专利汇可以提供탈착식 난간 및 탈착식 난간이 설치된 작업대专利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的服务。并且본 고안은 탈착식 난간 및 탈착식 난간이 설치된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다리를 비롯한 작업대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 및 심리적 안정감을 높여주고, 접철에 대한 편의성을 형상시킨 탈착식 난간 및 탈착식 난간이 설치된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에 복수로 설치된 디딤대를 포함하는 작업대에 탈부착되어 안전 난간을 제공하는 탈착식 난간에 있어서,한 쌍의 안전바;상기 안전바 사이에 축 결합된 발판;상기 안전바 각각에 축 결합되어 회전되며, 지지대에 지지된 채로 회전되면서 안전바를 지지대에 근접시키거나 멀어지게 하면서 안전바로 하여금 발판을 밀었다 당겼다 하도록 한 레버;상기 발판의 저면에 탈착되며, 레버의 회전에 의해 발판과 연동되면서 사다리의 디딤대 내측면에 밀착되어 발판의 회전을 구속하는 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탈착식 난간을 제공한다.,下面是탈착식 난간 및 탈착식 난간이 설치된 작업대专利的具体信息内容。
본 고안은 탈착식 난간 및 탈착식 난간이 설치된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대를 이용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 및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하고, 간편한 탈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탈부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탈착식 난간 및 탈착식 난간이 설치된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곳의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작업 위치에 다다를 수 있도록, 별도의 장비가 요구된다.
이때, 비교적 높은 위치에서 작업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가 제공되지만, 건물내 또는 비교적 높지 않은 위치에서는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는 여러 가지 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즉, 건물 내의 작업장 또는 야외 작업장이라 하더라도, 비교적 높이가 높지 않은 위치에서는 상기 크레인과 같은 자동식 작업대가 아닌 사다리가 사용되는 실정이다.
이때, 사다리는 통상, 건물에 지지된 상태로 사용되는 일반 사다리와, 두 개의 일반 사다리가 서로 지지되면서 사용되는 "A"형 사다리로 구분된다.
이때, "A"형 사다리는 기대고자 하는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 없고, 한 쌍의 일반 사다리가 마주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어 많은 작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A"형 사다리(이하, '사다리'라 함)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사다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지지대(10) 상단부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 지지대(10)의 하단부는 지면에 지지된다.
이때, 각각의 지지대(10)는 한 쌍의 세로바(10a)와, 이 세로바(10a) 사이에 복수로 설치되어 디딤대 역할을 하는 가로바(10b)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사다리는 양쪽의 지지대(10)에 작업자 두 명이 올라 작업할 수도 있으며, 보관시에는 지지대(10)의 상단부를 접철하여 부피를 줄임으로써 보관에 대한 효율성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사다리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비교적 낮은 위치에서의 작업 환경은 크게 상관없지만, 높은 환경에서의 작업 즉, 사다리의 상단부 가로바(10b)를 딛고 작업해야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심리적인 안정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작업하는 과정에서 몸의 균형이 약간만 무너지더라도, 작업자는 몸을 지지하거나 파지해야할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그대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던 것이다.
둘째, 작업자가 사다리를 딛고 작업하기 위해서는 지지대(10)의 가로바(10b)를 딛은 채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사다리의 맨 상단에 설치된 가로바(10b)를 딛고 작업해야 하는 경우, 가로바(10b)의 단면적이 좁아 작업에 대한 안정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가로바(10b)만 딛은 채로 작업을 할 경우에는 작업자의 균형을 유지하기가 매우 어려워 안전사고는 물론, 작업성이 떨어졌던 것이다.
