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

申请号 KR1020140035439 申请日 2014-03-26 公开(公告)号 KR1020150111717A 公开(公告)日 2015-10-06
申请人 전선희; 发明人 전선희;
摘要 본발명은머리카락묶음용머리방울정리함에관한것으로, 다수의머리카락묶음용머리방울을분리형성된각각의걸이홈상에걸어보관할수 있는구조의정리함을통해머리카락묶음용머리방울을일목요연하게정리하여보관할수 있도록함에그 목적이있다. 이를위해구성되는본 발명은머리카락을묶기위한밴드의양단에장신구가구성된머리카락묶음용머리방울을정리보관하기위한머리카락묶음용머리방울정리함에있어서, 상부가열린원통형또는다각형의통형으로이루어진상하일정길이의함체; 함체의상단으로부터하부측으로일정길이절개되어내외로관통되게형성되어지되일정간격으로다수형성되어함체의상단으로부터삽입되는머리방울의밴드를가이드하는밴드가이드홈; 및밴드가이드홈각각의하단에함체의내외측으로관통형성되어밴드가이드홈을통해하부측으로가이드된머리방울의밴드일단에연결된장신구가후단에걸려머리방울이정리되도록하는머리방울걸이홈을포함한구성으로이루어진다.
权利要求
  • 머리카락을 묶기 위한 밴드의 양단에 장신구가 구성된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을 정리 보관하기 위한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에 있어서,
    상부가 열린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통형으로 이루어진 상하 일정길이의 함체;
    상기 함체의 상단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일정길이 절개되어 내외로 관통되게 형성되어지되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함체의 상단으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머리방울의 밴드를 가이드하는 밴드 가이드홈; 및
    상기 밴드 가이드홈 각각의 하단에 상기 함체의 내외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밴드 가이드홈을 통해 하부측으로 가이드된 상기 머리방울의 밴드 일단에 연결된 장신구가 후단에 걸려 머리방울이 정리되도록 하는 머리방울 걸이홈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가이드홈은 서로 다른 길이의 밴드 가이드홈이 교대로 반복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가이드홈을 통해 상기 머리방울 걸이홈으로 상기 밴드를 삽입하여 상기 머리방울을 정리하거나 상기 머리방울 걸이홈으로부터 상기 밴드 가이드홈 상단으로 정리된 상기 머리방울을 분리하는 경우 상기 밴드와 상기 밴드 가이드홈의 상·하단 양측 모서리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밴드 가이드홈의 상단과 하단 모서리에 곡면 형태로 챔퍼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내부 중심부에 착탈수단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지되 상부가 열린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통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빗을 세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빗통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빗통을 착탈 가능하게 하는 착탈수단은 상기 함체의 내측 바닥면 중심에 형성된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빗통의 하부면 상에 형성되는 고정홈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내부공간 하부측으로 분리 구성되어지되 내외로 입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내부에 머리핀이나 리본 및 장신구를 수납하는 서랍식 수납함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를 상부측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받침대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받침대는 상기 함체의 하부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판상의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중심에 설치 고정되어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 및
    상기 받침판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면 중심을 통해 상기 회전축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상부면을 통해 상기 함체를 지지하는 회전 지지판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판의 상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위치고정돌기; 및
    상기 위치고정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함체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위치고정홈으로 이루어진 함체고정수단이 더 구성되어 상기 함체를 상기 회전 지지판의 상부에 위치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
  • 说明书全文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Organizers for elastic hair band with balls}

    본 발명은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카락을 묶기 위한 밴드의 양단에 장신구가 구성된 머리방울을 가지런하게 정리 보관하여 사용시 찾기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의 활용도와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리함이라는 것을 물건을 정리하여 보관할 때 사용되는 함체라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이러한 정리함은 물건을 정리하여 보관하기 때문에 물건의 사용과 보관의 용이성은 물론 물건의 분실방지와 물건들이 정리됨으로써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정리함이라는 명칭의 다양한 액세서리 정리함이 출시되어 있고 이에 부응하여 국내외 특허공보를 참조하면 다양한 기능을 부가한 정리함이 게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정리함의 종래 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 제2008-0003453호(투명커버가 장착된 귀걸이 정리대)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정리대는 하트 형태의 외곽테두리에 귀걸이를 