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장치

申请号 KR1019960027233 申请日 1996-07-05 公开(公告)号 KR100178467B1 公开(公告)日 1999-04-01
申请人 쇼와코키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고데라히로유키;
摘要 전시장치의 전시케이스(10)의 내측에는 보호부재(30)가 수축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전시케이스의 소정레벨을 넘는 흔들림이 검출기(40)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 이 흔들림검출에 응답하여 작동기구(50)가 보호부재를 늘리며, 이 늘어난 상태의 보호부재가 전시품(A)을 둘러싼다.
权利要求
  • (a) 전시품(A)을 둘러싸는 둘레벽(12a)을 갖는 전시케이스(10); (b) 상기 전시케이스(10)의 둘레벽(12a)보다 내측에 있어서, 수축된 상태로 전시케이스의 상부 또는 하부 중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늘어났을 때에 상기 전시품(A)을 둘러싸는 신축가능한 보호수단(30); (c) 상기 전시케이스의 소정레벨을 넘는 흔들림을 검출하는 검출수단(40); (d) 상기 검출수단(40)의 흔들림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보호수단을 늘리는 작동수단(50)을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케이스(10)는 또한 전시품(A)을 놓는 설치대(11)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설치대는 상기 전시케이스의 하부로서 제공되며, 이 설치대에 상기 둘레벽(12a)이 지지되어 있으며, 설치대의 상부면에는 상기 전시품을 놓는 개소의 주위에 수용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용오목부에 보호수단(30)이 수축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오목부(21)의 상단개구부는 뚜껑(28)에 의해 닫혀 있고, 이 뚜껑은 보호수단(30)이 늘어났을 때에 이 보호수단에 눌려져 수용오목부의 상단개구를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케이스(10)의 상부는 박스(80)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이 박스는 상기 둘레벽(12a)에 지지되어 있고, 박스의 하부면에는 상기 둘레벽을 따라서 수용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오목부에 상기 보호수단(30)이 수축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오목부(21)의 하단개구부(21)는 뚜껑(28)에 의해 닫혀 있으며, 닫힌 상태의 뚜껑(28)은 작동수단으로서 제공되는 래치(latch)기구(90)에 의해 래치되며, 이 래치기구는 검출수단(40)으로부터의 흔들림검출에 응답하여 뚜껑의 래치상태를 해제하고, 뚜껑을 열어서 보호수단(30)의 아래쪽으로의 늘어남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수단(30)은 벨로즈(31)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수단(30)은 밀폐공간(35)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작동수단(50)은 고압가스 공급원(55)과 이 고압가스 공급원을 상기 보호수단에 접속하는 관(56),(57),(58)을 가지고 있으며, 작동수단은 이 고압가스공급원의 고압가스를 관을 통하여 보호수단의 밀폐공간으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수단(30)은 내측벨로즈(31)와 이 내측벨로즈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외측벨로즈(32)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50)의 고압가스 공급원은 고압가스를 봉인한 탱크(55)로 이루어지며, 상기 검출수단(40)은 전시케이스의 흔들림을 검출하였을 때에 전기적인 검출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작동수단은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탱크내의 고압가스를 관(56),(57),(58)으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55)는 얇은 벽부분(55b)을 가지고 있고, 상기 작동수단(50)은 이 탱크의 얇은 벽부분과 협동하여 내부공간(53a)을 형성하도록 탱크를 유지하는 홀더(53)를 가지며, 이 내부공간은 상기 관(56),(57),(58)을 통하여 보호수단(30)의 밀폐공간(35)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수단은 또한 상기 홀더에 유지됨과 더불어 뾰족한 선단부(54a)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됨과 더불어 탱크의 상기 얇은 벽부분에 대치되는 바늘(54)과, 상기 검출수단(40)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이 바늘을 얇은 벽부분을 향하여 이동시키며, 이 얇은 벽부분을 돌파하여 구멍을 형성하는 바늘이동기구(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치.
  • 说明书全文

    전시장치

    본 발명은 불상 등의 전시품을 안전하게 전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술관 등에 있어서, 전시품을 전시케이스에 수납한 상태로 전시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전시케이스는 바닥에 단순히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진 등에 의해 전시케이스가 크게 흔들리면 전시품이 쓰러져 파손되는 일이 있다.