게다가, 높이를 떠나서 일정 높이에서의 작업은 누구에게나 심리적으로 안정감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인바, 종래의 사다리는 작업에 대한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감 및 안전사고 예방하는데 있어서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다리를 비롯한 작업대의 높은 곳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 및 심리적 안정감을 높여 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높인 탈착식 난간 및 탈착식 난간이 설치된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에 복수로 설치된 디딤대를 포함하는 작업대에 탈부착되어 안전 난간을 제공하는 탈착식 난간에 있어서,한 쌍의 안전바;상기 안전바 사이에 축 결합된 발판;상기 안전바 각각에 축 결합되어 회전되며, 지지대에 지지된 채로 회전되면서 안전바를 지지대에 근접시키거나 멀어지게 하면서 안전바로 하여금 발판을 밀었다 당겼다 하도록 한 레버;상기 발판의 저면에 탈착되며, 레버의 회전에 의해 발판과 연동되면서 사다리의 디딤대 내측면에 밀착되어 발판의 회전을 구속하는 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탈착식 난간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레버는, 안전바가 통과되며, 레버의 회전시 안전바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통공을 갖는 "ㄱ" 형태의 몸체;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지지대를 따라 구름되면서 몸체의 회전을 가이드 하며, 직경 만큼 안전바와 지지대 사이의 간격을 더 이격시키는 가이드 롤러;상기 몸체 중, 가이드 롤러와 안전바 사이에 설치된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가이드 롤러는 몸체의 회전에 의해 지지대 상에서 최고점에 배치되었을 때, 안전바와 수직 선상으로 배치되어 안전바를 지지대로부터 최대로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발판의 저면에 밀착된 밀착부와, 이 밀착부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디딤대의 내측면에 밀착된 고정부와, 상기 밀착부를 발판의 저면에 탈착시키는 탈착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디딤대의 내측면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고정부에는 상기 걸림편이 삽입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바의 하단부에는 지지대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가 설치되며, 결합부재의 일단부는 안전바의 하단부에 축 결합되고, 결합부재의 타단부는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예로서, 한 쌍의 지지대 사이에 복수로 설치된 디딤대를 포함하며, 상단부는 서로 지지된 상태로 이루어진 A형 사다리;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결합되며, 작업공간과 안전바를 제공하는 탈착식 난간:을 포함하되, 상기 탈착식 난간은,한 쌍의 안전바;상기 안전바 사이에 축 결합된 발판;상기 안전바 각각에 축 결합되어 회전되며, 지지대에 지지된 채로 회전되면서 안전바를 지지대에 근접시키거나 멀어지게 하면서 안전바로 하여금 발판을 밀었다 당겼다 하도록 한 레버;상기 발판의 저면에 탈착되며, 레버의 회전에 의해 발판과 연동되면서 사다리의 디딤대 내측면에 밀착되어 발판의 회전을 구속하는 유동방지부재:상기 안전바의 하단부에 축 결합되며, 지지대에 고정된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작업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탈착식 난간 및 탈착식 난간이 설치된 작업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작업자는 작업대의 상단부에서 작업을 하더라도 몸을 지지할 수 있는 탈착식 난간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안정감 있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탈착식 난간은 하방으로 접철됨으로써, 작업대 전체의 부피를 간편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작업대에 대한 운반 및 보관의 효율성이 높게 된다.
셋째, 탈착식 난간에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발판이 설치됨으로써, 작업자는 균형을 유지하기가 훨씬 수월해진다.
즉, 단면적이 좁은 가로바에 비해 디딜 수 있는 면적이 큰 발판이 제공됨으로써, 작업자는 더욱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넷째, 레버를 통해 발판을 전,후로 움직여 발판에 대한 고정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발판 고정을 위한 일련의 과정이 간편해져 작업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A"형 사다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난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난간의 레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난간이 설치된 사다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난간의 레버 작용을 나타낸 요부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난간의 발판 작용을 나타낸 요부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난간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탈착식 난간은 안전바(100)와, 발판(200)과, 레버(300)와, 유동방지부재(400)와, 결합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전바(100)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됨과 더불어,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하며, 후술하는 결합부재(500)의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안전바(100)는 하단부가 결합부재(500)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도록 제공된 것이다.
안전바(100)의 길이는 한정되지 않으나, 성인남자 평균 키를 갖는 작업자 허리와 가슴 사이에 배치되는 길이임이 바람직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안전바(100)의 형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바(bar)로 제공되고, 바의 상단부는 일체로 연결되어 작업자의 가슴이나 배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안전바(100)의 상단부에는 소정의 수용공간을 갖는 공구받이대가 설치되어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높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안전바(100)의 일측에는 브라켓(110)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브라켓(110)은 후술하는 레버(300)의 회전축이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발판(200)은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며, 발판(200)의 일단부는 안전바(100) 사이에 축 결합되어 그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발판(200)은 작업자가 발을 안정감 있게 디딜 수 있도록 편평한 사각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사다리의 맨 상단에 설치된 디딤대 사이에 걸쳐 안착이 된다.
상기 발판(200)은 작업자가 사다리의 맨 상부에 올라 작업하는 경우에, 발을 디디는 공간이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사다리의 상단부에 발판(200)이 제공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레버(300)는 지지대를 기준으로 안전바(100)를 지지대에 근접시키거나 멀게 함으로써, 상기 안전바(100)에 결합된 발판(200)을 양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양방향이라 함은 사다리의, 전,후 방향(도면상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레버(300)는 몸체(310)와, 가이드 롤러(320)와, 회전축(330)을 포함한다.
