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피오피 광고대 겸용 거치대

申请号 KR1020120090809 申请日 2012-08-20 公开(公告)号 KR1020140024615A 公开(公告)日 2014-03-03
申请人 주식회사 세정라이프; 发明人 황창곤;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d POP advertising board and holder with a fluid rotating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mbined POP advertising board and holder which is to make a fluid rotated, swirled, and beautifully flow, wherein the fluid contained in a fluid tube is rotated by receiving a rotating force, which is transmitted by a magnetic force after generated in a direct current motor, and beautifully flows by reflecting a light generated in an RGB LED module. A POP advertising board with a fluid rota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roduct display part (1) having a holder (11) for displaying a product and a supporting plate (15)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 fluid rotating unit part (2) consisting of a driving body (2a) and an upper body (2b), wherein the driving body (2a) has a housing (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product display part (10), a driving motor (30) installed in the housing (20), rotary blades (40) rotated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motor (30), and magnetic bodies (50) attached to the respective ends of the rotary blades (40); and the upper body (2b) has a fluid tube (5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driving body (2a) and an upper rotary plate (70) installed inside the fluid tube (50) and rotated by being interlocked with the magnetic forces of the magnetic bodies (50).
权利要求
  • 상품이 전시될 수 있는 평판과 거치대가 구비되는 상품전시부; 및
    상기 상품전시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날개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자성체가 구비되는 구동체, 상기 구동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유체관과 상기 유체관에 내장되며 상기 회전날개에 대응하는 상부회전날개 및 상기 상부회전날개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상부자성체가 구비되는 상부체로 이루어지는 유체회전장치부;를 포함하는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POP 광고대 겸용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자성체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석이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회전날개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상부자성체는 동일한 극성의 자석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POP 광고대 겸용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회전장치부의 구동모터에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POP 광고대 겸용 거치대.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RGB LED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RGB LED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POP 광고대 겸용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POP 광고대 겸용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관의 내부면 일부에는 상기 상부회전판의 이탈을 제한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POP 광고대 겸용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관은 투명한 아크릴이나 PC 또는 강화유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경관조명장치 겸용 거치대.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외부 음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음악의 빠르기나 고저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에 전달되는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POP 광고대 겸용 거치대.
  • 说明书全文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피오피 광고대 겸용 거치대{POP ADVERTISING BOARD WITH FUNCTION OF FULID ROTATION}

    본 발명은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POP 광고대 겸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관 내에 담긴 유체가 직류모터에서 발생하고 자력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며 소용돌이를 일으키는 동시에 RGB LED모듈에서 발생하는 빛을 반사하여 미려한 유동형상을 나타내는 POP 광고대 겸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POP 광고란 구매시점(Point of Purchase) 광고를 뜻하는 것으로서 PS광고(판매시점 광고)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 구매(판매)되는 장소에서의 광고, 즉 소매점을 단위로 하여 그에 부수되는 광고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매스미디어와 같은 광고는 막연한 대중을 대상으로 하여 알림으로써 흥미를 유발하게 하는 간접적 표현인데 비하여, POP 광고는 소비자와 제품이 함께 있는 현장에서 직접 구매를 유발하도록 하는 직접적 표현이다.

    이러한 POP 광고의 세부적인 유형으로는 첫째, 윈도우 디스플레이, 포스터, 현수막 등과 같이 판매점의 이미지 향상과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를 판매점 내부로 유도하는 점두 POP가 있고, 둘째, 싸인보드, 일러스트, 모빌류, 현수막 등과 같은 매장안내, 상품코너 분류 등 행사 분위기 연출을 통해 소비자를 효과적으로 구매에 이르게 하는 점내 POP가 있으며, 셋째, 제품 안내카드, 가격표 등과 같이 해당 제품에 대한 간결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가 직접 제품을 만져보고 구매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진열 POP 등이 있다.

    이러한 POP광고를 실현하는 광고장치의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8141호에 '피오피를 활용한 음향 광고장치'가 등록되어 있다. 이 고안은 POP 광고물 후면에 진동스피커를 부착하여, 시각적인 상품 선전 이외에 음향 신호를 송출하도록 하는 음향 광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7644호에 '조명장치를 갖는 광고대'가 등록되어 있다. 이 고안은 램프의 빛이 배너 광고판의 전체 면이 아닌 일부분 즉, 특정 부위를 통과하여 집중 조명하므로, 광고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원거리에서 식별이 용이하며, 램프의 밝기나 깜박임을 조절하여 다양한 빛을 조사하여 광고 내용을 정확하고 빠르게 인지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갖는 광고대에 관한 것이다.