    최근에는 바닥과 전시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지진시에 전시케이스의 흔들림을 작게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대지진일 경우에는 상기의 장치로는 전시케이스의 흔들림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없고, 전시품이 쓰러져 파손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진 등에 기인한 전시품의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전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요지는, 하기의 (a), (b), (c), (d) 작동수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전시품(A)을 둘러싸는 둘레벽(12a)을 갖는 전시케이스(10); (b) 상기 전시케이스(10)의 둘레벽(12a)보다 내측에 있어서, 수축된 상태로 전시케이스의 상부 또는 하부 중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늘어났을 때에 상기 전시품(A)을 둘러싸는 신축가능한 보호수단(30); (c) 상기 전시케이스의 소정 레벨을 넘는 흔들림을 검출하는 검출수단(40); (d) 상기 검출수단(40)의 흔들림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보호수단을 늘리는 작동수단(50)을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치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시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장치의 보호부재 및 작동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수축상태에서의 상기 보호부재를 나타낸 확대 종단면도.

    제4도는 늘어난 상태에서의 상기 보호부재를 나타낸 제3도에 상당하는 도면.

    제5도는 상기 작동기구의 측면도.

    제6도는 비작동상태에서의 상기 작동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종 단면도.

    제7도는 작동상태에서의 상기 작동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낸 제6도에 상당하는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시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제3도에 상당하는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시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10도는 수축상태에서의 상기 보호부재를 나타낸 확대종단면도.

    제11도는 늘어난 상태에서의 상기 보호부재를 나타낸 제10도에 상당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시케이스 11 : 설치대

    12 : 케이스본체 13 : 전시공간

    14 : 베이스프레임 15 : 하판

    16 : 상판 17 : 측판

    18 : 내부공간 20 : 수용부재

    25 : 블록 26 : 브라켓

    28 : 뚜껑 30 : 보호부재

    31, 32 : 벨로즈 33 : 하부측연결판

    34 : 상부측연결판 35 : 밀폐공간

    40 : 검출기 50 : 작동기구

    51 : 베이스판 52 : 지주

    53 : 홀더 54 : 바늘

    55 : 고압탱크 56, 57, 58 : 관

    60 : 이동기구 61 : 롤러

    62 : 캠로드 63 : 전자구동기

    64 : 아마츄어 65 : 코일스프링

    66 : 캠폴로워 68 : 코일스프링

    80 : 박스 90 : 래치(latch)기구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전시장치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제1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시장치는 불상 등의 전시품(A)을 수용하는 전시케이스(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시케이스(10)는 전시품(A)이 놓이는 설치대(11)와, 이 설치대(11)의 둘레가장자리에 지지되어 전시품(A)을 둘러싸는 투명한 케이스본체(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설치대(11)와 케이스본체(12)에 의해 전시품(A)이 수용되는 전시공간(13)이 형성되어 있다.

    제3도,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치대(11)는 평면사각형의 베이스프레임(14)과, 베이스프레임(14)의 상부면에 수평으로 고정된 사각형의 하판(15)과, 이 하판(15)의 위측에 수평으로 배치된 사각형상의 상판(16)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4)의 위측에 수직으로 배치된 4장의 사각형 측판(17)(도면에서는 1장만 나타냄)을 갖추고 있다. 하판(15), 상판(16), 측판(17)에 의해 설치대(11)의 내부공간(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4)은 단면사각형으로 속이 비어있고, 바닥면(F)에 볼트(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3장의 상기 측판(17)은 베이스프레임(14)에 고정됨과 더불어 서로 고정되어 있다. 나머지 1장의 측판(17)은 인접하는 2장의 측판(17)중 한쪽의 측부 가장자리에 힌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동가능한 측판(17)이 설치대(11)의 내부 공간(18)을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측판(17)은 록크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인접하는 다른 쪽의 측판(17)에 록크되어 있다.

