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부를 구비한 매니큐어 용기{MANICURE RECEPTACLE WITH DRYING PART}
본 발명은 건조부를 구비한 매니큐어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손톱이나 발톱의 표면에 매니큐어를 도포한 후 바람을 발생시켜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는 건조부를 구비한 매니큐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니큐어는 현대 여성들의 필수 화장품 중의 하나로서, 액상으로 이루어져 솔을 이용하여 손톱이나 발톱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다양한 개성을 연출하는 것이다. 상기한 매니큐어는 보관 및 휴대의 편의성을 위하여, 매니큐어 용기에 담겨져 사용되고 있다. 매니큐어 용기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나사부를 형성한 병목(12)을 가지며 내부에 매니큐어가 저장되는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의 병목(12)에 나사 결합되며 브러시(23)가 결합된 지지봉(22)이 일체로 마련되는 캡(20)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매니큐어 용기는 사용자가 매니큐어를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는 단순한 기능만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그 활용성이 극히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매니큐어 용기는 손톱이나 발톱의 표면에 매니큐어를 도포한 후 이를 강제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톱이나 발톱에 도포한 매니큐어가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일정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매니큐어의 빠른 건조를 위해서 손톱이나 발톱의 해당부위에 입으로 바람을 발생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손톱이나 발톱의 표면에 매니큐어를 도포한 후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는 매니큐어 용기에 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손톱이나 발톱에 매니큐어를 도포한 후 바람을 발생시켜 신속하게 건조함으로써, 매니큐어의 건조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조부를 구비한 매니큐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상부에 입구를 형성하며 내부에 매니큐어를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에 결합되며 하부에 브러시가 일체로 결합된 지지봉이 연직 방향으로 마련되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캡은,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의 표면에 도포된 매니큐어를 바람을 발생시켜 건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부를 구비한 매니큐어 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건조부는, 상기 캡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공기토출구가 마련되는 건조부 하우징; 상기 건조부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매니큐어를 건조할 수 있는 바람을 발생시켜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바람발생부; 및 상기 바람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부 하우징에는, 표면에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건조부 하우징은, 표면에 사용자가 상기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부 하우징은,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을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로 접근시키는 경우 상기 전원부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표면에 마련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상부에 입구를 형성하며 내부에 매니큐어를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에 결합되며 하부에 브러시가 일체로 결합된 지지봉이 연직 방향으로 마련되는 캡: 및 상기 용기 본체를 결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용기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받침대는,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의 표면에 도포된 매니큐어를 바람을 발생시켜 건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부를 구비한 매니큐어 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용기받침대는, 상기 용기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면에 공기토출구가 마련되는 받침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건조부는, 상기 받침대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매니큐어를 건조할 수 있는 바람을 발생시켜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바람발생부; 및 상기 바람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 하우징에는, 표면에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 하우징은, 표면에 사용자가 상기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 하우징은,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을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로 접근시키는 경우 상기 전원부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표면에 마련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부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근접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손톱이나 발톱에 매니큐어를 도포한 후 바람을 발생시켜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는 건조부를 구비한 매니큐어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매니큐어의 건조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매니큐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큐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매니큐어 용기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니큐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매니큐어 용기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큐어 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매니큐어 용기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니큐어 용기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매니큐어 용기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를 구비한 매니큐어 용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입구(102)를 형성하며 매니큐어를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용기 본체(100)와, 용기 본체(100)의 입구(102)에 결합되는 캡(110)과,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의 표면에 도포된 매니큐어를 바람을 발생시켜 건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건조부(12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00)는 본 발명에 따른 매니큐어 용기의 메인 프레임을 형성하며 상부에 입구(102)가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용기 본체(100)는 내부에 액상 형태의 매니큐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용기 본체(100)는 투명한 재질의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입구(102)는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 마련되는 구성이며, 사용자는 입구(102)를 통해 용기 본체(100)로부터 매니큐어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캡(110)은 용기 본체(100)의 입구(102)에 결합되는 구성이며, 하부에 브러시(113)가 일체로 결합된 지지봉(112)이 연직 방향으로 마련된다. 