몸체(310)는 레버(300)의 외관을 구성하며, 중앙에는 안전바(100)가 삽입되어 통과되는 통공(311)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311)은 안전바(100)가 배치되는 부위이며, 레버(300)의 회전시 안전바(100)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안전바(100)의 유동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몸체(310)의 일단부는 가이드 롤러(320)가 설치되는 부위이며, 몸체(310)의 타단부는 작업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부(312)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310)의 형태는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ㄱ" 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이드 롤러(320)는 레버(300)의 회전시 사다리의 지지대를 따라 구름되면서 레버(300)의 회전을 가이드 하며, 몸체(310)의 일단부에 축 결합된다.
또한, 가이드 롤러(320)는 지지대의 어느 지점에 위치되느냐에 따라서, 지지대와 안전바(100) 사이의 거리를 근접시킬 수도 있고, 지지대와 안전바(100) 사이의 거리를 멀게 할 수도 있다.
즉, 지지대 상에서 가이드 롤러(320)가 최고점에 위치되면, 가이드 롤러(320)와 안전바(100)는 수직선상에 배치되어 안전바(100)와 지지대는 서로 이격된 거리가 최대가 되며, 지지대 상에서 가이드 롤러(320)가 최저점에 위치되면 안전바(100)와 지지대는 서로 가장 근접하게 된다.
한편, 회전축(330)은 안전바(100)를 중심으로 레버(300)의 회전을 위해 제공되며, 상기 회전축(330)은 안전바(100) 각각에 축 결합되어 그 축을 중심으로 레버(3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축(300)은 안전바(100)의 일측에 설치된 브라켓(110)에 축 결합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330)의 위치는 레버(300)의 몸체(310) 중, 가이드 롤러(320)와 안전바(100) 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레버(300)의 가이드 롤러(320)가 지지대의 어느 지점에 위치되느냐에 따라, 안전바(100)와 지지대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유동방지부재(400)는 사다리의 디딤대에 안착된 발판(20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는, 발판(200)의 일단부가 안전바(100) 사이에 축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유동방지부재(400)는 그 축을 중심으로 발판(200)이 회전되어 상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유동방지부재(400)는 발판(200)의 저면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즉, 탈착식 난간은 여러 형태의 작업대에 결합이 되어 제공될 수 있는바, 유동방지부재(400)의 위치 역시 가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유동방지부재(400)는 발판(200)의 저면에 밀착된 밀착부(410)와, 이 밀착부(410)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고정부(420)와, 밀착부(410)를 발판(200)의 저면에 탈부착시키는 탈착부(4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420)는 디딤대에 밀착되어 발판(200)의 유동을 방지한다.
이때, 고정부(420)에는 복수의 걸림홈(42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디딤대의 내측면과 밀착력을 높이기 위함이며, 상기 걸림홈(421)에 대응될 수 있도록 디딤대에는 걸림편(G)이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탈착부(430)는 고정볼트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밀착부(410)에는 체결공(4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발판(200)의 저면에도 체결공(411)에 대응되는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결합부재(500)는 탈착식 난간을 작업대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안전바(100)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결합부재(500)의 일단부는 안전바(100)의 하단부에 축 결합이 되고, 결합부재(500)의 타단부는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결합부재(500)의 타단부는 지지대에 탈부착될 수 있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탈착식 난간이 "A" 형 사다리에 결합되어 작용하는 것에 대하여 첨부된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A"형 사다리에 탈착시 난간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결합부재(500)가 사다리의 지지대에 고정되고 발판(200)은 사다리의 맨 상단에 설치된 디딤대에 안착이 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탈착식 난간은 A형 사다리에 국한하여 탈부착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의 작업대에 탈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A형 사다리에 탈착식 난간이 설치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탈착식 난간은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500)에 의해 지지대에 고정됨을 알 수 있다.
이후, 탈착식 난간의 레버(300)를 이용하여 발판(200)이 상방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디딤대에 고정을 시킨다.
도 5a는 탈착식 난간의 발판(200)이 디딤대에 고정되기 전 상태로서, 레버(300)의 손잡이부(312)가 상방을 향하고, 안전바(100)는 지지대에 근접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대와 안전바(100)는 서로 평행하지 않은 상태임을 알 수 있으며, 안전바(100)에 축 결합된 발판(200)은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도면상 좌측)으로 밀려난 상태가 된다.
