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탬핑네일아트용 기구

申请号 KR2020160006489 申请日 2016-11-07 公开(公告)号 KR200482449Y1 公开(公告)日 2017-01-25
申请人 (주)코나드; 发明人 최대통;
摘要 본고안은본 고안은구조가매우단순해제조가용이하면서도케이스에스크래퍼와스탬프이각각설치되어있어네일아트작업을보다손쉽게실시할수 있는스탬핑네일아트용기구에관한것으로서, 케이스(10)와; 상기케이스(20)에삽탈가능하게끼워지는스크래퍼(20)와; 상기케이스(10)에삽입되는스탬프(30)으로구성된다. 본실시예에의하면, 케이스에착탈가능하게설치되는스크래퍼를이용하여이미지판에도포된네일아트용페인트을스크래퍼로긁어이미지판의음각부에수용되도록하고, 음각부에수용된네일아트용페인트을케이스에설치된스탬프으로찍어손(발)톱등에손쉽게옮길수 있어네일아트작업을보다손쉽게실시할수 있는이점이있다.
权利要求
  • 내부가 전후방으로 관통되어 노출부와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고, 노출부와 수용부 사이에는 내향으로 돌출된 단턱부가 형성되며, 노출부와 단턱부 사이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삽입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일부가 노출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이미지판을 긁어 이미지판에 도포된 네일아트용 페인트이 이미지판의 음각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스크래퍼 및;
    상기 케이스의 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일단이 단턱부에 맞대지고 타단이 돌출되며, 이미지판의 음각부에 수용된 네일아트용 페인트을 찍어 옮길 수 있도록 된 소프한 재질의 스탬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핑네일아트용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둘레면에는 오목한 형상의 파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형성된 파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으로 스크래퍼의 단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핑네일아트용 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만곡형상의 단면을 갖는 탄성재질로 제조되어 케이스의 삽입부에 끼워져 내측에서 상호 맞물리고, 삽입부로부터 인출되면 복원되어 만곡된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핑네일아트용 기구.
  • 说明书全文

    스탬핑네일아트용 기구{Device for stamping nail art}

    본 고안은 스탬핑네일아트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은이들 사이에 각종 악세사리 등을 이용한 자기만의 개성표현이 유행을 넘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문화들 중 ??은 여성들 사이에서 단순히 광택제를 손톱에 바르는 것 이외에 여러 가지 모양이나 문자 등과 같이 다양한 문양을 손톱에 그려 넣어 미를 한층 돋보이게 하는 것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네일아트기구에 관한 특허출원(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85928호)를 진행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선출원된 발명은 네일아트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네일아트기구가 모두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개별 물품에 대한 분실 위험이 컸고, 보관 상 어려움도 있어 상품으로서 이들을 활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선출원 발명을 주로 실시하게 될 ??은 여성들의 경우, 화장을 위해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으므로 화장품 등의 화장도구를 휴대하는 경우가 많으데, 선출된 발명은 보관 상의 어려움으로 휴대가 불편하여 그 실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실용실안등록출원(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385738호)를 진행한 바 있다.

    상기 선출원된 고안은 네일용 페인트가 수납되는 스탬프에 칼날부재와 스탬프헤드를 각각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보다 컴팩트하게 구조를 개선하였고, 특히 분실의 위험을 줄였다는 점에 큰 장점이 있다.

