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용도 거치대

申请号 KR2020100001455 申请日 2010-02-09 公开(公告)号 KR2020110008079U 公开(公告)日 2011-08-18
申请人 신기진; 发明人 신기진;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holder. The multipurpos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lder section that holds an object; and a support section that extends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 holder section in such a manner that an internal spac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older section. The holder section and the support section are characterized by the elasticity thereof. Thus, the multipurpose holder is easily attached with a user's pressing pressure which allows for convenient usage;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which allows for aesthetic appeal; a plurality can be stacked or arranged on a flat surface which can then be used to hold objects of various sizes; and is manufactured in sizes smaller than conventional multipurpose holders which allows for easy portability.
权利要求
  • 물건이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하방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거치부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 및 상기 지지부는 탄력성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저면은 접촉되는 바닥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저면이 바닥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에 외력인가시 상기 거치부의 중앙부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눌려지면서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며, 외력해제시 상기 거치부의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눌려진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은 곡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은 외측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외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외측면은 상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두께는 상기 거치부의 중앙부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 및 상기 지지부는 탄력성을 가지도록 실리콘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
  • 说明书全文

    다용도 거치대{Multipurpose Supporting Device}

    본 고안은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잡한 구성을 배제하고 단순히 사용자의 누르는 힘에 의해서만으로 흡착고정되어 상부에 휴대폰, 노트북 등의 휴대용 기기를 거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외적으로 심미감을 느낄 수 있는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치대(据置臺)라고 하는 것은 소정의 물건을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는 받침대로서, 그 용도에 따라 휴대폰용, 노트북용 등 각 구성에 맞도록 구현되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거치대는 각 용도에 알맞게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기구들의 결합을 통해 복잡하게 구성됨으로써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부피가 커져 휴대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복잡한 기구들의 결합관계에 의해 구성된 그 모양에 의해 사용자가 외적으로 심미감을 느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한 다용도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사용자의 누르는 힘에 의해 간단하게 부착될 수 있는 다용도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외적 심미감을 느낄 수 있는 다용도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층하거나 평면 상에 배열하여 다양한 크기의 물건을 거치할 수 있는 다용도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물건이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하방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거치부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 및 상기 지지부는 탄력성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치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의 저면은 접촉되는 바닥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저면이 바닥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에 외력인가시 상기 거치부의 중앙부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눌려지면서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며, 외력해제시 상기 거치부의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눌려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은 외측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의 외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부의 외측면은 상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두께는 상기 거치부의 중앙부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 및 상기 지지부는 탄력성을 가지도록 실리콘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한 다용도 거치대가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의 누르는 힘에 의해 간단하게 부착될 수 있는 다용도 거치대가 제공된다.

    또한,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외적 심미감을 느낄 수 있는 다용도 거치대가 제공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층하거나 평면 상에 배열하여 다양한 크기의 물건을 거치할 수 있는 다용도 거치대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외력인가시 변형도,
    도 5는 도 4의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는 탄력성을 가지는 재질로서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며, 거치부(10)와 지지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10)는 물건이 거치되며 다양한 모양을 형성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외적심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둥근 형태의 자갈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10)의 외측면(11)은 곡면으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상향으로 볼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거치부(10)의 내측면(12) 또한 상향으로 일부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측면(11)이 볼록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거치되는 물건이 동영상시청이 가능한 물건일 경우 사용자의 방향으로 화면이 경사지도록 거치시킬 수 있어 동영상시청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10)는 소정 두께로 형성되며, 중앙부(11)에는 사용자의 외력이 하향으로 쉽게 작용하도록 다른 부분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후술할 지지부(20)의 두께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는 거치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으로 연장형성되어 거치부(10)의 하방에 내부공간(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a)이 형성됨으로써, 거치부(10)에 물건 거치시 거치부(10)의 탄력적인 재질적 특성에 의한 충격흡수도 가능하면서, 내부공간(a)에 의한 충격흡수가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물건 거치 후에도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의 두께는 상술한 거치부(10)의 중앙부(1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지지부(20)의 탄력성이 거치부(10)부의 탄력성보다 클 수 있다.