이때, 발판(200)의 저면에 설치된 유동방지부재(4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딤대 사이에 배치되어 발판(200)을 구속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후, 레버(200)의 손잡이부(312)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누르면, 상기 레버(300)의 몸체(310)는 회전축(330)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된다.
이때, 가이드 롤러(32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를 따라 지지대의 상부로 구름되며, 지지대 상에서 최고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지지대와 안전바(100) 사이의 간격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320)가 안전바(100)의 수직선상에 배치되어, 지지대와 안전바 사이의 간격은 가이드 롤러(320)의 직경 만큼 더 멀어지게 된다.
이때, 안전바(100)와 지지대는 평행한 상태가 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안전바(100)가 후방으로 밀려남에 따라, 발판(200) 역시 안전바(100)와 연동되어 후방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발판(200)의 저면에 설치된 유동방지부재(400) 역시 발판(200)을 따라 후방으로 밀려나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딤대에 밀착이 된다.
이때, 유동방지부재(400)의 고정부(420)는 디딤대에 밀착이 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부(420)에 형성된 걸림홈(421)에 디딤대의 걸림편(G)이 걸려 발판(200)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발판(200)이 회전되어 상방으로 젖혀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디딤대에 대한 탈착식 난간의 발판(200) 고정이 완료된다.
한편, 사다리를 운반하거나 보관시에는 탈착식 난간을 접어 전체 부피를 줄이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상기한 일련의 과정을 반대로 수행한다.
먼저, 레버(300)를 올려 가이드 롤러(320)를 지지대 상에서 최저점에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가이드 롤러(320)의 직경 만큼 더 이격되었던 안전바(100)와 지지대 사이의 이격 거리는 가이드 롤러(320)의 직경에 대응되는 거리 만큼 복원이 된다.
이때, 안전바(100)가 지지대에 근접됨에 따라. 안전바(100)와 연동되는 발판(200) 역시, 전방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에 따라, 발판(200)의 유동방지부재(400)는 디딤대로부터 멀어져 발판(20))의 회전을 자유롭게 한다.
이후, 발판(200)을 회전하여 상방으로 젖히고, 탈착식 난간의 안전바(100) 역시 결합부재(500)의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뒤로 젖힌다.
이후, 사다리의 상부를 접철함으로써, 탈착식 난간을 포함하는 사다리 전체의 부피는 줄어들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탈착식 난간 및 탈착식 난간이 설치된 작업대는, 사다리를 비롯한 작업대에 탈착식 난간을 더 제공함으로써 작업대의 맨 상단부에서 작업시 작업자의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하고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레버를 이용하여 발판을 고정하거나 발판의 회전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발판을 디딤대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100 : 안전바 110 : 브라켓
200 : 발판 300 : 레버
310 : 몸체 311 : 통공
312 : 손잡이부 320 : 가이드 롤러
330 : 회전축 400 : 유동방지부재
410 : 밀착부 411 : 체결공
420 : 고정부 421 : 걸림홈
430 : 탈착부 500 : 결합부재
510 : 힌지축 G : 걸림편
标题 | 发布/更新时间 | 阅读量 |
---|---|---|
一种智能交通收费设备 | 2020-05-08 | 571 |
一种矿石煅烧炉 | 2020-05-08 | 176 |
一种建筑工程通廊彩板安装吊篮 | 2020-05-08 | 680 |
无接触快递投放袋 | 2020-05-08 | 131 |
一种广告围栏 | 2020-05-08 | 726 |
模块化可倒栏杆 | 2020-05-08 | 756 |
一种施工现场电梯口安全防护栏装置 | 2020-05-08 | 639 |
一种新型建筑电梯防护门 | 2020-05-08 | 602 |
一种桥梁安全检测装置 | 2020-05-08 | 79 |
一种便于提升机存取货物的阁楼式货架 | 2020-05-08 | 312 |
高效检索全球专利专利汇是专利免费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国家发明专利查询检索分析平台,是提供专利分析,专利查询,专利检索等数据服务功能的知识产权数据服务商。
我们的产品包含105个国家的1.26亿组数据,免费查、免费专利分析。
专利汇分析报告产品可以对行业情报数据进行梳理分析,涉及维度包括行业专利基本状况分析、地域分析、技术分析、发明人分析、申请人分析、专利权人分析、失效分析、核心专利分析、法律分析、研发重点分析、企业专利处境分析、技术处境分析、专利寿命分析、企业定位分析、引证分析等超过60个分析角度,系统通过AI智能系统对图表进行解读,只需1分钟,一键生成行业专利分析报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