    제3도,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2)는 4장의 사각형측판(12a)(1장만 도시함)과, 1장의 사각형 상판(12b)으로 구성되어 있다. 4장의 측판(12a)은 횡단면사각형을 이루는 둘레벽을 구성하고 있다. 이들 4장의 측판(12a)과 상판(12b)은 유리나 수지 등과 같이, 투명하고 강도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본체(12)에서는 적어도 1장의 측판(12a)이 투명하면 된다.

    설치대(11)에 있어서 최초로 언급한 3장의 측판(17) 상부 가장자리에는 케이스본체(12)의 3장의 측판(12a) 하부 가장자리가 고정되어 있고, 이들 3장의 측판(12a)은 측부 가장자리에 있어서 서로 고정되어 있다. 이들 3장의 측판(12a)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판(12b)이 고정되어 있다. 설치대(11)의 나머지 1장의 회동가능한 측판(17) 상부 가장자리에도 케이스본체(12)의 나머지 1장의 측판(12a) 하부 가장자리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측판(12a)은 상기 측판(17)과 더불어 회동가능하며, 이에 따라서 상기 전시공간(13)을 개폐하고, 전시품(A)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설치대(11)는 수용부재(20)를 가지고 있으며, 이 수용부재(20)는 4장의 측판(17)을 따라서 배치되어 평면사각형의 환을 이루고 있다. 이 수용부재(20)는 종단면이 거의 U자형을 이루며, 평탄한 바닥벽(20a)과, 이 바닥벽(20a)으로부터 각각 위쪽으로 연장되는 내측기립벽(20b) 및 외측기립벽(20c)을 갖추고 있다. 수용부재(20)의 바닥벽(20a)은 블록(25)을 통하여 하판(15)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상판(16)은 하판(15)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며, 그 외측둘레 가장자리가 브라켓(26)을 통하여 수용부재(20)의 내측기립벽(20b)에 고정되어 있다. 상판(16)의 상부면 중앙부에 상기 전시품(A)이 놓여진다. 상판(16)의 상부면은 수용부재(20)의 상단부와 거의 같은 높이에 있다. 수용부재(20)의 내부공간은 후술하는 보호부재(30)(보호수단)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오목부(21)로서 제공된다. 이 수용오목부(21)의 상단개구부는 뚜껑(28)(다수)으로 막아져 있다. 이 뚜껑(28)은 수용부재(20) 외측기립벽(20c)의 상부 가장자리에 힌지(29)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통상시에 있어서 이 뚜껑(28)은 내측기립벽(20b)의 상부 가장자리에 놓여 있고, 그러므로써 수용오목부(21)의 상단개구부를 닫고 있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호부재(30)는 평면사각형의 통형상을 이루는 내측벨로즈(31)와, 평면형상이 상기 내측벨로즈(31)보다 큰 사각형을 이루고 내측벨로즈(31)를 둘러싸는 통형상의 외측벨로즈(32)와, 이들 벨로즈(31),(32)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부측연결판(33)과, 이들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부측 연결판(34)을 갖추고 있다. 벨로즈(31),(32)는 서로 떨어져 있고, 이들 벨로즈(31,32)와 연결판(33,34)에 의해 밀폐공간(35)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보호부재(30)는 평면형상이 사각형의 환을 이루는 주머니로 되어 있다.