    이처럼 소비자의 직접적인 구매를 이끌어내기 위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감각적인 장치가 부가된 광고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한편,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에 다른 기능이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든다면, 광고대 역할을 하는 휴대폰 거치대가 음악재생 기능을 담고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63106호에 '스피커를 구비한 충전거치대'가 공개되어 있다. 이 발명은 핸드폰에서 출력되는 음악을 스피커로 들을 수 있도록 스피커가 구비된 핸드폰 충전거치대가 제공된다

    종합적으로, 위와 같은 POP광고대로서의 기능과 거치대로서의 기능을 포함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광고대 겸용 거치대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유체관 내에 담긴 유체가 직류모터에서 발생하고 자력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며 소용돌이를 일으키는 동시에 RGB LED모듈에서 발생하는 빛을 반사하여 미려한 유동형상을 나타내는 POP 광고대 겸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POP 광고대 겸용 거치대는 상품이 전시될 수 있는 거치대(11)와 지면 등에 의해 받쳐지는 지지판(15)이 구비되는 상품전시부(1); 및 상품전시부(10)의 일측에 결합되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0)와 구동모터(30)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날개(40)와 회전날개(40)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자성체(50)가 구비되는 구동체(2a), 구동체(2a)의 상부에 결합되는 유체관(50)과 유체관(50)에 내장되며 자성체(50)의 자력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부회전판(70)이 구비되는 상부체(2b)로 이루어지는 유체회전장치부(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날개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자성체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석이 교대로 배치되고, 상부회전날개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상부자성체는 동일한 극성의 자석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체회전장치부의 구동모터에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RGB LED 모듈을 더 포함하고, 제어부에서 RGB LED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체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체관의 내부면 일부에는 상기 상부회전판의 이탈을 제한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체관은 투명한 아크릴이나 PC 또는 강화유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에는 외부 음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음악의 빠르기나 고저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에 전달되는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P 광고대 겸용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POP 광고대 겸용 거치대에 의하면, 종래 단순히 조명이나 소리만 활용하던 POP 광고대에 유체관 내에서 회전하며 소용돌이를 일으키는 동시에 RGB LED 모듈에서 발생시키는 다양한 색채의 빛을 반사하며 유동하는 유체가 더해짐으로써 미려한 유동형상이 표현되는 독특한 광고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장치 외부에서 전달되는 음원장치의 비트신호를 전달받아 음악의 빠르기나 음의 고저에 따라 컨트롤러에 의해 조절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조절되고 이에 따라 유체의 유동이 변화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POP 광고대 겸용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회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외부음원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음원에 대한 제어부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블럭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POP 광고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어부의 블럭다이어그램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POP 광고대 겸용 거치대는 상품이 전시될 수 있는 거치대(11)와 지면 등에 의해 받쳐지는 지지판(15)이 구비되는 상품전시부(1); 및 상품전시부(10)의 일측에 결합되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0)와 구동모터(30)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날개(40)와 회전날개(40)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자성체(50)가 구비되는 구동체(2a), 구동체(2a)의 상부에 결합되는 유체관(50)과 유체관(50)에 내장되며 자성체(50)의 자력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부회전판(70)이 구비되는 상부체(2b)로 이루어지는 유체회전장치부(2);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회전 기능이 부가된 POP 광고대 겸용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회전장치의 단면도, 도 4는 외부음원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음원에 대한 제어부의 제어를 나타내는 블럭다이어그램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크게 상품이 전시될 수 있는 상품전시부(1)와 구동수단과 유체가 회전하는 관체가 구비되는 유체회전장치부(2) 및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3)로 이루어지고, 유체회전장치부(2)에는 발광수단이 더하여질 수 있고, 제어부(3)에는 외부 음향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입력부가 더하여질 수 있다.

    상품전시부(1)는 상품을 받쳐주는 거치대(11)와 지지판(15)으로 이루어진다. 거치대(11)는 평판으로 형성된 거치판(12)과 상품을 세부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상품에 따라 맞춰 성형 가공된 거치브래킷(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거치브래킷(13)의 일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거치판(12)에는 홈이 형성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치브래킷(13)을 거치판(12)에 바꿔 꽂을 수 있도록 만들 수도 있다.

    지지판(15)은 전체 구성물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과 지지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물론, 반드시 평판으로만 구성될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사 등에 의한 결합수단에 의해 벽에 결합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품전시부(1)의 거치대(11)와 지지판(15)은 합성수지 등 성형가공물로 형성될 수 있고, 설치장소와 주변환경이나 상품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체구성물을 지지할 수 있는 점과 상품이 거치되어 진열될 수 있다는 점이 설계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외한다면 상품전시부(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체회전장치부(2)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유체회전장치부(2)는 크게 구동체(2a)와 상부체(2b)로 나누어진다.

    구동체(2a)는 구동수단이 형성되는 것으로, 하우징(20), 구동모터(30), 상판(26) 및 회전날개(40)로 구성된다.

