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열대

申请号 KR2020120007735 申请日 2012-08-30 公开(公告)号 KR2020140001430U 公开(公告)日 2014-03-10
申请人 (주)훠링; 发明人 민경훈;
摘要 본 고안은 매장의 이동공간에 간이식으로 설치되는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진열대는 이동수단이 갖춰지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고, 그 형태는 단순 직육면체의 박스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매장의 영업시간이 종료되고 정리하고자 장비를 이용하여 청소를 할 겨우, 청소장비에서 분사되는 물이 박스에 튀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매장의 이동공간에 설치되는 진열대에 이동수단을 갖추게 하여 필요에 따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정리를 위한 청소작업시에 진열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각구성부품들이 단순 조립으로 일체를 이루게 함으로써, 제작에서 설치하는데 있어서 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진열대의 상부에 분할판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진열되는 물품을 복수로 진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权利要求
  • 각 모서리를 이루는 연결프레임(110)과 상기 연결프레임(110)과 결합을 이루는 각각의 측면판(140)으로 이루어진 본체(100)와;
    상기 각 연결프레임(110)의 하단부에 끼워지면서 조임결합을 이루어 연결프레임(110)과 측면판(140)을 일체를 이루게 하는 이동수단(120)과;
    각 모서리에 진열판관통홀(212)을 갖추게 하여 본체(100)의 상부에 얹어지고 양측으로 만곡부를 갖춘 한 쌍의 수직측판(210)으로 이루어진 진열판(200)과;
    상기 본체(100) 상부의 각 연결프레임(110)과 측면판(140)을 일체를 이루게 하고, 본체(100)의 상부에 얹어진 진열판(200)을 본체(100)와 일체를 이루게 하는 연결수단(130)과;
    상기 진열판(200)의 양측에 설치한 수직측판(210)에 끼움결합을 이루어 진열판(200)을 양측으로 분할하는 분할수단(2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0)를 이루고 있는 연결프레임(110)은 평단면상 그 중앙에는 상·하단부에 나사산을 갖춘 결합홀(114)을 형성하고,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끼움홈(112)을 갖춰지게 하며, 상기 끼움홈(112)은 연결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본체(100)의 각 측면을 이루는 측면판(140)의 상·하 양단부에는 걸림홈(142)을 갖추게 하며,
    상기 이동수단(120)은 하부에 통상의 스토퍼(122)를 갖춘 바퀴부(123)가 갖춰지고 상부에는 중앙에 돌출된 볼트부(125)를 갖추게 하며, 연결프레임(110)의 외경과 일치하는 내경을 갖춘 상방돌출테(126)로 이루어진 상방향결합구(124)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수단(130)은 중앙에 나선을 갖춘 관통홀(134)과 연결프레임(110)의 외경과 일치하는 외경을 갖춘 하방돌출테(131)로 이루어져 본체(100) 상부의 각 연결프레임(110)과 끼워진 측면판(140)을 일체를 이루게 하는 하방향결합구(132)와, 하방향결합구(132)의 관통홀(134)과 연결프레임(110)의 결합홀(114)에 하단부가 나사결합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스터드볼트(135)와, 돌출된 스터드볼트(135)와 나사결합을 이루도록 중앙에 나사산을 갖춘 돌출형 고정홀(138)로 이루어진 고정결합구(136)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할수단(220)은 진열판(200)의 양측에 설치한 수직측판(210)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한쌍의 가이드(222)를 설치하여 그 사이에 가이드홈(124)을 갖추게 하고, 상기 가이드홈(224)에 끼워지는 분할판(22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
  • 제 1 항에 있어서, 분할수단(220)은 진열판(200)의 양측에 설치한 수직측판(210)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수직요홈(228)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요홈(228)의 하단부와 일치하는 위치인 진열판(200)의 상면에 수평요홈(229)을 형성하여 분할판(226)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
  • 说明书全文