    하지만, 선출원된 고안의 경우 칼날부재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사용과정에 상처를 입을 우려가 있고, 노출된 부분이 다른 화장도구와 부딪혀 파손되기 쉬우며,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칼날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부러질 경우 스탬프기구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85928호(네일 아트 기구 및 이 기구를 이용한 네일 아트 방법/2005.04.19)

    2.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385738호(네일아트기구/2005.05.25)

    본 고안은 스크래퍼가 케이스에 은닉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돌출된 부분을 최소화하여 심미감을 가미한 스탬핑네일아트용 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에 수용된 스크래퍼의 노출된 면에 사진, 로고, 그림 등과 같은 인쇄물을 부착하여 미니 액자와 같은 장식물의 기능도 함께 겸할 수 있는 스탬핑네일아트용 기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가 전후방으로 관통되어 노출부와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고, 노출부와 수용부 사이에는 내향으로 돌출된 단턱부가 형성되며, 노출부와 단턱부 사이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삽입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일부가 노출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이미지판을 긁어 이미지판에 도포된 네일아트용 페인트이 이미지판의 음각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스크래퍼 및;

    상기 케이스의 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일단이 단턱부에 맞대지고 타단이 돌출되며, 이미지판의 음각부에 수용된 네일아트용 페인트을 찍어 옮길 수 있도록 된 소프한 재질의 스탬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의 둘레면에는 오목한 형상의 파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형성된 파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으로 스크래퍼의 단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래퍼는 만곡형상의 단면을 갖는 탄성재질로 제조되어 케이스의 삽입부에 끼워져 내측에서 상호 맞물리고, 삽입부로부터 인출되면 복원되어 만곡된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이미지판에 도포된 네일아트용 페인트을 스크래퍼로 긁어 이미지판의 음각부에 수용되도록 하고, 음각부에 수용된 네일아트용 페인트을 케이스에 설치된 스탬프로 찍어 손(발)톱 등에 손쉽게 옮길 수 있어 네일아트작업을 보다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케이스의 내부에 스크래퍼가 수용되어 은닉되므로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케이스의 둘레 면에 오목한 파지부를 형성시켜 줌으로서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은 힘으로도 충분히 파지할 수 있어 작업중 불필요한 힘을 소모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으며, 케이스의 폭이 파지부에 의해 작아짐에 따라 손가락으로 파지하기가 좀 더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스크래퍼를 만곡형상의 단면을 갖는 탄성재질로 제조하게 되면, 케이스의 삽입부에 스크래퍼가 끼워질 때에 삽입부의 두께에 상응하게 탄성 변형되면서 맞물리게 되므로 스크래퍼의 무단으로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스크래퍼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크래퍼를 노출부 또는 삽입부를 통해 밀게 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으로 회복되므로 사용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스크래퍼는 케이스의 삽입부에 끼워져 전면이 노출부를 통해 노출되는데, 이와 같이 스크래퍼의 노출된 면에 사진, 로고, 그림 등과 같은 인쇄물을 부착할 경우 미니 액자와 같은 장식물의 기능도 함께 겸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노출부를 통해 노출된 스크래퍼의 전면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슬라이드방식으로 밀게 되면 자연스럽게 스크래퍼가 삽입부로부터 인출되므로 스크래퍼 인출이 보다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스탬프의 노출된 부분이 곡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미지판에 밀착한 상태에서 음각부를 향해 굴리게 되면, 음각부에 수용된 네일아트용 페인트가 한쪽부터 천천히 떨어지게 되므로 네일아트용 페인트를 손상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떼어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탬핑네일아트용 기구의 결합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탬핑네일아트용 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탬핑네일아트용 기구의 요부 평면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탱핑네일아트용 기구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스탬핑네일아트용 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탬핑네일아트용 기구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탬핑네일아트용 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탬핑네일아트용 기구의 요부 평면 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스탬핑네일아트용 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탬핑네일아트용 기구는 케이스(10)와 스크래퍼(20) 및 스탬프(3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케이스(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래퍼(20)를 이용하여 이미지판(I)에 도포된 네일아트용 페인트(A)를 스크래퍼(20)로 긁어 이미지판(I)의 음각부(I')에 수용되도록 하고, 음각부(I')에 수용된 네일아트용 페인트(A)를 케이스(10)에 설치된 스탬프(30)로 찍어 손(발)톱 등에 손쉽게 옮길 수 있어 네일아트작업을 보다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0)는 스크래퍼(20)와 스탬프(30)가 설치되는 부재이다.

