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변 진열대

申请号 KR2020100013510 申请日 2010-12-23 公开(公告)号 KR2020120004806U 公开(公告)日 2012-07-03
申请人 김국환; 发明人 김국환;
摘要 본 고안은 가변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본 고안은, 선반(11) 양측에 측면판(14)이 구비되고 저면 코너에는 이동이 용이하게끔 캐스터(12)가 장착된 1단 선반부재(1)와, 2단 이후의 선반부재로 설치 사용되며 각종 상품을 진열 전시할 수 있게끔 구비되는 2?다수개의 선반부재(11a,11b‥), 그리고 상기 1단 선반부재(1)와 선반부재(11a,11b‥)들을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 구성함과 동시에 수직 또는 계단식으로 회전시켜 가변 가능하게 하는 제1가변부재(2) 및 제2가변부재(2a)와, 상기 제1가변부재(2)와 제2가변부재(2a)에 연결 설치되어 선반부재(11a)(11b)를 뒤로 재낄 때 연동하여 진열대(100)를 받쳐 지탱해주는 받침다리(3)와, 상기 1단 선반부재(1)의 측면판(14) 외측 또는 내측면에 구비되어 제1가변부재(2) 및 제2가변부재(2a)를 수직으로 지지 고정시켜주는 지지부(4)와 고정핀(5)으로 이루어짐� ��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진열대가 수직 또는 계단식으로 손쉽게 가변됨과 동시에 가변과정에서도 선반부재(11,11a,11b)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가변됨으로 각종 상품을 전시 또는 진열한 상태에서도 손쉽게 가변할 수 있게 되고, 더불어 각종 상품이 진열 전시된 상태에서도 이동이 용이하여 매장의 공간정리 및 활용과 상품의 진열, 보관, 정리 등을 매우 신속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따른다.
权利要求
  • 선반(11) 양측에 측면판(14)이 구비되고 저면 코너에는 이동이 용이하게끔 캐스터(12)가 장착된 1단 선반부재(1)와,
    각종 상품을 진열 전시할 수 있게끔 구비되는 2?다수개의 선반부재(11a,11b‥),
    그리고 상기 1단 선반부재(1)와 선반부재(11a,11b‥)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장착되는 제1가변부재(2) 및 제2가변부재(2a)와,
    상기 제1가변부재(2)와 제2가변부재(2a)에 연결 설치되어 선반부재(11a)(11b)를 뒤로 재낄 때 연동하여 진열대(100)를 받쳐 지탱해주는 받침다리(3)와,
    상기 1단 선반부재(1)의 측면판(14) 외측 또는 내측면에 구비되어 제1가변부재(2) 및 제2가변부재(2a)를 수직으로 지지 고정시켜주는 지지부(4)와 고정핀(5)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진열대.
  • 제1항에 있어서,
    1단 선반부재(1)와 선반부재(11a)(11b)의 양측 저면 전후부에 원형구멍(15')을 가진 지지구(15)를 장착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구(15)의 원형구멍(15')에 원형봉 또는 양단부가 원형축의 작용을 하게 되는 지지봉(6)의 양단을 삽입하고, 상기 지지봉(6)의 양단부에 제1가변부재(2)와 제2가변부재(2a)를 맞대어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 고정하여 지지봉(6)과 제1가변부재(2), 제2가변부재(2a)와 지지봉(6)이 견고하게 조립 구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진열대.
  • 제1항에 있어서,
    받침다리(3)는 "T"형, "ㄱ"형," "형 중 어느 하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진열대.
  • 제1항에 있어서,
    제2가변부재(2a)에 힌지핀(16)을 이용하여 받침다리(3')를 연결 구성하되, 상기 제2가변부재(2a)와 받침다리(3') 사이에 링크부재(17)를 설치 구성하여 수직 또는 계단식으로 가변시킬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진열대.
  • 선반부재(11a,11b,11c)의 저면 양측에 받침대(7)를 설치하되, 상기 받침대(7)의 후미가 선반부재(11a,11b,11c)뒤로 길게 돌출되게 하고, 상기 돌출부(7') 전후방에 제1 및 제2가변부재(2,2a)를 유동 가능하게끔 설치하되, 제1 및 제2가변부재(2,2a) 하단이 선반부재(1)의 후방에 돌출 형성된 지지대(2,2a)에 유설되게 하며, 제2가변부재(2a)에 받침다리(3) 또는 (3')를 설치함고정핀(5')의 선단을 경사면이나 만곡면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스프링(5a)에 의해 항상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이를 연결대(5b)와 연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진열대.
  • 说明书全文

