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열장의 도아 개폐장치

申请号 KR1020070012923 申请日 2007-02-07 公开(公告)号 KR100807869B1 公开(公告)日 2008-02-27
申请人 허일규; 发明人 허일규;
摘要 A door open/close apparatus for a showcase is provided to allow exhibited articles to be more conveniently installed and drawn by fully opening an inner front surface of a showcase body at the time of opening a door. A door open/close apparatus for a showcase includes a hinge member(50) and an electromagnet(30). The hinge member is installed at a lower part of one inner surface of a showcase body(10) to be extractable toward the front. The electromagnet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howcase body. The electromagnet losses magnetic force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showcase body.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of a door(20) are composed of a glass plate(21) and a steel plate(22), respectively. One side of the steel plate in the lower part of the door is hinge-joined to the hinge member. The door provided in a front of the showcase body is rotatably opened and closed.
权利要求
  • 진열장 본체(10)의 내부 일측면 하부에 힌지편(50)을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하고, 진열장 본체(10)의 전면 하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을 잃는 전자석(30)을 설치하며, 상부 유리판(21)과 상기 전자석(30)에 붙는 하부 철판(22)으로 구성한 도아(20)의 하부 철판(22) 후면 일측을 상기 힌지편(50)에 힌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장의 도아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진열장 본체(10)의 내부 우측면 하부에 다수의 가이드(61)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이송봉(62)을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양 이송봉(62)의 선단에 고정막대(65)를 설치하며, 고정막대(65)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힌지편(50)을 설치하고, 양 이송봉(62)의 중앙부에 설치된 연결막대(64)에 탄성가압댐퍼(40)를 접속하며, 도아(20)의 하부 철판(22) 후면 우측에 설치한 고정막대(25)의 상단과 하단을 각 힌지편(50)에 회동이 자유롭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장의 도아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진열장 본체(10)의 내부 전방 하부 양측에 지지막대(31)를 설치하고, 각 지지막대(31)의 전면 중앙에 전자석(3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장의 도아 개폐장치.
  • 说明书全文

    진열장의 도아 개폐장치{a door open/close apparatus for a showcas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도아 열림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도아 열림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도아 닫힘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도아 닫힘상태의 횡단면도

    도 5a는 동 실시예의 도아 닫힘상태의 요부 횡단면도

    도 5b는 동 실시예의 도아 전방 인출상태의 요부 횡단면도

    도 5c는 동 실시예의 도아 회전 열림상태의 요부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진열장 본체 20 : 도아

    21 : 상부 유리판 22 : 하부 철판

    25 : 고정막대 30 : 전자석

    31 : 지지막대 40 : 탄성가압댐퍼

    50 : 힌지편 61 : 가이드

    62 : 이송봉 65 : 고정막대

    본 발명은 보석이나 유물, 보물, 명품, 그 밖의 고가의 상품 등을 안전하게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진열장 전방에 마련되는 도아를 회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진열장의 도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석이나 유물, 보물, 명품, 그 밖의 고가의 상품을 안전하게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진열장은 대개 사방을 유리판으로 구성하여 외부에서 내부의 물품을 볼 수 있도록 한 형태를 갖게 되는 바, 이와 같은 진열장의 내부에 진열물품을 설치하거나 인출하기 위해서는 한 쪽 방향의 유리판을 분해하거나 열어야 한다.

