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 빗물 제거장치

申请号 KR1020120055931 申请日 2012-05-25 公开(公告)号 KR1020130131946A 公开(公告)日 2013-12-04
申请人 남승희; 发明人 남승희;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rella rainwater remov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 housing which includes a moving wheel in the lower part,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bsorbs rainwater from an umbrella by forming a rainwater elimination part in which a wet umbrella is inserted and which moves around the umbrella; an umbrella insertion part which inserts an umbrella into the housing and supports the umbrella; a plurality of rainwater removal parts which are mounted on the circumference of a rotary plate at a constant interval and has a rotary absorber inserted between rods with a constant length; and a power transfer part which comprises a pedal, a link, a rack, and a pinion and drives the rainwater elimination part. The plurality of rainwater elimination parts absorb rainwater of an umbrella by rotating in a state that the wing of the absorber is spread in the central space of the housing while rotating by the drive of the power transfer part and revolving around an umbrella. The rainwater elimination part is arranged at an interval from the inner wall from the center of a housing to remove water absorbed by the absorber while the wing of the absorber is compress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权利要求
  •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13) 내에서 비에 젖은 우산의 주위를 공전하면서 자전하는 흡수체(11)로 이루어지는 빗물제거부(70)를 형성하여 우산에 묻은 빗물을 흡수하면서 동시에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하부에 이동바퀴(17)와 물받이를 구비한 하우징(13)과; 상기 하우징(13)에 우산을 삽입하고 지지하는 우산 주입부(60)와; 일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봉재(12) 사이에 흡수체(11)를 회전 가능하게 끼우고 상기 봉재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상부 회전판(8)과 하부 회전판(6)의 원주상에 일정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빗물제거부(70)와; 페달(1)과 링크(2) 및 래크(3)와 피니언(5)으로 이루어져 상기 빗물제거부(70)를 구동하는 동력전달부(80)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빗물제거부(70)는 상기 동력전달부(80)의 구동에 따라 자전하면서 우산 주위를 공전하여, 상기 하우징(13)의 중심측 공간에서는 빗물제거부에 구비되는 흡수체(11)의 날개가 펴진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우산의 빗물을 흡수하고, 하우징(13)의 내벽측 공간에서는 흡수체(11)의 날개가 하우징(13) 내벽에 압착되면서 회전하여 흡수된 물이 탈수되도록 하우징(13)의 중심에서 내벽측으로 일정거리 이격시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80)는, 상기 하부 회전판(6)의 중심부 아래측에 상기 래크(3)와 치합되는 소직경의 피니언(5)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회전판(8)은 그 중심부가 관통된 링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주입부(60)는 우산을 삽입하는 삽입구(14)와 우산의 꼭지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일반 우산용 지지구(15A) 또는 접이식 우산용 지지구(15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11)는 다수개의 날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우산용 지지구(15A)는 삽입구(14)와 동일한 중심축을 이루며 장착되는 하부 회전판(6)의 중앙에 오목홈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우산용 지지구(15B)는 하부 회전판(6)의 상부 중앙에 일체형 또는 조립형으로 형성하되, 원통형 케이스(15a)의 내측 하부에 반력 스프링(15d)과 고정링(15c)으로 하부를 결속한 흡수부재(15b)를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흡수부재(15b)는 탄성을 가지며 물을 흡수하고 탈수되는 특성을 가지는 흡수재로 형성하되, 하부를 모아서 압착하여 고정링(15c)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 说明书全文

    우산 빗물 제거장치{UMBRELLA RAINWATER RE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천시 사용한 우산에 묻은 빗물을 신속히 제거하기 위하여 흡수체로 이루어지는 빗물제거부를 회전시켜 우산에 묻은 빗물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천시 우산을 사용한 사용자는 다수인이 이용하는 건물의 내부로 들어갈 때, 우산을 잃어버리지 않기 위하여 우산을 접어서 소지하고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젖은 우산을 그대로 들고 건물 내를 이동하면 우산으로부터 빗물이 떨어져 실내 바닥이 미끄러워 지거나, 바닥에 떨어진 빗물이 보행자의 신발 등으로부터 분리된 각종 오물 등과 혼합되어 실내 바닥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비에 젖은 우산을 소지하고 건물 내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건물 입구에 우산 보관통 또는 보관대를 비치하거나, 건물 입구에서 비닐커버를 제공하여 우산을 비닐커버에 담아 우산을 소지하고 건물 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보관통 또는 보관대에 우산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우산을 분실하거나, 서로 바뀌는 경우가 빈발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어, 우산 사용자는 그대로 젖은 우산을 소지하고 건물 내로 진입하는 문제점이 있고, 비닐커버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비닐커버 제작비용과 사용된 비닐을 회수하여 환경이 오염되지 않도록 폐기 처리하는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에 젖은 우산을 그대로 소지하고 다닐 경우 우산에 묻은 빗물이 인체 또는 옷을 적시게 되어 옷을 버리거나 불쾌감을 느끼는 것은 물론, 빗물이 방사능에 오염된 경우 인체에 방사능이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313978호(2003. 