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장치

申请号 KR1020130158483 申请日 2013-12-18 公开(公告)号 KR1020150071795A 公开(公告)日 2015-06-29
申请人 삼성전자주식회사; 发明人 김승민; 김형기; 나정산; 고태준;
摘要 본발명은투명디스플레이로내부사물을볼 경우내부사물및 관련영상이출력되도록하는투명모드및 디스플레이에정확한영상출력이필요할경우기존의 LCD 디스플레이와동일한수준의영상을출력하도록하는불투명모드를가지는디스플레이장치를제공하고자한다. 일측면에따른디스플레이장치는본체및 본체에결합되고, 투명모드와불투명모드를구현하는디스플레이부를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는본체의전면에노출되는투명디스플레이패널과, 투명디스플레이패널후방에배치되는제 1 광원과, 제 1 광원후방에배치되는투명도조절부와, 투명도조절부후방에배치되는제 2 광원을포함할수 있다.
权利要求
  •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투명 모드와 불투명 모드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노출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후방에 배치되는 제 1 광원과, 상기 제 1 광원 후방에 배치되는 투명도조절부와, 상기 투명도조절부 후방에 배치되는 제 2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모드는 외부에서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물체를 볼 수 없도록 구현되는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도조절부는 메시 형태의 그물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도조절부는,
    상기 제 1 광원에서 출력된 광을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도조절부는 상기 제 1 광원에서 출력된 광을 반사하도록 일면이 백색 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도조절부는,
    상기 제 2 광원에서 출력된 광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도조절부는 상기 제 2 광원에서 출력된 광을 흡수하도록 일면이 흑색 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은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패널 후방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원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 및 상기 제 2 광원 중 적어도 하나는 선광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수신된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고 상기 신호 처리에 대응되는 구동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처리에 따라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패널에 투명 영상을 구현하도록 상기 제 1 광원을 오프 시키고 상기 제 2 광원을 온 시키는 구동 명령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처리에 따라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패널에 불투명 영상을 구현하도록 상기 제 1 광원을 온 시키고 상기 제 2 광원을 오프 시키는 구동 명령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처리에 따라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패널의 투명도를 강중약로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처리에 따라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패널의 투명도가 강으로 설정되면, 상기 제 1 광원을 오프 시키고 상기 제 2 광원을 온 시키는 구동 명령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처리에 따라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패널의 투명도가 중으로 설정되면, 상기 제 1 광원 및 상기 제 2 광원을 온 시키는 구동 명령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처리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투명도가 약으로 설정되면, 상기 제 1 광원을 온 시키고 상기 제 2 광원을 오프 시키는 구동 명령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说明书全文

    디스플레이 장치 { DISPLAY APPARATUS }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투명 불투명 영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인간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궁극적 매개가 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매우 큰 부피를 차지했던 초기의 음극선관(CRT : Cathode Ray Tube) 방식의 단색 표시 장치로부터 최근의 초 박형, 대면적 풀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르기 가지 매우 빠른 성장 속도를 보여 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순한 문자와 영상만을 표시하는 장치에서 더 정교하고 아름다움을 표시하는 장치로 개발이 가속되고 있다.

    최근 개발이 가속화 되고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의 투과율을 높여 디스플레이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한 장치로 쇼케이스, 인포메이션 윈도우 등에 사용되어지고 있다.