    상기에서 진열장 내부에 진열물품을 수시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두껍고 무거운 유리판을 떼어내었다가 다시 붙이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때문에 유리판으로 된 도아를 설치하는 예가 많은 바, 종래에 있어서 진열장 도아 개폐장치는 도아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것이 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진열장의 일측에 도아의 작동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고, 아울러 본체로부터 도아가 완전히 인출되지 않기 때문에 개구면적이 작게 되어 진열물품을 투입하거나 인출하는 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진열장 도아 개폐장치는 도아의 상부에 마련되는 유리판 부분에도 각종 개폐부품을 설치하게 되므로 진열장의 외관미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진열장의 전면에 마련되는 도아를 전방으로 회전 개폐하는 것에 의해 진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도아 개방시에 개구면적을 크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진열물품의 투입 및 인출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진열장의 도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도아의 상부에 마련되는 유리판 부분에는 아무런 부품도 장착하지 않음으로써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진열장의 도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열장 본체의 내부 일측면 하부에 힌지편을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하고, 진열장 본체의 전면 하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을 잃는 전자석을 설치하며, 상부 유리판과 상기 전자석에 붙는 하부 철판으로 구성한 도아의 하부 철판 후면 일측을 상기 힌지편에 힌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장의 도아 개폐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열장 본체의 내부 우측면 하부에 다수의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이송봉을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양 이송봉의 선단에 고정막대를 설치하며, 고정막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힌지편을 설치하고, 양 이송봉의 중앙부에 설치된 연결막대에 탄성가압댐퍼를 접속하며, 도아의 하부 철판 후면 우측에 설치한 고정막대의 상단과 하단을 각 힌지편에 회동이 자유롭게 결합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열장 본체의 내부 전방 하부 양측에 지지막대를 설치하고, 각 지지막대의 전면 중앙에 전자석을 설치한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열장의 도아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도아 열림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도아 열림상태의 요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동 실시예의 도아 닫힘상태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동 실시예의 도아 닫힘상태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도 4까지와 같이 본 발명은 진열장 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되는 도아(20)를 회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진열장의 도아 개폐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진열장 본체(10)의 내부 일측면 하부에 힌지편(50)을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하고, 진열장 본체(10)의 전면 하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을 잃는 전자석(30)을 설치하며, 도아(20)를 상부 유리판(21)과 상기 전자석(30)에 붙는 하부 철판(22)으로 구성하고, 도아(20)의 하부 철판(22) 후면 일측을 상기 힌지편(50)에 힌지 결합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진열장 본체(10)의 내부 우측면 하부에 다수의 가이드(61)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이송봉(62)을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양 이송봉(62)의 선단에 고정막대(65)를 설치하며, 고정막대(65)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힌지편(50)을 설치하고, 양 이송봉(62)의 중앙부에 설치된 연결막대(64)에 탄성가압댐퍼(40)를 접속한 형태를 갖으며, 아울러 도아(20)의 하부 철판(22) 후면 우 측에 설치한 고정막대(25)의 상단과 하단을 각 힌지편(50)에 회동이 자유롭게 결합한 형태를 갖는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는 진열장 본체(10)의 내부 전방 하부 양측에 지지막대(31)를 설치하고, 각 지지막대(31)의 전면 중앙에 도아(20)의 하부 철판(22)을 부착하여 도아(20)의 닫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석(30)을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송봉(62) 및 그에 접속된 고정막대(65), 힌지편(50), 도아(2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가압댐퍼(40)는 스프링이나 그 밖의 탄성지지부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자석(30)의 설치갯수나 설치형태는 예측 가능한 범위에서 얼마든지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63은 탄성가압댐퍼 지지브라켓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3 및 도 4, 도 5a와 같은 도아(20)의 닫힘상태에서 도아(20)의 하부 철판(22)이 전자석(30)에 붙게 되므로 도아(20)가 견고한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닫힘상태에서도 탄성가압댐퍼(40)가 도아(20)를 전방으로 밀게 되지만 그보다 훨씬 강력한 전자석(30)의 자력이 도아(20)에 작용하게 되므로 인위적인 힘으로도 도아(20)를 열 수 없게 된다.

    한편 진열장 본체(10)의 내부에 진열물품을 설치하거나 진열물품을 인출하기 위해 닫힘상태의 도아(20)를 열고자 할 때는 전자석(3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전자석(30)이 자력을 잃게 되므로 도 5b와 같이 탄성가압댐퍼(40)의 탄성력이 가해 지는 연결막대(64)와 그에 접속된 이송봉(62) 및 고정막대(65), 힌지편(50), 고정막대(25), 그리고 도어(20)가 전방으로 수평 인출되며, 이러한 도아 인출상태에서 도아(2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5c와 같이 도아(20)를 수직상태로 열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아(20)를 수직상태로 열게 되면 진열장 본체(10)의 전방이 완전 개방되므로 진열장 본체(10) 내부에 진열물품을 설치하거나 인출하는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게 되며, 진열물품을 설치한 후 도아(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수평상태로 한 후 전자석(30)에 인가되던 전원을 차단하게 되면 전자석(30)에 다시 자력이 발생하게 되어 하부 철판(22)이 전자석(30)에 붙게 되면서 도아(20)가 닫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열장 본체(10)의 내부 전면 하부에 설치한 전자석(30)에 도아(20)의 하부 철판(22)이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도아(20)의 견고한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진열장 본체(10)의 내부 일측면 하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한 힌지편(50)에 도아(20)를 힌지 결합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아(20)를 전방으로 회전 개폐할 수 있게 되므로 진열장의 측면에 도아 개폐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게 되어 진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 고, 보다 견고한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도아(20)를 열었을 때에 진열장 본체(10)의 내부 전면을 완전 개방할 수 있게 되므로 진열물품의 설치 및 인출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아(20)의 상부 유리판(21)에 도아 개폐부품을 포함한 어떠한 부품도 설치하지 않게 되므로 진열장의 외관미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