이때, 캡(110)은 용기 본체(100)의 입구에 나사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캡(110)과 입구(102)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러한 캡(110)은 사용자가 용기 본체(100)로부터 액상의 매니큐어를 브러시(113)에 묻힌 후 손톱이나 발톱의 표면에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매니큐어가 용기 본체(100)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입구를 막는 역할을 담당한다. 건조부(120)는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의 표면에 도포된 매니큐어를 바람을 발생시켜서 건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건조부 하우징(130)과, 바람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바람발생부(140)와, 바람발생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전원부(150)를 포함한다. 건조부 하우징(130)은 건조부(120)의 메인 프레임을 형성하며 상면에 공기토출구(132)가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건조부 하우징(130)은 캡(1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캡(1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건조부 하우징(130)은 캡(110)과 상호 끼움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건조부 하우징(130)은 하부에 끼움돌기(131)가 돌출 형성되고 캡(110)은 상부에 함몰되는 끼움홈(114)이 형성되어 상호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것이다. 이외에도 건조부 하우징(130)과 캡(110)은 상호 나사 결합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공기토출구(132)는 건조부 하우징(130)의 상면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공기토출구(132)는 후술하는 바람발생부(140)에 의해 발생된 바람의 토출 통로를 형성한다. 이때, 공기토출구(132)에는 바람의 토출을 허용하면서도 사용자의 손가락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는 망체(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건조부 하우징(130)은 표면에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입구(134)가 마련되며, 이에 따라 건조부 하우징(130)은 공기유입구(13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바람발생부(140)로 바람을 발생시켜 공기토출구(132)로 토출하게 되는 것이다. 건조부 하우징(130)은 표면에 스위치(136)가 마련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위치(136)의 조작에 따라 후술하는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스위치(136)는 원터치 방식, 센서에 의한 접촉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건조부 하우징(130)은 상면에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138)가 마련된다. 즉, 감지부(138)는 건조부 하우징(130)의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에 손톱이나 발톱이 접근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전원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감지부(138)는 사용자가 건조부 하우징(130)의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로 매니큐어를 도포한 손톱이나 발톱을 접근시키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바람발생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부(150)를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손톱이나 발톱의 표면에 도포된 매니큐어의 건조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감지부(138)는 건조부 하우징(130)의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로 물체가 접근했을 때 전원부(150)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근접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발생부(140)는 건조부 하우징(130)의 내부에 마련되는 구성이며, 모터(142)와 모터(142)에 결합되는 팬(144)을 포함한다. 이러한 바람발생부(140)는 모터(142)와 팬(144)으로 마련되며 건조부 하우징(130) 내에서 공기유입구(134)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바람을 발생시켜 공기토출구(132)로 토출하게 된다. 전원부(150)는 바람발생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전원부(150)는 건조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각종 인쇄회로가 마련된 피씨비기판(152)과, 피씨비기판(152)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54)를 포함한다. 피씨비기판(152)은 건조부 하우징(130)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피씨비기판(152)에는 바람발생부(140)의 모터(142)가 고정 결합된다. 배터리(154)는 바람발생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피씨비기판(152)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때, 배터리(154)는 피씨비기판(15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교환방식이나 충전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를 구비한 매니큐어 용기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건조부를 구비한 매니큐어 용기는, 액상 형태의 매니큐어가 저장된 용기 본체(100)의 입구(102)에 캡(110)이 결합되며 캡(110)의 상부에는 건조부(1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사용자가 용기 본체(100)의 입구를 개방하고 나서 캡(110)에 마련된 브러시(113)를 통해 손톱이나 발톱의 표면에 매니큐어를 도포한 후 건조하려는 경우, 건조부(120)에 마련된 스위치(136)를 조작(온)하며 이에 따라 전원부(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바람발생부(140)가 구동하기 시작한다. 바람발생부(140)가 동작되면, 외부 공기가 공기유입구(134)를 통해 건조기 하우징(130)의 내부로 유입되며 바람발생부(140)는 모터(142) 및 팬(144)의 구동에 따라 바람을 발생시킨다. 즉, 바람발생부(140)는 모터(142) 및 팬(144)의 구동과 건조기 하우징(130)의 공기유입구(134)로 유입된 외부 공기에 의해 바람을 발생시켜 공기토출구(132)로 토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바람발생부(140)의 구동은 손톱이나 발톱의 표면에 도포된 매니큐어가 바람의 공급에 따라 완전히 건조되어 사용자가 스위치(136)를 조작(오프)하기 전까지 계속 진행된다. 