    현재 투명 디스플레이의 경우 디스플레이 안쪽에 사물을 배치하고 보여 주기 위해 별도로 내부 광원을 두어 사물 및 디스플레이가 보여지게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내부의 사물을 투과해서 볼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고른 광원이 없기 때문에, 광원의 위치, 사물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는데 제약이 발생하며, 디스플레이의 색 재현성이 떨어지고 정확한 화면을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투명 디스플레이로 내부 사물을 볼 경우 내부 사물 및 관련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투명 모드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에 정확한 영상 출력이 필요할 경우 기존의 LCD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수준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불투명 모드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 및 본체에 결합되고, 투명 모드와 불투명 모드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는 본체의 전면에 노출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후방에 배치되는 제 1 광원과, 제 1 광원 후방에 배치되는 투명도조절부와, 투명도조절부 후방에 배치되는 제 2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불투명 모드는 외부에서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물체를 볼 수 없도록 구현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투명도조절부는 메시 형태의 그물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투명도조절부는 제 1 광원에서 출력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투명도조절부는 제 1 광원에서 출력된 광을 반사하도록 일면이 백색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투명도조절부는, 제 2 광원에서 출력된 광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투명도조절부는 상기 제 2 광원에서 출력된 광을 흡수하도록 일면이 흑색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광원은 투명디스플레이 패널 후방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광원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광원 및 상기 제 2 광원 중 적어도 하나는 선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수신된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고 상기 신호 처리에 대응되는 구동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신호 처리에 따라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패널에 투명 영상을 구현하도록 상기 제 1 광원을 오프 시키고 상기 제 2 광원을 온 시키는 구동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신호 처리에 따라 투명디스플레이 패널에 불투명 영상을 구현하도록 제 1 광원을 온 시키고 상기 제 2 광원을 오프 시키는 구동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신호 처리에 따라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패널의 투명도를 강중약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신호 처리에 따라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패널의 투명도가 강으로 설정되면, 상기 제 1 광원을 오프 시키고 상기 제 2 광원을 온 시키는 구동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신호 처리에 따라 상기 투명디스플레이 패널의 투명도가 중으로 설정되면, 상기 제 1 광원 및 상기 제 2 광원을 온 시키는 구동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신호 처리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투명도가 약으로 설정되면, 제 1 광원을 온 시키고 상기 제 2 광원을 오프 시키는 구동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에 전시된 사물을 볼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함과 더불어 정확하고 색 손실이 없는 영상 출력이 필요한 경우 불투명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용도에 더욱 많은 경우의 수를 제공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시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예시도 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디스플레부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 조절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 이다.
    도 8는 저장부 및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 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어부의 상세 제어 블록도의 예시도 이다.
    도 10a 및 도10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도 조절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몸체와,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투명모드와 불투명모드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투명모드는 외부에서 본체 내부에 수용된 물체를 볼 수 있도록 구현되는 모드이고, 불투명 모드는 외부에서 본체 내부에 수용된 물체를 볼 수 없도록 구현되는 모드이다.

    몸체는, 쇼케이스, 냉장고, 김치냉장고, 전자레인지, 오븐과 같은 조리기기 등의 기기이고, 디스플레이부는 쇼케이스, 냉장고, 김치냉장고, 전자레인지, 오븐과 같은 조리기기 등의 개구(開口) 또는 적어도 일면에 고정되거나 도어로 이용 가능하다.

    쇼케이스(showcase)는 장식품, 식품, 꽃, 약품, 옷, 그릇, 책, 유물, 예술품 등의 물건을 보관 및 진열하는 진열장으로, 쇼케이스는 본체의 개구 또는 적어도 일면에 마련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사람은 영상을 보면서 쇼케이스 내의 물건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는 개구의 일부분 또는 전부분에 형성 가능하며, 본체의 적어도 일면의 일부분 또는 전부분에 형성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내부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200)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디스플레이부(20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로, 몸체(100)가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시키는 냉장용 쇼케이스이고 디스플레이부(200)가 쇼 케이스의 본체(110) 개구에 장착된 도어(200)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인 냉장용 쇼케이스는 본체(110), 저장실(120), 선반(130), 기계실, 냉기 생성실(15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쇼케이스의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본체(110)의 내부에는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저장실(120)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저장실(120)에는 고내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명(125)이 마련되고, 식품의 적재를 위한 선반(130)이 마련된다.

    기계실은 저장실(1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기계실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41)와, 압축기(141)에서 압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142)와,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에서 발생된 열기를 식혀 주고 응축기(142) 주위의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냉각팬과, 응축기(142)와 증발기(151) 사이에 마련되고 저장실(120)의 온도에 기초하여 개방 또는 폐쇄 구동하는 밸브와 외부 상용전원과 연결되어 상용 전원을 각 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으로 변환하여 각 기기에 공급하는 제 1 전원부(145)와 기계실을 개폐하는 커버(146)가 마련될 수 있다.

