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대 수납이 가능한 행거

申请号 KR2020140006720 申请日 2014-09-15 公开(公告)号 KR2020160000960U 公开(公告)日 2016-03-24
申请人 전배준; 发明人 전배준;
摘要 본고안은혁대수납이가능한행거에관한것으로, 옷걸이(60)를걸 수있도록연장되되, 외주면에하나이상의안내부(7)가축방향으로형성된걸이봉(3); 및상기안내부(7)를따라미끄러지도록상기안내부(7)를통해상기걸이봉(3) 상에결합되어, 혁대(50)를걸도록되어있는미끄럼랙(5);을포함하여이루어지는것을특징으로하며, 따라서미끄럼랙에혁대를걸어수납하므로, 혁대의수납이편리하고안정적으로이루어지면서도, 다른옷가지등 물품을행거또는장롱안에수납할때 미끄럼랙을이동시킬수 있으므로, 행거에수납된혁대로인해다른물품의수납에불편이생기지않게된다.
权利要求
  • 옷걸이(60)를 걸 수 있도록 연장되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안내부(7)가 축방향으로 형성된 걸이봉(3); 및
    상기 안내부(7)를 따라 미끄러지도록 상기 안내부(7)를 통해 상기 걸이봉(3) 상에 결합되어, 혁대(50)를 걸도록 되어 있는 미끄럼랙(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수납이 가능한 행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7)는 상기 걸이봉(3)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결된 슬롯(1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수납이 가능한 행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랙(5)은 상기 걸이봉(3)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부(7)를 따라 상기 걸이봉(3)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체(15)로 이루어지되, 상기 판체(15)에는 상기 혁대(50)의 띠(51)는 통과시키나 버클(53)은 통과시키지 않는 걸이공(17)이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수납이 가능한 행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이공(17)은 내주면이 폐곡선을 이루도록 막혀 있는 폐쇄형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수납이 가능한 행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이공(17)은 내주면이 개곡선을 이루도록 일측이 열려 있는 개방형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수납이 가능한 행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이봉(3)은 하나 이상의 슬립방지부(19)가 상기 안내부(7)를 따라 연장되도록 외주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수납이 가능한 행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이봉(3)은,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조안내부(7); 및
    상기 보조안내부(7)를 따라 미끄러지도록 상기 보조안내부(7)를 통해 상기 걸이봉(3) 상에 결합되되, 상기 걸이봉(3) 외측으로 돌출되어 절곡된 보조랙(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수납이 가능한 행거.
  • 说明书全文

    혁대 수납이 가능한 행거{Hanger Capable Of Receiving a Belt}

    본 고안은 혁대 수납이 가능한 행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롱이나 옷장 등에 설치되어 옷걸이 등을 통해 옷을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행거에 있어서, 옷걸이는 물론이고, 하나 이상의 혁대를 옷들과 함께 걸어 수납할 수 있도록 한 혁대 수납 겸용의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행거는 옷걸이를 이용해 옷을 걸어 보관, 수납하는 데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하나의 독립된 물품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많은 경우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옷을 보관, 수납하는 장롱이나 옷장 등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즉, 종래의 행거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것처럼, 장롱(110) 내부공간 상측의 양측벽 사이에 결합, 고정되는 바, 옷걸이를 이용해 옷을 거는 데만 사용되었다.