5. 22. 공고)가 종래기술로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을 본체(10)에 수용하는 우산수용홈이 구비되며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빗물제거수단(20)과, 빗물제거수단(20)의 양측에 탈수플레이트(30,32)를 설치하고, 탈수플레이트를 압착하는 탈수페달(40)을 구비하여, 빗물제거수단(20)에 흡착되는 빗물을 탈수플레이트로 짜내어 배출구(50)로 배출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일정수량의 우산에 묻은 빗물을 빗물제거부에 흡착시킨 다음, 흡착된 빗물을 탈수폐달을 작동시켜 탈수하여여만 또 다른 우산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일정수량의 우산에 묻은 빗물을 제거한 다음 탈수폐달을 작동시키지 않으면 빗물제거수단에 빗물이 그대로 채워져 있어, 또 다른 우산에 묻은 빗물을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고 빗물제거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는 빗물제거수단이 구비된 빗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되, 빗물제거수단을 회전시켜 우산에 묻은 빗물을 흡수하는 동시에 흡수된 빗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계속적이며 신속하게 또 다른 우산에 대한 빗물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에 젖은 우산을 삽입하고 우산 주위를 공전하고 자전하여 우산에 묻은 빗물을 흡수하고 동시에 탈수하는 흡수체를 구비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하부에 이동바퀴와 물받이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우산을 삽입하고 지지하는 우산 주입부와; 일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봉재 사이에 회전 가능한 흡수체를 끼우고 상기 봉재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상부 회전판과 하부 회전판의 원주상에 일정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빗물제거부와; 페달과 링크 및 래크와 피니언으로 이루어져 상기 빗물제거부를 구동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에 우산을 삽입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를 동작시켜 상기 복수개의 빗물제거부가 자전하면서 우산 주위를 공전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의 중심측 공간에서는 흡수체의 날개가 펴진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우산의 빗물을 흡수하고, 하우징 내벽측 공간에서는 흡수체의 날개가 하우징 내벽에 압착되면서 회전하여 흡수체에 흡수된 물을 탈수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흡수가 용이한 흡수체를 포함하는 빗물제거부 복수개를 하우징의 내벽 측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회전시킴으로써, 한번의 동작으로 흡수체가 우산의 빗물을 흡수하면서 동시에 탈수가 이루어져서 다수의 우산 빗물을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우산을 삽입하고 페달을 밟기만 하면 빗물이 제거되므로 백화점이나 공공기관에서 별도의 우산 커버용 비닐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한 우산 커버용 비닐의 처리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비에 젖은 우산을 그대로 소지하고 진입함에 따라 실내 환경이 불결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에 젖은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고 소지함으로써 우산에 묻은 빗물이 인체 또는 옷을 적시지 않게 되어 옷을 버리거나 불쾌감을 느끼지 않으며, 방사능에 오염된 빗물인 경우 빗물의 인체 접촉을 방지하여 인체 방사능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우산 사용자가 건물 진입시 빗물이 제거된 자신의 우산을 소지하고 행동할 수 있게 하므로, 건물 진입 전 우산 보관에 따른 분실이나 바뀜을 방지할 수 있어, 우산 사용자의 심리적 불안과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우산용 빗물 제거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용 빗물 제거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용 지지구에서 접힘부 빗물을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흡수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상부 회전판과 하부 회전판 사이에 흡수체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하부에 위치한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제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우산용 지지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일정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13) 내에서 비에 젖은 우산의 주위를 공전하면서 자전하는 흡수체(11)로 이루어지는 빗물제거부(70)를 형성하여 우산에 묻은 빗물을 흡수하면서 동시에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를 형성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도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을 가지며 하부에 이동바퀴(17)와 물받이를 구비한 