    냉기 생성실(150)은 저장부(256)의 상부에 위치한다. 냉기 생성실(150)에는 저장실(120) 내부의 공기를 열교환하는 증발기(151)와 증발기(151)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저장실(120)로 송풍하는 송풍팬(152)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증발기(151)는 밸브가 개방되면 응축기(142)로부터 냉매가 공급되고, 이때 저온의 액체 냉매가 기체 냉매로 변화되면서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는 냉각작용을 수행한다. 이에 의하여 주변의 공기 및 저장실(120)의 공기가 냉각된다. 즉, 증발기(151)는 저장실(120)을 저온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인 도어(200)는 여닫이 형태로 본체(110)의 전면(前面) 개구에 장착되어 저장실(120)을 외부와 차폐시킴으로써 저장실(120) 내의 냉기 유출을 방지한다. 즉, 도어(200)는 저장실(120)이 개폐되도록 하며, 도어(200) 개폐시 관리자, 사용자 또는 소비자에 의해 식품이 수납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인 도어(200)는 본체(110)의 전면에 노출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 후방에 배치되는 제 1 광원(230)과, 제 1 광원(230) 후방에 배치되는 투명도 조절부(235)와, 투명도 조절부(235) 후방에 배치되는 제 2 광원(245)을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인 도어(20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제 1 광원(230)과, 투명도 조절부(235)를 고정하는 프레임(220)과, 프레임(220)의 일측 상하에 마련되어 도어(200)의 일측이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게 하는 힌지(미도시)와, 프레임(220)에 장착되되 본체(110)의 전면에 접촉되는 면에 장착되고 폐쇄시 본체(110)와의 충격을 흡수하는 패킹(240)과, 프레임(220)과 패킹(240) 사이의 일정 공간에 설치되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제 1 광원(230)과 제 2 광원(245)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모듈(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20)은 복수개의 틀 부재(221, 22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틀 부재(221, 22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틀 부재(221, 222) 중 몸체(100)인 쇼케이스에 맞닿는 틀 부재(221, 222)에는 패킹(24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각 틀 부재(221, 222)는 홀을 포함하고, 이 홀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제 1 광원(230)과, 투명도 조절부(235)가 배치된다. 즉, 프레임(220)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외곽에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인 도어(200)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복수개의 틀 부재(221, 222) 내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제 1 광원(230)과, 투명도 조절부(235)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224)가 복수 개 마련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틀 부재(221, 222) 사이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삽입되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 후방에 제 1 광원(230)이 고정되고, 제 1 광원(230) 후방에 투명도 조절부(235)가 삽입되고, 두 틀 부재(221, 222)의 결합에 의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제 1 광원(230)과, 투명도 조절부(235)가 프레임(220)에 고정 장착된다. 이 때, 복수의 지지 부재(224)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제 1 광원(230)과, 투명도 조절부(235)의 각 측면을 지지하고, 여기서 복수의 지지 부재(224)는 두 틀 부재(221, 222)를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의 기능도 가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인 도어(200)의 전면(前面) 표면적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차지하는 표면적(A1)과 프레임(220)이 차지하는 표면적(A2)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구동 모듈(250)의 용이 및 안전 설치를 위해 구동 모듈(250)이 설치되는 일 측면의 프레임(220) 폭(W1)을 나머지 측면 프레임(220) 폭(W2, W3, W4)보다 더 넓게 형성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s)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고, 이 중 LCD를 예로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액정 패널을 구성하는 셀(cell)의 투과율을 높여 액정 패널의 액정 셀이 구동될 때에는 물론 액정 패널의 액정 셀이 구동되지 않을 때에도 광을 투과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액정 패널은 구동에 무관하게 투명한 상태를 유지한다.