    상기 벨로즈(31),(32)는 고무, 합성수지, 고무와 합성수지를 코팅한 헝겊 등의 비교적 연질(軟質)로 된 시트를 통형상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주름을 주어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 결과, 보호부재(30)는 수직 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상적으로는 보호부재(30)는 수축된 상태, 즉 꺾어 접힌 상태로 수용오목부(21)에 수용되어 있다. 하부측연결판(33)은 수용부재(20)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측 연결판(34)은 연질수지와 고무 등 비교적 유연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도에서는 수축된 상태인 보호부재의 상부측연결판(34)이 뚜껑(28)에 접하고 있지만 떨어져 있어도 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시장치는 또한 지진시와 같이 소정레벨을 초과한, 전시케이스(10)의 큰 흔들림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검출기(40)(검출수단)와, 이 검출기(40)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보호부재(30)를 위쪽으로 향하여 늘리기 위한 동작기구(50)(작동수단)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검출기(40)와 작동기구(50)는 상기 설치대(11)의 내부공간(18)에 수용되어 있다.

    제2도,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동기구(50)는 설치대(11) 하판(15)의 상부면에 고정된 가늘고 긴 베이스판(51)을 갖추고 있다. 이 베이스판(51)의 상부면에는 베이스판(5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선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예를들어 3개의 지지기둥(52)이 고정되어 있다. 각 지지기둥(52)은 가늘고 긴 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부에는 통형상의 홀더(53)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홀더(53)에는 고압탱크(고압가스 공급원)(55)가 설치되어 있다.

    제6도, 제7도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홀더(53)는 상단부가 개구된 단면원형의 제1 수용공간(53a)과, 하단부가 개구된 단면원형의 제2 수용공간(53b)을 갖추고 있다. 제2 수용공간(53b)의 직경은 제1 수용공간(53a)보다 작다. 양 수용공간(53a),(53b)의 경계에는 환형상의 스프링받이(53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수용공간(53b)의 하단부 둘레가장자리에는 환형상의 계지부(53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압탱크(55)는 철 등의 금속으로 된 성형품으로 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내부에 공기, 질소가스 또는 이산화탄소가스 등의 고압가스를 봉입하고 있다. 이 고압탱크(55)는 개구부와 이 개구부를 막는 뚜껑을 갖추고 있지 않다. 이 고압탱크(55)의 소직경의 하단부(55a)가 상기 제1수용공간(53a)에 나사결합에 의해 들어가 있다. 고압탱크(55)의 얇은 하단벽(55b)(두께가 얇은 벽부분)은 상기 스프링받이(53c)에 떨어져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상기 3개의 홀더(53)에는 각각 관(56)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제1수용공간(53a)의 하부(홀더(53)과 고압탱크(55)의 하단벽(55b)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3개 관(56)의 타단부는 공통의 관(57)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관(57)에는 4개의 관(58)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제2도,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관(58)의 타단부는 수용부재(20)의 평면사각형 변의 중앙부에 있어서 수용부재(20)의 저벽(20a)과 보호부재(30)의 하부측연결판(33)을 관통하여 보호부재(30)의 밀폐공간(35)에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제1 수용공간(53a)의 하부는 관(56),(57),(58)을 통하여 보호부재(30)의 밀폐공간(35)에 연결되어 있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홀더(53)에는 탱크(55)에 구멍을 뚫어 탱크(55)로부터의 고압가스를 방출시키기 위한 바늘(54)이 수직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이 바늘(54)은 스프링받이(53c)를 관통하고 있다. 바늘(54)의 외측둘레면과 홀더(53)의 스프링받이(53c) 내측둘레면의 틈새는 매우 좁거나 또는 시일부재가 삽입되어 있어, 상기 틈새로부터의 후술하는 고압가스 누출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있다.

