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申请号 KR1020080015776 申请日 2008-02-21 公开(公告)号 KR101346502B1 公开(公告)日 2013-12-31
申请人 엘지전자 주식회사; 发明人 김판수;
摘要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 또는 본체의 발포 후 둘레면을 통해 디스플레이유닛을 슬라이드인 하여 장착 가능한 구조의 냉장고 및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강화유리 소재로 전면의 외관이 형성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내측에 충진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발포 충진 후, 상기 도어의 둘레면의 개구된 일측을 통해 슬라이드인 삽입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성과 생산성 및 심미감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디스플레이, 슬라이드, 발포, 터치
权利要求
  • 표시창을 가지는 프론트플레이트;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이격되는 도어라이너;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도어라이너를 연결시키는 사이드데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도어라이너를 연결시키는 캡데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 상기 도어라이너, 상기 사이드데코 및 상기 캡데코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충진되어 발포된 단열재;
    상기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단열재와 접촉하는 디스플레이케이스;
    상기 사이드데코 또는 상기 캡데코에 형성되는 개구된 삽입구; 및
    피시비보드와 상기 피시비보드에 장착되는 표시부 및 인식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이 장착되는 유닛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이 장착된 유닛가이드는, 상기 사이드데코 또는 상기 캡데코에 형성된 개구된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배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에 구비되는 냉장고.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배면을 향하여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된 삽입구를 커버하기 위한 캡커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는, 전면개구와, 상기 유닛가이드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개구를 가지는 냉장고.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의 전면개구에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배면과 접촉하기 위한 절곡부가 구비되는 냉장고.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의 삽입개구는 상기 개구된 삽입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는 단열재가 충진되기 전에 상기 개구된 삽입구가 형성된 상기 사이드데코 또는 상기 캡데코에 장착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는 평판이고, 상기 평판의 일부에 상기 표시창이 형성되고, 상기 표시창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조작을 위해 터치하는 조작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는 디스플레이가이드가 구비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에는 상기 유닛가이드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유닛가이드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냉장고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는 강화유리 또는 플라스틱인 냉장고.
  •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는 표시창을 가지는 프론트플레이트;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이격되는 도어라이너;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도어라이너를 연결시키는 사이드데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도어라이너를 연결시키는 캡데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 상기 도어라이너, 상기 사이드데코 및 상기 캡데코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충진되어 발포되는 단열재;
    상기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단열재와 접촉하는 디스플레이케이스; 및
    피시비보드와 상기 피시비보드에 장착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에 장착되는 유닛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이 설치된 상기 유닛가이드는 상기 사이드데코 또는 상기 캡데코에 형성된 개구된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냉장고.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배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에 구비되는 냉장고.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배면을 향하여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냉장고.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된 삽입구를 커버하기 위한 캡커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는, 전면개구와, 상기 유닛가이드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개구를 가지는 냉장고.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의 전면개구에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배면과 접촉하기 위한 절곡부가 구비되는 냉장고.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삽입개구는 상기 개구된 삽입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는 단열재가 충진되기 전에 상기 개구된 삽입구가 형성된 상기 사이드데코 또는 상기 캡데코에 장착되는 냉장고.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식부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조작을 위해 터치하는 조작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는 디스플레이가이드가 구비되는 냉장고.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에는 상기 유닛가이드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유닛가이드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냉장고.