    상기 케이스(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되, 내부가 전후방으로 관통되며, 관통된 전후방에는 노출부(11)와 수용부(12)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노출부(11)와 수용부(12) 사이에는 내향으로 돌출된 단턱부(13)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출부(11)와 단턱부(13) 사이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삽입부(14)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노출부(11)는 삽입부(14)로 삽입된 스크래퍼(2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12)는 스탬프(3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단턱부(13)는 수용부(12)를 통해 삽입된 스탬프(30)가 과도하게 인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14)는 스크래퍼(20)가 착탈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삽입부(14)가 케이스(10)의 양측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양측 중 어느 한 곳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둘레를 평평한 면으로 만들게 되면 손에서 미끄러지기 쉽고, 이에 따라 좀 더 강한 힘으로 파지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중 불필요한 힘을 소모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케이스(10)의 둘레 면에 오목한 형상의 파지부(15)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10)의 둘레 면에 오목한 파지부(15)를 형성시켜 줌으로서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은 힘으로도 충분히 파지할 수 있어 작업중 불필요한 힘을 소모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폭이 파지부(15)에 의해 작아짐에 따라 손가락으로 파지하기가 좀더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파지부(15)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은 스크래퍼(20)의 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작업자가 노출된 스크래퍼(20)를 밀게 되면 삽입부(14)를 통해 손쉽게 인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래퍼(20)는 케이스(10)의 삽입부(14)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이미지판(I)에 도포된 네일아트용 페인트(A)를 긁어 이미지판(I)의 음각부(I')에 네일아트용 페인트(A)가 수용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스크래퍼(20)는 삽입부(14)와 동일한 폭과 높이로 제작되거나, 그 보다 작게 제작될 수 있으며, 투명/반투명/불투명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된다.

    특히,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래퍼(20)는 케이스(10)의 삽입부(14)에 끼워져 전면이 노출부(11)를 통해 노출되는데, 이와 같이 스크래퍼(20)의 노출된 면에 사진, 로고, 그림 등과 같은 인쇄물을 부착할 경우 미니 액자의 기능도 함께 겸할 수 있어 본연의 기능, 뿐만 아니라 액자와 같은 부수적인 기능도 함께 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노출부(11)를 통해 노출된 스크래퍼(20)의 전면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슬라이드방식으로 밀게 되면 자연스럽게 스크래퍼(20)가 삽입부(14)로부터 인출되므로 스크래퍼(20) 인출이 보다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스크래퍼(20)를 케이스(10)의 삽입부(14)와 동일한 폭과 높이로 제작하게 되면, 삽입하거나 인출하는데 큰 힘이 들어 불편하고, 삽입부(14)의 폭과 높이 보다 작게 스크래퍼(20)를 제작하게 되면 스크래퍼(20)가 별다른 저항 없이 삽입부(14)로부터 빠져나와 분실에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스크래퍼(20)를 만곡형상의 단면을 갖는 탄성재질로 제조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래퍼(20)를 만곡형상의 단면을 갖는 탄성재질로 제조하게 되면, 케이스(10)의 삽입부(14)에 스크래퍼(20)가 끼워질 때에 삽입부(14)의 두께에 상응하게 탄성 변형되면서 맞물리게 되므로 스크래퍼(20)의 무단으로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스크래퍼(2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크래퍼(20)를 노출부(11) 또는 삽입부(14)를 통해 밀게 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으로 회복되므로 사용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스크래퍼(20)를 만곡형상으로 제조한 것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케이스(10)의 삽입부(14)를 만곡형상으로 제작하면 상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탬프(30)는 케이스(10)의 수용부(12)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되어 이미지판(I)의 음각부(I')에 수용된 네일아트용 페인트(A)를 찍어 손(발)톱 등에 손쉽게 옮기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상기 스탬프(30)의 노출된 부분이 곡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미지판(I)에 밀착한 상태에서 음각부(I')를 향해 굴리게 되면, 음각부(I')에 수용된 네일아트용 페인트(A)가 한쪽부터 천천히 떨어지게 되므로 네일아트용 페인트(A)를 손상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떼어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케이스(10)에 삽입부(14)에 끼워진 스크래퍼(20)를 외부로 노출시켜 준 다음, 네일아트용 페인트(A)가 도포된 이미지판(I) 상에 스크래퍼(20)의 끝단을 맞대준다.

