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토제조기의 브러시의 결합구조

申请号 KR2020050012164 申请日 2005-04-30 公开(公告)号 KR200391588Y1 公开(公告)日 2005-08-08
申请人 구진섭; 发明人 구진섭;
摘要 본 고안에 의한 상토제조기의 브러시의 결합구조는 다수의 파쇄날을 내부에 구비한 여과망체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여과망체의 외부면에 접촉 회전되는 브러시가 상기 여과망체와 평행하게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상토제조기에 있어서, 베어링을 내장한 베어링하우징이 브러시의 양단부 측에 위치한 프레임에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브러시의 브러시축의 양단부가 상기 베어링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장공이 각각 형성되고, 다수의 볼트가 상기 장공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각각 체결되어 베어링하우징을 고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볼트를 풀어서 브러시의 위치를 가변시키고 브러시를 다시 고정하기 때문에, 브러시모가 사용하지 못할 정도로 소모될 때까지 브러시를 사용할 수 있어 브러시의 사용 기간을 증대하게 되고, 오랫동안 브러시모를 여과망체의 외부 표면에 접촉 회전시켜서 상토를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权利要求
  • 다수의 파쇄날을 내부에 구비한 여과망체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여과망체의 외부면에 접촉 회전되는 브러시가 상기 여과망체와 평행하게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상토제조기에 있어서,
    베어링(11)을 내장한 베어링하우징(12)이 브러시(3)의 양단부 측에 위치한 프레임(2)에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브러시(3)의 브러시축(3a)의 양단부가 상기 베어링(11)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어링하우징(12)에 장공(12a)이 각각 형성되고, 다수의 볼트(13)가 상기 장공(12a)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2)에 각각 체결되어 베어링하우징(12)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토제조기의 브러시의 결합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12a)의 길이 방향이 여과망체(1)의 중심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토제조기의 브러시의 결합구조.
  • 说明书全文

    상토제조기의 브러시의 결합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BRUSH USED IN SOIL MANUFACTURING DEVICE}

    본 고안은 상토제조기의 브러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브러시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브러시의 사용 기간을 증대하고 브러시의 브러시모를 여과망체에 용이하게 접촉 회전시켜서 상토를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상토제조기의 브러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토제조기는 덩어리 형상으로 뭉쳐진 상토를 파쇄함과 더불어 일정한 크기 이하의 양질의 상토를 선별하며, 상기 상토는 파종기에 투입되어 육묘상자에 공급되어 볍씨 등의 파종을 원활하게 실현하게 한다.

    상기 상토제조기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20-1999-0007729호와 제20-2003-0020745호로 출원되어 등록된 바 있으며, 이는 다수의 파쇄날을 내부에 구비한 여과망체를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여과망체의 외부면에 접촉 회전되는 브러시를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상토제조기는 호퍼를 통하여 상토를 투입하고, 투입된 상토가 여과망체의 내부에 구비된 파쇄날에 의하여 깨지면서 이송하고, 이송되는 상토 중에 일정 크기이하의 상토는 여과망체를 통하여 아래로 하강함과 더불어 여과망체를 통과하지 못한 상토는 여과망체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브러시는 상기 여과망체의 외부 표면에 접촉되어 있어, 여과망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여과망체의 표면에 묻어 있는 상토를 아래로 털어내게 되는 바, 종래에는 상기 브러시의 브러시축의 양단부를 베어링이 지지하고 있어 브러시의 회전을 원활하게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브러시의 브러시축이 베어링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므로, 브러시의 브러시모가 오랫동안 사용되어 조금씩 깎여서 길이가 축소되었을 때, 브러시모를 더 사용할 수 있으나 교체해야 하고, 브러시의 교체시기가 빨라서 브러시의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여과망체의 외부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 브러시를 사용하게 되면 여과망체를 통과하지 못한 상토로 인하여 여과망체가 막혀서 상토의 선별량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브러시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브러시의 사용 기간을 증대하고, 브러시의 교체없이 브러시모를 여과망체의 외부 표면에 접촉 회전시켜서 상토를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는 상토제조기의 브러시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파쇄날을 내부에 구비한 여과망체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여과망체의 외부면에 접촉 회전되는 브러시가 상기 여과망체와 평행하게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상토제조기에 있어서, 베어링을 내장한 베어링하우징이 브러시의 양단부 측에 위치한 프레임에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브러시의 브러시축의 양단부가 상기 베어링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장공이 각각 형성되고, 다수의 볼트가 상기 장공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각각 체결되어 베어링하우징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토제조기의 브러시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브러시의 결합구조가 적용되는 상토제조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상토제조기는 다수의 파쇄날(미도시)을 내부에 구비한 여과망체(1)가 프레임(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여과망체(1)의 외부면에 접촉 회전되는 브러시(3)가 상기 여과망체(1)와 평행하게 프레임(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상토제조기는 호퍼(4)를 통하여 상토를 공급하고, 상기 여과망체(1)를 통과하는 상토가 아래로 하강함과 더불어 상기 여과망체(1)를 통과하지 못한 상토가 배출구(5)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토제조기에 있어서, 본 고안은 베어링(11)을 내장한 베어링하우징(12)이 브러시(3)의 양단부 측에 위치한 프레임(2)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3)의 브러시축(3a)의 양단부가 상기 베어링(11)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하우징(12)에 장공(12a)이 각각 형성되고, 다수의 볼트(13) 또는 나사가 상기 장공(12a)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2)에 각각 체결되어 베어링하우징(12)을 고정하게 된다.

    특히 브러시(3)가 이동할 때에 여과망체(1)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간편하게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장공(12a)의 길이 방향이 여과망체(1)의 중심을 향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브러시(3)는 브러시축(3a) 상에 방사상의 브러시모(3b)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상토제조기의 브러시의 결합구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우선 호퍼(4)를 통하여 선별하고자 하는 상토를 투입하면서 여과망체(1)를 동력으로 회전하면, 상기 상토의 덩어리가 여과망체(1)의 내부에 구비된 파쇄날에 의하여 파쇄되고, 여과망체(1)의 둘레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아래로 하강함과 더불어 여과망체(1)를 통과하지 못하는 상토는 여과망체(1)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어 배출구(5)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여과망체(1)의 구멍에 위치한 상토와 여과망체(1)의 외부 표면에 묻어 있는 상토는 여과망체(1)와 함께 접촉 회전하는 브러시(3)의 브러시모(3b)에 의하여 분리되어 아래로 쉽게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토제조기를 오랫동안 사용하게 되면 브러시(3)의 브러시모(3b)가 깎여서 짧아지게 되어 브러시모(3b)가 여과망체(1)에 접촉하지 않을 경우, 작업자는 볼트(13)를 풀어서 브러시(3)의 브러시모(3b)를 다시 여과망체(1)의 외부 표면에 접촉시키고, 풀었던 볼트(13)를 다시 죄어서 브러시(3)를 고정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토의 파쇄와 선별 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상토제조기의 브러시의 결합구조는 볼트를 풀어서 브러시의 위치를 가변시키고 브러시를 다시 고정하기 때문에, 브러시모가 사용하지 못할 정도로 소모될 때까지 브러시를 사용할 수 있어 브러시의 사용 기간을 증대하게 되고, 오랫동안 브러시모를 여과망체의 외부 표면에 접촉 회전시켜서 상토를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브러시의 결합구조가 적용되는 상토제조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B - B부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프레임 3 : 브러시

    3a : 브러시축 11 : 베어링

    12 : 베어링하우징 12a : 장공

    13 : 볼트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