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공구용 회전 스탠드

申请号 KR1020070121713 申请日 2007-11-27 公开(公告)号 KR1020090054825A 公开(公告)日 2009-06-01
申请人 임두만; 发明人 임두만;
摘要 A rotation stand for the dentist's instruments is provided, which enables to manage the tools for the dentistry treatment hygienically and makes selection and drawl facilitated when necessary. A rotation stand for the dentist's instruments comprises: a base portion(11); a rotating member(15)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top of the base portion; a plurality of receiving members(20) extended radially from the rotating member; a storage container(30) prepared on the top of the rotating member; and a cover(40) which surrounds receiving members and in which one side is opened so that one or more receiving members can be exposed outside.
权利要求
  •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부재와;
    상면에 치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되고 상호 이격되어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수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는 단차진 복수개의 지지부를 구비하며, 각 지지부의 상면에 상기 삽입홈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수납부재들을 감싸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납부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기 수납부재에 장착된 상기 치공구들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유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 또는 상기 커버의 상측에 설치되고, 치과 진료 또는 치료시 사용된 치공구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된 치공구를 사용되지 않은 치공구와 분리 보관하기 위한 보관용기와,
    상기 수납부재 또는 상기 커버에 상기 수납되는 치공구들의 치수를 측정할 수 있는 치수측정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용기는 상방으로 개구되며, 하방으로 인입된 인입홈을 갖는 용기바디와;
    상기 용기바디의 상부에 고정링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된 용기바디의 상부를 감싸며, 치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소독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
  • 说明书全文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 {Rotating stand for the dentist's instruments}

    본 발명은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치과 진료 또는 치료를 위한 기구들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필요시 용이하게 선택 및 인출할 수 있는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사용하는 치공구 중 버(bur)는 치과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구강내에서 홈을 형성하거나 치아를 절삭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핸드피스에 부착되어 작동하며 통상적으로 일정길이의 몸체의 단부에 다이아몬드와 같은 절삭편을 전착하여 절삭부를 형성한 것이고, 파일은 치아의 내부로 삽입하여 신경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핸드피스에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치과 의사가 직접 손으로 파지하고 치료시에 사용한다.

    이러한 버와 파일은 치료하고자 하는 사용처와, 치수에 따라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치과에서는 복수개의 버와 파일을 그 치수에 따라 구비하고, 목적에 맞는 버와 파일을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버와 파일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버 또는 파일을 보관하기 위한 스탠드가 사용되는데, 스탠드는 통상적으로 버나 파일을 인입하여 수납할 수 있는 복수개의 인입홈이 형성된 지지체와, 버 또는 파일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할 수 있도록 지지체에 장착된 커버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탠드는 치수에 따라 재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사용된 버 또는 파일을 따로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별도의 칸막이가 없기 때문에 버나 파일을 재치할 때 근접된 것끼리 마찰 접촉하여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과용 버 또는 파일을 종류에 따라 용이하게 분류하여 수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쉽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치공구를 관리 보관할 수 있는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부재와, 상면에 치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되고 상호 이격되어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수납부재를 구비하는데, 상기 수납부재는 단차진 복수개의 지지부를 구비하며, 각 지지부의 상면에 상기 삽입홈들이 형성된다.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수납부재들을 감싸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납부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기 수납부재에 장착된 상기 치공구들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유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 또는 상기 커버의 상측에 설치되고, 치과 진료 또는 치료시 사용된 치공구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된 치공구를 일차적으로 소독하는 보관용기와, 상기 수납부재 또는 상기 커버에 마련되어 수납되는 치공구의 치수를 측정할 수 있는 치수측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는 치공구 특히 버의 관리가 용이하며, 치료에 적합한 종류의 버를 인출하기가 용이하다.

    그리고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므로 치과 진료를 하는 환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1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10)는 베이스부(11)와, 베이스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부재(15)와, 회전부재(15)에 설치되는 수납부재(20) 및 회전부재(15)의 상부에 마련되는 보관용기(30)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1)는 고정부재(12)와, 고정부재(1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원통부재(13)를 구비하는데, 고정부재(12)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면과 접촉하는 바닥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마찰부재가 더 부착될 수도 있다.

    원통부재(13)는 고정부재(12)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며, 원통부재(13)의 상부에는 보관용기(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결합 부(14)가 마련되어있다.

    회전부재(15)는 베이스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중앙에 원통부재(13)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홀(16)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수납부재(2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회전부재(15)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체결홈(17)이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어있으며, 상기 체결홈(17)은 더브테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재(15)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10개의 체결홈(17)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회전부재(15)는 베이스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면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체결홈(17)의 갯수도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수납부재(20)는 치공구 중 치아의 절삭이나 홈을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버 또는 신경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파일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부재(15)의 체결홈(17)에 삽입되어 회전부재(15)와 결합되는 돌출부(21)와, 상기 회전부재(15)와의 결합시 회전부재(15)를 중심으로 방사상의 방향으로 돌출부(21)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22)를 구비한다.