    진열대{Shelves}

    본 고안은 다양한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매장에서 분할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을 하기 위하여 적당한 위치로 이동하면서 물품을 진열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진열상판의 공간을 분할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란 단수 또는 복수의 물품을 진열할 수 있도록 한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유통매장에서는 다양한 물품을 진열하는데 있어서, 주어진 공간을 분할하여 용도에 따라 유사한 물품들을 모아 각 물품들을 한눈에 비교하여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물품을 손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진열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열대는 각각의 프레임과 패널이 용접에 일해 일체를 이루거나 볼트를 이용하여 조립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용접에 의해 제작된 진열대와 볼트를 이용한 조립형 진열대는 소비자가 물품을 비교 선택하는 용이하도록 그 높이가 소비자의 눈높이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소비자가 손으로 물품을 잡을 수 있는 높이로 제작되며, 진열되는 물품의 부피에 따라 진열대의 선반은 다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진열대는 넓은 매장공간을 분할하여 설치되는데, 이때 매장공간을 분할하는데 있어서 소비자들이 물품을 찾아 선택하는데 용이하도록 이동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진열대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분할된 공간에 설치되는 진열대는 열과 오를 맞춰 설치되는데 이때, 일반적으로 진열대의 열과 열 사이에는 보다 넓은 이동공간은 확보하게 하고, 진열대의 오와 오 사이는 소비자가 서로 빗겨 지나갈 정도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진열대는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열대의 열과 열 사이의 보다 넓은 이동공간에는 단층형의 보조진열대를 설치하여 소비자들의 구매욕이 높은 제품이나 간단하게 구입할 수 있는 소형의 물품들을 다시 진열함으로써, 특정한 분할공간에 진열되어 있던 물품을 못보고 지나쳤던 물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들의 편의를 제공하는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소비자들의 이동공간에 설치되는 진열대는 일반적으로 그 높이가 소비자들의 허리높이 정도로 제작되어 설치되는데, 이것은 소비자들이 이동공간을 지나가다 눈에 쉽게 띄게 높이이고, 또한 그 높이가 지나가며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으므로 소비자들의 구매욕을 일으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동공간에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진열대는 이동수단이 갖춰지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고, 그 형태는 단순 직육면체의 박스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매장의 영업시간이 종료되고 정리하고자 장비를 이용하여 청소를 할 겨우, 청소장비에서 분사되는 물이 박스에 튀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동수단이 없는 상태의 단순 박스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매장정리를 위하여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매장관리자가 들어서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박스형태의 진열대를 손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진열대의 바닥면이 매장지면과 맞닿은 상태로 이동으로 하게 되어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고, 특히, 지면과의 마찰로 인해 진열대의 바닥면이 손상되는 문제점과, 상기 진동으로 인해 상판에 진열되어 있던 물품이 떨어지거나 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매장의 이동공간에 설치되는 진열대에 이동수단을 갖추게 하여 필요에 따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정리를 위한 청소작업시에 진열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진열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진열대는 각 구성부품들이 단순 조립으로 일체를 이루게 함으로써, 제작에서 설치하는데 있어서 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진열대의 상부에 분할판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진열대를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진열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각 모서리를 이루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과 결합을 이루는 각각의 측면판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각 연결프레임의 하단부에 끼워지면서 조임결합을 이루어 본체 하부의 연결프레임과 측면판을 일체를 이루게 하는 이동수단과;

    각 모서리에 진열판관통홀을 갖추게 하여 본체의 상부에 얹어지고 양측으로 만곡부를 갖춘 한 쌍의 수직측판으로 이루어진 진열판과;

