콤팩트 용기{a case of compact}
본 발명은 화장용 분첩과 화장품 파우더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부가 양측 덮개부의 좌우 회전에 의해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는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부의 분첩 수납홈과 화장품 수납홈 상측에 각각 위치된 양측 덮개부중에 어느 하나를 손으로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상기 양측 덮개부가 좌우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용기 본체부의 분첩 수납홈과 화장품 수납홈이 손쉽고,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양측 덮개부의 좌우 회전에 의해 분첩 수납홈과 화장품 수납홈을 개폐시켜 미세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힌지부로서 개폐 가능토록 설치되는 상기 덮개부에 의해 뚜껑부 내면으로 착설된 거울의 표면으로 화장품 파우더 분체의 비산을 방지하고, 이에따라 상기 거울 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한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는 콤팩트는 기초화장을 한 후 색조화장을 하기 전에 피부를 부드럽고 우아하게 표현하기 위해 바르는 백분으로써 여성들이 늘 휴대하며 사용하는 화장품이다. 이와같은 콤팩트 용기는, 화장품이 수납되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고 닫히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는 분첩 수납접시 및 분첩 케이스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뚜껑 내측에는 거울을 부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와같은 종래의 콤팩트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콤팩트 용기에 힌지 결합된 분첩 수납접시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측으로 회동을 시켜야 하는데, 상기 분첩 수납접시의 측면이 상기 콤팩트 용기의 본체 측벽과 밀착되어 있어서 이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손톱으로 상기 분첩 수납접시의 모서리끝을 긁거나, 상기 분첩 수납접시의 내측벽을 누르면서 열어야 하는 불편함이 수반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콤팩트 용기본체의 측면과 분첩 수납접시 일단에 각각 같은 극의 영구자석을 형성함으로써, 콤팩트의 뚜껑을 열 때 분첩 수납접시의 영구자석의 미는 힘에 의해 개폐가 용이하도록 한 콤팩트 용기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09-0002878호에 알려져 있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용기본체(10)의 화장품 수납홈(11) 상측으로 분첩(puff) 수납접시(15)가 위치되며, 상기 분첩 수납접시(15)의 일측면에 영구자석(17)이 착설되고, 용기본체(10)의 측면을 이루는 본체측벽(12) 내부에 영구자석(13)이 내설되며, 이때 상기 분첩 수납접시(15)에 착설된 영구자석(17)과 상기 본체측벽(12)의 영구자석(13)이 동일한 극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영구자석(13)(17)간의 서로 미는힘의 작용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10) 상측의 거울(21)이 내측에 설치된 뚜껑(20)을 개방시 상기 분첩 수납접시(15)가 자동적으로 용기본체(10)로부터 위쪽으로 들려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용기본체(10)의 뚜껑(20)을 개방하면 분첩 수납접시(15)에 착설된 영구자석(17)이 상기 용기본체(10)의 측면을 이루는 본체측벽(12) 내부에 내설된 영구자석(13)과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13)(17)간의 미는힘에 의해, 상기 분첩 수납접시(15)가 자동적으로 상기 용기본체(10)로부터 위쪽으로 간편하게 들려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종래의 콤팩트 용기의 경우에는, 용기본체(10)의 내부에 화장품 수납홈(11) 및 그 상측으로 분첩 수납접시(15)가 각각 분할 구성되어 구조가 복잡함은 물론, 사용자가 얼굴의 색조 화장을 위하여 상기 용기본체(10) 내의 분첩 수납접시(15)를 뒤로 젖혀 화장품 수납홈(11) 내의 색조 화장품을 분첩(puff)으로 텃치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분첩 수납접시(15) 내부에 잔존하는 화장품 파우더가 외부로 비산되거나, 사용자의 의복등에 쉽게 달라붙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거울(21)이 내측에 설치된 뚜껑(20)은 용기본체(10)와 분리되어, 화장시 상기 용기본체(10)는 별도의 테이블에 올려놓고 분첩과 거울(21)이 설치된 뚜껑(20)을 손으로 들고 화장해야 하는등 많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09-000287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용기 본체부의 분첩 수납홈과 화장품 수납홈 상측에 각각 위치된 양측 덮개부중에 어느 하나를 손으로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상기 양측 덮개부가 좌우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용기 본체부의 분첩 수납홈과 화장품 수납홈이 손쉽고,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양측 덮개부의 좌우 회전에 의해 분첩 수납홈과 화장품 수납홈을 개폐시켜 