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용 휴립 복토기의 쟁기부

申请号 KR1020140134749 申请日 2014-10-07 公开(公告)号 KR1020160041213A 公开(公告)日 2016-04-18
申请人 이재용; 发明人 이재용;
摘要 본발명은트랙터에연결설치되는본체프레임의하단에설치되며밭에두둑이형성될수 있도록일정간격으로고랑을형성시키는농업용휴립복토기의쟁기부에있어서, 상기본체프레임의하단에구비되어있는브라켓에볼트결합되는서포트, 상기서포트의하단에설치되며 "∧"단면형태로앞쪽으로갈수록점차적으로폭이좁아지도록제작하여밭에도랑을형성하게되는기준판, 상기기준판의외면에각각부착되며상기기준판에의해도랑이형성되는과정에서파헤쳐진흙을도랑밖으로내보내도록하는제 1, 2경사유도판을포함하며, 상기제 1, 2경사유도판의상면에는상기서포트를기준으로해서상기서포트의외측방향으로점차적으로기울어지도록라운드부를밴딩성형하되, 상기제 2경사유도판의라운드부길이는상기제 1경사유도판의라운드부길이보다짧게형성한것을기술적요지로한다.
权利要求
  • 트랙터(100)에 연결 설치되는 본체프레임(10)의 하단에 설치되며 밭에 두둑(20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고랑(300)을 형성시키는 농업용 휴립 복토기의 쟁기부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는 브라켓(80)에 볼트(84) 결합되는 서포트(82);
    상기 서포트(82)의 하단에 설치되며 "∧"단면 형태로 앞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제작하여 밭에 도랑(200)을 형성하게 되는 기준판(86);
    상기 기준판(86)의 외면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기준판(86)에 의해 도랑(200)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파헤쳐진 흙을 도랑(200) 밖으로 내보내도록 하는 제 1, 2경사유도판(88, 90)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2경사유도판(88, 90)의 상면에는 상기 서포트(82)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서포트(82)의 외측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기울어지도록 라운드부(88a, 90a)를 밴딩 성형하되;
    상기 제 2경사유도판(90)의 라운드부(90a) 길이는 상기 제 1경사유도판(88)의 라운드부(88a)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휴립 복토기의 쟁기부.

  • 说明书全文

    농업용 휴립 복토기의 쟁기부{FARMING TOOLS}

    본 발명은 농업용 휴립 복토기의 쟁기부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밭에 도랑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두둑에 피복되어 있는 비닐이 쟁기부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한 농업용 휴립 복토기의 쟁기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랑식 밭에서 지표면을 높게 쌓아 만든 두둑에는 농작물이 파종되거나 심어져 생육되게 되고, 양측 두둑 사이의 고랑은 사람이 오가면서 작업할 수 있는 통행로가 되게 된다.