하우징(13)과; 상기 하우징(13)에 우산을 삽입하고 지지하는 우산 주입부(60)와; 일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봉재(12)의 사이에 흡수체(11)를 회전 가능하게 끼우고 상기 봉재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상부 회전판(8)과 하부 회전판(6)의 원주상에 일정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빗물제거부(70)와; 페달(1)과 링크(2) 및 래크(3)와 피니언(5)으로 이루어져 상기 빗물제거부(70)를 구동하는 동력전달부(80)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3)의 중심부에 우산을 삽입하고, 상기 동력전달부(80)를 구동시키면 상기 복수개의 빗물제거부(70)가 우산 주위를 공전하면서 동시에 상기 빗물제거부(70)의 일측은 하우징(13)의 내벽과 압착되어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인해 자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13)의 중심측 공간에서는 흡수체(11)의 날개가 펴진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우산의 빗물을 흡수하고, 하우징(13)의 내벽측 공간에서는 흡수체(11)의 날개가 하우징(13) 내벽에 압착되면서 회전하여 흡수체(11)에 흡수된 물이 탈수되도록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3)은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원통형 몸체(13a)에 상부판(13b)과 하부판(13c)을 결합하고, 상기 상부판(13b)의 중앙부에는 우산을 삽입하는 우산삽입구(13d)를 일정크기의 직경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13c)은 그 중앙부에 다수개의 소형 배출구(13e)를 천공하여 형성하고, 하부판(13c)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배출구(13e)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받아서 보관하는 물받이(16)를 착탈식으로 장착하며, 상기 하부판(13c)의 외주부에는 복수개의 이동바퀴(17)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우산 주입부(60)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을 삽입하는 삽입구(14)와 우산의 꼭지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일반 우산용 지지구(15A) 또는 접이식 우산용 지지구(15B)를 포함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삽입구(14)는 하우징(13)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판(13b)의 중앙부를 우산이 삽입되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원형으로 관통시켜 형성한다.

    또한 일반 우산용 지지구(15A)는 길이가 길은 우산을 비롯한 일반우산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구(14)와 동일한 중심축을 이루며 장착되는 하부 회전판(6)의 중앙에 우산의 손잡이 반대측에 위치하는 우산꼭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오목한 홈으로 형성한다.

    상기 접이식 우산용 지지구(15B)는 도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이식 우산을 삽입하고 지지하면서, 우산이 접혀지는 접힘부의 빗물을 흡수하고 탈수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접이식 우산용 지지구(15B)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접이식 우산용 지지구(15B)는 하부 회전판(6)의 상부 중앙에 일체형 또는 조립형으로 형성하되, 원통형 케이스(15a)의 하부에서 반력 스프링(15d)으로 받쳐지며 고정링(15C)으로 하부를 결속한 흡수부재(15b)를 포함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도 9에 상기 접이식 우산용 지지구(15B)의 외형을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수부재(15b)는 탄성을 가지며 물을 흡수하는 스폰지와 같은 흡수재로 형성하고, 상기 접이식 우산용 지지구(15B)의 중심부로 접이식 우산의 꼭지부터 밀어넣고 인출하면서 우산의 접힘부에 묻은 물을 흡수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흡수부재(15b)는 스폰지와 같은 탄성을 가지는 흡수재를 전체적으로 둥글게 말고, 이렇게 둥글게 말은 상태에서 하부를 압착하여 고정링(15c)으로 고정하며, 흡수부재(15b)의 상부는 흡수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링으로 압착한 하부측보다 전체적으로 직경이 크며 둥글게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처럼 흡수부재(15b)가 둥글게 펼쳐진 상태가 이루어지는 부위의 높이는 접이식 우산의 접힘부 길이를 감안하여 결정되는데, 5cm 내지 15cm 범위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형 케이스(15a)는 그 상부에 상기 흡수부재(15b)가 상하로 이동되더라도 원통형 케이스 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원형의 탄턱(15f)을 형성한다. 도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통형 케이스(15a)는 그 높이를 상기 흡수부재(15b)가 상하 이동되어 입출입이 가능한 길이를 확보하여 형성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케이스(15a)의 하부 원주에는 복수개의 배출구(15e)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력 스프링(15d)은 원통형 케이스(15a) 내측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흡수부재(15b)의 고정링(15c)에 의해 상부가 받쳐지는 구조로 장착하여, 상기 흡수부재(15b)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링(15c)을 밀어올려 흡수부재(15b)의 상부가 원통형 케이스의 상측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접이식 우산용 지지구(15B)를 구비함에 따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이식 우산용 지지구(15B)의 상부로 접이식 우산에 외력을 가해 우산 꼭지부를 밀어 넣으면, 우산의 접힘부는 스폰지와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흡수부재의 사이를 헤치며 하부로 삽입하게 되고, 이 때 우산의 접힘부 나측에 묻은 빗물이 흡수부재를 이루는 흡수재에 의해 흡수되는 것이다.