걸거나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되어지되 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투명커버로 이루어진 기술로 다양한 형태의 머리방울을 수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57999호(수납정리대)는 화장품 용기가 수납되는 용기수납 홈과 화장용구가 삽입 보관되는 용구수납 홈 및 화장용품이 수납 보관되는 보관함의 구조에 덮개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기술로 종류별로 제품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는 있겠으나 정리대의 부피가 크고 사이즈와 형태가 다양한 머리방울을 수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한편, 머리카락을 묶기 위한 밴드의 양단에 장신구가 구성된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을 정리 보관하기 위한 정리함은 기존에 획일화된 제품이 없고 일반적으로 상자나 서랍장을 이용하여 정리하고 있는데 장신구와 밴드 등의 장식이 있어 그 형태가 복잡하며 사이즈가 작고 주로 쌍을 이루고 있어 잘 정리가 되지않아 관리 및 보관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은 머리카락을 묶기 위한 밴드가 구성되기 때문에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다수의 머리방울을 상자나 서랍에 넣어두게 되면 서로 꼬이고 엉키게 되어 정작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꼬이고 엉킨 머리방울을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다수의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을 상자나 서랍에 보관함으로써 서로 꼬이고 엉킨 상태의 머리방울을 풀어야 하는 경우 밴드 부분이 늘어나거나 끊어져 머리카락을 묶어야 하는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는 문제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53150호(2012.05.25.자 공개)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7141호(2004.07.21.자 공고)

    3.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86437호(2002.11.18.자 공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을 분리 형성된 각각의 걸이홈 상에 걸어 보관할 수 있는 구조의 정리함을 통해 두 개가 한 쌍의 세트로 이루어진 다수의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보관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을 분리 형성된 각각의 걸이홈 상에 걸어 보관할 수 있는 구조의 정리함을 통해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을 일목요연하게 정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다수의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을 분리 형성된 각각의 걸이홈 상에 걸어 보관할 수 있는 구조의 정리함을 통해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을 일목요연하게 정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의 파손이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은 머리카락을 묶기 위한 밴드의 양단에 장신구가 구성된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을 정리 보관하기 위한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에 있어서, 상부가 열린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통형으로 이루어진 상하 일정길이의 함체; 함체의 상단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일정길이 절개되어 내외로 관통되게 형성되어지되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함체의 상단으로부터 삽입되는 머리방울의 밴드를 가이드하는 밴드 가이드홈; 및 밴드 가이드홈 각각의 하단에 함체의 내외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밴드 가이드홈을 통해 하부측으로 가이드된 머리방울의 밴드 일단에 연결된 장신구가 후단에 걸려 머리방울이 정리되도록 하는 머리방울 걸이홈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밴드 가이드홈은 서로 다른 길이의 가이드홈이 교대로 반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밴드 가이드홈을 통해 머리방울 걸이홈으로 밴드를 삽입하여 머리방울을 정리하거나 머리방울 걸이홈으로부터 밴드 가이드홈 상단으로 정리된 머리방울을 분리하는 경우 밴드와 밴드 가이드홈의 상·하단 양측 모서리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밴드 가이드홈의 상단과 하단 모서리에 곡면 형태로 챔퍼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함체의 내부 중심부에 착탈수단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지되 상부가 열린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통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빗을 세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빗통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빗통을 착탈 가능하게 하는 착탈수단은 함체의 내측 바닥면 중심에 형성된 고정돌기; 및 고정돌기에 대응하여 빗통의 하부면 상에 형성되는 고정홈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함체의 내부공간 하부측으로 분리 구성되어지되 내외로 입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내부에 머리핀이나 리본 및 장신구를 수납하는 서랍식 수납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함체를 상부측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받침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 받침대는 함체의 하부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판상의 받침판; 받침판의 중심에 설치 고정되어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 및 받침판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면 