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기의 보습구조

申请号 KR2020040035616 申请日 2004-12-15 公开(公告)号 KR200377358Y1 公开(公告)日 2005-03-11
申请人 유한회사 영신; 发明人 성준태;
摘要 본 고안은 트랙터의 후방에 이끌려 농경작지를 일굴 때 이용되는 쟁기의 보습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작지를 이중으로 일구어 바닥을 고루게 평탄 시키면서 일구어지는 경작 흙이 후방쪽 제 2 보습편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갈아 뒤엎어지는 개량된 쟁기의 보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쟁기틀의 수직 지지대(1)에 하부쪽에 부착되어 이 쟁기틀에 이끌리면서 한쪽 볏이 땅을 갈아 퍼올리는 쟁기의 보습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볏(2a)의 지면 초기 접촉부(3a)와 일직선상으로 전방에 이격 배치되면서 이 수직 지지대(1)에 설치되는 경운마킹라인인 경운 작업선(4)을 먼저 일구는 보조볏(2a)이 일체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权利要求
  • 쟁기틀의 수직 지지대(1)에 하부쪽에 부착되어 이 쟁기틀에 이끌리면서 한쪽 볏이 땅을 갈아 퍼올리는 쟁기의 보습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볏(2a)의 지면 초기 접촉부(3a)와 일직선상으로 전방에 이격 배치되면서 이 수직 지지대(1)에 설치되는 경운 마킹라인을 이루는 경운 작업선(4)을 일구는 보조볏(2a)이 일체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기의 보습구조.
  • 说明书全文

    쟁기의 보습구조{Plow structure}

    본 고안은 트랙터의 후방에 이끌려 농경작지를 일굴 때 이용되는 쟁기의 보습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작지를 이중으로 일구어 바닥을 고루게 평탄 시키면서 일구어지는 경작 흙이 후방쪽 제 2 보습편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갈아 뒤엎어지는 개량된 쟁기의 보습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보습은 쟁기틀 등에 부착되어 삽모양 내지는 V자형의 단면을 가진 농기구로서, 땅을 갈아서 흙덩이를 일으키거나 경작지를 파고 갈거나 뒤엎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보습은 주로 쟁기틀에 설치되어 트랙터의 후방에서 이끌리면서 경작지를 경운할 때 이용되는데, 종래 보습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끝이 뾰족한 형태의 볏(2)을 가진 삽모양으로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보습은 경작지의 땅을 일굴 때, 쟁기틀에 지지되어 이끌리면서 단 한번으로 땅을 갈아서 퍼 올리기 때문에 복토되는 흙이 멀리 뿌려지거나 경작지의 평탄작업이 고루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쟁기틀에 부착되어 이끌리면서 땅을 일굴 때 앞쪽 볏이 경운지 마킹라인 역할을 하면서 한번 1차로 경운하고 이어 뒤쪽 볏이 1차 마킹라인 경운된 땅을 재차로 경운할 때 파올려 일구는 흙을 바로 옆으로 복토시킴에 따라 바닥 평탄이 고루게 일구어지면서 정확하게 복토시킬 수 있는 개선된 쟁기의 보습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쟁기틀의 수직 지지대 하부쪽에 부착되어 이 쟁기틀에 이끌리면서 한쪽 볏이 땅을 갈아 퍼올리는 쟁기의 보습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볏의 지면 초기 접촉부와 일직선으로 전방에 배치되면서 수직 지지대에 설치되는 경운 마킹라인을 일구는 보조 볏이 일체로 이격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쟁기의 보습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쟁기틀의 수직 지지대(1)에 하부쪽에 부착되어 이 쟁기틀에 이끌리면서 한쪽 볏이 땅을 갈아 퍼올리는 쟁기의 보습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볏(2a)의 지면 초기 접촉부(3a)와 일직선상으로 전방에 이격 배치되면서 이 수직 지지대(1)에 설치되는 경운 마킹라인을 이루는 경운 작업선(4)을 일구는 보조볏(2a)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습은 동일 수직 지지대(1)에 앞쪽으로 보조볏(2b)이 부착되고 그 후방 쪽으로 연결대(5)를 매개로 동일 직선상으로 주볏(2a)이 이격 설치되되, 이 보조볏(2b)과 주볏(2a)의 지면 초기 접촉부(3a,3b)들의 위치는 동일한 위치선상으로 배치된다.

    한편, 도 2와 같이 경작지에서 본 고안을 이용하여 땅을 일굴 때, 먼저 보조볏(2b)이 경운 작업선(4)에서 전방에 예각(θ)으로 배치되면서 1차적으로 땅을 그면서 파게되고, 이어 이 보조볏(2b)과 동일 경운 작업선(4)의 후방에 배치된 주볏(2a)이 동일한 예각(θ)으로 경운 마킹라인인 경운 작업선(4)을 따라 땋을 갈아서 퍼올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보조볏(2b)에 의해 주볏(2a)은 땅의 저항을 덜 받으면서 경작지를 고루고 평탄하게 일구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3(a)와 (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단지 보조볏(2b)의 구조가 앞선 실시예와 그 형상이 다르나 그 역할과 작용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다른 쟁기의 보습구조는 보조볏으로 일차 마킹라인 방식 1차 경운한 다음, 이 경운된 마킹라인을 따라 주볏이 땅을 일구어 퍼올리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 땅의 저항을 덜 받아서 평탄하고 고른 경작지를 일구며, 더욱이 주볏으로 퍼올린 흙을 바로 뒤엎어 재자리로 복토시킬 수 있는 잇점 등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쟁기의 보습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작업선상 라인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

    도 3(a),(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들,

    도 4는 일반적인 종래 보습 구조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직 지지대, 2a : 주볏,

    2b : 보조볏, 3a,3b : 지면 초기 접촉부,

    4 : 경운 작업선, 5 : 연결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