    즉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표시 구동 명령과 무관하게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며, 다만 후술할 제 1 광원(230)과 제 2 광원(245)의 제어에 따라 본체(110) 전면에서 바라보는 투명도가 결정되며, 이하 관련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광원은 음극선 형광램프(CCFL:cold cathode fluorescence lamp), 외부전극 형광램프(EEFL: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ce lamp)와 같은 램프,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LED array : luminescent diode array), 저장실(120) 내 조명 및 자연광 중 어느 하나의 광원으로, 이하 디스플레이부에 포함되는 광원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광원은 제 1 광원(230) 및 제 2 광원(24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광원(230) 및 제 2 광원(245)은 각각 적어도 하나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광원(230)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 후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가장자리에 선광원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 설치될 수 있다. 출력되는 광의 균일도를 높이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가장자리에 대칭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광원(245)은 투명도 조절부(235) 후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출력되는 광의 균일도를 높이기 위해 쇼케이스 내부, 보다 상세하게 쇼케이스 내면 중 적어도 일면에 선광원의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광원(230)은 본체(110)의 전면을 기준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후면 좌우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제 2 광원(245)은 본체(110)의 전면을 기준으로 투명도 조절부(235) 후면 좌우에 각각 설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쇼케이스 내부 상면에 조명(125)의 기능을 겸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투명도 조절부(235)는 제 1 광원(230) 후방에 배치되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200)에 불투명 영상, 즉 보다 선명한 영상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도 조절부(235)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투명도 조절부(235)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도 조절부(235)는 메시(mesh) 형태의 그물눈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물눈 구조를 갖는 투명도 조절부(235)는 제 1면(S1) 및 제 2면(S2)에 각각 다른 성질을 가지는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 1광원 및 제 2 광원(245)에서 출력된 광을 반사 또는 흡수시키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투명도 조절부(235)는 제 1 광원(230)에서 출력된 광을 반사시키도록 제 1 광원(230)과 마주하는 제 1면(S1)의 반사율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도 조절부(235)는 제 1 면(S1)의 반사율을 높이도록 코팅층에 백색 계열의 도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투명도 조절부(235)는 제 2 광원(245)에서 출력된 광을 흡수하도록 제 2 광원(245)과 마주하는 제 2면(S2)의 흡광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도 조절부(235)는 제 2면(S2)의 흡광도를 높이도록 코팅층에 흑색 계열의 도료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듈(250)은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PCB)으로, 구동 모듈(250)에는 제 1 전원부(145)의 전력을 통신부(252)의 구동 전력, 제어부(253)의 구동 전력 및 표시 구동부(254)의 구동 전력으로 각각 변환하는 제 2 전원부(251)와, 서버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252)와, 수신된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구동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253)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데이터를 표시하고 표시되는 데이터의 투명도를 조절하도록 제어부(253)의 명령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표시 구동부(254)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 2 전원부(251)는 본체(110)의 제 1 전원부(145)와 제 1 케이블(C1)을 통해 연결되어 제 1 전원부(145)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제 1 케이블(C1)은 몸체(100) 및 도어(200)에 존재한다. 즉 제 1 케이블(C1)은 몸체(100)에서 도어(200)까지 연장되어 제 1 전원부(145)와 제 2 전원부(251)를 연결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200)의 제어 구성도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00)는 제 2 전원부(251)와, 통신부(252)와, 제어부(253)와, 표시 구동부(2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전원부(251)와, 통신부(252)와, 제어부(253)와, 표시 구동부(254)는 디스플레이부인 도어(200)의 프레임(220)에 배치된 구동 모듈(250)에 마련된다.

    제 2 전원부(251)는 본체(110)의 제 1 전원부(145)와 제 1 케이블(C1)을 통해 연결되어 제 1 전원부(145)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력을 통신부(252)의 구동 전력, 제어부(253)의 구동 전력 및 표시 구동부(254)의 구동 전력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력을 통신부(252)와, 제어부(253)와, 표시 구동부(254)에 각각 공급한다. 이러한 제 2 전원부(251)는AC/DC 변환 및 DC/DC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52)는 서버 및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253)에 전송한다. 이러한 통신부(252)는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는 광고 영상 데이터, 식품별 제조, 유통 기한, 영양소, 원산지 등의 식품 데이터, 행사 안내 영상 데이터, 할인 쿠폰 영상 데이터, 쇼케이스 주변의 안내도 영상 데이터 등이 있다. 이러한 영상 데이터는 그림, 사진, 문구, 동영상 등의 형식 정보도 포함한다.