중심을 통해 회전축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상부면을 통해 함체를 지지하는 회전 지지판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회전 받침대의 구성에는 회전 지지판의 상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위치고정돌기; 및 위치고정돌기에 대응하여 함체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위치고정홈으로 이루어진 함체고정수단이 더 구성되어 함체를 회전 지지판의 상부에 위치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다수의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을 분리 형성된 각각의 걸이홈 상에 걸어 보관할 수 있는 구조의 정리함을 제공함으로써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걸이홈이 다수 형성된 정리함을 통해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을 일목요연하게 정리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걸이홈이 다수 형성된 정리함을 통해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을 일목요연하게 정리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의 파손이나 분실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을 보인 정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을 보인 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의 다른 실시 예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 은 도 5 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을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7 은 도 5 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을 보인 단면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 는 도 8 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을 보인 단면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을 보인 정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을 보인 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100)은 상부가 열린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통형으로 이루어진 상하 일정길이의 함체(110), 함체(110)의 상단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일정길이 절개 형성되어지되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함체(110)의 상단으로부터 삽입되는 머리방울(10)의 밴드(12)를 가이드하는 밴드 가이드홈(120) 및 밴드 가이드홈(120) 각각의 하단에 함체(110)의 내외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밴드 가이드홈(120)을 통해 하부측으로 가이드된 머리방울(10)의 밴드(12) 일단에 연결된 장신구(14)가 후단에 걸려 머리방울(10)이 정리되도록 하는 머리방울 걸이홈(13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머리방울 정리함(100)은 머리카락을 묶기 위한 밴드(12)의 양단에 방울 형태의 장신구(14)가 구성된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10)을 일목요연하게 정리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함체(110)에 밴드 형성되는 밴드 가이드홈(120)과 머리방울 걸이홈(130)을 통해 머리방울(10)의 밴드(12)를 삽입하여 함체(110) 내부공간상에 위치하는 장신구(14)가 머리방울 걸이홈(130) 후단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머리방울(10)을 일목요연하게 정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머리방울 정리함(100)은 도 4 에서와 같이 각각의 밴드 가이드홈(120) 상단을 통해 머리방울 걸이홈(130)으로 삽입되는 머리방울(10)의 밴드(12) 후단(함체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끝단)에 구성된 장신구(14)가 머리방울 걸이홈(130)의 후단(함체 내부공간 방향)에 걸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리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밴드 가이드홈(120) 상단을 통해 머리방울 걸이홈(130)으로 삽입되는 머리방울(10)을 걸어 정리함으로써 머리방울(10)의 밴드(12) 부분을 밴드 가이드홈(120) 상단으로 분리하지 않는 한 머리방울 걸이홈(130)에 걸린 상태의 머리방울(10)은 함체(110)로부터 분리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함체(110)의 밴드 가이드홈(120) 상단을 통해 머리방울 걸이홈(130)으로 삽입되는 머리방울(10)을 걸어 정리함으로써 머리방울(10)을 일목요연하게 정리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각각의 머리방울 걸이홈(130)에 머리방울(10)이 걸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머리방울(10) 서로가 꼬이고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100)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함체(110)는 상부가 열린 통형으로 형성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함체(110)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열린 형태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사각형이나 오각형 및 육각형 등 다각형의 통형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함체(110)는 하부는 닫히고 상부는 열린 원통형이나 다각형의 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함체(110)의 상하 길이는 후술하는 머리방울 걸이홈(130) 상에 머리방울(10)을 걸었을 경우 늘어진 상태의 밴드(12) 하단에 결합된 장신구(14)가 바닥면에 닿지 않을 정도의 상하길이로 형성됨이 보다 양호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밴드 가이드홈(120)은 머리방울(10)을 함체(110)의 머리방울 걸이홈(130) 상에 걸어 정리하고자 하는 경우 머리방울(10)의 밴드(12)를 머리방울 걸이홈(130)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밴드 가이드홈(120)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의 상단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일정길이 절개되어 내외로 관통되게 형성되어지되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함체(110)의 상단으로부터 삽입되는 머리방울(10)의 밴드(12)를 후술하는 머리방울 걸이홈(130)으로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밴드 가이드홈(120)은 함체(110)의 내외측으로 관통되게 절개되어 상하 일정길이로 형성된다. 