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니큐어 제거용기{manicure removing container}
본 고안은 매니큐어 제거용기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톱에 칠해져 있는 매니큐어를 손 쉽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매니큐어 제거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여성들은 여성미를 가꾸기 위하여 손톱에 다양한 색상의 매니큐어를 칠하고 있으며, 특히 네일아트(Neil Art)라 일컬어지는 손톱화장술을 이용하여 점차적으로 매니큐어의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손톱에 칠해지는 매니큐어는 자주 손상되기 때문에 이를 지우고 새로운 매니큐어로 칠하게 되는 데, 이때 손톱에 칠해져 있는 매니큐어를 제거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아세톤 용액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즉, 일정형상의 용기에 수용된 아세톤(acetone)을 솜(또는 휴지)에 적당량 적신 후, 이를 손톱에 문지름으로서 매니큐어를 지우게 되는 데, 이와 같이 매니큐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아세톤이 수용된 용기와 별도의 솜 그리고 상기 솜을 파지 할 수 있는 핀셋등의 기구들을 항상 구비되어 있어야 함으로서 사용이 번거롭다는 단점과 함께, 휴대가 불편하여 야외에서는 매니큐어의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내에 아세톤이 함침되어 있는 스펀지를 내장하여 솜이나 핀셋등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손톱에 칠해져 있는 매니큐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매니큐어 제거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손톱이 삽입되는 삽입부재를 용기내에서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스펀지 전체면을 골고루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매니큐어 제거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뚜껑으로 덮혀지며 내부에는 수용부가 구비되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수용부에 삽입되며 일정량의 아세톤용액이 적셔지는 스펀지와, 상기 스펀지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며 매니큐어가 칠해져 있는 손톱을 포함하는 손가락이 삽입되는 함몰부 및 ;상기 스펀지와 용기몸체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스펀지를 탄력적으로 지탱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큐어 제거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스펀지의 하단 둘레면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기 위한 요홈부가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몸체의 바닥에는 아세톤용액을 저장할 수 있는 용액저장부가 격판으로 구획 형성되며, 상기 격판의 중앙에는 구멍을 더 관통시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매니큐어 제거용기는 다음과 같은 많은 작용효과들을 달성한다. 먼저, 본 고안은 용기내에 아세톤용액이 적셔져 있는 스펀지를 내장하여 솜이나 핀셋등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손톱에 칠해져 있는 매니큐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이 간편하며 휴대의 편리함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스펀지에 상, 하로 이동하는 차단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차단부재의 구멍으로 노출되는 손톱을 스펀지의 상, 하면에 골고루 접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아세톤용액이 적셔져 있는 스펀지 전체면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로 한다. {실시 예 1} 첨부된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매니큐어 제거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2에 도시하고 있는 매니큐어 제거용기(100)는 용기몸체(112), 스펀지(120), 스프링(126) 및 뚜껑(1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용기몸체(112)는 원통체의 형태로 상단은 개방시켜 구성하고, 내부에는 일정크기의 수용부(114)가 형성된 상태로 제작된다. 상기 용기몸체(112)의 내주면에는 양측으로 복수개의 스토퍼(116)들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16)들은 매니큐어를 제거하기 위해 손가락을 돌려주는 과정에서 스펀지(120)가 헛돌지 않도록 (즉, 공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스펀지(120)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스펀지(120)는 수축 및 복원력을 가지며 용기몸체(112)의 수용부(114)에 삽입되는 수단이다. 상기 스펀지(120)에는 손톱(N)에 칠해져 있는 매니큐어를 지우기 위한 액상의 아세톤용액이 일정량 적셔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사용되는 스펀지(120)의 단면 형상은 단순히 원기둥 형상이 아니라 도 2에서와 같이 "M"형상의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제작하여 상단 중앙으로 함몰부(122)를 형성하고, 하단 둘레면에는 요홈부(124)가 형성되 도록 구성한다. 상기 스펀지(12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함몰부(122)로는 매니큐어가 칠해져 있는 손톱(N)을 포함한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하여 손톱(N)에 칠해져 있는 매니큐어를 스펀지(120)에 적셔져 있는 아세톤용액으로 지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펀지(120)의 하단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124)로는 스프링(126)이 끼워진다. 