  • 디스플레이유닛의 삽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캡데코 또는 사이드데코에 형성된 개구된 삽입구와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케이스를 상기 캡데코 또는 상기 사이드데코에 장착하는 단계;
    단열재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캡데코 및 사이드데코를 프론트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캡데코 및 사이드데코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단열재를 충진하여 발포하는 단계; 및
    상기 단열재로 충진되어 발포된 후에, 상기 캡데코 또는 사이드데코의 개구된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에 표시창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된 삽입구를 캡커버로 차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캡데코 및 사이드데코를 프론트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를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어라이너를 상기 캡데코 및 상기 사이드데코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유닛가이드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 단열재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캡데코 및 사이드데코를 프론트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단계;
    디스플레이유닛의 삽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캡데코 또는 사이드데코에 형성된 개구된 삽입구와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케이스를 상기 캡데코 또는 사이드데코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캡데코 및 사이드데코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단열재를 충진하여 발포하는 단계; 및
    상기 단열재로 충진되어 발포된 후에, 상기 캡데코 또는 사이드데코의 개구된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에 표시창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된 삽입구를 캡커버로 차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유닛가이드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는 표시창을 가지는 아웃케이스;
    상기 아웃케이스와 이격되는 인케이스;
    상기 아웃케이스와 상기 인케이스를 연결시키는 사이드데코;
    상기 아웃케이스와 상기 인케이스를 연결시키는 캡데코;
    상기 아웃케이스와, 상기 인케이스, 상기 사이드데코 및 상기 캡데코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충진되어 발포되는 단열재;
    상기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단열재와 접촉하는 디스플레이케이스;
    상기 사이드데코 또는 상기 캡데코에 형성되는 개구된 삽입구; 및
    피시비보드와 상기 피시비보드에 장착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설치되는 유닛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설치된 유닛가이드는 상기 사이드데코 또는 상기 캡데코에 형성된 개구된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아웃케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냉장고.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상기 아웃케이스의 배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에 구비되는 냉장고.
  •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아웃케이스의 배면을 향하여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냉장고.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된 삽입구를 커버하기 위한 캡커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는 전면개구와, 상기 유닛가이드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개구를 가지는 냉장고.
  •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의 전면개구에는 상기 아웃케이스의 배면과 접촉하기 위한 절곡부가 구비되는 냉장고.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는 단열재가 충진되기 전에 상기 개구된 삽입구가 형성된 상기 사이드데코 또는 상기 캡데코에 장착되는 냉장고.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식부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아웃케이스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조작을 위해 터치하는 조작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냉장고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냉장고.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케이스는 강화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냉장고.
  • 说明书全文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oor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 들어서는 기능은 물론 냉장고의 디자인이 구매결정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다양한 색감과 질감, 문양 등을 가지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냉장고의 본체 또는 도어의 전면을 다양한 색깔과 문양이 인쇄된 VCM 강판으로 구성하거나, 보다 다양한 색감과 질감을 표현하는 한편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기 위해 강화유리에 의해 외관의 전체 또는 일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냉장고의 본체 또는 도어의 전면에는 냉장고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며, 디스플레이와 인접한 부분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냉장고의 운전을 조절하는 조작버튼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및 조작버튼들은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다른 구성과 이질감을 가짐은 물론 디자인적으로도 일체감을 가질 수 없게 되어 전체적인 냉장고의 심미감의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디스플레이를 상기 도어의 내측에 삽입하는 형태의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디스플레이의 장착을 위한 도어의 구성 자체가 증가하게 되며, 디스플레이의 장착작업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의 도어 또는 본체의 발포 후 둘레면을 통해 디스플레이유닛을 슬라이드인 하여 장착 가능한 구조의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고의 도어 또는 본체의 조립시 단열재의 발포 충진후 개구된 둘레면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유닛을 슬라이드인 하여 장착 가능한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표시창을 가지는 프론트플레이트;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이격되는 도어라이너;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도어라이너를 연결시키는 사이드데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도어라이너를 연결시키는 캡데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 상기 도어라이너, 상기 사이드데코 및 상기 캡데코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충진되어 발포된 단열재; 상기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단열재와 접촉하는 디스플레이케이스; 상기 사이드데코 또는 상기 캡데코에 형성되는 개구된 삽입구; 및 피시비보드와 상기 피시비보드에 