    가변 진열대{a variable display stand}

    본 고안은 각종 상품을 진열 전시할 수 있도록 2단 이상 다단의 선반이 구비된 진열대에 있어서, 진열선반을 수직 또는 계단식으로 가변가능하게 하고, 더불어 각종 상품이나 물품을 효과적으로 진열함과 동시에 상품이나 물품이 진열된 상태에서 이동도 가능하게 한 가변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진열대라 함은 각종 화분 등을 비롯한 원예용 물품, 과일, 생선 등의 어류, 완구, 문구, 의류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상품이나 물품을 효과적으로 전시 또는 판매하기 위해 진열하는 기구를 말하며 대부분 다단의 선반이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와 같은 진열대는 전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따라, 또 매장의 구조나 상태에 따라 매장의 안팎에 설치 사용하게 되는데, 대부분 다단의 선반으로 구비되어 책장처럼 세워 사용하는 진열대와 다단의 선반이 계단식으로 장착 구성된 진열대가 있다.

    또, 상기 진열대 외에 선반을 분해 조립할 수 있게 하여 진열하고자 하는 상품의 크기를 감안하여 선반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절첩이 가능하게 하는 정도의 가변기능을 가진 것들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진열대는 상품이 진열된 상태에서는 가변 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진열대 중 가변 가능한 진열대의 경우에도 상품이 진열된 상태에서의 가변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진열대를 이동시켜 가며 매장 분위기를 바꾸어 주어야 할 경우나 점포를 여닫는 과정에서 매장 밖 또는 안으로 진열대를 이동시켜야 할 때는 관리자들이 상품을 먼저 철수시킨 뒤 진열대를 이동시켜 재진열을 해야 함으로서 유지 관리 및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면서 인력과 시간 또한 과다 소요되는 폐단이 따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상품이 진열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물론 상품이 진열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진열대를 수직 또는 계단식으로 손쉽게 가변시킬 수 있고, 이동 또한 손쉽게 할 수 있는 가변 진열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반(11) 양측에 측면판(14)이 구비되고 저면 코너에는 이동이 용이하게끔 캐스터(12)가 장착된 1단 선반부재(1)와,

    각종 상품을 진열 전시할 수 있게끔 구비되는 2?다수개의 선반부재(11a,11b),

    그리고 상기 1단 선반부재(1)와 선반부재(11a,11b‥)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단차볼트(62)로 연결 장착되는 제1가변부재(2) 및 제2가변부재(2a)와,

    상기 제1가변부재(2)와 제2가변부재(2a)에 회전가능하게끔 단차볼트(62) 등으로 연결 설치되어 선반부재(11a)(11b)를 뒤로 재낄 때 연동하여 진열대(100)를 받쳐 지탱해주는 받침다리(3)와,

    상기 1단 선반부재(1)의 측면판(14) 외측 또는 내측면에 구비되어 제1가변부재(2) 및 제2가변부재(2a)를 수직으로 지지 고정시켜주는 지지부(4)와 고정핀(5)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1단 선반부재(1)와 선반부재(11a)(11b)의 양측 저면 전후부에 원형구멍(15')을 가진 지지구(15)를 장착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구(15)의 원형구멍(15')에 원형봉 또는 양단부가 원형축의 작용을 하게 되는 지지봉(6)의 양단을 삽입하고, 상기 지지봉(6)의 양단부에 제1가변부재(2)와 제2가변부재(2a)를 맞대어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부재(61)로 체결 고정하여 지지봉(6)과 제1가변부재(2), 제2가변부재(2a)와 지지봉(6)이 견고하게 조립 구성되게 함도 특징으로 한다.