상기 스프링(126)은 그 일단은 스펀지(120)의 요홈부(124) 저면에 접촉하고, 그 타단은 용기몸체(112)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펀지(120)를 탄력적으로 지탱하게 된다. 즉, 상기 스펀지(120)의 함몰부(122)로 손가락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누름압력에 의해 스펀지(120)는 아래쪽으로 일그러지며 수축하게 되는 데, 이때의 수축력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스펀지(1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손가락을 스펀지(120)에서 빼냄과 동시에 텐션력으로 스펀지(120)를 처음상태로 복귀시켜 스펀지(120)의 형상을 유지시켜 주게 된다. 한편, 상기 용기몸체(112)의 상단 내주면에는 가이드링(128)이 끼워진다. 상기 가이드링(128)은 용기몸체(112)에 수용되어 있는 스펀지(12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뚜껑(130)은 용기몸체(112)의 상면에 나사식으로 차탈 가능하게 덮혀지며 용기몸체(112)의 내부를 밀폐시켜 스펀지(120)에 적셔져 있는 휘발성이 강한 아세톤용액이 증발하는 것을 억제시키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매니큐어 제거용기(100)의 사용과정을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뚜껑(130)을 열어 용기몸체(112)의 상면을 개방시킨 다음, 매니큐어가 칠해져 있는 손톱(N)을 포함한 손가락을 스펀지(120)의 함몰부(122)로 삽입시키도록 한다. 이어서, 한 손으로 용기몸체(112)를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을 한쪽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매니큐어가 칠해져 있는 손톱(N)은 스펀지(120)에 접촉된 상태에서 마찰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스펀지(120)에 적셔져 있는 아센톤용액이 손톱(N)에 칠해져 있는 매니큐어를 제거하게 됨으로서 매니큐어를 손 쉽게 지울 수 있게 된다. 한편, 손가락을 스펀지(120)의 함몰부(122)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스펀지(120)는 손가락의 누름압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일그러지며 수축하게 되는 데, 이때에는 스펀지(120)의 요홈부(126)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126)이 스펀지(1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서 스펀지(120)의 변형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을 스펀지(120)에서 빼냄과 동시에 스펀지(120)는 스프링(126)의 텐션력을 전달받게 됨으로서 처음상태(도 5에 도시하고 있는 상태)로 복원되어 짐으로서 그 형상을 오랜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 예 2} 첨부된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매니큐어 제거용기(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큐어 제거용기(200)는 전술한 제 2실시 예의 매니큐어 제거용기(100)와 동일한 구성들, 예를 들어 내부로 수용부(214)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214) 둘레로 스토퍼(216)들이 돌출 형성된 용기몸체(212)와, 함몰부(222) 및 요홈부(224)를 가지는 스펀지(220) 그리고 스프링(226)과, 가이드링(228) 및 뚜껑(2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용기몸체(212)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214) 바닥에는 용액저장부(240)가 격판(250)으로 구획 형성된다. 상기 용액저장부(240)는 매니큐어 제거를 위한 액상의 아세톤용액을 일정량 저장하게 된다. 상기 용액저장부(240)와 수용부(214)를 구획시키는 격판(250)의 중앙에는 구멍(25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구멍(252)은 손가락의 누름압력에 의해 스펀지(220)가 수축할 때, 스펀지(220)의 하단면이 상기 구멍(252)을 통해 용액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아세톤용액에 적셔질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매니큐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스펀지(220)에 별도로 아세톤용액을 적셔주지 않더라도 용액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아세톤용액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매니큐어 제거용기(200)의 사용과정을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 1실시 예에 기술한 매니큐어 제거방법과 동일하게 매니큐어가 칠해져 있는 손톱(N)을 포함한 손가락을 스펀지(220)의 함몰부(222)로 삽입시킨 다음, 손가락을 돌려주게 되면 스펀지(220)에 적셔져 있는 아세톤용액에 의해 손톱에 칠해져 있는 매니큐어는 제거되어 지는 데, 이때 손가락의 누름압력으로 스펀지(220)가 수축하는 과정에서 스펀지(220)의 하단면은 용기몸체(212)의 격판(250) 중앙에 형성된 구멍(252)을 통과한 후, 용액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아세톤용액이 적셔지게 됨으로서 사용과정에서 별도로 스펀지(220)에 아세톤용액을 주입하지 않더라도 아세톤용액을 스펀지(220)로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매니큐어 제거용기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매니큐어 제거용기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매니큐어 제거용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매니큐어 제거용기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매니큐어 제거용기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매니큐어 제거용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 용기몸체 120: 스펀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