장착되는 표시부 및 인식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이 장착되는 유닛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이 장착된 유닛가이드는, 상기 사이드데코 또는 상기 캡데코에 형성된 개구된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는 표시창을 가지는 프론트플레이트;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이격되는 도어라이너;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도어라이너를 연결시키는 사이드데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도어라이너를 연결시키는 캡데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 상기 도어라이너, 상기 사이드데코 및 상기 캡데코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충진되어 발포되는 단열재; 상기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단열재와 접촉하는 디스플레이케이스; 및 피시비보드와 상기 피시비보드에 장착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에 장착되는 유닛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이 설치된 상기 유닛가이드는 상기 사이드데코 또는 상기 캡데코에 형성된 개구된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본체의 외부형상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 상기 아웃케이스와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는 인케이스; 상기 아웃케이스와 인케이스의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충진 후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단을 통하여 슬라이드인 삽입되며, 상기 아웃케이스의 터치를 통해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또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은, 디스플레이유닛의 삽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캡데코 또는 사이드데코에 형성된 개구된 삽입구와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케이스를 상기 캡데코 또는 상기 사이드데코에 장착하는 단계; 단열재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캡데코 및 사이드데코를 프론트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캡데코 및 사이드데코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단열재를 충진하여 발포하는 단계; 및 상기 단열재로 충진되어 발포된 후에, 상기 캡데코 또는 사이드데코의 개구된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상기 도어의 내측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전면 외관이 돌출된 부분이 없이 일체감을 가지도록 하여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이 상기 도어의 전면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구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냉장고의 외관을 개선하면서도 조작성 또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둘레면에서 슬라이드인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장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상기 도어의 조립 작업 및 상기 디스플레 이유닛 장착 작업의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제작시 상기 도어 내측에 단열재를 발포한 후에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존에 도어 발포전에 디스플레이유닛을 장착하기 위해 필요한 다수의 구성과 작업공정들을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생산비용 및 시간의 대폭적인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둘레면을 통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인출도 가능하게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에도 도어의 전체적인 분리 작업 없이 신속하게 분리 및 서비스 처리 후 재장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서비스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내측에 발포공간과는 별도로 디스플레이유닛이 장착되는 공간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도어에 별도의 디스플레이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추가의 구성이 필요없게 되어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강화유리 소재의 프론트플레이트와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 그리고, 둘레면을 형성하는 데코부재에 의해 외형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 도어의 전체적인 구성이 간결해 짐은 물론 제조원가의 절감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은 단열재가 발포 충진되는 도어 또는 본체와 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스탠드형 냉장고와 뚜껑식 냉장고에 적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구획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공간을 갖는 본체(10)와 이를 차폐하는 도어(3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내측에는 음식물의 수납을 위한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공간은 상하로 다수개로 구획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저장공간은 각각의 도어(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10)는 외측의 형상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와 내부의 형상을 형성하는 인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아웃케이스와 인케이스의 사이는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이격된 공간에 폴리스티렌(EPS:Expanded polystyren)과 같은 단열재(900)가 발포 충진된다.

    한편, 상기 다수의 도어(30)는 상기 냉장고(1)의 개구된 전면 즉,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것으로 전방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30)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저장공간의 냉기를 단속하며, 아울러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다수의 도어(30)는 상기 냉장고(1) 상부의 저장공간을 차폐하는 상부 도어(30)와 상기 냉장고(1) 하부의 저장공간을 차폐하는 하부 도어(30)로 대별된다. 상기 상부 도어(30)는 일측단이 상기 본체(1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도어(30)는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도어(30) 중 특히 상기 상부 도어(30)의 대략 중앙부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디스플레이유닛(400)이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은 냉장고(1)의 작동상태를 비롯한 운전 정보를 나타냄은 물론 터치에 의한 조작으로 냉장고(1)의 운전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30)의 내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이 장착된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냉장고 도어(30)의 전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에 의해 출력되는 정보가 상기 도어(30)의 전면을 통해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창(110)이 형성된다.

