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케이스 { Cosmetic case }
본 고안은 콤팩트와 같은 팔렛트형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팔렛트형 화장품 케이스는 몸체의 상부에 뚜껑을 구비하고 있는 기존 화장품 케이스의 개념을 탈피하여 소비자의 호기심을 유발함과 더불어 미려한 화장품 케이스 연출이 가능하도록 몸체 밑바닥에 뚜껑을 구성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여성들은 아름다움을 추구하려고 기초화장을 한 후, 여러가지 색조화장품을 이용하여 색조화장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색조화장용 화장품은 내용물의 질이 좋아야 함은 물론,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시선을 사로 잡기 위해서는 화장품 케이스의 디자인 창출에도 소홀할 수 없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는 형상 모양과 색채를 가지는 화장품 케이스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고 있으나, 본 고안과 대비되는 팔렛트형 화장품 케이스는 그 구조가 내용물이 수납되는 본체와 본체에 대하여 열리고 닫히는 뚜껑이 화장품 케이스 전체 두께에 대하여 균등한 비율(두께, 넓이등)을 이루며 구성되는 것이 통상의 구조로써, 그 구조가 획일적일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팔렛트형 화장품용기는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체와 뚜껑이 균등한 비율로 이루어지는 형상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여 동일 품종의 화장품에 대하여 타사제품의 상품과 차별화 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팔렛트형 화장품 케이스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개방구를 개폐하는 뚜껑을 스냅경첩를 매개로 몸체의 밑바닥에 구성하여서된 화장품 케이스로써, 보관 또는 진열 전시시 평탄하면서 몸체와 덮개체를 포함하는 전체높이에서 몸체의 높이가 아주 적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단일몸체의 화장품 케이스로 보여져 타사 화장품 케이스와 차별성을 가져 시장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 밑바닥에 뚜껑이 스냅경첩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 내용물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몸체와, 용기 몸체로부터 개폐되면서 수용된 내용물을 보호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팔렛트형 화장품 케이스에 있어서, 돔형상으로 내용물을 덮는 덮개체(10)와, 상기 덮개체(10)의 연부테두리(11)에 형성된 걸린환테(12)에 몸체(20)의 연부테두리(21)의 걸림환테(22)가 언더컷 장착되고, 내용물을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방구(23)를 개폐하는 뚜껑(30)이 스냅경첩(24)을 매개로 몸체(20)의 밑바닥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30)은 걸림훅크(31)가 몸체(20)의 걸림홈(25)에 걸림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장품 케이스는, 돔형상으로 내용물을 덮는 덮개체(10)를 개방구(23)를 개폐하는 뚜껑(30)이 스냅경첩(24)을 매개로 개폐토록 형성된 몸체(20)에 결합 구성하여서 된 화장품 케이스로써, 보관 또는 진열 전시시 평탄하면서 몸체(20)와 덮개체(10)를 포함하는 전체높이에서 몸체(20)의 높이가 아주 적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단일몸체의 화장품 케이스로 보여져 타사 화장품 케이스와 차별성을 가져 시장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 밑바닥에 뚜껑이 스냅경첩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 내용물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 케이스는, 몸체(20)와 덮개체(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체(10)는 내용물을 덮고 있으며, 돔형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진다. 상기 덮개체(10)의 연부테두리(11)에는 몸체(20)가 언더컷 장착되어지는 걸림환테(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체(10)에 언더컷 장착되는 몸체(20)는 가장자리를 따라 만곡 형성됨과 동시에 낮은 높이를 가지고 형성된 연부테두리(21)에 덮개체(10)의 걸림환테(12)에 걸림되어지는 걸림환테(22)가 형성되어 있고, 내용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구(23)는 스냅경첩(24)을 매개로 열리고 닫히는 뚜껑(3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뚜껑(30)에는 몸체(20)의 개방구(23)와 이웃하게 형성된 걸림홈(25)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훅크(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훅크(31)는 탄성복원이 양호하여 걸림훅크(31)가 손쉽게 걸림홈(25)을 넘나들 뿐만 아니라, 안정된 상태로 걸림 고정되어지는 구조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화장품 케이스는, 몸체(20)에 수용된 내용물을 이용할 때에는 몸체(20)의 바닥면이 위로 위치하도록 화장품 케이스를 뒤집는다. 이후, 몸체(20)에 스냅경첩(24)을 매개로 열리고 닫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뚜껑(30)을 젖혀서 개방구(23)를 개방하게 되는데, 뚜껑(30)을 젖혀서 개방구(23)를 개방할 때에는 걸림훅크(31)와 이웃한 끝단을 잡고 위로 들어올리면, 걸림훅크(31)가 몸체(20)의 걸림홈(25)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상기 걸림훅크(31)가 걸림홈(25)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것은 걸림훅크(31)가 유연하게 탄성변형되어지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뚜껑(30)을 젖혀 개방구(23)를 개방한 상태에서 수용된 내용물 을 꺼내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개방구(23)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꺼내쓴 후, 뚜껑(30)을 닫아 화장품 케이스를 보관하게 되는데, 보관시에 몸체(20)의 뚜껑(30)이 밑을 향하도록 뒤집어서 보관하게 된다. 상기 몸체(20)의 뚜껑(30)을 바닥면으로 위치하도록 보관되는 이 사건출원의 화장품 케이스는 전체 높이에서 몸체(20)가 차지하는 높이가 아주 적어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단일몸체의 화장품 케이스로 보여져 타사 화장품 케이스와 차별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고안의 의한 화장품 케이스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의한 화장품 케이스를 꺼구로 본 상태로써, 덮개판을 개방한 상태의 예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의한 화장품 케이스의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10 : 덮개체 20 : 몸체 23 : 개방구 24 : 스냅경첩 25 : 걸림홈 30 : 뚜껑 31 : 걸림훅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