    이어서 접이식 우산에 외력을 가해 계속해서 하부로 밀어 넣으면 흡수부재(15b)의 하부를 결속한 고정링(15c)이 반력 스프링(15d)을 밀면서, 원통형 케이스(15a) 내에 노출된 흡수부재(15b)가 원통형 케이스(15a)에 압착되어 삽입하게 되고, 흡수부재(15b)가 압착되고 삽입되면서 흡수부재(15b)는 우산 접힘부에서 흡수한 빗물을 짜내어 상기 원통형 케이스(15a) 상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탈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접이식 우산에 외력을 제거하고 우산을 상기 지지구(15)에서 빼내면 상기 흡수부재(15b)가 반력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흡수부재(15b)의 상부 흡수재 또한 자체 탄성력에 원래의 상태로 펼쳐져 복원되고, 이 때 흡수부재(15b)d의 흡수재가 우산 접힘부 가측에 접촉하여 우산 접힘부 가측에 묻은 빗물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우산을 지지구(B)에 밀어 넣고 인출하는 동작이 반복되면서 흡수부재(15b)는 접이식 우산의 접힘부 가측과 접힘부 나측에 묻은 빗물을 흡수하여 탈수하고, 또 다른 우산의 접힘부에 묻은 빗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케이스(15a)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배출공(15e)을 통해 상기 고정링(15c)과 원통형 케이스(15a) 사이 틈새를 통해 유입되는 우산에 묻은 빗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빗물제거부(70)는 도 2, 3, 6,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가지는 봉재(1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상부 회전판(8)과 하부 회전판(6)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봉재(12)의 사이에 일정길이를 가지는 흡수체(11)를 끼워서 형성하되 봉재(12)에 끼워진 흡수체(11) 또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즉, 또한 도 2, 3,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봉재(12)는 상부 회전판(8)과 하부 회전판(6) 사이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결합하되, 상기 각 회전판과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봉재(12)의 양단부측에 상부 회전판(8)과 하부 회전판(6)에 삽입되어 지지하는 걸림턱(12a)를 형성하여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흡수체(1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길이를 가지며 다수개의 날개를 방사상 형태(또는 별 형상)로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흡수체(11)는 흡수성이 우수한 성질을 갖으면서, 고탄력이고 내마모성 특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체(11)의 길이는 우산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데, 일반 우산용은 50cm 내지 90cm로 형성하고, 접이식 우산용은 20cm 내지 50c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전달부(80)는 페달(1), 링크(2) 및 래크(3), 그리고 피니언(5)으로 이루어져 상기 복수개의 빗물제거부(70)를 구동하도록 형성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페달(1)은 일측 단부에 상기 링크(2)의 상부와 고정핀(2a)으로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2)의 하부는 연결핀(2b)으로 래크(3)를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핀(2a)은 상기 하우징(13)에 고정하여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링크(2)에는 페달(1)의 수직 왕복 이동을 래크(2)에 수평방향 왕복 이동으로 변환되어 전달되도록 상기 연결핀(2b)이 상하로 유동되는 장홈(2c)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래크(3)가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것은 반력 스프링이 내장된 래크 가이드에 의해 래크(3)가 가이드 되어 페달(1)을 밟아 외력을 가하면 좌측으로 이동하고, 페달(1)에 외력을 제거하면 반력 스프링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래크(3)의 기어부는 상기 하부 회전판(6)의 아래 부분에 구비되는 피니언(5)과 치합시킨다. 이러한 래크와 피니언 구성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구체적인 설명과 도시를 생략한다.