    상기 표시창(110)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의 출력부분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의 출력정보가 투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표시창(110)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는 조작부(130)가 표시된다. 상기 조작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의 인식부(450)와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인식부(450)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30)의 전면에 인쇄되거나 요철 형상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인식부(450)를 구성하는 센서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사용자의 터치시 발생하는 미세전류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식부(450)와 대응하는 상기 도어 전면의 조작부(130)의 터치로 조작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에 디스플레이유닛이 삽입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요부구성인 프론트플레이트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라서 상기 도어(3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도어(30)는 상기 도어(3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플레이트(100)와, 상기 도어(30)의 배면의 형상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200)에 의해 각각 전면과 후면이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와 도어라이너(200) 사이에는 단열재(900)가 충진될 수 있도록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와 도어라이너(200)는 데코부재(300)에 의해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데코부재(300)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와 상기 도어라이너(200)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도어(30)의 둘레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강화유리 또는 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의 배면에는 외관을 나타내기 위한 색상이 인쇄되거나 문양이 인쇄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의 중앙부 즉,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표시창(110)이 형성되며, 상기 표시창(110)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며, 상기 표시창(110)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조작부(130)가 더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표시창(110)의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도색되고, 상기 조작부(130)의 위치에는 별도의 인쇄작업이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라이너(200)는 상기 도어(30)의 배면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의 개구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수납부재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요철형상이 더 형성되기도 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테두리를 따라 가스켓이 제공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데코부재(300)는 상기 도어(30)의 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데코(310)와 상기 도어(30)의 상하면을 형성하는 캡데코(330)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30)의 둘레면 즉 상/하/좌/우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사이드데코(310)는 상기 도어(3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와 도어라이너(200)의 좌우 양 측단이 상기 사이드데코(310)의 내측 전반부와 후반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와 도어라이너(200)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데코(310)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와 도어라이너(200)의 좌우 양측단 전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00)와의 결합으로 상기 도어(30)의 좌우측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캡데코(330)는 상기 도어의 상하방에 배치되며,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형성되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와 도어라이너(200)의 상하단이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사이드데코(310)와 같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와 도어라이너(200)가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캡데코(330)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와 도어라이너(200)의 상하단 전체를 수용하도록 좌우로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 및 도어라이너(200)와의 결합으로 상기 도어(3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30) 상단에 제공되는 캡데코(330)의 대략 중앙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개구된 삽입구(331)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331)는 디스플레이유닛(400)의 삽입을 위한 통로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의 단면형상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상단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는 상기 도어(30)의 내측에 디스플레이유닛(400)이 슬라이드인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30)의 상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이 위치하게 되는 도어(30)의 내부 일측까지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의 배면에 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의 수용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는 전면과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개구된 상면이 상기 캡데코(330)의 삽입구(331)와 일치하도록 상기 캡데코(330)의 배면에 결합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개구된 상면은 캡데코(330)의 삽입구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상면에서 개구된 부분을 삽입개구라하고, 전면에서 개구된 부분은 전면개구라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는 상기 캡데코(330)에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도어(30) 상부에 장착되는 캡데코(330)의 장착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는 상기 캡데코(33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와 도어라이너(20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개구된 전면의 둘레에는 절곡부(510)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510)는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개구된 전면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절곡부(510)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에 밀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도어(30)의 내측에서 단열재(900)가 발포되는 공간과 분리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하부에는 밀착부(530)가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530)는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를 통해 슬라이드인 삽입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이 최종 장착되는 위치에서 프론트플레이트(100)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530)는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내측 하부에서 경사지도록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 하부 자체가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밀착부(530)의 형상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후벽면에는 가이드레일(55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550)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의 삽입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이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내측에서 정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의 배면 일부 형상과 대응하도록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550)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의 보다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내측에는 디스플레이가이드(57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가이드(570)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이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내측에서 슬라이드인 삽입될 때 좌우 위치를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단면의 형상이 대략 'ㄱ'자 형성으로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가이드(570)는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의 배면에 제공되며, 일정간격 떨어진 좌우측에서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가이드(570)의 돌출된 부분이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의 일단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이 장착된 유닛가이드(470)의 일단을 수용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이 좌우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가이드(570)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의 배면이 아닌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내측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은 피시비보드(410)와 표시부(430) 및 인식부(450)로 구성된다. 상기 피시비보드(410)는 상기 인식부(450) 및 표시부(430)를 연결하고 각각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표시부(430)와 인식부(450)가 장착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하기도 한다.

