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자용 화장용품 구성품 {MAKEUP GOODS SET FOR THE DECEASED}
본 고안은 화장용품 구성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화장 도구와 같은 화장용품들을 포함한 구성품으로 이루어져 망자를 화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망자용 화장용품 구성품에 관한 것이다.
얼굴 등 피부 표면을 화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용품들로서는,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각종 파우더 등과 같은 화장품들과, 상기 화장품들을 피부 표면에 바르기 위한 도구로서 브러시, 퍼프와 같은 화장 도구들이 필요하다. 화장용품들은, 특히 여성들에게 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비중이 크고, 이러한 경우, 상품으로 제공될 때에는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어야만 구매욕을 자극할 수 있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원 제품은 물론 포장이나 용기 등에 상당한 공을 들이게 되고, 이는 전체적인 상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 반면, 사람이 사망한 경우, 망자의 외관을 화장하기 위해서도 각종 화장용품들이 사용되는데, 기존에 제공되는 화장용품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순수한 화장 용도' 이외의 용기 설계, 디자인과 같은 영역에서 제품 가치 상승을 위한 부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망자 화장용으로만 사용하기에는 지나친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는 것이 사실이다. 더욱이, 살아있는 사람이 화장하는 경우와는 달리, 망자의 피부에 화장을 수행하는 경우에 필요한 화장용품들은, 화장품의 경우 주로 색조 화장과 같은 영역에 국한되어 있으며, 화장 도구들도 다양함 보다는 편리함에 초점을 맞춘 도구들만이 요구되는 등, 일부 제한된 범위 내의 것들만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동시에 손쉽게 사용하기 위해 세트 형태로 구성된 화장용품 구성품이 제공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장용품 자체 이외의 포장이나 용기 등에 투여되는 각종 비용, 재료, 제조 과정 등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망자의 화장을 위해 필요한 화장용품들만 모아 동시에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망자용 화장용품 구성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망자용 화장용품 구성품은, 화장품, 화장 도구와 같은 화장용품들이 수용될 수 있는 다수의 오목 수용홈이 판면상에 구비된 패널형 파레트와, 상기 오목 수용홈에 상기 화장용품들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오목 수용홈이 형성된 면을 덮는 구조로 상기 패널형 파레트에 장착될 수 있는 뚜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뚜껑부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뚜껑부가 장착된 상기 패널형 파레트가 측면 방향에서 삽입, 장착될 수 있는 인입구와 터널형 공간을 구비한 외측 케이스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외측 케이스는, 상기 오목 수용홈과는 별도로 상기 화장용품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 수단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장착 수단은, 상기 화장용품의 일정 영역을 삽입할 수 있는 슬롯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망자용 화장용품 구성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순수한 화장 용도 이외의 영역에 투여되는 비용, 재료, 노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적절한 가격으로 상품화할 수 있는 망자용 화장용품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다수의 각종 화장용품들을 안정적으로 수용하고 보관, 이동, 사용이 극히 용이한 구조를 제공한다. 셋째, 망자의 화장 용도에 필요한 다수의 화장용품들만을 동시에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 여러 개의 개별 화장용품들을 일일이 챙겨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면서도, 컴팩트한 구성으로 손쉬운 취급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망자용 화장용품 구성품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망자용 화장용품 구성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망자용 화장용품 구성품이 포함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망자용 화장용품 구성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망자용 화장용품 구성품의 구성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망자용 화장용품 구성품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망자용 화장용품 구성품은 다수의 화장용품들을 구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망자용 화장용품 구성품에 수용되는 화장용품으로는, 다수의 색조 화장용 파우더 등과 같은 화장품(10)들과, 상기 화장품(10)들을 망자의 피부에 바를 수 있는 도구인 퍼프나 브러시와 같은 화장 도구(20)들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화장용품들은,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오목한 형태의 오목 수용홈이 구비된 패널형 파레트(30) 내에, 패널형 파레트(30)의 평면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장착된다.
도 2는 도 1의 망자용 화장용품 구성품의 분해 사시도로서, 이러한 화장용품들의 장착 구조와, 뚜껑부(40)의 결합 구조를 명확하게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망자용 화장용품 구성품에 포함되는 화장품(10), 화장 도구(20)들은, 일정한 두께를 가진 패널형 파레트(30)의 판면상에 구비된 오목 수용홈(35)들에 안정적으로 장착된다. 각 화장용품들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깊이로 오목 수용홈(30)들이 이루어짐으로써, 오목 수용홈(30)에 수용된 화장용품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형 파레트(30)의 판면상으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각종 화장용품들을 일견하여 확인하고 손쉽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패널형 파레트(30)와 화장용품들 사이의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제공한다. 더욱이, 보관 및 이동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형 파레트(30)의 오목 수용홈(30)이 형성된 판면상으로 덮이는 뚜껑부(40)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뚜껑부(40)는, 뚜껑이 덮인 상태에서도 화장용품들의 구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망자용 화장용품 구성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도 1의 망자용 화장용품 구성품에 더하여 외측 케이스(50)가 더욱 포함된 망자용 화장용품 구성품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 실시예에서 추가되는 구성인 외측 케이스(50)의 경우 종이 재질 등으로 손쉽게 제조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표면에 각종 모양이나 문자 등을 결합함으로써, 상품 디자인, 상표의 표시, 제품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부분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케이스(50)는 화장용품을 수용한 패널형 파레트(30)와 뚜껑부(40)의 결합체를 인입하여 수용할 수 있는 인입구(51)와 터널형 공간을 갖춤으로써, 패널형 파레트(30)와 뚜껑부(40)의 결합 안정성을 극적으로 향상시켜, 보관, 이동 등에 있어서의 취급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한편, 상기 외측 케이스(50)는 화장용 크림과 같은 화장품(10)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 수단(52)을 더욱 구비함으로써 패널형 파레트(30)와는 별도의 화장용품 수용 매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장착 수단(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 크림 팩의 모서리를 꽂아 넣을 수 있는 슬롯 구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종이와 같은 얇은 필름 형태의 재질로 외측 케이스(50)를 구성한 경우, 슬롯 구조 장착 수단(52)의 형성은 제조 과정에 있어서 칼선을 넣는 정도로 쉽게 구현 가능한 것이므로, 작은 공정 추가만으로 다양하고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들에 의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화장품 20: 화장 도구 30: 패널형 파레트 35: 오목 수용홈 40: 뚜껑부 50: 외측 케이스 51: 인입구 52: 장착 수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