    상기 본체 상부의 각 연결프레임과 측면판을 일체를 이루게 하고, 본체의 상부에 얹어진 진열판을 본체와 일체를 이루게 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진열판의 양측에 설치한 수직측판에 끼움결합을 이루어 진열판을 양측으로 분할하는 분할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를 이루고 있는 연결프레임은 평단면상 그 중앙에는 단부에 나사산을 갖춘 결합홀을 형성하고,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끼움홈을 갖춰지게 하며, 상기 끼움홈은 연결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본체의 각 측면을 이루는 측면판의 상하 양단부에는 걸림홈을 갖추게 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하부에 통상의 스토퍼를 갖춘 바퀴부가 갖춰지고 상부에는 중앙에 돌출된 볼트부를 갖추게 하며, 연결프레임의 외경과 일치하는 내경을 갖춘 상방돌출테로 이루어진 상방향결합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수단은 중앙에 나선을 갖춘 관통홀과 연결프레임의 외경과 일치하는 외경을 갖춘 하방돌출테로 이루어져 본체 상부의 각 연결프레임과 끼워진 측면판을 일체를 이루게 하는 하방향결합구와, 하방향결합구의 관통홀과 연결프레임의 결합홀에 하단부가 나사결합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스터드볼트와, 돌출된 스터드볼트와 나사결합을 이루도록 중앙에 나사산을 갖춘 돌출형 고정홀로 이루어진 고정결합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할수단은 진열판의 양측에 설치한 수직측판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한쌍의 가이드를 설치하여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분할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수단의 일 예로서, 양측에 설치한 수직측판의 내측면에 분할판이 끼워질 수 있도록 수직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모서리를 이루는 연결프레임과 결합되어 있는 각각의 측면판과 진열판을 양측으로 분할하는 분할판에는 필요에 따라 관련 물품의 광고카피를 할 수 있도록 광고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진열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진열대는 조립·보관·운송·유지보수및 이동하는데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첫째, 각 부품들을 조립하는데 있어서 공구가 필요없이 단순히 손으로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둘째, 각 부품들을 부품별로 보관하거나 하나의 진열대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한 셋트로 조합하여 보관할 수 있어 보관하고자 하는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보관하는데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셋째, 각 부품별로 보관을 하거나 하나의 셋트로 보관을 함으로서 설치현장으로 운송하는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넷째,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하다가 일부분에 충격이 가해셔 부분파손이 되었을 경우 파손된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다섯째, 진열대의 하단부에 스토버를 갖춘 바퀴로 이루어진 이동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설치된 매장내에서 매우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열대의 부분확대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열대의 조립상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열대에 갖춰진 분할수단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진열대의 연결프레임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이도 이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열대의 부분확대 분리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열대의 조립상대 사시도로써, 상기 도면을 바탕으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은 본체(100)와 진열판(200)으로 구성되어 지되, 상기 본체(100)는 각 모서리부분을 이루는 외형상 원형의 연결프레임(110)과 각각의 연결프레임(110)간에 설치되는 각각의 측면판(1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10)은 평단면상 그 중앙에 결합홀(1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홀(114)의 상단과 하단의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스터드볼트(135)가 결합되며, 연결프레임(110)의 외주면에는 가로와 세로 즉, 서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끼움홈(112)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끼움홈(112)은 연결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각각의 측면판(140)의 양측단부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각각의 측면판(140)은 상단과 하단 양측으로 걸림홈(14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홈(142)의 외측면은 연결프레임(110)의 외주면과 일치하게 되어 후술하는 이동수단(120)의 상방돌출테(126)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며, 상기 걸림홈(142)의 간격은 상방돌출테(126)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측면판(140)은 연결프레임(110)의 끼움홈(112)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수단(120)의 상부에 갖춰진 상방돌출테(124)를 포함한 상방향결합구(124)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연결프레임(110)에 각각의 측면판(140)을 끼우고, 각각의 연결프레임(110)의 하단부에 상방향결합구(124)를 포함한 이동수단(120)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이동수단(120)은 통상의 스토퍼(122)를 갖춘 바퀴부(123)와 중앙에 연결프레임(110)의 결합홀(114)에 나사결합을 이루는 볼트부(125)가 갖춰지고 그 외측으로 환형의 상방돌출형테(126)로 이루어진 상방향결합구(124)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과 같이 본체(100)의 하부는 각각의 연결프레임(110)의 끼움홈(112)에 각각의 측면판(140)이 양측단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수단(120)의 상방향결합구(124)에 의해 견고하게 일체를 이루게 되며, 특히, 상방향결합구(124)의 하부에 갖춰진 바퀴부(123)에 의해 이동할 때, 매장지면과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과도한 진동 없이 부드럽게 매장내의 이동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부가 일체를 이루게 된 본체(100)의 상부는 연결수단(130)에 의해 견고하게 일체를 이루게 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연결수단(130)은 중앙에 관통홀(134)이 갖춰지고, 그 외주면에 하방돌출테(131)로 이루어진 하방향결합구(132)와, 연결프레임(110)의 결합홀(114)에 나사결합을 이루는 스터드볼트(135)와, 중앙에 수직하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내경에 나사산이 갖춰진 돌출형 고정홀(138)로 이루어져 스터드볼트(135)의 상부와 나사결합을 이루는 고정결합구(13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연결수단(130)을 이용하여 본체(100)의 상부가 견고하게 일체를 이루는 것을 설명하면, 각 연결프레임(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홈(112)에 각 측면판(140)의 양측단이 끼워지게 되면, 상기 측면판(140)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142)의 외측면은 연결프레임(110)의 외부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하방향결합구(132)가 연결프레임(110)의 상단부에 끼워지게 되면 하방향결합구(132)의 하방돌출테(131)가 측면판(140)의 걸림홈(142)에 끼워지게 되어 연결프레임(110)과 측면판(140)은 견고하게 일체를 이루게 된다.