미세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힌지부로서 개폐 가능토록 설치되는 상기 덮개부에 의해 뚜껑부 내면으로 착설된 거울의 표면으로 화장품 파우더 분체의 비산을 방지하고, 이에따라 상기 거울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용기 케이스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용� � 본체부 및 뚜껑부가 하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콤팩트 용기의 형상이 미려하게 형성됨은 물론, 상기 콤팩트 용기의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콤팩트 용기를 제공 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콤팩트 용기의 용기 본체부의 내부에 분첩 수납홈과 화장품 수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부의 상측에는 힌지부를 개재하여 내부에 거울이 착설된 뚜껑부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콤팩트 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용기 수납부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양측으로 기어가 서로 맞물려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는 용기 케이스; 전방 단부에는 뚜껑 결합을 위한 자석부가 설치되며, 내부에 분첩 수납홈과 화장품 수납홈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용기 케이스의 용기 수납부 내부에 수납되는 용기 본체부; 상기 용기 본체부의 분첩 수납홈과 화장품 수납홈 상측으로 각각 위치되어 후방단부 하측으로 회전축이 각각 일체로 하향 연설되며, 상기 각각의 회전축 하단부는 상기 용기 수납부의 양측 기어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부의 분첩 수납홈과 화장품 수납홈을 좌우 회전에 의해 개폐토록 각각 설치되는 양측 덮개부; 상기 양측 덮개부의 상측으로 위치되어 내면에는 거울이 착설되고, 후방 단부에는 힌지부가 설치되어 개폐 가능토록 설치되는 뚜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용기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기 본체부의 후방에는 양측으로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양측 덮개부의 회전축이 각각 삽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뚜껑부의 전방단부에는 자석부가 설치되며, 이때 상기 뚜껑부의 자석부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는 자석부와 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케이스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용기 본체부 및 뚜껑부는, 하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콤팩트 용기에 의하면, 용기 본체부의 분첩 수납홈과 화장품 수납홈 상측에 각각 위치된 양측 덮개부중에 어느 하나를 손으로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상기 양측 덮개부가 좌우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용기 본체부의 분첩 수납홈과 화장품 수납홈이 손쉽고,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양측 덮개부의 좌우 회전에 의해 분첩 수납홈과 화장품 수납홈을 개폐시켜 미세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힌지부로서 개폐 가능토록 설치되는 상기 덮개부에 의해 뚜껑부 내면으로 착설된 거울의 표면으로 화장품 파우더 분체의 비산을 방지하고, 이에따라 상기 거울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용기 케이스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용기 본체부 및 뚜껑부가 하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콤팩트 용 기의 형상이 미려하게 형성됨은 물론, 상기 콤팩트 용기의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콤팩트 용기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콤팩트 용기가 닫혀진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뚜껑부가 힌지부에 의해 개방되고, 양측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콤팩트 용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콤팩트 용기가 닫혀진 상태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뚜껑부가 힌지부에 의해 개방되고, 양측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콤팩트 용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로서, 콤팩트 용기(100)의 용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분첩 수납홈(111)과 화장품 수납홈(11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부(110)의 상측에는 힌지부(h)를 개재하여 내부에 거울(130)이 착설된 뚜껑부(12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내부에 용기 수납부(141)가 형성되는 용기 케이스(140)의 후방에는 양측으로 기어(150)가 서로 맞물려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용기 케이스(140)의 