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기의 보습

申请号 KR2020090000831 申请日 2009-01-23 公开(公告)号 KR2020100007755U 公开(公告)日 2010-08-02
申请人 유한회사 영신; 发明人 성준태;
摘要 본 고안은 트랙터의 후방에 이끌려 농경작지를 일굴 때 이용되는 쟁기용 보습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격작지를 일굴 때 보조안내볏에 의하여 고른 이랑작업이 이루어지는 쟁기용 보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쟁기틀(1)의 수직 지지대(2) 하부 끝단에 부착되어 이 수직 지지대(2)를 기준으로 V자 모양으로 배치되는 경사진 좌우측 주볏(3a,3b)을 갖추어 이루어진 쟁기용 보습구조에 있어서, 상기 좌측 주볏(3a)의 중간에는 보조 안내볏(4)이 보울트(5)를 매개로 체결되되, 이 보조 안내볏(4)은 좌측 주볏(3a)에 맞닿아 고정되는 접촉면부(41)와, 이 접촉면부(41)에 사선(42)을 기준으로 둔각(θ)으로 연결되는 벤딩 평탄부(43)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权利要求
  • 쟁기틀(1)의 수직 지지대(2) 하부 끝단에 부착되어 이 수직 지지대(2)를 기준으로 V자 모양으로 배치되는 경사진 좌우측 주볏(3a,3b)을 갖추어 이루어진 쟁기용 보습구조에 있어서,
    상기 좌측 주볏(3a)의 중간에는 보조 안내볏(4)이 보울트(5)를 매개로 체결되되, 이 보조 안내볏(4)은 좌측 주볏(3a)에 맞닿아 고정되는 접촉면부(41)와, 이 접촉면부(41)에 사선(42)을 기준으로 둔각(θ)으로 연결되는 벤딩 평탄부(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기용 보습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안내볏(4)의 접촉면부(41)와 벤딩 평탄부(43) 연결 둔각(θ) 각도는 90° ~ 18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기용 보습구조.
  • 说明书全文

    쟁기의 보습구조{Plow structure}

    본 고안은 트랙터의 후방에 이끌려 농격작지를 일굴 때 이용되는 쟁기용 보습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경작지를 일굴 때 보조안내볏에 의하여 고른 이랑작업이 이루어지는 쟁기용 보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이랑용 쟁기에는 삽모양 또는 V자형의 단면을 가진 보습들이 쟁기틀에 다열로 배치되어 있으며, 농경작지를 경운할 때 트랙터의 후방에 이끌려서 경작지의 흙을 고루어 일정한 이랑과 골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쟁기용 보습은 쟁기틀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의 하단부분에서 단면이 V자 형태의 볏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면서 단일구조 또는 부분편들이 보울트 또는 기타 체결 수단을 통해 지지대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종래에도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75,419호와 등록실용 제377,358호가 제안되었는바, 여기서 전자인 등록특허 제375,419호는 단면이 V자형 보습 본체의 하단부에 산모양의 보조 보습을 갖추되, 이 보조 보습은 심경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후자인 등록실용 제377,358호는 평면의 주볏에 경운 작업선을 일구는 라인을 따라 보조볏이 연결대를 매개로 연결 된 보습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보습구조들은 일구는 농경작지의 흙을 파올려 갈아 엎을 때 복토되는 흙이 효과적으로 고루게 넘겨지지 않는 단점들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V자형 보습의 주볏에서 파올려진 흙이 보조 안내볏에 의하여 고루 평탄되어 일구는 농격작지의 평탄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개선된 쟁기용 보습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쟁기틀의 수직 지지대 하부 끝단에 부착되어 수직 지지대를 기준으로 V자 모양으로 배치되는 경사진 좌우측 주볏을 갖추어 이루어진 쟁기용 보습구조에 있어서, 상기 좌측 주볏의 중간에는 보조 안내볏이 보울트를 매개로 체결되되, 이 보조 안내볏은 좌측 주볏에 맞닿아 고정되는 접촉면부와, 이 접촉면부에 사선을 기준으로 둔각으로 연결되는 벤딩 평탄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쟁기용 보습구조는 농경작지를 일굴 때 골에서 파올려진 흙을 두둑으로 보내어 고루게 평탄할 수 있기 때문에 고른 이랑작업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지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쟁기용 보습구조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보조 안내볏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통상적인 쟁기틀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의 후방에 이끌려서 농경작지를 일굴 때 사용되는 쟁기에 부착된 보습구조로서, 쟁기틀(1)의 수직 지지대(2) 하부 끝단에 부착되어 이 수직 지지대(2)를 기준으로 V자 모양으로 배치되는 경사진 좌우측 주볏(3a,3b)을 갖추어 이루어진 쟁기용 보습구조에 있어서, 상기 좌측 주볏(3a)의 중간에는 보조 안내볏(4)이 보울트(5)를 매개로 체결되되, 이 보조 안내볏(4)은 좌측 주볏(3a)에 맞닿아 고정되는 접촉면부(41)와, 이 접촉면부(41)에 사선(42)을 기준으로 둔각(θ)으로 연결되는 벤딩 평탄부(4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안내볏(4)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주볏(3a)에 맞닿아 고정되는 접촉면부(41)를 따라 연결되는 벤딩 평탄부(43)가 사선(42)을 기준으로 둔각(θ)으로 꺾어져 있는데, 이 둔각(θ)은 90° ~ 180° 사이에서 설정되어 있다.

    이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쟁기용 보습구조는 V자 모양으로 설치되는 좌우측 주볏(3a,3b)으로 이루어진 보습 본체(10)에는 단지 좌측 주볏(3a)에만 보조 안내볏(4)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농경작지를 보습 본체(10)를 이용하여 일굴 때, 상기 보습 본체(10)에 의해 골에서 파올려진 흙이 좌측 주볏(3a)으로 넘어가서 두둑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좌측 주볏(3a)에 설치된 보조 안내볏(4)의 벤딩 평탄부(43)가 이를 고루게 일구도록 작용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쟁기용 보습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쟁기용 보습구조에 적용되는 보조 안내볏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이 쟁기틀에 장착되는 설치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쟁기틀, 2 : 수직 지지대,

    3a,3b : 주볏, 4 : 보조 안내볏,

    5 : 보울트.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