(11)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메인 가이드부재(121)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서브 가이드부재(123)는 메인 가이드부재(121)에 위치 규제되지 않는 크기의 가발(11)이 수납 박스(10)에 수납되는 경우, 가발(11)의 크기에 대응하여 메인 가이드부재(121)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 가이드부재(123)는 메인 가이드부재(121)의 양단에 벨크로부재(125)에 의해 길이 조절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가발(11)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수납 박스(10)의 내부에서 서브 가이드부재(123)에 의해 안정적으로 수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발 수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발 수납체(300)는, 수납 박스(10)의 내벽면에 서브 가이드부재(123)가 수납되는 수납 포켓(210)가 형성된다.

    수납 포켓(210)은 수납 박스(10)의 내벽면에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수납 박스(10)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삽입 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가이드부재(123)는 메인 가이드부재(121)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납 포켓(210)에 수납되는 것이 가능하여, 가발(11)과 서브 가이드부재(123)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납 박스(1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발 수납체의 수납 가이드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발 수납체의 수납 가이드부재(320)의 표면에 음이온 코팅층(3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납 가이드부재(20)에 의해 위치 규제되는 가발(11)은, 음이온 코팅층(321)의 탈취 및 항균 작용에 의해 세균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 상태에서 위생적으로 수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발 수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발 수납체(500)는, 수납 박스(10)의 저면에 수납 가이드부재(20)의 위치를 규제하는 복수개의 고정 돌기(410)가 돌출된다.

    고정 돌기(410)는 수납 박스(10)의 저면에 라운드 형상으로 복수개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가이드부재(20)는 수납 박스(10)의 내부에서 고정 돌기(410)에 의해 위치 규제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가발(11)을 정위치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0...수납 박스 11...가발
    12...수납부 12a..수납 공간
    14...덮개부 14a..개구부
    16...표시부 16a..커버부재
    21...고정부재 22...눈금부
    24...사용 설명 표시부 121..메인 가이드부재
    123...서브 가이드부재 210..수납 포켓
    410..고정 돌기 20, 120, 320...수납 가이드부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