    따라서, 장롱(110) 내부에 혁대(150)나 넥타이와 같이 길고 가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행거(101)와 별도로 문짝(120)에 수납고리(130)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수납고리(130)는 수납된 혁대(150)가 수납고리(130)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한 쪽으로 쏠려 떨어지므로, 수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수납고리(130)는 혁대(150)의 수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혁대(150)가 자체의 탄력으로 인해 앞쪽으로 튀어나오므로, 수납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따라서 다른 옷 등과 간섭을 일으키게 되는 등 수납된 혁대(150)로 인해 장롱(110)의 사용을 불편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면부호 201로 도시된 걸이구(등록실용신안 제20-0403685호)가 제안된 바, 이 걸이구(201)는 브라켓(209)에 결합된 힌지축(207)을 통해 장롱의 문짝 등에 조립되는 바, 프레임(203)을 따라 아래로 나란히 장착된 복수의 걸이봉(205)에 넥타이를 복수로 수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걸이구(201)는 프레임(203) 상측에 힌지 결합된 지지간(211)의 돌출봉(213)과 힌지축(207) 사이에 벨트 거치공간(215)을 형성함으로써, 버클 부분이 뭉특한 혁대(250)를 거치공간(215)에 끼워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걸이구(201)는 혁대(250)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압지간(217)을 이용해 수납된 상태의 혁대(250)와 넥타이 중간부분을 눌려 혁대(250)나 넥타이의 돌출로 인해 다른 물품의 수납동작이 간섭을 받는 등 장롱의 사용이 불편해 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걸이구(201)는 도 1의 수납고리(130)와 마찬가지로 장롱의 수납공간에 설치된 행거와 별도로 문짝 등에 추가 설치되는 바, 구조가 복잡하고 구성 부품이 많아 제작 단가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걸이구(201)는 구조가 복잡한 만큼 혁대(250)를 걸기 위한 동작이 까다로워 사용 상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20-0403685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혁대 수납용 구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옷걸이 등을 통해 옷을 거는 데 사용되는 행거를 혁대도 함께 걸 수 있는 혁대 걸이 겸용으로 제작함으로써, 장롱 등에 혁대를 수납할 때 행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혁대의 수납 동작을 편리하게 하고, 혁대의 수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옷걸이를 걸 수 있도록 연장되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안내부가 축방향으로 형성된 걸이봉; 및 상기 안내부를 따라 미끄러지도록 상기 안내부를 통해 상기 걸이봉 상에 결합되어, 혁대를 걸도록 되어 있는 미끄럼랙;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혁대 수납이 가능한 행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상기 걸이봉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결된 슬롯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끄럼랙은 상기 걸이봉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부를 따라 상기 걸이봉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판체에는 상기 혁대의 띠는 통과시키나 버클은 통과시키지 않는 걸이공이 관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이공은 내주면이 폐곡선을 이루도록 막혀 있는 폐쇄형 구멍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이공은 내주면이 개곡선을 이루도록 일측이 열려 있는 개방형 구멍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이봉은 하나 이상의 슬립방지부가 상기 안내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외주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이봉은,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조안내부; 및 상기 보조안내부를 따라 미끄러지도록 상기 보조안내부를 통해 상기 걸이봉 상에 결합되되, 상기 걸이봉 외측으로 돌출되어 절곡된 보조랙;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혁대 수납이 가능한 행거에 따르면, 행거의 걸이봉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미끄럼랙에 혁대를 걸어 수납하므로, 다른 옷가지 등 물품을 행거에 수납하고자 하는 등 필요할 때마다 미끄럼랙을 이동시켜 행거에 수납된 혁대가 다른 물품의 수납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등 행거를 통한 혁대의 수납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혁대가 수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행거나 그 주위에서 다른 물품의 수납 동작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끄럼랙에 혁대를 수납함에 있어서도, 미끄럼랙의 걸이공 형태를 폐쇄형 또는 개방형으로 다양화할 수 있으므로, 미끄럼랙에 혁대를 거는 동작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행거와 수납고리를 구비한 장롱의 부분 절결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걸이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혁대 수납이 가능한 행거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행거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혁대 수납이 가능한 행거의 부분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혁대 수납이 가능한 행거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행거는 도 3 내지 도 6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걸이봉(3)과 미끄럼랙(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걸이봉(3)은 행거(1)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장롱 등의 내부 수납공간 상측에 가로로 배치되는 바, 장롱의 양측벽에 고정되도록 길게 연장되어 옷걸이(60) 등을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걸이봉(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 끝면에 체결공(4)이 형성되는 바, 장롱 측벽에 부착되는 소켓이나 브래킷을 통해 측벽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걸이봉(3)은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의 정면에 하나 이상 복수의 안내부(7)가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 이 안내부(7)는 도시된 것처럼, 미끄럼랙(5)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미끄럼랙(5)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안내부(7)는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그 대표적인 예로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롯(11)을 들 수 있다. 이 슬롯(11)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걸이봉(3)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절결되는 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T자 모양의 헤드(13)를 갖는 미끄럼랙(5)의 삽입단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안내부(7)는 위와 같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데 그치지 않고, 다른 형태로 즉, 예컨대 아령 모양의 볼록한 돌기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미끄럼랙(5)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삽입단이 아령 모양의 안내부(7)와 호응하도록 소켓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혁대(50)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 쯤이 걸이봉(3)에 걸려 미끄럼랙(5)의 걸이공(17)으로 절반 정도가 끼워지도록 수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혁대(50)가 쉽게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이봉(3)은 도시된 것처럼,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슬립방지부(19)가 부착된다. 이 슬립방지부(19)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금속인 걸이봉(3)의 표면보다 표면의 마찰력이 높은 예컨대,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바, 안내부(7)를 따라 축방향으로 나란하게 걸이봉(3)의 외주면에 부착된다. 이때, 슬립방지부(19)는 다양한 방식으로 걸이봉(3)에 부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걸이봉(3)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31)에 슬립방지부(19)가 억지끼움에 의해 부착된다. 이와 같이, 슬립방지부(19)는 혁대(50)가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걸이봉(3)에 걸린 넥타이(N)나 스카프와 같은 길이가 긴 의상소품 등도 밑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미끄럼랙(5)은 혁대(50)를 거는 부분으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7)를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부(7)를 통해 걸이봉(3) 상에 결합된다. 이때, 당연히 미끄럼랙(5)은 이하에 설명되는 보조랙(23) 등과 함께 걸이봉(3)이 장롱 등에 고정되기 전에 안내부(7)에 끼워진다.