이때, 밴드 가이드홈(120)은 서로 다른 길이의 밴드 가이드홈(120)이 교대로 반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길고 작은 조합의 밴드 가이드홈(120)이 함체(110)의 전 둘레로 반복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밴드 가이드홈(120)의 절개시 상단과 하단 양측은 날카롭기 때문에 밴드(12)의 삽입 또는 분리시 밴드(12)의 스크레치와 같은 손상이나 피부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밴드 가이드홈(120)의 상단과 하단 모서리는 가공을 통해 곡면 형태로 챔퍼(122)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밴드 가이드홈(120)을 통해 머리방울 걸이홈(130)으로 밴드(12)를 삽입하여 머리방울(10)을 정리하거나 머리방울 걸이홈(130)으로부터 밴드 가이드홈(120) 상단으로 정리된 머리방울(10)을 분리하는 경우 밴드(12)와 밴드 가이드홈(120)의 상·하단 양측 모서리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밴드 가이드홈(120)의 상단과 하단 모서리에 곡면 형태로 챔퍼(122)가 더 형성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밴드 가이드홈(120)의 상단과 하단 모서리에 곡면 형태로 챔퍼(122)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밴드 가이드홈(120)의 전·후단 모서리 역시 날카롭기 때문에 이를 곡면 형태로 가공함이 보다 양호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머리방울 걸이홈(130)은 머리방울(10)을 걸어 정리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머리방울 걸이홈(130)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가이드홈(120) 각각의 하단에 함체(110)의 내외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밴드 가이드홈(120)을 통해 하부측으로 가이드된 머리방울(10)의 밴드(12) 일단에 연결된 장신구(14)가 후단에 걸려 머리방울(10)의 정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머리방울 걸이홈(130)은 밴드 가이드홈(120)을 통해 삽입 가이드된 머리방울(10)의 밴드(12) 부분이 관통되게 위치되어 함체(110) 내부공간에 위치한 밴드(12) 일단의 장신구(14)가 머리방울 걸이홈(130)의 후단(내측단)에 걸려 머리방울(10)의 정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머리방울 걸이홈(130)을 통해 머리방울(10)을 걸어 놓게 되면 일목요연하게 머리방울(10)의 정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서로 꼬이고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머리방울(10)의 분실을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밴드 가이드홈(120) 하단에 형성되는 머리방울 걸이홈(130)의 위치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머리방울 걸이홈(130) 상에 머리방울(10)을 걸었을 경우 늘어진 상태의 밴드(12) 하단에 결합된 장신구(14)가 바닥면에 닿지 않을 정도의 위치로 형성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의 다른 실시 예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 은 도 5 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을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7 은 도 5 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을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열린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통형으로 이루어진 상하 일정길이의 함체(110), 함체(110)의 상단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일정길이 절개 형성되어지되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함체(110)의 상단으로부터 삽입되는 머리방울(10)의 밴드(12)를 가이드하는 밴드 가이드홈(120) 및 밴드 가이드홈(120) 각각의 하단에 함체(110)의 내외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밴드 가이드홈(120)을 통해 하부측으로 가이드된 머리방울(10)의 밴드(12) 일단에 연결된 장신구(14)가 후단에 걸려 머리방울(10)이 정리되도록 하는 머리방울 걸이홈(13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100)에는 빗통(14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100)에는 함체(110)의 내부 중심부에 착탈수단(150)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지되 상부가 열린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통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빗을 세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빗통(14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빗통(140)을 함체(110)의 내부 중심부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착탈수단(150)은 함체(110)의 내측 바닥면 중심에 형성된 고정돌기(152) 및 고정돌기(152)에 대응하여 빗통(140)의 하부면 상에 형성되는 고정홈(15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형성된 착탈수단(150)은 함체(110)의 