    돌출부(21)는 체결홈(17)의 더브테일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체결 후, 회전부재(15)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지지부(22)는 회전부재(15)의 외측으로 연장될수록 상면의 높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단차져 있으며, 단차진 각각의 면에는 삽입홀(23)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2)의 상면이 단차져 있기 때문에 이에 삽입되는 치공구의 장착 높이에도 차이 가 생기게 되며, 필요한 치공구를 수납부재(20)로부터 인출할 때, 각각의 치공구의 높이가 다르므로 선택한 치공구만을 다른 치공구의 간섭없이 용이하게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단차진 각각의 면에는 삽입홀(23)에 삽입되는 치공구의 치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표(24)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22)의 단차진 하나의 지지면에 각각 세 개씩의 삽입홀(23)이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삽입홀(23)의 갯 수는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지지부(22)의 최 외측면에는 치수측정부(25)가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지지면에는 삽입홀(23)에 삽입되는 치공구의 치수가 기입되어 있어서 치공구를 인출하지 않고도 사이즈를 쉽게 분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파일과 같이 신경을 치료하는 치공구는 정확한 치수의 치공구를 사용하지 않으면 환자에게 손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에 치공구의 사용 전, 선택한 치공구가 정확한 치수의 치공구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선택한 치공구를 치수측정부(25)에 꽂아서 치공구의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잘못된 치수의 치공구를 사용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회전부재(15)의 상부에는 보관용기(30)가 부착되어 있다. 보관용기(30)는 사용된 치공구를 사용하지 않은 치공구와 분리하고 일차적으로 소독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 상기 회전부재(15)의 중공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 원통부재(13)의 나사결합부(14)와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사용된 치공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32)이 마련되어 있다. 수납공간(32)에는 부직 포(33)가 놓여있으며, 이 부직포(33)에 알콜과 같은 소독약품을 흡착시킨다.

    사용된 치공구를 보관용기(30)에 두면, 부직포(33)에 흡착된 소독약품에 의해 치공구가 일차적으로 소독이 되며, 치료를 하는 치과 의사는 사용한 치공구와 사용하지 않은 치공구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으므로, 사용된 치공구를 다른 환자에게 재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위생상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보관용기(30)에 설치된 부직포(33)는 두께가 두꺼운 제1 부분(34)과, 제1 부분(34)에 비해 두께가 얇은 제2 부분(35)을 갖는다. 제1 부분(34)에는 파일을 꽂아둘 수 있으며, 제2 부분(35)에는 제1 부분(34)과 보관용기(30)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버를 안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부직포(33)는 파일과 버를 동시에 수납하는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10)에 설치되는 것이고, 이와는 달리 버 또는 파일을 단독으로 장착하는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10)의 경우에는 장착되는 치공구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두께 또는 모양을 갖는 부직포(33)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보관용기(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을 꽂을 수 있는 소독천(36)이 보관용기(30)의 상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소독천(36)은 탄성링(37)에 의해 고정되며, 사용된 파일을 소독천(36)에 꽂아두었다가 파일을 소독천(36)으로부터 인출하여 세척 및 소독하며, 사용된 소독천(36)은 버리고 새로운 소독천(36)을 보관용기(30)에 설치함으로써 위생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100)에는 수납부재(20)를 감싸는 커버(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베이스부(11)와 회전부재(15) 및 수납부재(2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그 형태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버(40)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회전부재(15)와 수납부재(20)를 감쌀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갖는다. 커버(40)의 상부는 폐쇄되어 있는데, 상부 중앙에는 원통부재(13)의 나사결합부(14)가 결합되는 제2 나사결합홈(41)이 마련되어 있다.

    커버(40)의 일측에는 수납부재(2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된 노출부(42)가 형성되어 있어서, 치료자는 회전부재(15)를 회전시키면서 원하는 치공구가 장착된 수납부재(20)가 노출부(42)를 통해 노출되도록 위치시킨 후, 치공구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커버(40)가 노출부(42)를 통해 노출되는 일부분을 제외한 모든 수납부재(20)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나 먼지가 치공구에 부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커버(40)에는 치공구를 자외선으로 살균 처리하기 위한 자외선 램프유니트(43)가 설치되어 있다.

    자외선 램프유니트(43)는 커버(4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치공구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44)와, 자외선램프(4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5)와, 자외선램프(44)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46)를 구비한다.

    자외선램프(44)에서는 250~350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이 조사되며, 이 자외선이 치공구의 표면에 바이러스를 비롯한 유해균을 살균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인 치 공구의 보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원공급부(45)는 외부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전원케이블이 베이스부(11)를 통해 연장되며, 베이스부(11)에 자외선램프(44)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할 수 있도록 스위치(46)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자외선 램프유니트(43)는 전원공급부(45)로부터 자외선램프(44)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가 부착된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에서는 스위치(46)를 온 시키면 치공구를 살균할 수 있도록 지정된 시간 동안 자외선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여 자외선을 조사하고, 지정된 시간이 지나면 전원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한다.

    커버(40)의 상부에는 상술한 보관용기(30)가 설치되어 사용된 치공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용한 치공구를 재사용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노출부(42)와 인접한 커버(40)의 일측에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치수측정부(25)가 마련되어 있어서 치공구의 치수를 측정한 후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는 커버가 부착된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20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치공구를 살균 소독하기 위한 복수개의 자외선램프(113)가 고정부재(12)의 상면에 고정부재(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자외선램프(113)의 외측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인입된 가이드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114)에는 커버(40)의 하단이 인입되어 가이드홈(114)을 따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40)에는 노출부(4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재(1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이 개폐부재(110)가 자외선램프(113)에서 자외선을 방사하여 살균이 이루어지는 동안, 노출부(42)를 통해 자외선이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커버(40)의 하단이 가이드홈(114)에 인입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40)과 고정부재(12)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자외선이 외부로 방사되는 것 역시 방지된다.

    또한 수납부재(20)는 삽입된 치공구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중앙에 양 측면을 관통하는 자외선 조사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치공구가 수납부재(20)에 장착될 때, 자외선 조사홀(111)을 통해 치공구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치공구에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어 살균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3에 도시된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100)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는 치과 진료 및 치료에 사용되는 치공구의 위생적이고 효과적인 보관을 가능케 하므로 산업상의 이용가능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절단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소독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개폐부재가 부착된 커버와 측면이 관통되게 형성된 수납부재가 장착된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치공구용 회전 스탠드 11; 베이스부

    15; 회전부재 20; 수납부재

    30; 보관용기 40; 커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