    아울러 서버는 통신부(252)와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을 수행하고, 단말기는 통신부(252)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기는 관리자 단말기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구동을 직접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53)는 수신된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구동 명령을 표시 구동부(254)에 출력한다. 이 때, 제어부(253)는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포맷을 디코딩 한다.

    표시 구동부(254)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부(253)의 명령에 대응하여 구동한다.

    표시 구동부(254)는 제어부(253)의 명령에 대응하여 액정 패널의 액정 셀을 구동시킴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 1 광원(230) 및 제 2 광원(245)을 구동시킴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표시되는 영상의 투명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표시 구동부(254)의 투명도 조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표시 구동부(254)는 제어부(253)의 명령에 대응하여 제 1 광원(230)이 오프 상태로 되고 제 2 광원(245)이 온 상태로 되도록 구동시킴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투명한 영상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광원(230)이 온 상태로 되고 제 2 광원(245)이 오프 상태로 되도록 구동시킴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불투명 영상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광원(230)을 온 상태로 구동시키고 제 2 광원(245)을 전면 소등 시킴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구현되는 영상의 투명도가 0에 근접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200)의 제어 구성도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00)는 도 7에 도시된 구성 외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56)와, 통신부(252)에 수신된 데이터 또는 저장부(256)에 저장된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260)를 더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구동 모듈(250)의 구성과 관련하여, 제 2 전원부(251)와, 통신부(252)와, 제어부(253)와, 표시 구동부(254)와, 저장부(256)는 하나의 구동 모듈(250)에 마련 가능하다. 입력부(260)는 구동 모듈(250)에 함께 배치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60)를 프레임(220)에 배치한 후 구동 모듈(250)의 제어부(253)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전원부(251)는 본체(110)의 제 1 전원부(145)와 제 1 케이블(C1)을 통해 연결되어 제 1 전원부(145)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력을 각 구성부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 전력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력을 통신부(252), 제어부(253), 표시 구동부(254), 저장부(256), 입력부(260)에 각각 공급한다. 이러한 제 2 전원부(251)는 AC/DC 변환 및DC/DC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53)는 통신부(252)에 수신된 데이터를 신호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구동 명령을 표시 구동부(254)에 출력한다. 이 때, 제어부(253)는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포맷을 디코딩한다.

    또한, 제어부(253)는 저장부(256)에 저장된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구동 명령을 표시 구동부(254)에 출력한다.

    이러한 제어부(25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52)에 수신된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는 제 1 신호처리부(253a)와, 저장부(256)에 저장된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는 제 2 신호처리부(253b)와, 제 1 신호처리부(253a) 및 제 2 신호처리부(253b)에서 신호 처리된 데이터의 표시를 위한 구동 명령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표시 제어부(253c)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신호처리부(253a)는, 유선 통신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와,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 2 신호처리부(253b)는 저장부(256)에 데이터 저장 시 데이터를 인코딩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어부(253)와 제 1, 2 신호처리부를 별도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제 1 신호처리부(253a) 및 제 2 신호 처리부는 신호 처리된 데이터를 제어부(253)에 전송한다.

    저장부(256)는 서버 및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때, 데이터는 압축파일 형태로 저장 가능하다.

    제어부(253)는 입력부(26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구동부(254)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어부(253)와 입력부(260) 사이의 제어 구성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입력부(260)는 전원을 온 오프하기 위한 전원모드와, 서버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된 광고 영상을 표시하는 제 1 모드, 저장부(256)에 저장된 영상을 표시하는 제 2 모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 3 모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6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버튼의 신호를 제어부(253)에 전송한다.