    이때, 하방향결합구(132)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34)을 통해 스터드볼트(135)의 하부를 끼워 연결프레임(110)의 결합홀(114)에 스터드볼트(135)의 하부를 나사결합시키면, 하방향결합구(132)의 관통홀(134)을 통해 스터드볼트(135)의 상부는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 연결프레임(110)의 상부에 하방향결합구(132)를 각각 결합하는 것으로 본체(100)는 사각형을 이루며 견고하게 일체를 이루게 되며, 상기 돌출된 각각의 스터드볼트(135)와 상응하는 위치에 진열판관통홀(212)이 갖춰진 진열판(200)을 얹어 놓으면, 스터드볼트(135)의 상부는 진열판(200)의 진열판관통홀(212)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진열판(200)의 상부로 돌출된 스터드볼트(135)에 고정결합구(136)를 나사결합시키는 것으로 본체(100)와 진열판(200)은 견고하게 일체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진열판(200)은 양측으로 만곡부를 갖춘 수직측판(210)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설치되고, 설치된 수직측판(210)의 내측면에 분할수단(220)이 설치되어 지되, 상기 분할수단(220)은 수직측판(210)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222)가 설치되어 그 사이에 가이드홈(224)이 갖춰지고, 상기 가이드홈(224)에 끼워져 진열판(200)을 분할하는 분할판(226)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진열판(200)의 양측단에 서로 대응하는 수직측판(210)이 설치되고, 수직측판(210)의 내측면에 한 쌍의 가이드(222)를 갖춰져 그 사이에 가이드홈(224)이 형성됨으로써 분할판(226)을 필요에 따라 끼워넣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진열판(200)의 공간활용을 진열되는 물품의 부피에 따라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어 진열판(200)상의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열대는 각각의 연결프레임(110)과 결합을 이루고 있는 측면판(140)에는 물품에 대한 광고카피를 표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넓은 매장공간에 현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정표 판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매장을 찾는 수요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다.

    상기 분할수단(220)은 필요에 따라 변형도 가능하여 그 예를 도 3을 참고로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열대에 갖춰진 분할수단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일부절개 부분확대 사시도로써, 수직측판(210)의 내측면에 수직요홈(228)을 형성시키고, 상기 수직요홈(228)의 하단부와 일치하는 위치인 진열판(200)의 상면에 수평요홈(229)을 갖추게 하여 분할판(226)의 양측단과 하단부가 끼워져 결합을 이루게 함으로써 분할판(226)은 안정된 상태로 고정되면서 진열판(200)의 진열공간을 분할할 수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진열대의 연결프레임의 다른 일 예를 표현한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본체(100)의 각 모서리부분을 이루고 있는 연결프레임(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평단면상 원형을 이루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직사각형의 연결프레임(110)을 이용할 수 있으며, 직사각형의 연결프레임(110)의 외주면에 전술한 바와 동일한 끼움홈(112)을 길이방향으로 갖추게 하면 각각의 측면판(140)을 결합할 수 있고, 이동수단(120)의 상방향결합구(124)와 연결수단(130)의 하방향결합구(132)의 형상을 사각형으로 하면서 상방향결합구(124)의 외주에 무두렌치볼트(127)를 갖추게 하여 이동수단(120)을 단면상 직사삭형의 연결프레임(110)과 일체를 이루게 하면, 그 기능과 작용에 따르는 효과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러한 형상의 차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봐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연결프레임. 112 - 끼움홈,
    114 - 결합홀,
    120 - 이동수단, 122 - 스토퍼.
    123 - 바퀴부, 124 - 상방향결합구,
    125 - 볼트부, 126 - 상방돌출테,
    127 - 무드렌치볼트,
    130 - 연결수단, 131 - 하방돌출테,
    132 - 하방향결합구, 134 - 관통홀,
    135 - 스터드볼트, 136 - 고정결합구,
    138 - 고정홀,
    140 - 측면판, 142 - 걸림홈,
    200 - 진열판,
    210 - 수직측판, 212 - 진열판관통홀,
    220 - 분할수단,
    222 - 가이드, 224 - 가이드홈,
    226 - 분할판, 228 - 수직요홈,
    229 - 수평요홈.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