    상기 바늘(54)의 뾰족한 상단부(54a)가 제1수용오목부(53a)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어 고압탱크(55)의 하단벽(55b)에 대치하고 있다. 바늘(54)은 그 하단부에 스프링받이(54b)를 갖추고 있고, 이 스프링받이(54b)는 제2수용공간(53b)내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바늘(54)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기구(60)에 대하여 상술한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기구(60)는 지지기둥(52)의 줄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열, 예를들어 3개의 롤러(61)를 갖추고 있다. 이들 롤러(61)는 베이스판(51)의 상부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들 롤러(61)에는 그 배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기둥(52)를 관통하는 길고 가느다란 캠로드(62)가 실려 있다. 베이스판(51)의 일단부(제5도에 있어서 좌단부)의 상부면에는 솔레노이드를 내장한 전자구동기(6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캠로드(62)의 일단부에는 샤프트(62a)가 연결되어 있다. 이 샤프트(62a)는 캠로드(6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전자구동기(63)를 관통하고, 그 돌출단부에는 아마츄어(6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아마츄어(64)와 전자구동기(63)의 사이에는 캠로드(62)를 제5도중 좌측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코일스프링(65)이 삽입되어 있다. 캠로드(62)의 우측단부에는 스토퍼(62b)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토퍼(62b)가 우측단부의 지지기둥(52)에 접함으로써 캠로드(62)의 좌측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제6도,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기구(60)는 또한 홀더(53)의 제2수용공간(53b)에 각각 수용된 캠폴로워(66)와 코일스프링(68)을 갖추고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68)은 바늘(54)의 스프링받이(54b)와 홀더(53)의 스프링받이(53c)와의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캠폴로워(66)는 구형상(球形狀)을 이루며, 바늘(54)의 스프링받이(54b)를 통하여 코일스프링(68)에 의한 아랫방향으로의 힘을 받음으로써 홀더(53)의 하단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캠폴로워(66)는 홀더(53)의 걸어맞춤부(53d)에 걸리므로써 홀더(53)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캠로드(62)의 상부면에는 상기 캠폴로워(66)가 접하는 캠면(62x)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면(62x)은 낮은 수평부(62x 1 )와, 높은 수평부(62x 2 )와, 양자간의 경사부(62x 3 )를 가지고 있다. 통상시에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폴로워(66)가 캠로드(62) 캠면(62x)의 낮은 수평부(62x 1 )에 접하고 있고, 바늘(54)의 상단부(54a)는 고압탱크(55)의 하단벽(55b)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통상의 전시상태에서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부재(30)는 수축된 상태에 있고, 수용오목부(21)는 뚜껑(28)으로 닫혀 있으며, 이 뚜껑(28)은 설치대(11)의 상판(16)과 거의 같은 높이에 있으므로 일반적인 전시케이스와 동일하게 하여 전시품(A)을 전시할 수 있으며, 보호부재(30)는 눈에 거슬리지 않는다.

    지진시와 같이 전시케이스(10)가 소정레벨을 넘어서 크게 흔들렸을 때에는 검출기(40)가 이 흔들림을 검출하여 전기적인 검출신호를 전자구동기(63)에 출력한다. 전자구동기(63)는 이에 응답하여 온으로 됨으로써 아마츄어(64)를 코일스프링(65)에 대항하여 끌어당긴다. 이에 따라서 캠로드(62)가 제5도, 제6도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캠면(62x)이 캠폴로워(66)에 대하여 동일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캠폴로워(66)의 캠면(62x)에 대한 접촉위치는 낮은 수평부(62x 1 )로부터 경사부(62x 2 )를 거쳐 높은 수평부(62x 2 )로 변하고, 따라서 캠폴로워(66)는 위쪽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위쪽으로 이동된 캠폴로워(66)는 코일스프링(68)에 대항하여 바늘(54)를 밀어 올리기 때문에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늘(54)의 상단부(54a)가 고압탱크(55)의 얇은 하단벽(55b)을 돌파하여 구멍(B)을 형성한다. 그 결과, 고압탱크(55)내의 고압가스가 하단벽(55b)의 구멍(B)으로부터 새어나와 홀더(53)의 제1 수용공간(53a) 하부를 채우고, 또 관(56 내지 58)을 통하여 보호부재(30)의 밀폐공간(35)내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고압가스가 도입된 보호부재(30)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뚜껑(28)을 밀어서 열고 위쪽으로 뻗어, 케이스본체(12) 4장의 측판(12a)을 따르는 평면사각형의 통이 되며, 설치대(11)의 상판(16)에 놓여진 전시품(A)을 전체주위에 걸쳐서 둘러싼다. 따라서 전시품(A)이 쓰러져도 보호부재(30)가 전시품을 받아서 보호하고, 파손을 방지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호부재(30)내의 고압가스가 전시품을 받을 때의 쿠션작용을 이루므로, 보다 한층 확실하게 전시품(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부재(30)가 벨로즈(31),(32)를 갖추고 있으므로, 이 벨로즈(31,32)자체의 쿠션작용도 전시품(A)의 파손방지에 기여한다.