    이러한 이랑식 밭의 두둑에 대해서는 그 상부에 경작비닐을 덮어 씌우는 비닐피복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비닐피복하는 이유로는 두둑을 농작물의 생육에 적절한 조건으로 유지시키고, 또한 불필요한 잡초들의 자생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그 비닐피복 방법은 두둑과 고랑이 반복되도록 이랑을 성형한 후에 성형된 두둑의 상부에 광폭의 경작비닐을 피복하고, 피복에 따라 해당 두둑 양측의 고랑측에 위치되는 해당 비닐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을 흙으로 덮는 복토를 하여 해당 비닐이 지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한편, 이랑식 밭의 두둑을 성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를 복토기라 하며, 이러한 복토기는 통상 이동수단인 트랙터에 장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트랙터의 복토기에는 밭에 도랑을 형성하는 수단인 쟁기부가 마련되는 바, 이러한 쟁기부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182605 호(명칭: 복토기 쟁기)(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핀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후방에 체결부가 구비되고 견인기에 부착가능하도록 전방에 복수개의 고정브라켓이 구비된 결착부와, 상·하부 체결편, 고정볼트, 고정너트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다수개가 고정 설치되고 하단에 기준판을 갖는 보습이 구비된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대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단과 보습이 설치되는 견인단 사이에서 코일모양으로 수회 감겨진 탄성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과 결착부 상단 사이와 보습의 양쪽 경사판 후면에는 턴버클이 설치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의 경우 보습을 이용하여 고랑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과정에서 고랑 옆의 두둑에 피복 처리되어 있는 비닐이 상기 고랑을 지나가는 보습의 경사판에 걸려 찢겨지거나 혹은 보습의 이동방향으로 끌려가 두둑 위에서 벗겨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182605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밭에 두둑과 도랑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두둑에 피복되어 있는 비닐이 도랑을 형성하는 수단인 쟁기부에 부딪쳐 찢겨지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한 농업용 휴립 복토기의 쟁기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비닐롤의 양단에 끼워져 있는 비닐롤 지지부를 상기 비닐롤의 폭에 맞추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구성하여 비닐롤의 교체 작업을 간편히 수행할 수 있는 농업용 휴립 복토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랙터에 연결 설치되는 본체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며 밭에 두둑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고랑을 형성시키는 농업용 휴립 복토기의 쟁기부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는 브라켓에 볼트 결합되는 서포트, 상기 서포트의 하단에 설치되며 "∧"단면 형태로 앞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제작하여 밭에 도랑을 형성하게 되는 기준판, 상기 기준판의 외면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기준판에 의해 도랑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파헤쳐진 흙을 도랑 밖으로 내보내도록 하는 제 1, 2경사유도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2경사유도판의 상면에는 상기 서포트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서포트의 외측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기울어지도록 라운드부를 밴딩 성형하되, 상기 제 2경사유도� �의 라운드부 길이는 상기 제 1경사유도판의 라운드부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쟁기부의 일측에 구비된 제 2경사유도판의 라운드부 길이를 상기 제 1경사유도판의 라운드부 길이 보다 짧게 형성하여 쟁기부가 도랑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랑 옆에 형성된 두둑에 피복되어 있는 비닐이 상기 제 2경사유도판의 라운드부에 걸려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작업과정에서 두둑에 피복되어 있는 비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사 다짐용 롤러가 장착된 복토기로 성형된 두둑과 고랑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휴립 복토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상기 비닐 피복수단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상기 비닐롤 지지부의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비닐롤 지지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농업용 휴립 복토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쟁기부의 구조를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
    도 12는 도 10에서 도시하고 있는 쟁기부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복토기로 성형된 두둑과 고랑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의 복토기는 밭에 두둑(200)과 고랑(300)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두둑(200)의 상면에 비닐(400)까지 한번에 피복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비이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휴립 복토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업용 휴립 복토기는 트랙터(100)에 연결 설치되는 본체프레임(10)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양측에는 상기 트랙터(100)의 이동에 따라 고랑을 형성하는 쟁기부(12) 및 상기 쟁기부(12) 사이에 구비되며 두둑을 형성하는 두둑성형판(14)으로 구성한 복토수단이 설치되어 트랙터(100)의 동력으로 전진 이동하며 밭에 두둑(200)과, 상기 두둑(200) 양측으로 고랑(300)을 성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복토수단인 본체프레임(10) 후방에는 상기 복토기에 의해 밭에 형성되어 있는 두둑(200)에 비닐(400)을 피복하는 비닐 피복수단(20)이 더 설치된다.

    첨부된 도 3은 상기 비닐 피복수단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비닐 피복수단(20)은 전술한 복토수단에 의해 밭에 두둑과 고랑이 형성되고 나면, 상기 두둑의 상면에 비닐을 덮어주는 수단이다.

    상기 비닐 피복수단(20)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후방에 승강유닛(30)으로 연결 구성되는 지지프레임(22)과, 상기 지지프레임(22)에 설치되며 비닐이 감겨져 있는 비닐롤(500)을 지지하는 비닐롤지지부(24), 상기 비닐롤지지부(24)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2)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술한 복토수단을 통해 파헤쳐진 흙을 도랑(300)으로 다시 밀어넣어 두둑(200) 상면에 덮혀진 비닐(400)의 양단을 상기 도랑(300) 속에 묻어주도록 하는 흙덮개부(2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비닐 피복수단(20)은 승강유닛(30)을 통해 복토수단의 본체프레임(10) 후방에 설치되어 트랙터(100)가 이동하며 상기 복토수단이 밭에 두둑(200)과 도랑(300)을 형성하고 나면 상기 두둑(200) 위에 비닐(400)을 자동으로 덮어주게 되는 데, 이때 상기 비닐 피복수단(20)은 트랙터(100)를 통해 밭이나 다른 곳으로 이동중에는 상기 승강유닛(30)의 구동에 따라 위로 들려진 상태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이동시 지면과의 접촉을 차단시키도록 하여 비닐 피복수단(20)의 각 구성품들 혹은 비닐 등이 지면에 있는 각종 요철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유닛(30)은 상기 지지프레임(22)의 선단을 가로지른 상태에서 상기 각 지지프레임(20)의 선단과 볼트(34) 체결되어 지는 연결프레임(32), 상기 연결프레임(32)에 일단이 볼트(38)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프레임(10)에 힌지(40)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프레임(32)을 상기 본체프레임(10) 후방에 틸팅 가능하게 연결 구성하는 틸팅프레임(36), 상기 연결프레임(32)에 결합되는 로드(42)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프레임(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인가된 동력으로 상기 연결프레임(32)을 위쪽으로 잡아 당겨주는 실린더(44)를 포함한다.