    또한, 미끄럼랙(5)은 도시된 것처럼, 안내부(7)를 따라 걸이봉(3)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판체(15)로 이루어지는 바, 걸이봉(3)에서 외측으로 짧게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길쭉한 판재 형태를 띤다. 특히, 미끄럼랙(5)은 혁대(50)를 걸 수 있도록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판체(15)에 걸이공(17)이 관통된다. 이 걸이공(1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혁대(50)가 직접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부분으로서, 혁대(50)의 띠(51)는 통과시키나 버클(53)은 통과시키지 아니 함으로써, 미끄럼랙(5)에 의해 혁대(50)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걸이공(17)의 축방향 길이는 미끄럼랙(5)에 걸고자 하는 혁대(50)의 총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위와 같이 혁대(50)를 걸도록 되어 있는 미끄럼랙(5)도 또한 걸이봉(3)을 따라 이동하면서 하나 이상의 혁대(50)를 걸어 수납할 수 있다면 어떤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한 바,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15)가 걸이봉(3)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길쭉한 판재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걸이공(17)도 판체(15)를 따라 길쭉하게 절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걸이공(17)은 도 3 및 도 5와 같이 내주면이 폐곡선을 이루도록 막혀 있는 폐쇄된 구멍 형태로 관통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이 개곡선을 이루도록 일측이 열려 있는 개방형 구멍의 형태로 관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미끄럼랙(5)의 경우 걸이공(17)이 위아래로만 열려 있으므로, 혁대(50)를 수납할 때 먼저 버클(53) 반대쪽의 띠(51) 자유단을 걸이공(17)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야 하므로, 수납 동작이 다소 번거로워지나, 도 7에 도시된 미끄럼랙(5)의 경우 걸이공(17)의 도면 상 좌측이 터져 있으므로, 혁대(50)를 수납할 때 버클(53) 부분을 잡고 띠(51)를 터진 부분으로 통과시키면 되기 때문에 수납 동작이 좀 더 쉬워진다.

    또한, 본 고안의 걸이봉(3)은 위와 같은 안내부(7)와 이 안내부(7)에 결합되는 미끄럼랙(5) 외에도,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안내부(21)와 보조랙(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보조안내부(7)는 보조랙(23)을 미끄럼랙(5)과 유사하게 걸이봉(3) 외주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슬립방지부(19)에 대한 상대 위치가 상이할 뿐, 형태 상으로는 안내부(7)와 동일하다. 따라서, 보조안내부(7)는 미끄럼랙(5)을 끼워 안내부(7)를 대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미끄럼랙(5)은 걸이봉(3)과의 결합 위치만 변경된 것일 뿐이다.