    도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회전판(6)과 상부 회전판(8)을 복수개의 봉재(12)로 연결하도록 한다. 상기 하부 회전판(6)는 중심부에는 상기 래크(3)와 치합되는 소직경의 피니언(5)을 일체로 형성한다. 그리고 피니언(5)의 하부에 스러스트 베어링(5a)을 장착하고 하부 회전판(6)의 하단부가 상기 하우징(16)의 하부판(13c)에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 회전판(8)은 그 중심부에 우산을 삽입하고 취거하는 관통부(8a)가 구비된 링형태로 형성하고, 상부 회전판(8)은 외주부에 회전판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링(9)을 장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봉재(12)가 상기 상부 회전판(8)과 상기 하부 회전판(6) 사이에 끼워지는 위치는 도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3) 내부에 우산이 삽입된 중심측으로는 넓은 공간이 형성되고 하우징(13)의 내벽측으로는 좁은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13)의 중심에서 내벽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시킨다.

    상기 동력 전달부(80)에 의해 상기 빗물제거부(70)가 구동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우산 주입부에 우산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동력전달부(80)의 페달(1)을 작동시키면 페달의 단부에 결합되는 링크(2)를 통해 래크 가이드에 설치되는 래크(3)가 왕복으로 수평 이동된다. 상기 래크(3)의 왕복 수평이동에 따라 도 6,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회전판(6)의 아래쪽에 구비되는 피니언(5)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하부 회전판(6)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부 회전판(8)과 하부 회전판(6) 사이에 장착된 빗물제거부(70)는 상기 하부 회전판(6)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우산 주위를 공전하게 된다. 상기 하부 회전판(6)이 우산 주위를 공전하면 상기 빗물제거부(70)는 상기 하우징(13)의 내벽과 압착된 상태로 접촉하게 되고, 이 때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빗물제거부(70)는 봉재(12)와 흡수체(11)가 함께 자전되거나 봉재와 흡수체가 각각 자전된다.

    즉, 복수개의 봉재(12)에 흡수체(11)를 끼워서 형성하는 상기 빗물제거부(70)는 하부 회전판(6)의 회전 구동에 따라 우산의 주위를 공전하면서 자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빗물제거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날개로 이루어진 흡수체(11)는 우산이 삽입된 쪽의 넓은 공간에서 날개가 펴져 우산에 묻은 빗물을 흡수하고, 하우징(13) 내벽 쪽으로 형성되는 좁은 공간에서 날개가 압착되면서 통과하여 흡수체(11)에 흡수된 빗물을 짜내어 배출하고, 배출된 빗물을 상기 물받이(16)에서 받아서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복수개의 빗물제거수부(70)를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페달(1)을 동작시키면 빗물제거부(70)가 빠르게 회전하면서 우산의 빗물을 흡수하고 탈수시키는 작용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연속적으로 그리고 신속하게 다수의 비에 젖은 우산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획기적인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접이식 우산용 지지구(B)를 구비함으로써, 접이식 우산의 접힘부에 묻은 빗물을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제거하는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물받이(16)는 우산으로부터 탈수되는 물이 외부로 바로 배출되지 않도록 수집하는 용기이며, 하우징(13)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고 투명하게 형성하여 담긴 물의 용량을 알 수 있으며 물이 넘치기 전에 비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13)의 하부에 장착되는 바퀴(17)를 통해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모든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1 : 페달 2 : 링크
    3 : 래크 5 : 피니언
    6 : 하부 회전판 8 : 상부 회전판
    9 : 가이드링 10 : 본체
    11 : 흡수체 12 : 봉재
    13 : 하우징 14 : 삽입구
    15 : 지지구 16 : 물받이
    17 : 이동바퀴 12a : 걸림턱
    20 : 빗물제거수단 30 : 탈수플레이트
    32 : 탈수플레이트 40 : 탈수페달
    15A : 일반 우산용 지지구 15B : 접이식 우산용 지지구
    15a : 원통 케이스 15b : 흡수부재
    15c : 고정링 15d : 반력 스프링
    13a : 원통형 몸체 13b : 상부판
    13c : 하부판 13d : 우산삽입구
    13e : 배출구 2a : 고정핀
    2b : 연결핀 2c : 장홈
    70 : 빗물제거부 60 : 우산주입부
    80 : 동력전달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