    하우징(2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수용부(21)가 형성되고, 하우징(20)의 상단부에는 내측면에 나사산(23)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유체관(50)이 결합된다. 하우징(20)의 상단부에서 일정 깊이의 내측면에는 단턱(24)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판(26)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단턱(24)의 상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판(26)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20)의 수용부(21)에는 구동모터(30)와 각종 케이블 등이 삽입될 것을 고려하여 충분히 여유있는 부피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판(26)은 단턱(24)에 고정 결합된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나사결합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판(26)에는 구동부 및 발광부의 주요요소들이 대부분 결합되고 지지된다.

    상판(26)의 하면 중앙에 구동모터(30)가 결합된다. 구동모터(30)는 일반적인 DC모터를 사용할 수 있되, 감속기가 구비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감속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동모터(30)의 토크와 회전수를 결정하는 속도조절 기능은 후술하는 제어부(3)에서 담당한다. 또한, 구동모터(30)의 축과 상판(26)의 결합부 사이에는 베어링(39)이 삽입된다. 상판(20)의 상면에 돌기(27)로 형성되는 안착부에 베어링(39)이 삽입되어 구동모터(30)의 고속 회전에 따른 마찰열을 줄여준다.

    회전날개(40)가 구동모터(30)에 연결되어 작동된다. 회전날개(40)는 회전축(41)과 날개(42)로 구성된다. 회전축(41)은 구동모터(30)에 직결되어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며, 날개(42)는 다수개로 형성된다. 날개(42)의 각 단부에 자성체(49)가 부착되고 예로서 자석(49)이 부착되어 있다. 자석(49)은 각 단부별로 교대로 다른 극의 자석이 부착된다. 예를 들어, 각기 90도로 분리된 4단 날개의 경우, 어느 한 단부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차례대로 N극, S극, N극, S극의 자석이 부착된다.

    상판(26)의 상면 중 일부에는 RGB LED 모듈(90)이 설치된다. 직진성이 좋은 LED를 설치함으로써 발광기능이 두드러지도록 하며, RGB 기능이 더해진 RGB LED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의 빛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다. RGB LED 모듈(90)의 제어는 구동모터(30)의 조절과 함께 제어부(3)에서 담당한다.

    상부체(2b)는 유체가 유동하는 부분으로 유체관(50)과 상부회전날개(60) 등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20)의 상단부에 유체관(50)이 결합된다. 물론 하우징(20)과 유체관(50)은 억지끼움 등 공지의 결합방법에 의해서도 결합될 수 있다.

    유체관(50)은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지니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삽입된 유체가 충분히 회오리를 형성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유체관(50)의 하단은 폐쇄되어 있어 유체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고, 상단에는 캡(55)을 씌우도록 한다.

    유체관(50)은 투명 아크릴판이나 투명 PC 또는 강화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한 관으로 형성하여 외부에서 쉽게 내부에 담긴 유체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유체관(50) 내부의 바닥면에는 중앙에 상부회전날개(60)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적인 지지와 유연한 회전력의 전달을 위해 상부베어링(59)이 설치될 수 있다. 유체관(50)의 내부 바닥면에 링 형상의 돌기(51)가 형성되고, 이 돌기(51)에 상부베어링(59)이 억지끼움되도록 한다. 상부베어링(59)의 내륜에 상부회전날개(60)가 끼워진다.

    상부회전날개(60)는 회전날개(40)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상부회전날개(60)는 상부회전축(61)과 상부날개(62)로 이루어진다. 상부회전축(61)이 상부베어링(59)의 내륜에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를 위해 상부회전축(61)의 외륜 및 상부베어링(59)의 내륜은 치차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부회전날개(60)가 중공부가 형성되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유체관(50)의 바닥면 중앙에 축돌기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부베어링(59)의 외륜에 상부회전날개(60)의 중공부가 끼워지고, 상부베어링(59)의 내륜에 유체관(5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축돌기가 끼워질 것이다.

    이렇게 상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부회전날개(60)의 이동에 제한을 두기 위하여 스톱퍼(54)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톱퍼는 단순하게는 유체관(5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축돌기인 경우에는 축돌기의 상단부에 횡방향의 돌기를 형성하도록 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또는 별도로 유체관(50)의 내측벽에 스톱퍼(54)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부회전날개(60)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므로 상부회전날개(60)이 회전력을 받아 회전할 때 원심력의 증대에 의해 상측으로 올라가고 자중이나 원심력의 감소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오는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상부회전날개(60)의 상부날개(62)의 각 단부에는 상부자성체(69)가 부착된다. 상부자성체(69)의 예로서 자석(69)이 부착된다. 자석(69)은 전술한 회전날개(40)의 단부에 부착된 자석(49)의 위치에 대응하여 부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구동모터(3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날개(40)가 회전하면 회전날개(40)에 부착된 자석(49)의 자력에 상부날개(62)의 자석(69)이 연동되어 회전력을 받고 이에 따라 상부회전날개(6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부날개(62)의 각 단부에 부착되는 자석(69)은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한다. 예를 들면, 모두 N극의 자석이 부착되도록 한다. 하부에 있는 회전날개(40)의 자석(49)의 극성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데 비하여, 상부에 있는 상부회전날개(60)의 자석(69)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회전날개(40)가 구동모터(30)의 동력을 받아 회전할 때 상부회전날개(60)는 불규칙하게 회전을 일으키게 되며, 원심력의 힘도 일정하지 않아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유체관(50)에 담기게 되는 유체에 불규칙한 소용돌이를 일으키게 된다.