    상기 표시부(430)는 상기 피시비보드(410)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며, 동작상태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엘시디(LCD)와 같은 출력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430)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인식부(450)가 형성된다. 상기 인식부(450)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의 조작부의 터치를 통한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인식부(45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자기장의 변화 또는 체온 등을 감지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 광센서를 비롯한 다른 센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표시부(430)와 인식부(450)는 모두 상기 피시비보드(410)에 장착되며, 조립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은 별도의 유닛가이드(470)에 장착된다.

    상기 유닛가이드(470)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을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내측에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내측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상하 길이 또한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닛가이드(470)의 전면 하부측에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이 고정되며, 상기 유닛가이드(470)를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내측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이 정해진 위치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닛가이드(470)의 내측에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을 완전히 삽입한 상태에서는 상기 유닛가이드(470)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의 캡데코(330)에 형성된 삽입구(331)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유닛가이드(470)의 용이한 인출입을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닛가이드(470)의 배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55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471)가 더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471)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55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유닛가이드(470)의 원활한 슬라이드인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유닛가이드(470)의 좌우 양측단에는 가이드리브(473)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473)는 상기 디스플레이가이드(570)와 형합되어 상기 유닛가이드(470)가 정확한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아내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리브(473)는 상기 유닛가이드(470)의 좌우 양 측단에서 전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후 다시 내측으로 절곡되고 그 절곡된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가이드(57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닛가이드(470)의 가이드리브(473)가 상기 디스플레이가이드(570)에 형합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인 삽입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은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표시부(430)와 인식부(450)가 정상적인 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30)의 상부에 제공되는 캡데코(330)에는 캡커버(3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캡커버(350)는 상기 캡데코(330)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개구된 상면 즉, 상기 삽입구(331)를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삽입구(331)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차폐부(351)에 의해 상기 삽입구(331)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고, 상기 차폐부(351)의 양측으로 연장된 장착부(353)는 상기 도어캡데 코(330)의 대응하는 형상에 구속되도록 하여 상기 캡커버(350)가 상기 캡데코(330)에 고정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도어(30)의 상부측에 배치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0) 상단의 캡데코(330)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이 하부측에 배치될 경우에는 상기 도어(30)의 하단에 제공되는 캡데코(330)를 통해 슬라이드인 삽입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삽입 방향만 틀릴 뿐 다른 구성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할 것이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은 상기 도어(30)의 양측에 제공되는 사이드데코(310)를 통하여 슬라이드인 삽입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사이드데코(310)에 개구된 삽입구(331)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단면 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 6 은 도 2 의 AA' 단면도이고, 도 7 은 도 2 의 BB'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착방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냉장고(1) 도어(30)의 조립을 위해서는 우선 프론트플레이트(100)와 도어라이너(200)를 준비하고, 준비된 프론트플레이트(100)와 도어라이너(200)의 좌우 양측에 사이드데코(310)를 배치하게 된다. 좌우 양측에 구비된 사이드데코(310)에 각각 프론트플레이트(100)와 도어라이너(200)의 좌우 단부를 수용시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와 도어라이너가 이격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30)의 상단과 하단에는 캡데코(330)가 구비되며, 상기 캡데코(330)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와 도어라이너(20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와 도어라이너(200)의 둘레를 따라 상기 데코부재(300) 즉, 상기 사이드데코(310)와 캡데코(330)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와 도어라이너(200)는 이격된 채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30)의 내측에는 단열재(900)의 충진을 위한 공간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 도어(30)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기 캡데코(330)에는 디스플레이케이스(500)가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는 개구된 상부면이 상기 캡데코(330)의 삽입구와 대응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캡데코(330)의 장착시에 상기 도어(3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캡데코(330)의 장착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는 상기 도어(3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개구된 전면의 절곡부(510)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의 배면과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내측은 상기 도어(30)에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방으로 개구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의 배면에는 디스플레이가이드(570)가 구비되며, 상기 캡커버(350)의 결합시 상기 디스플레이가이드(570)는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30)의 외형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도어(30)의 내측 즉,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와 도어라이너(200) 그리고 데코부재(300)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의 공간에 단열재(900)가 발포 충진된다. 