    즉, 지지부(20)의 탄력성이 거치부(10)의 탄력성보다 크도록 형성됨으로써 지지부(10)의 외측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거치부(10)가 뒤집어지는 것과 같은 현상(거치부(10)가 하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지지부(20)의 내외측이 바뀌는 것)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0)의 외측면은 곡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외측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갈형상의 거치부(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외적미관을 위해 연속적으로 형성되기 위해 외측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도록 하였으나, 거치부(10)의 형상에 따라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거나 요철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20)의 외측면(21)이 외측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거치부(10)에 외력인가시 거치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20)의 저면(23)은 접촉되는 바닥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외력인가시 변형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20)의 저면이 접촉되도록 다용도 거치대가 위치한 상태에서, 거치부(10)의 중앙부(11a)에 외력이 하향으로 인가되면 중앙부(11a)는 내부공간(a)으로 눌려지게 되고, 지지부(20)는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저면(23)과 바닥면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면서 내부공간(a)의 공기는 유격된 공간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거치부(10)에 외력이 인가되면, 거치부(10) 및 지지부(20)는 탄력성에 의해 내부공간(a)의 외측방향으로 힘을 인가받게 되는 것과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그런데, 지지부(20)의 저면(23)이 바닥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저면(23)과 바닥면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마찰력은 인가되는 힘의 반대방향 즉, 내부공간(a)의 내측방향으로 작용한다.

    즉, 지지부(20)의 저면(23)과 인접한 부분은 지지부(20)의 저면(23)과 인접하지 않은 부분(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한)에 비해 더 많은 외측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20)는 외측방향으로 휘어지는 것과 같은 형태로 변형된다.

    이때, 지지부(20)의 변형방향은 외측면(21) 및 내측면(22)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20)의 외측면(21)이 외측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지지부(20)의 외측면(21)은 외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볼록한 부분이 더욱 볼록해지는 형상으로 변형된다.

    만약, 외측면(21) 및 내측면(22)이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내측방향으로 더욱 볼록해지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외측면(21) 및 내측면(22)이 직선화되어 기둥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도 지지부(20)의 저면(23)과 인접하지 않은 부분은 내부공간(a)의 내외측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어,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탄력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려고 하는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지지부(20)의 저면(23)이 바닥면과 평행함으로써 저면(23)이 바닥면과 밀착되고, 내부공간(a)은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완전히 차단되어 밀폐된다.

    결과적으로 외력해제시 내외부 공기압 차이 및 복원력에 상호 작용에 따라 눌려진 거치부(10)의 중앙부(11)는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지 않고 눌려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거치부(10)의 외측면에 모바일기기 또는 MP3P 등을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를 다수 개 마련하여 바닥면에 적층하고, 거치부(10)에 모바일기기를 거치시킨 것을 도시하고 있다.

    재질의 특성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형성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가 적층되어도 쉽게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최상부에 위치한 다용도 거치대의 거치부에 모바일기기 등을 거치함으로써 사용자와 모바일기기 간의 거리를 좁힐 수 있어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는 다수 개를 마련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다용도 거치대만을 사용하여 모바일기기 등을 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바닥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거치부를 가압하여 바닥면에 흡착되도록 하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모바일기기 등을 거치부(10)에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를 적어도 2개 마련하여 노트북을 거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거치부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노트북을 거치할 수 있게 되고, 노트북 작업시에도 지지부의 저면과 바닥면의 마찰력에 의해 쉽게 미끄러지지 않아 노트북 사용시 노트북 자체가 좌우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노트북 바닥면에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의 거치부에 외력을 인가하여 노트북 바닥면에 흡착시킨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같은 경우에는 노트북 사용시에 거치부가 바닥면과 맞닿게 되어 바닥면과의 마찰력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노트북의 외력에 의한 이동이 더욱 방지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의 탄력성을 가지는 재질적 특성 및 내부공간에 의한 충격흡수 기능을 응용한 예로서, 마우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목을 받치도록 책상 위에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를 위치시킨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필요에 따라 키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목을 받치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손목은 탄력적인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에 의해 손목 등이 보호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사용예를 통해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재질의 특성상 제조공정 상에서 다양한 컬러를 가지도록 구현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외적인 심미감을 더욱 느끼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자갈 형태로 형성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앞서 설명했듯이 사용자가 외적 심미감을 느끼게 하기 위해 별, 달, 조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는 종래 복잡한 구조의 거치대와 비교하여 부피가 작게 제조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거치부 11 : 거치부의 외측면 11a : 거치부의 중앙부
    20 : 지지부 21 : 지지부의 외측면 22 : 지지부의 내측면
    23 : 지지부의 저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