    유체관(50)의 내부에는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종류의 유체(71,72)가 삽입된다. 이종의 유체의 일례로, 물과 기름이 혼입될 수 있다. 물과 기름은 비중이 다르고 서로 섞이지 않으므로 평상시에는 기름이 물 위에 뜬 상태로 있지만, 유체가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오리과 같은 3차원적인 경계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이종의 유체가 섞이면서 유체간의 특질에 따라 경계부에 다른 색을 나타낼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유체(71,72) 내부에 펄 등으로 된 반짝이 가루를 산포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체가 회전할 때 반짝이 가루가 함께 회전하면서 아름다운 유동형상을 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유체회전장치(2)가 거치판(11)의 관통홀(13)을 통해 상품전시부(1)에 결합된다.

    구동모터(30)의 속도와 RGB LED 모듈(8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부(3,미도시)가 설치된다. 제어부(3)는 PCB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20)의 수용부(21)에 내장되거나 콘트롤러 기능을 가진 리모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3)는 구동모터(30)를 제어하는 조작부 및 RGB LED 모듈(80)을 제어하는 조작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3)가 PCB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20)의 수용부(21)에 내장되는 경우 RGB LED 모듈(80) 제어신호가 전달되는 케이블은 상판(20)의 일부에 형성된 관통홀(28)을 통하여 연결된다. 제어부(3)가 리모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은 하우징(10)의 하단 측부에 형성된 관통홀(25)을 통하여 삽입되어 구동모터(30) 또는 RGB LED 모듈(80)에 연결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외부음원장치(Input Source)에 연결된 유체회전장치(2)의 제어부(3)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외부음원장치에서 제어부로 음원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에서는 음원의 빠르기나 음의 고저를 판별하고 이에 따른 세기의 출력을 PWM신호로 바꾸어 내보낸다. 이 출력신호에 따라 구동모터(30)의 회전속도와 RGB LED 모듈(90)의 빛의 세기는 조절되고 이에 따라 유체의 소용돌이 양태와 반사되는 빛의 양은 변화한다. 외부음원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유선에 의해 직접적으로 유체회전장치(2)의 제어부(3)에 연결될 수도 있고 블루투스 등 무선방식으로 제어부(3)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 예에서는 전술한 유체회전장치(2)가 다수개로 형성되어 있다.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체와 구동체로부터 제공받은 동력으로 작동되는 상부체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유체회전장치(200) 및 상품거치판(211)과 지지대(215)로 이루어지는 상품거치대로 구성된다.

    상품거치판(211)의 하면 일부에는 내부가 비어있고 다수개의 유체회전장치(200)를 지지하는 받침부(219)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개별 유체회전장치는 전술한 예의 유체회전장치와 동일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고,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받침부(219)에는 이 유체회전장치(200)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03, 미도시)가 내장된다. 제어부(203)는 선택적으로 혹은 프로그램별로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와 각 유체회전장치(200)의 구동모터와 RGB LED 모듈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제어신호를 내보내는 출력부가 포함된다. 제어부의 신호 조절을 통해 각 경관조명장치들이 함께 작동될 수도 있고, 개별적으로 달리 작동될 수도 있다.

    도 6에 제어부(203)의 작동이 도시되어 있다.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또는 외부와의 유,무선 통신에 의해 입력부(203a)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203)의 컨트롤러(203b)에서는 필요한 계산을 수행하고 이를 출력부(203c)로 내보낸다. 출력부의 신호에 따라 각 유체회전장치(200)에서는 구동모터(201)의 회전속도와 RGB LED 모듈(202)의 빛의 세기는 변화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상품전시부 2 유체회전장치부 2a 구동체 2b 상부체 3 제어부 11 거치판 12 거치브래킷 13 관통홀 15 지지판 20 하우징 21 수용부 23 나사산 24 단턱 25 관통홀 26 상판 27 돌기 28 관통홀 30 구동모터 40 회전날개 41 회전축 42 날개 49 자석 50 유체관 60 상부회전날개 61 상부축 62 날개 69 자석 71,72 유체 90 RGB LED 모듈 200 유체회전장치 203 제어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