    상기 보조랙(23)도 또한 미끄럼랙(5)과 유사한 형태의 걸이수단으로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안내부(7)를 통해 걸이봉(3) 상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걸이봉(3) 외측으로 돌출되어 절곡되는데 다만, 도시된 것처럼 횡폭이 미끄럼랙(5)보다 현저하게 짧아 걸고리 형태를 취함으로써, 혁대의 링 모양 버클을 걸거나 옷걸이를 거는 등 미끄럼랙(5)과는 다른 방식으로 또는 다른 용도로 사용된다. 이때, 보조랙(23)도 보조안내부(7)와 마찬가지로 보조안내부(7) 대신 안내부(7)에 결합되어 미끄럼랙(5)과 같은 높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혁대 수납이 가능한 행거(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행거(1)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간단히 혁대(50)를 걸 수 있는데, 사용자는 먼저, 행거(1)에 걸 혁대(50)의 버클(53) 반대쪽 띠(51) 끝을 한 쪽 손으로 잡고, 다른 쪽 손으로는 버클(53)을 잡는다. 이 상태에서 미끄럼랙(5)의 걸이공(17)에 띠(51) 끝부분을 위에서 아래로 끼운 다음, 띠(51) 끝부분을 잡고 있던 손을 놓는다. 이렇게 해서 미끄럼랙(5) 아래로 띠(51) 부분이 늘어뜨려지면, 사용자는 버클(53)을 잡고 있던 손을 놓아 걸이공(17)에 버클(53)이 걸리게 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혁대(50)의 수납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미끄럼랙(5)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한 쪽으로 터진 경우에, 사용자는 한 손으로 버클(53)을 잡고 띠(51) 상단 부분이 걸이공(17)의 터진 부분을 통과하도록 그대로 혁대(50)를 걸이공(17)에 끼울 수 있으며, 적당한 위치에서 버클(53)을 잡고 있던 손을 놓아 버클(53)이 걸이공(17)에 걸리도록 하는 것으로 더욱 간단하게 혁대(50)를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하나의 미끄럼랙(5)에 복수의 혁대(50)를 걸 수 있으며, 이 상태로 미끄럼랙(5)을 걸이봉(3)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걸이봉(3)에 걸린 다른 옷걸이나 옷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행거(1) 일측에 복수의 혁대(50)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행거(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혁대(50)를 위와는 다른 방식으로 걸이봉(3)에 걸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먼저, 행거(1)에 걸 혁대(50)의 버클(53) 반대쪽 띠(51) 끝을 한 쪽 손으로 잡고, 다른 쪽 손으로는 버클(53)을 잡는다. 이 상태에서 미끄럼랙(5)의 걸이공(17)에 띠(51) 끝부분을 위에서 아래로 끼우되,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띠(51)의 절반 정도만 걸이공(17) 아래로 늘어뜨려지도록 하여, 혁대(50)가 중간 쯤에서 걸이봉(3)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수납을 마칠 수 있다. 이 경우 걸이봉(3)에 걸린 띠(51) 중간 부분은 슬립방지부(19)와의 마찰로 인해 쉽게 한 쪽으로 쏠리는 움직임을 하지 않으며, 혁대(50)의 걸이봉(3) 전면을 향한 부분이 걸이공(17)에 의해 눌려 미끄럼랙(5) 직하방으로 늘어뜨려지므로, 수납 시 혁대(5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보조랙(23)에도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링 형태의 버클(53)을 갖는 혁대(50)를 버클(53)을 이용해 즉, 버클(53)을 보조랙(23)에 걸어 쉽게 수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보조랙(23)은 미끄럼랙(5)과 마찬가지로 안내부(7)를 통해 또는 보조안내부(7)를 통해 걸이봉(3)을 따라 좌우 쉽게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혁대(50)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

    1 : 행거 3 : 걸이봉
    5 : 미끄럼랙 7 : 안내부
    11 : 슬롯 13 : 헤드
    15 : 판체 17 : 걸이공
    19 : 슬립방지부 21 : 보조안내부
    23 : 보조랙 31 : 삽입공
    50 : 혁대 51 : 띠
    53 : 버클 60 : 옷걸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