    상기 벨로즈(31, 32)는 신축동작이 용이하여, 수축된 상태에서 간단하게 수용오목부(21)에 수용되며, 또한 고압가스를 받았을 때에는 신속하고 확실하게 늘어나 전시품(A)을 둘러쌀 수 있다. 또한 보호부재(30)의 4개소로부터 고압가스가 도입되므로 보호부재(30)는 안정되게 늘어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30)가 늘어났을 때, 상부측의 연결판(34)이 케이스본체(11)의 상판(12b)에 부딪치지만, 이 연결판(34)은 비교적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판(12b)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보호부재(30)가 늘어난 상태에서 연결판(34)이 상판(12b)에 도달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바늘(54)이 고압탱크(55)의 하단벽(55b)을 돌파하여 구멍(B)에 들어간 상태에서도 고압가스는 바늘(54)과 구멍(B)의 둘레가장자리 사이로부터 새어나와 보호부재(30)에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구동기(63)를 온으로부터 오프로 되돌리므로써 코일스프링(65)의 힘으로 캠로드(62)를 원위치로 되돌리고, 이에 따라서 코일스프링(68)의 힘으로 바늘(54) 및 캠폴로워(66)를 눌러 내려져 캠폴로워(66)를 원래의 낮은 수평부(62x 1 )에 접하게 된다. 그 결과, 하단벽(55b)의 구멍(B)으로부터 바늘(54)이 뽑아져서 고압가스의 토출을 보다 한층 확실하게 한다.

    고압탱크(55)는 성형된 금속용기로 이루어지며, 개구부 및 이 개구부를 막는 뚜껑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바늘(54)로 돌파될 때까지는 고압 가스의 누출은 절대로 발생하지 않으며,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되게 고압가스를 봉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들 실시형태에 있어서 처음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구성부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8도는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재(20)의 구조만이 최초의 실시형태와 다르다. 즉, 수용오목부(21)의 폭이 그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향함에 따라서 넓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서 보호부재(30)를 보다 한층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또한 고압가스를 받을 때에 보다 한층 원활하게 늘어날 수 있다.

    제9도 내지 제11도는 제3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전시케이스(10)의 상부박스(80)에 의해 구성되며, 이 박스(80)내에 보호부재(30)가 놓여 있다.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설치대(11)는 간략화된 구성을 이루고 있으며, 박스(80)는 최초 실시 형태의 설치대(11)를 거꾸로 한 것과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다. 케이스본체(12) 3장의 측판(12a)이 박스(80)에 고정되며, 나머지 1장의 회동가능한 측판(12a)은 이 박스(80)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박스(80)에 설치된 수용부재(20) 수용오목부(21)에 보호부재(30)가 수축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수용부재(20)의 수용오목부(21) 하단개구부는 뚜껑(28)에 의해 막혀 있다. 뚜껑(28)(다수)의 일측 모서리는 힌지(29)에 의해 수용부재(20) 외측기립벽(20b)의 아래쪽 모서리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뚜껑(28)의 타측 모서리는 박스(80)의 하부면에 설치된 래치(latch)기구(90)(작동수단)에 의해 래치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뚜껑(28)은 박스(80)의 하부면과 거의 같은 높이에 있다. 박스(80)내에는 제2도에 나타낸 검출기(40)와 작동 기구(50)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검출기(40)의 요동검출신호는 처음에 래치기구(90)로 보내지고, 약간 지연되어 전자구동기(63)(제2도참조)로 보내진다. 래치기구(9)는 이 요동검출신호에 응답하여 뚜껑(28)의 래치상태를 해제하고, 이에 따라서 뚜껑(28)이 수용오목부(21)를 연다. 그 결과, 수축된 상태의 보호부재(30)가 자체 무게에 의해 낙하하여 수직방향으로 늘어나 전시품(A)을 둘러싼다. 이 낙하 직후에 전자구동기(63)가 작동하여 고압가스를 보호부재(30)의 밀폐공간(35)으로 보내고 이 보호부재(30)를 폭방향으로 부풀게 한다.