    상기한 승강유닛(30)은 실린더(44)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실린더(44)의 로드(42)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프레임(32)은 위로 당겨지며 틸팅프레임(36)의 힌지(40)를 기점으로 해서 틸팅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프레임(32)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프레임(22)과 상기 지지프레임(22)에 지지되어 있는 비닐롤 지지부(24) 및 흙 덮개부(26)로 구성한 비닐 피복수단(20)은 위로 들려지며 트랙터(10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비닐 피복수단(20)이 지면에 접촉하며 마찰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비닐 피복수단(20)을 구성하는 비닐롤 지지부(24)는 상기 지지프레임(22) 상에서 외측으로 벌어짐 가능하게 연결 구성하여 비닐롤(500)의 교체 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첨부된 도 6은 상기 비닐롤 지지부(24)의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비닐롤 지지부(24)는 동일한 구조로 복수개를 제작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비닐롤(500)의 양단을 고정하게 되는 바, 하기에서는 하나의 비닐롤 지지부의 구조에 대하여 대표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비닐롤 지지부(24)는 상기 지지프레임(22)을 가로지른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수평프레임(52), 상기 수평프레임(52)의 일단에 힌지(54) 결합된 상태로 연결되는 브라켓(56), 상기 브라켓(56)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볼트(60) 체결되며 외부의 당김 동작에 따라 상기 브라켓(56)과 함께 상기 힌지(54)를 중심으로 비닐롤(500)의 외측 방향으로 벌어짐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는 수직프레임(52), 상기 수직프레임(52)의 끝단에 장착되며 비닐롤(500)이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는 홀더(62) 및 일단은 상기 브라켓(56)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평프레임(52)에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방향으로 벌려진 상기 수직프레임(58)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6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비닐롤 지지부(24)는 비닐롤(500)의 양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비닐롤(500)을 지지한 상태에서 비닐롤(500)에 감겨져 있는 비닐(400)이 다 사용되고 난 뒤, 다른 비닐롤(500)로 교체하고자 할 때, 도 8에서와 같이 수직프레임(58)을 비닐롤(500)의 외측 방향으로 당겨주면 상기 수직프레임(58)과 브라켓(56)은 힌지(54)를 기점으로 해서 수평프레임(52) 상에서 회전하며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비닐롤(500)의 양단에 끼워져 있는 홀더(64)는 상기 비닐롤(500)에서 빠져나오며 사용한 비닐롤(500)을 간편히 분리할 수 있으며 이어서, 새 비닐롤을 비닐롤 지지부(24)의 홀더(64)에 끼워넣은 후, 수직프레임(58)의 당김력을 해지시키게 되면 스프링(64)의 텐션력에 의해 수직프레임(58) 및 브라켓(56)은 힌지(54)를 기점으로 해서 수평프레임(52) 상에서 회전하며 초� ��상태로 복귀하며 교체된 비닐롤(500)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 9는 본 발명의 농업용 휴립 복토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쟁기부의 구조를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업용 휴립 복토기에 구비되는 쟁기부(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밭에 일정간격으로 도랑(300)을 형성하여 상기 도랑(300) 사이 사이로 두둑(20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쟁기부(12)는 전술한 본체프레임(10)의 하단에 동일한 구조로 하여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데, 하나의 쟁기부(12) 구조를 대표하여 기술하면 상기 쟁기부(12)는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80)에 볼트(84) 체결되는 서포트(82), 상기 서포트(82)의 하단에 설치되며 "∧"단면 형태로 앞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제작하여 밭의 지면을 파고 들어가 도랑(300)을 형성하게 되는 기준판(86), 상기 기준판(86)의 외면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기준판(86)에 의해 도랑(300)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파헤쳐진 흙이 다시 도랑(300)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파헤쳐진 흙을 도랑 밖으로 내보내도록 유도하는 제 1, 2경사유도판(88, 9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쟁기부(12)는 트랙터(100)가 이동하면 밭의 지면에 직접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쟁기부(12)의 기준판(86)이 지면을 파고 들어간 상태로 전진하며 도랑(300)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도랑(300)을 형성과정에서 파헤쳐진 흙은 제 1, 2경사유도판(88, 90)을 통해 도랑(300) 밖으로 내보내지게 된다.