    받침다리는 "T"형, "ㄱ"형,"

    "형 중 어느 하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제2가변부재(2a)에 힌지핀(16)을 이용하여 받침다리(3')를 연결 구성하되, 상기 제2가변부재(2a)와 받침다리(3') 사이에 링크부재(17)를 설치 구성하여 수직 또는 계단식으로 가변시킬 수 있게 함도 특징으로 한다.

    선반부재(11a,11b,11c)의 저면 양측에 받침대(7)를 설치하되, 상기 받침대(7)의 후미가 선반부재(11a,11b,11c)뒤로 길게 돌출되게 하고, 상기 돌출부(7') 전 후방에 제1 및 제2가변부재(2,2a)를 유동 가능하게끔 설치하되, 제1 및 제2가변부재(2,2a) 하단이 선반부재(1)의 후방에 돌출 형성된 지지대(2,2a)에 유설되게 하며, 제2가변부재(2a)에 받침다리(3) 또는 (3')를 설치함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진열대가 수직 또는 계단식으로 손쉽게 가변됨과 동시에 가변과정에서도 선반부재(1,11a,11b)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가변됨으로 각종 상품을 전시 또는 진열한 상태에서도 손쉽게 가변할 수 있고, 더불어 각종 상품이 진열 전시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이동이 용이하여 매장의 공간정리 및 활용과 상품의 진열, 보관, 정리 등을 매우 신속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따른다.

    본 고안은 다단의 진열선반이 수직 또는 계단식으로 가변되게 한 것으로서 그 어떤 점보다 중요한 점은 선반부재(1,11a,11b)을 계단식으로 가변시켜 각종 상품을 진열 전시하다가 진열대(100)를 철수 또는 보관하고자 할 때나 좁은 공간에서 사용하고자 할 때 는 계단식으로 가변되어 있던 선반부재(11,11a,11b)을 다시 수직으로 세워 사용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상품의 진열, 전시가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공간활용이 뛰어난 진열대(100)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도1?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선반(11)이 형성된 1단 선반부재(1)와 다수개의 선반부재(11a,11b‥)들을 제1가변부재(2)와 제2가변부재(2a)로서 연결 구성하되, 상기 제1,2가변부재(2)(2a)와 선반부재(1,11a,11b)는 단차볼트(62)등을 이용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따라서 진열대(100)의 상부를 뒤로 밀면 단차볼트(62)에 의해 도1과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2가변부재(2)(2a)가 평행을 이루면서 기울어지게 되어 선반부재(1,11a,11b)가 자연적으로 계단식으로 가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진열대(100)를 계단식으로 가변시키는 과정에서 제1,2가변부재(2)(2a)가 평행을 유지하면서 기울어지게 되는데다가 제1,2가변부재(2)(2a)에 단차볼트(62)로 받침다리(3)의 상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기에 진열대(100)의 가변과 동시에 받침다리(3)도 수평 이송될 수밖에 없게 되고 따라서 받침다리(3) 하단이 지면에 닿게 되면 진열대(100)를 받쳐주게 되어 매우 안정적으로 지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열대(100)를 수직으로 세우게 되면 제1,2가변부재(2)(2a)가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받침다리(3)도 함께 세워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제2가변부재(2a)를 지지하는 지지부(4)에 고정핀(5)을 꽂아 상기 고정핀(5)이 제2가변부재(2a)와 지지부(4), 그리고 측면판(14)을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게 됨으로서 진열대(100)가 견고하게 지지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받침다리(3)는 "T"형, "ㄱ"형,"