상기 단열재(900)는 저장공간 내부의 냉기가 외부와 열교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폴리스티렌(EPS)과 같은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완전하게 채우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30)의 내측에 단열재(900)의 발포 충진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캡데코(330)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내측으로 유닛가이드(470)를 삽입하게 된다. 상기 유닛가이드(470)에는 디스플레이유닛(400)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유닛가이드(470)의 완전한 삽입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은 지정된 위치에 장착 완료될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이 장착된 유닛가이드(470)를 상기 캡데코(330)의 삽입구(331)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내측으로 밀어넣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유닛가이드(470)의 가이드부(471)가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가이드레일(550) 내측에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유닛가이드(470)를 하방으로 밀어 넣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471)가 가이드레일(550)의 내측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유닛가이드(470)는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닛가이드(470)의 지속적인 슬라이드인 삽입시 상기 유닛가이드(470)는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 내부의 밀착부(530)에 접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유닛가이드(470)를 더 하방으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유닛가이드(470)는 상기 밀착부의 경사를 따라 다소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유닛가이드(470)의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리브(473)는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 내측의 디스플레이가이드(570)와 형합하면 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리브(473)와 디스플레이가이드(570)의 결합에 의해 상기 유닛가이드(470)는 좌우 유동하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닛가이드(470)의 완전한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은 최종 위치에서 고정되며, 상기 유닛가이드(470)의 상단은 상기 캡데코(330)의 삽입구(331)로 노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의 표시부(430)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의 표시창(110)과 대응하는 위치에 오게 되며, 상기 인식부(450)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의 조작부(130)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적어도 상기 인식부(450)와 상기 조작부(130)는 서로 밀착될 뿐만 아니라 완전히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30)를 터치하게 될 경우 상기 조작부(130) 후방의 인식부(450)에서는 사용자의 신체에 흐르는 미세전류를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신체 온도에 의해 반응하여 조작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내측에 상기 유닛가이드(470)를 완전하게 밀어넣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의 장착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캡데코(330)의 개구된 삽입구를 차폐할 수 있도록 캡커버(350)를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캡커버(350)는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후크구조 또는 억지끼움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유닛(400)은 발포가 끝난 상기 도어(30)의 내측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케이스(500)의 내측에 슬라이드인 방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디스플 레이유닛(400)의 장착 후에는 상기 캡커버(350)를 이용하여 차폐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유닛(400)의 장착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장착완료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00)의 조작부(130)를 터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인식부(450)를 통해 냉장고(1)의 전체적인 동작을 조절할 수 있으며, 냉장고(1)의 작동상태는 상기 표시부(430)를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0)의 점검 또는 고장 발생시에는 상기 캡커버(350)를 탈거한 후에 상기 유닛가이드(470)을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꺼낼 수 있으며, 작업 완료 후에는 다시 상기 유닛가이드(470)을 원래의 위치로 삽입시켜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디스플레이 장착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특히 냉장고 도어 뿐만이 냉장고 본체에도 적용가능할 것이다. 이에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냉장고와 전체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적용대상에 있어 차이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설명중 전술한 냉장고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 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2)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20)와 상기 본체(20)를 차폐하는 도어(4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20)는 상방으로 개구된 저장공간을 가지며, 상기 저장공간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로 구획될 수 있으며, 도면에 의하면 좌우 양측으로 구획되어 형성된다.

    상기 본체(20)의 개구된 상면에는 상기 도어(4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도어(40)는 회동에 의하여 상기 본체(20)의 개구된 상면 즉,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함은 물론 상기 도어(40)가 닫혀 있을 때에는 상기 냉장고(2)의 상부면 형상을 형성하기도 한다.