즉, 사용자는 건조부(120)의 바람발생부(140)로부터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손톱이나 발톱의 표면에 도포된 매니큐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건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사용자는 스위치(136)를 조작하지 않고서도 매니큐어를 도포한 손톱이나 발톱을 감지부(138)가 마련된 건조기 하우징(130)에 접근시켜 전원부(150) 및 바람발생부(140)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감지부(138)는 사용자가 건조부 하우징(130)의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로 매니큐어를 도포한 손톱이나 발톱을 접근시키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바람발생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부(150)를 동작시키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톱이나 발톱의 표면에 도포된 매니큐어의 건조시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를 구비한 매니큐어 용기는, 사용자가 손톱이나 발톱에 매니큐어를 도포한 후 건조부(120)에 의해 바람을 발생시켜 신속하게 건조함으로써, 매니큐어의 건조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를 구비한 매니큐어 용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입구(202)를 형성하며 매니큐어를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용기 본체(200)와, 용기 본체(200)의 입구(202)에 결합되는 캡(210)과, 용기 본체(200)를 결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용기받침대(220)와,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의 표면에 도포된 매니큐어를 바람을 발생시켜 건조할 수 있도록 용기받침대(220)에 마련되는 건조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 본체(200)와 캡(2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용기 본체(100) 및 캡(110)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이므로 이하에서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용기받침대(220)는 용기 본체(200)를 결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받침대 하우징(222)을 포함한다. 받침대 하우징(222)은 용기받침대(220)의 메인 프레임을 형성하며 표면에 공기토출구(224)가 마련되는 구성이다. 받침대 하우징(222)은 용기 본체(20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 안착홈(222A)이 마련되어 용기 본체(200)를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받침대 하우징(222)은 용기 본체(200)를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받침대 하우징(222)은 내부에 후술하는 건조부(230)의 구성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개방부에는 건조부(230)의 수용 후 마감판(222B)이 결합된다. 안착홈(222A)은 받침대 하우징(222)의 상부에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도록 마련되며 용기 본체(200)의 하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성이다. 공기토출구(224)는 받침대 하우징(222)의 표면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공기토출구(224)는 후술하는 건조부의 바람발생부(240)로부터 발생된 바람의 토출 통로를 형성한다. 이때, 공기토출구(224)에는 바람의 토출을 허용하면서도 사용자의 손가락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는 망체(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받침대 하우징(222)은 표면에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입구(226)가 마련되며, 이에 따라 받침대 하우징(222)은 공기유입구(226)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바람발생부(240)로 바람을 발생시켜 공기토출구(224)로 토출하게 되는 것이다. 받침대 하우징(222)은 표면에 스위치(228)가 마련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위치(228)의 조작에 따라 후술하는 건조부(230)에 마련되는 전원부(2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스위치(228)는 원터치 방식, 센서에 의한 접촉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받침대 하우징(222)은 표면에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229)가 마련된다. 즉, 감지부(229)는 받침대 하우징(222)의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에 손톱이나 발톱이 접근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전원부(25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감지부(229)는 사용자가 받침대 하우징(222)의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로 매니큐어를 도포한 손톱이나 발톱을 접근시키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건조부(230)의 바람발생부(2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부(250)를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손톱이나 발톱의 표면에 도포된 매니큐어의 건조시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감지부(229)는 받침대 하우징(222)의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로 물체가 접근했을 때 전원부(250)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근접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건조부(230)는 사용자의 손톱이나 발톱의 표면에 도포된 매니큐어를 바람을 발생시켜서 건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바람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바람발생부(240)와, 바람발생부(2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전원부(250)를 포함한다. 바람발생부(240)는 받침대 하우징(222)의 내부에 마련되는 구성이며, 모터(242)와 모터(242)에 결합되는 팬(244)을 포함한다. 이러한 바람발생부(240)는 모터(242)와 팬(244)으로 마련되며 받침대 하우징(222)의 내에서 공기유입구(226)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바람을 발생시켜 공기토출구(224)로 토출하게 된다. 전원부(250)는 바람발생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전원부(150)는 건조부(23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각종 인쇄회로가 마련된 피씨비기판(252)과, 피씨비기판(252)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54)를 포함한다. 피씨비기판(252)은 받침부 하우징(222)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피씨비기판(252)에는 바람발생부(240)의 모터(242)가 고정 결합된다. 배터리(254)는 바람발생부(2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피씨비기판(152)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때, 배터리(154)는 피씨비기판(15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교환방식이나 충전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를 구비한 매니큐어 용기는, 손톱이나 발톱의 표면에 도포된 매니큐어를 바람을 발생시켜 건조할 수 있는 건조부(130)가 용기받침대(220)를 형성하는 받침대 하우징(222)의 내부에 일체로 마련되고, 용기 본체(200)를 받침대 하우징(22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작용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용기 본체 102: 입구 110: 캡 120: 건조부 130: 건조부 하우징 132: 공기토출구 134: 공기유입구 136: 스위치 138: 감지부 140: 바람발생부 150: 전원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