내측 바닥면 중심에 형성된 고정돌기(152)에 빗통(140)의 하부면 상에 형성되는 고정홈(154)을 결합함으로써 함체(110)의 내부 중심부에 빗통(14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빗통(140)의 형태는 함체(110)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함이 양호하나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함체(110)의 형태가 원통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인 경우 빗통(140)의 형태 또한 원통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함이 양호하나 원통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 함체(110)에 대하여 사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원통형의 빗통(140)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100)에는 도 5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카락과 관련 있는 제품 즉, 머리핀이나 리본 및 장신구 등을 수납하는 서랍식 수납함(160)이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서랍식 수납함(160)은 함체(110)의 하부측 전면에 개구된 서랍 가이드홈(162) 상에 내외로 입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내부에 머리핀이나 리본 및 장신구를 수납하게 된다. 이때, 서랍식 수납함(160)의 출입이 이루어지는 서랍 가이드홈(162)은 함체(110)의 내부공간과는 분리 구성되어진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100)에 빗통(140)과 서랍식 수납함(160)을 더 구성함으로써 근본적인 목적인 머리방울(10)을 일목요연하게 정리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빗, 머리핀, 리본 및 장신구 등을 빗통(140)과 서랍식 수납함(160)을 통해 보관할 수가 있어 분실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 는 도 8 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을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열린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통형으로 이루어진 상하 일정길이의 함체(110), 함체(110)의 상단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일정길이 절개 형성되어지되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함체(110)의 상단으로부터 삽입되는 머리방울(10)의 밴드(12)를 가이드하는 밴드 가이드홈(120) 및 밴드 가이드홈(120) 각각의 하단에 함체(110)의 내외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밴드 가이드홈(120)을 통해 하부측으로 가이드된 머리방울(10)의 밴드(12) 일단에 연결된 장신구(14)가 후단에 걸려 머리방울(10)이 정리되도록 하는 머리방울 걸이홈(13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머리카락 묶음용 머리방울 정리함(100)을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받침대(17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는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를 상부측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받침대(170)가 더 구성된다. 이때, 회전 받침대(170)는 함체(110)의 하부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판상의 받침판(172), 받침판(172)의 중심에 설치 고정되어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174) 및 받침판(172)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면 중심을 통해 회전축(174)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상부면을 통해 함체(110)를 지지하는 회전 지지판(17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 받침대(170)는 회전 지지판(176) 상부로 함체(110)를 지지하여 좌우로 회전 지지판(176)을 회전시킴으로써 함체(110)의 머리방울 걸이홈(130) 상에 걸려 정리된 상태의 머리방울(10)을 골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함체(110)는 회전 지지판(176)의 상부에 함체고정수단(180)을 통해 위치 고정되기 때문에 함체(110)를 좌우로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 지지판(176)의 좌우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지지판(176)의 상부에 함체(110)를 위치 고정시키는 함체고정수단(180)은 회전 지지판(176)의 상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위치고정돌기(182) 및 위치고정돌기(182)에 대응하여 함체(11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위치고정홈(18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함체고정수단(180)은 함체(110)를 회전 지지판(176) 상부에 올려놓을시 함체(110)의 하부의 위치고정홈(184)을 회전 지지판(176) 상부의 위치고정돌기(182)에 맞춘 상태에서 올려놓게 되면 함체(110)는 회전 지지판(176) 상에 위치 고정되어 함체(110)는 회전 지지판(176)과 함께 회전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함체(110)에 밴드 가이드홈(120)과 머리방울 걸이홈(130)이 형성함으로써 머리방울(10)을 일목요연하게 정리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과 보관의 편리성을 제공함은 물론, 머리방울(10)이 서로 꼬이고 엉키는 등의 문제와 분실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 머리방울 12. 밴드
    14. 장신구
    100. 머리방울 정리함 110. 함체
    120. 밴드 가이드홈 130. 머리방울 걸이홈
    140. 빗통 150. 착탈수단
    152. 고정돌기 154. 고정홈
    160. 서랍식 수납함 170. 회전 받침대
    172. 받침판 174. 회전축
    176. 회전 지지판 180. 함체고정수단
    182. 위치고정돌기 184. 위치고정홈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