    "형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하여도 되며, 어느 구성이든 간에 진열대(100)가 뒤로 재껴지면 받침다리(3)도 자연적으로 함께 이동되어 진열대(1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진열대(100)의 선반부재(1,11a,11b)에 상품을 진열한 상태에서도 안 정적으로 수직 또는 계단식으로 가변시킬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선반부재(11,11a,11b)에 상품이 진열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손쉽게 가변될 수 있게 되는 것은 평행하게 설치된 제1가변부재(2) 및 제2가변부재(2a) 단차볼트(62)에 의해 선반부재(11,11a,11b) 양 측면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회전이 가능하게끔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며, 따라서 진열대(100)를 가변시킬 때 선반부재(11,11a,11b)가 수평으로 이송되면서 가변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도7?도9는 본 고안의 제2 및 제3실시예로서 이는 1단 선반부재(1)와 선반부재(11a)(11b)의 양 측면 전후부(도7?도8참조) 또는 양측 저면 전후부(도9참조)에 원형구멍(15')을 가진 지지구(15)를 장착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구(15)의 원형구멍(15')에 원형봉 또는 양단부가 원형축의 작용을 하게 되는 지지봉(6)의 양단을 삽입한 뒤, 상기 지지봉(6)의 양단부에 제1가변부재(2)와 제2가변부재(2a)를 맞댄 다음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부재(21)로 체결 고정함으로서 매우 견고한 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지지봉(6)과 제1가변부재(2), 제2가변부재(2a)와 지지봉(6)이 견고하게 조립 구성되어 사용 중 휨이나 비틀림이 극히 적은 튼튼한 진열대를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 경우에는 지지봉(6)이 선반부재(1,11a,11b) 저면에 밀착 또는 마찰되게끔 구성할 수도 있음으로 지지봉(6)이 각종 상품의 하중을 한층 더 안정적으로 지탱해 줄 수 있게 된다.

    도10?도11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로서, 이는 제2가변부재(2a)에 받침다리(3)를 연결 장착시킴에 있어서 힌지핀(16)을 이용하여 연결 구성하되, 상기 제2가 변부재(2a)와 받침다리(3') 사이에 링크부재(17)를 설치 구성함으로서, 진열대(100)를 뒤로 재껴 계단식으로 배열할 때 받침다리(3')를 뒤로 빼 링크부재(17)가 펼쳐지게 하면 진열대(100)가 계단식으로 가변 설치되면서 받침다리(3')가 진열대(100)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받쳐 지탱하게 된다.

    도12는 선반부재(11a,11b,11c)의 저면 양측에 받침대(7)를 설치하되, 상기 받침대(7)의 후미가 선반부재(11a,11b,11c)뒤로 길게 돌출되게 하고, 상기 돌출부(7') 전후방에 제1 및 제2가변부재(2,2a)를 유동 가능하게끔 설치하되, 제1 및 제2가변부재(2,2a) 하단이 선반부재(1)의 후방에 돌출 형성된 지지대(2,2a)에 유설되게 하며, 제2가변부재(2a)에 받침다리(3) 또는 (3')를 설치함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도10?도12의 경우 1단 선반부재(1)의 지지부(4a)에 세로장공(41)을 천공하고 제1가변부재(2) 또는 제2가변부재(2a)에는 상기 세로장공(41)에 끼워지는 볼트(21)를 돌출 형성시키면 진열대(100)를 수직으로 세울 때 너트(42)로서 체결 고정할 수 있게 됨으로서 진열대(100)가 보다 더 견고하고 튼튼하게 지지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1가변부재(2) 및 제2가변부재(2a)의 설치 위치나 상기 제1가변부재(2) 및 제2가변부재(2a)와 선반부재(11,11a,11b)의 조립구조, 또는 선반부재(11,11a,11b)의 형상 및 구조변형을 비롯하여 고정부재(4)나 고정핀(5) 등의 구조 변형 등 궁극적으로 제1및 제2가변부재(2, 2a)가 평행을 이루면서 수직 또는 계단식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선반부재(11,11a,11b)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가변되게 하는 구성이라면 이는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의 범위에 속 하는 것이 자명하다 할 것임으로 이러한 변형은 당연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당연하다 하겠다.

    또, 선반부재(11,11a,11b)는 합성수지로 성형하거나 또는 메쉬망 등의 철금속 스테인레스, 알미늄 등의 비철금속, 그리고 목재 등 이 외에도 다양한 소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형상이나 모양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상태 측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확대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일부를 절개한 평면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로서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로서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