    또한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도 가능하다.

    상기 모든 실시형태에서는 보호부재(30)의 내측벨로즈(31)와, 외측벨로즈(32)가 떨어져 있지만, 내측벨로즈(31)의 외측꺾은선부와 외측 벨로즈(32)의 내측꺾은선부가 접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이들 꺾은선부를 이들 꺾은선부를 따라서 간격을 두고 접착, 용착 등의 수단으로 연결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보호부재(30) 수직방향의 중앙부가 폭방향으로 부푸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도, 제2도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호부재(30)의 늘어남을 확실하게 하는 만큼 기체량이 확보되는 것이라면 고압탱크(55)는 하나라도 된다.

    보호부재(30)의 연결판(34)은 수용오목부(21)의 상단개구를 막는 뚜껑을 겸하고 있어도 된다.

    보호부재를 차량용 에어백같은 주머니로 구성해도 된다.

    보호부재를 한개의 통형상을 이루는 벨로즈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작동기구는 예를들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수직으로 배치된 다수의 로드 상단부에 벨로즈 상단부가 고정된다. 로드는 스프링에 의해 위쪽으로 부세되며, 스토퍼로 아래쪽 위치에 걸려 있다. 지진시에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요동검출에 응답하여 스토퍼가 이동하여 로드와의 계지상태를 해제하며, 이에 따라서 로드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벨로즈를 늘어나게 한다. 또한 작동기구는 상기 로드와 스토퍼대신에 고압가스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실린더를 구비하여도 된다.

    보호부재는 전시품의 주위에 주위방향으로 분할하여 배치해도 된다.

    전시케이스, 보호부재는 평면형상이 원형이어도 된다.

    고압탱크로부터 고압가스를 방출시키기 위한 수단은 보호부재와 고압탱크를 연결하는 관의 도중에 설치된 밸브이어도 된다.

    차량용 에어백같이 화약을 가열점화하여 고압가스를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화약이 고압가스공급원이 되며, 이 화약과, 화약을 가열하는 히터와, 이 히터를 검출기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통전시키는 구동회로에 의해 작동수단이 구성된다.

    흔들림을 검출하는 수단은 전시케이스의 외부에 배치하는데, 예를들어 바닥에 설치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바닥의 흔들림을 검출함으로써 전시케이스의 흔들림을 간접적으로 검출하게 된다. 또한 검출수단은 전시케이스의 종방향 흔들림을 검출하거나 횡방향 흔들림과 종방향 흔들림을 동시에 검출하여도 된다.

    또한, 요동검출수단으로서, 수평이동판과 이 수평이동판을 받는 받이대를 구비한 것이라도 된다. 수평이동판 하부면의 다수개소에는 구체(球體)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받이대의 상부면에는 각 구체가 놓이는 받이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받이면은 상기 구체보다 큰 곡률반경(曲率半徑) 구면(球面)의 일부로 된 오목곡면으로 되어 있다. 통상시에는 구체가 대응되는 받이면의 중앙에 위치하고, 지진이 있으면 수평이동판이 수평 이동하여 구체가 받이면의 중앙위치로부터 치우친다. 이 수평이동판의 수평이동이 전시케이스의 흔들림을 검출한 것이 된다. 예를들어 수평이동판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칼이 붙어 있어 수평이동판의 소정량을 넘는 이동시에 칼이 물을 수용한 고무제 탱크를 찢어, 이 탱크내의 물을 받은 트리거에 의해 밸브가 열려 고압탱크내의 고압가스를 보호부재의 밀폐공간으로 공급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