    그 다음 이미지판(I)에 도포된 네일아트용 페인트(A)를 긁어 이미지판(I)의 음각부(I')에 네일아트용 페인트(A)가 수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네일아트용 페인트(A)가 이미지판(I)의 음각부(I')에 수용되면 노출된 스크래퍼(20)를 다시 케이스(10)의 삽입부(14)에 끼워 보관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각부(I')에 수용된 네일아트용 페인트(A)를 스탬프(30)로 찍어 손(발)톱 등에 옮겨 주면 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스탬프(30)의 노출된 곡면부분을 이미지판(I)에 밀착한 상태에서 음각부(I')를 향해 곡면을 따라 굴리게 되면, 음각부(I')에 수용된 네일아트용 페인트(A)가 한쪽부터 천천히 떨어지면서 스탬프(30)의 곡면에 부착되며, 이와 같이 부착된 특정모양의 네일아트용 페인트(A)를 손(발)톱 등에 옮겨 주면 된다.

    즉,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케이스(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래퍼(20)를 이용하여 이미지판(I)에 도포된 네일아트용 페인트(A)를 스크래퍼(20)로 긁어 이미지판(I)의 음각부(I')에 수용되도록 하고, 음각부(I')에 수용된 네일아트용 페인트(A)를 케이스(10)에 설치된 스탬프(30)로 찍어 손(발)톱 등에 손쉽게 옮길 수 있어 네일아트작업을 보다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케이스(10)의 둘레 면에 오목한 파지부(15)를 형성시켜 줌으로서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은 힘으로도 충분히 파지할 수 있어 작업중 불필요한 힘을 소모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폭이 파지부(15)에 의해 작아짐에 따라 손가락으로 파지하기가 좀 더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스크래퍼(20)를 만곡형상의 단면을 갖는 탄성재질로 제조하게 되면, 케이스(10)의 삽입부(14)에 스크래퍼(20)가 끼워질 때에 삽입부(14)의 두께에 상응하게 탄성 변형되면서 맞물리게 되므로 스크래퍼(20)의 무단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스크래퍼(2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크래퍼(20)를 노출부(11) 또는 삽입부(14)를 통해 밀게 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으로 회복되므로 사용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스크래퍼(20)는 케이스(10)의 삽입부(14)에 끼워져 전면이 노출부(11)를 통해 노출되는데, 이와 같이 스크래퍼(20)의 노출된 면에 사진, 로고, 그림 등과 같은 인쇄물을 부착할 경우 미니 액자의 기능도 함께 겸할 수 있어 본연의 기능, 뿐만 아니라 액자와 같은 부수적인 기능도 함께 겸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노출부(11)를 통해 노출된 스크래퍼(20)의 전면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슬라이드방식으로 밀게 되면 자연스럽게 스크래퍼(20)가 삽입부(14)로부터 인출되므로 스크래퍼(20)의 인출이 보다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스탬프(30)의 노출된 부분이 곡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미지판(I)에 밀착한 상태에서 음각부(I')를 향해 굴리게 되면, 음각부(I')에 수용된 네일아트용 페인트(A)가 한쪽부터 천천히 떨어지게 되므로 네일아트용 페인트(A)를 손상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떼어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케이스 11: 노출부 12: 수용부
    13: 단턱부 14: 삽입부 15: 파지부
    20: 스크래퍼 30: 스탬프 I: 이미지판
    I': 음각부 A: 네일아트용 페인트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