용기 수납부(141) 내부에 수납되는 용기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분첩 수납홈(111)과 화장품 수납홈(1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부(110)의 전방 단부에는 뚜껑 결합을 위한 자석부(113)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용기 본체부(110)의 분첩 수납홈(111)과 화장품 수납홈(112) 상측으로 각각 위치되는 양측 덮개부(160)는, 그 후방단부 하측으로 회전축(161)이 각각 일체로 하향 연설되며, 상기 각각의 회전축(161) 하단부는 상기 용기 수납부(140)의 양측 기어(150)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부(110)의 분첩 수납홈(111)과 화장품 수납홈(112)을 좌우 회전에 의해 개폐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용기 본체부(110)의 후방에는 양측으로 관통홀(170)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양측 덮개부(160)의 회전축(161)이 각각 삽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양측 덮개부(160)의 상측으로 위치되어 후방 단부에 설치되는 힌지부(h)로서 개폐 가능토록 설치되는 뚜껑부(120)는, 그 내면으로 거울(130)이 착설되며, 상기 뚜껑부(120)의 전방단부에는 자석부(180)가 설치되고, 이때 상기 뚜껑부(120)의 자석부(180)는 상기 용기 본체부(110)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는 자석부(113)와 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콤팩트 용기(100)의 용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분첩 수납홈(111)과 화장품 수납홈(112)이 각각 형성되는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부(110)의 상측에는 힌지부(h)를 개재하여 내부에 거울(130)이 착설된 뚜껑부(120)가 일정각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내부에 용기 수납부(141)가 형성되는 용기 케이스(140)의 후방에는 양측으로 기어(150)가 서로 맞물려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용기 케이스(140)의 용기 수납부(141) 내부에는 분첩이 수용되는 분첩 수납홈(111)과 화장품 파우더가 수용되는 화장품 수납홈(112)이 각각 형성되는 용기 본체부(110)가 긴밀하게 내삽되어 고정토록 된다. 이때, 상기 용기 본체부(110)의 전방 단부에는 뚜껑 결합을 위한 자석부(113)가 설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부(110)의 분첩 수납홈(111)과 화장품 수납홈(112) 양측에는 덮개부(160)가 각각 위치되며, 상기 덮개부(160)의 후방단부에는 하측으로 회전축(161)이 각각 일체로 하향 연설되어 상기 용기 수납부(141) 후방 양측의 기어(150)와 결합토록 됨으로써, 상기 양측 덮개부(160)중에 어느 하나를 손으로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상기 덮개부(160)와 회전축(161)을 개재하여 연설되는 양측 기어(150)가 맞물려 회전하며, 이에따라 상기 양측 덮개부(160)가 좌우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용기 본체부(110)의 분첩 수납홈(111)과 화장품 수납홈(112)이 손쉽고,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부(160)의 좌우 회전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부(110)의 분첩 수납홈(111)과 화장품 수납홈(112)을 개폐시켜 미세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용기 본체부(110)의 후방에는 양측으로 관통홀(170)이 각각 형성토록 됨으로써, 상기 양측 덮개부(160)의 회전축(161)이 상기 관통홀(170)에 각각 삽통된 후 그 하측에 위치된 기어(150)와 용이하게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양측 덮개부(160)의 상측으로 위치되어 힌지부(h)로서 개폐 가능토록 설치되는 뚜껑부(120)는, 그 내면으로 거울(130)이 착설되어 상기 덮개부(160)에 의해 거울의 표면으로 화장품 파우더 분체의 비산을 방지하고, 이에따라 상기 거울(130)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뚜껑부(120)의 전방단부에는 자석부(180)가 설치되고, 이때 상기 뚜껑부(120)의 자석부(180)는 상기 용기 본체부(110)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는 자석부(113)와 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뚜껑부(120)를 자력에 의해 용기 본체부(110)에 밀착되는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편, 상기 용기 케이스(140)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용기 본체부(110) 및 뚜껑부(120)는 하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콤팩트 용기(100)의 형상이 미려하게 형성됨은 물론, 상기 콤팩트 용기(100)의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100...콤팩트 용기 110...용기 본체부 111...분첩 수납홈 112...화장품 수납홈 113...자석부 120...뚜껑부 130...거울 140...용기 케이스 141...용기 수납부 150...기어 160...덮개부 161...회전축 170...관통홀 180...자석부 h...힌지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