    제어부(253)는 입력부(260)로부터 전송된 버튼의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구동부(254)의 구동을 제어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253)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전원 모드 버튼의 입력 신호가 전송되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영상 표시를 종료 제어함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투명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전력이 차단된 상태에서 전원 모드 버튼의 입력 신호가 전송되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영상 표시를 제어함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영상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253)는 제 1 모드 버튼의 입력 신호가 전송되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서버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된 광고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제 2 모드 버튼의 입력 신호가 전송되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저장부(256)에 저장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제 3 모드 버튼의 입력 신호가 전송되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표시되는 영상의 투명도가 0-100의 범위 내에서 구현되도록 조절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특성상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구현되는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는 미리 설정된 제 1 투명도를 가지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설정된 모드일 수 있으며, 제 3 모드는 미리 설정된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의 영상의 투명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 3 모드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구현하고자 하는 영상의 투명도에 따라 강, 중, 약 모드로 구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제어부(253)의 제어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제 3 모드는 당해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연속적으로 투명도를 조절하는 모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 3 모드에서 투명도가 강으로 설정되면(이하, 강모드로 지칭한다) 제어부(253)는 제 1 광원(230)을 오프 상태로 구현하고 제 2 광원(245)을 온 상태로 구현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투명한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투명도가 약으로 설정되면(이하, 약모드로 지칭한다) 제어부(253)는 제 1 광원(230)을 온 상태로 구현하고 제 2 광원(245)을 오프 상태로 구현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불투명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투명도가 중으로 설정되면(이하, 중모드로 지칭한다) 제어부(253)는 제 1 광원(230) 및 제 2 광원(245)을 온 상태로 구현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중간 정도의 투명도를 가지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하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제 3 모드에서 제 1 광원(230) 및 제 2 광원(245)의 온 오프 상태를 조절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강모드 및 약모드를 구현하는 원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강모드 구현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모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투명 영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모드로 제 1 광원(230)을 오프상태로 구현하고 제 2 광원(245)을 온 상태로 구현하여, 제2 광원(245)에서 출력된 광을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 쪽으로 인가시켜 디스플레이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 2 광원(245)에서 출력된 광이 투명도 조절부(235)의 제 2면(S2)에 전달되고, 광이 반사되지 않도록 흡광도를 높인 제 2면(S2)의 특성상 제 2면(S2)에 전달된 광은 광 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 쪽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는 투명한 영상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모드 구현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모드는 내부의 사물은 보여지지 않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정확한 영상만 출력되도록 하는 모드로 제 1 광원(230)을 온 상태로 구현하고 제 2 광원(245)을 오프상태로 구현하여 제 1 광원(230)에서 출력된 광이 투명도 조절부(235)의 제 1면(S1)으로 입사한 후 반사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 1 광원(230)에서 출력된 광이 투명도 조절부(235)의 제 1면(S1)에 전달되고, 입사한 광이 최대한 반사되도록 반사율을 높인 제 1면(S1)의 특성상 제 1면(S1)에 전달된 광은 광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반사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 쪽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 때, 반사율 조절부의 메시 구조에 의해 제 1 광원(230)에서 출력된 광이 균일하게 반사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 방향으로 출력되어 디스플레이를 통해 색 손실이 없는 영상을 출력한다.

    이하, 도 11a 및 도 1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 3 모드에서 각각 강모드 및 약모드를 구현할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구현되는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가 강모드로 구현될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는 투명한 영상 정보가 출력된다. 예를 들어, 쇼케이스 내부에 피자가 수용되어 전시될 경우, 피자의 제조 일자, 제조 방법, 재료, 신선도, 가격, 조리사의 이력 등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전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피자를 볼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약모드로 구현될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210)에는 불투명한 영상 정보가 출력된다. 도 11a에 이어서 피자를 예로들어 설명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이용시 필요에 따라 피자의 제조 방법과 관련한 영상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를 통해 내부 사물을 볼 경우 강모드로 내부 사물 및 관련 영상이 출력되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정확한 영상 출력이 필요할 경우 약모드로 기존의 LCD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수준의 영상이 출력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사용 용도에 따라 더욱 많은 경우의 수를 더할 수 있다.

    10 : 디스플레이 장치 100 : 몸체
    110 : 본체 200 : 도어 (디스플레이부)
    210 :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220 : 프레임
    221, 222 : 틀 부재 224 : 지지 부재
    230 : 투명도 조절부 235 : 제 1 광원
    240 : 패킹 245 : 제 2 광원
    250 ; 구동 모듈 252 : 통신부
    253 : 제어부 254 : 표시 구동부
    254 : 표시 구동부 256 : 저장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