    상기 도어(40)는 상기 본체(20)에서 구획된 각각의 저장공간을 차폐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저장공간의 선택적인 차폐를 위해 상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되는 냉장고 본체의 구성을 도 9 를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본체(20)는 아웃케이스(600)에 의해 외부의 형상이 형성되며, 상기 아웃케이스(600)의 내측에는 내부의 형상을 형성하는 인케이스(700)가 형성된다. 상기 아웃케이스(600)와 인케이스(700)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발포 충진되어 외부와의 열교환에 의한 저장공간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아웃케이스(600)가 강화유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본체(20)의 전면 좌 우 양측에는 사이드데코(610)가 구비되며, 상기 사이드데코(610)에 의해 상기 강화유리가 상기 본체(20)의 전면에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20)의 전면을 제외한 다른 면을 형성하는 상기 아웃케이스(600)는 강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전면을 제외한 상기 본체(20)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600)는 컬러코팅강판(VCM)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냉장고(2)의 설치시 가장 많이 노출되는 상기 본체(20)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아웃케이스(600)는 심미감이 우수한 강화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의 전면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600)는 배면에 컬러 또는 문양이 인쇄되며, 필요에 따라 입체적인 무늬의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별도의 시트가 상기 아웃케이스(600)의 후방에 더 구비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600)의 대략 중앙 상부, 보다 상세하게는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유닛(700)이 장착되는 위치에는 조작부(630)와 표시창(650)이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630)는 사용자가 조작을 위해 터치하는 부분을 인쇄 또는 요철을 통해 나타내도록 구성되며, 상기 표시창(650)은 디스플레이유닛(700)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상기 아웃케이스의 외측에서 인식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20)의 전면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600)가 강화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20)의 다른 둘레면이 강판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전면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600)의 좌우 양측단이 상기 사이드데코(610)에 각각 수용되어 고정되며, 상기 본체(20)의 다른 둘레면을 형성하는 강판은 상기 사이드데코(610)의 다른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20)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아웃케이스(600)의 상하단 또는 상단에는 캡데코(670)가 결합된다. 상기 캡데코(670)는 상기 본체(20)의 상부면 일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아웃케이스(600)와 인케이스(700)가 이격되도록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20)의 가로방향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캡데코(670)에는 디스플레이유닛(700)이 상기 아웃케이스(600)와 인케이스(700)의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삽입구(672)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672)의 하방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700)이 슬라이드인 삽입됨은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7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케이스(8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800)는 전면과 상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유닛(700)을 수용가능하도록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20)의 상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700)이 장착되는 위치까지 길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800)의 개구된 상면은 상기 캡데코(670)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캡데코(670)와 일체로 된 상태로 상기 본체(20)와 결합되며,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800)의 개구된 상면은 상기 삽입구(672)와 일치되도록 결합된다.

    한편, 상기 캡데코(670)를 상기 아웃케이스(600)와 인케이스(700)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캡데코(670)에 결합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800)의 개구된 전면이 상기 아웃케이스(600)의 배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800)는 상기 아웃케이스(600)와 인케이스(700)의 사이에서 상방으로 개구된 별도의 공간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800)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700)의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800)의 내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유닛(700)의 일측과 대응하는 형상의 가이드레일(81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81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700)은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80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 정확한 위치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드인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800)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밀착부(830)가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83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700)의 지속적인 삽입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80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아웃케이스(600)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800)에 삽입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700)은 피시비기판(710)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730)가 장착되고, 상기 표시부(730)의 좌우 양측에 사용자의 터치조작을 인식하여 조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식부(750)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730)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700)의 완전한 장착시 상기 아웃케 이스(600)의 표시창(650)을 통해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표시창(650)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식부(750)는 상기 아웃케이스(600)의 조작부(630)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조작부(630)의 터치시 작동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에 흐르는 미세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또는 체온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유닛(700)은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800)로의 삽입에 의한 장착과 서비스를 위한 탈거가 용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800)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유닛가이드(770)에 장착된다.

    상기 유닛가이드(770)는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800)로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800)의 가이드레일(810)에 수용 가능하게 돌출되는 가이드돌기(790)가 더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80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인 삽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700)을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캡데코(670)의 상면에는 커버캡(674)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캡(674)은 상기 캡데코(670)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구(672)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케이스(800)의 내측에 상기 디스플레이유닛(700)을 삽입하여 장착 완료한 뒤에 상기 캡데코(670)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삽입구(672)를 차폐함과 아울러 상기 캡데코(670)의 상면 일부의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에 디스플레이유닛이 삽입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요부구성인 프론트플레이트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단면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