    상기 제 1, 2경사유도판(88, 90)의 상면은 상기 서포트(82)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서포트(82)의 외측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기울어지도록 라운드부(88a, 90a)를 밴딩 성형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라운드부(88a, 90a)는 도랑(300)에서 파헤쳐진 흙이 상기 제 1, 2경사유도판(88, 90)에 부딪쳤을 때, 상기 라운드부(88a, 90a)가 가지는 외측 방향 기울어짐을 통해 상기 제 1, 2경사유도판(88, 90)을 타고 넘어가는 과정에서 도랑 (300) 외부로 보다 효과적으로 내보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제 1, 2경사유도판(88, 90)의 상면에 라운드부(88a, 90a)를 성형할 때, 상기 제 2경사유도판(90)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경사유도판(90)의 상면에 형성된 라운드부(90a) 길이를 상기 제 1경사유도판(88)의 상면에 형성된 라운드부(88a)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쟁기부(12)가 도랑(30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랑(300) 옆의 두둑(200)에 피복되어 있는 비닐(400)이 상기 제 2경사유도판(90)의 라운드부(90a)에 걸려 쟁기부(12)의 진행 방향으로 끌려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 2경사유도판(90)은 제 1경사유도판(88)의 반대쪽인 서포트(80)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특성상, 도 11에서와 같이 쟁기부(12)가 도랑(300)을 형성할 때, 상기 제 2경사유도판(90)은 도랑(300) 옆의 두둑(200)에 근접되게 위치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제 2경사유도판(90)의 라운드부(90a)를 상기 제 1경사유도판(88)의 라운드부(88a)와 같은 길이로 길게 형성할 경우, 도랑(300) 형성과정에서 두둑(200)에 피복되어 있는 비닐이 제 2경사유도판(90)에서 외측 방향으로 밴딩 성형되어 있는 라운드부(90a)에 걸릴 우려가 있는 바, 본 발명은 상기 제 2경사유도판(90)의 라운드부(90a) 길이를 상기 제 1경사유도판(88)의 라운드부(88a) 길이에 비해 더 짧게 형성토록 함으로서 상기 제 2경사유도판(90)의 라운드부(90a)에 비닐이 걸릴 수 있는 문제를 없애 작업과정에서 두둑(200)에 피복� �어 있는 비닐(400)이 벗겨질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휴립 복토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농업용 휴립 복토기를 트랙터(100)에 설치한 상태에서 밭으로 이동할 때에는 승강유닛을 구동시켜 비닐 피복수단을 위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승강유닛인 실린더(44)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실린더(44)의 로드(42)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프레임(32)은 위로 당겨지며 틸팅프레임(36)의 힌지(40)를 기점으로 해서 틸팅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프레임(32)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프레임(22)과 상기 지지프레임(22)에 지지되어 있는 비닐롤 지지부(24) 및 흙 덮개부(26)로 구성한 비닐 피복수단(20)은 위로 들려지며 트랙터(10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비닐 피복수단(20)이 지면에 접촉하며 마찰하여 비닐이나 기타 각종 구성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농업용 휴립 복토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비닐롤을 새것으로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수직프레임(58)을 비닐롤(500)의 외측 방향으로 당겨주면 상기 수직프레임(58)과 브라켓(56)은 힌지(54)를 기점으로 해서 수평프레임(52) 상에서 회전하며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비닐롤(500)의 양단에 끼워져 있는 홀더(64)는 상기 비닐롤(500)에서 빠져나오며 사용한 비닐롤(500)을 간편히 분리할 수 있으며 이어서, 새 비닐롤을 비닐롤 지지부(24)의 홀더(64)에 끼워넣은 후, 수직프레임(58)의 당김력을 해지시키게 되면 스프링(64)의 텐션력에 의해 수직프레임(58) 및 브라켓(56)은 힌지(54)를 기점으로 해서 수평프레임(52) 상에서 회전하며 초기상태로 복귀하며 비닐롤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도랑(30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쟁기부(12)를 구성하는 제 1, 2경사유도판(88, 90)의 라운드부(88a, 90a) 길이를 다르게 제작함으로서 쟁기부(12)가 도랑(30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도랑(300) 옆의 두둑(200)에 피복되어 있는 비닐(400)이 상기 제 2경사유도판(90)의 라운드부(90a)에 걸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과정에서 비닐(400)이 쟁기부(12)의 진행 방향으로 끌려가 두둑(200)에서 벗겨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본체프레임 12: 쟁기부
    20: 비닐 피복수단 22: 지지프레임
    24: 비닐롤 지지부 26: 흙덮개부
    30: 승강유닛 32: 연결프레임
    36: 틸팅프레임 40: 힌지
    44: 실린더 52: 수평프레임
    80: 브라켓 82: 서포트
    84: 볼트 86: 기준판
    88: 제 1경사유도판 90: 제 2경사유도판
    88a, 90a: 라운드부 100: 트랙터
    200: 두둑 300: 도랑
    400: 비닐 500: 비닐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