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작업이 가능한 2줄뿌림 비료살포기

申请号 KR1020070044233 申请日 2007-05-07 公开(公告)号 KR1020080098866A 公开(公告)日 2008-11-12
申请人 김완수; 发明人 김완수;
摘要 A two lines manure distributor is provided to remarkably shorten working time by performing the work forming the ridge between fields and the work putting the vinyl on the ridge between fields at the same time. A two lines manure distributor which is possible for the multiple works comprises: a frame selectively combined with the agricultural machine; a hopper(51) which receives fertilizer and in which a fertilizer vent(53) is formed i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 striking portion which strikes and pulverizes the fertilizer received in the hopper; a bidirectional screw(57) moving the fertilizer pulverized by the striking portion in both directions; and a shutter(59) which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fertilizer vent.
权利要求
  • 농기계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되어 비료를 수용하고 저면부 양측에 2개의 비료배출구가 형성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내에 가로방향으로 회전설치되어 상기 호퍼에 수용되는 비료를 타격하여 분쇄하는 타격부와, 상기 타격부의 하부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호퍼내에 가로방향으로 회전설치되어 상기 타격부에 의해 분쇄된 비료를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양방향스크류와, 상기 양방향스크류에 의해 양방향으로 이동되는 비료가 2개의 상기 비료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2줄뿌림 살포될 수 있도록 상기 비료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2개의 셔터로 이루어지는 줄뿌림 살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줄뿌림 살포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농기계에 연결설치된 로터리에 선택적으로 회전결합되고, 상기 로터리의 상부에 구비되는 유압실린더의 일단이 상기 프레임상에 형성되는 연결부재에 축결합되어 길이가 선택적으로 신장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상기 줄뿌림 살포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킨 채 상기 농기계를 운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줄뿌림 살포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호퍼상에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레버에 의해 상기 비료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줄뿌림 살포기.
  •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료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2줄뿌림 살포되는 상기 비료가 상기 로터리의 전방방향 또는 후방방향에 선택적으로 살포되어지도록 상기 비료배출구의 하단에 살포방향조절부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줄뿌림 살포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줄뿌림 살포부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줄뿌림 살포부에 의해 외부로 2줄뿌림 살포된 상기 비료의 주변 흙을 이용하여 두둑을 형성하는 두둑형성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줄뿌림 살포기.
  • 농기계에 연결설치되어 토양을 잘게 분쇄하는 로터리와;
    상기 로터리의 후방에 설치되어 비료를 수용하고 저면부 양측에 2개의 비료 배출구가 형성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내에 가로방향으로 회전설치되어 상기 호퍼에 수용되는 비료를 타격하여 분쇄하는 타격부와, 상기 타격부의 하부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호퍼내에 가로방향으로 회전설치되어 상기 타격부에 의해 분쇄된 비료를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양방향스크류와, 상기 양방향스크류에 의해 양방향으로 이동되는 비료가 2개의 상기 비료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2줄뿌림 살포될 수 있도록 상기 비료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2개의 셔터로 이루어지는 줄뿌림 살포부와;
    상기 줄뿌림 살포부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줄뿌림 살포부에 의해 외부로 2줄뿌림 살포된 상기 비료의 주변 흙을 이용하여 두둑을 형성하는 두둑형성부와;
    상기 두둑형성부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두둑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두둑에 비닐을 피복하는 비닐피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1회의 상기 농기계운행에 의해 토양을 잘게 분쇄하는 작업, 상기 비료를 2줄뿌림 살포하는 작업, 두둑을 형성하는 작업 및 두둑에 비닐을 피복하는 작업이 동시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작업이 가능한 2줄뿌림 비료살포기.
  • 说明书全文

    다중작업이 가능한 2줄뿌림 비료살포기{MULTI WORKING POSSIBLE COMPOST TWO LINE DROPP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비료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프레임이 로터리에 회전결합된 상태와 줄뿌림 살포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두둑형성부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상기 비료배출구의 하단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살포방향조절부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5은 상기 두둑형성부가 형성한 두둑에 비닐을 피복하는 비닐피복부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농기계, 10; 로터리,

    13; 몸체, 13a, 31a; 상부링크결합구,

    13b, 31b; 하부링크결합구, 13c; 유압실린더,

    13d; 축, 15; 수용부,

    19; 분쇄부, 30; 프레임,

    31; 수직대, 33; 연결축,

    35, 55a; 회전축, 35a; 감속기어,

    37; 제 1풀리, 37a; 제 1체인,

    39; 제 2풀리, 39a; 제 2체인,

    41; 제 3풀리, 43; 연결부재,

    50; 줄뿌림 살포부, 51; 호퍼,

    53; 비료배출구, 53a; 공간,

    55; 타격부, 55b; 타격부재,

    57; 양방향스크류, 57a; 스크류축,

    57b; 스크류날개, 59; 셔터,

    70; 살포방향조절부, 70a; 경사면,

    73; 고정부재, 90; 두둑형성부,

    93; 가로대, 95; 지지대,

    97; 높이조절부재, 97a; 고정판,

    97b; 수용판, 99; 두둑형성부재,

    99a; 배토삽, 99b; 두둑형성판,

    100; 비닐피복부.

    본 발명은 비료가 불필요한 곳까지 살포될 염려가 없음은 물론 셔터로 인해 상기 비료를 2줄뿌림 살포하고자 하는 곳에 필요한 양만큼 선택적으로 살포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비료가 토양과 보다 용이하게 섞여질 수 있게 되고, 더불어 작업자가 농기계를 보다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농기계의 이동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가 상기 셔터를 보다 수월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상기 비료를 분쇄되기 전의 토양 또는 분쇄된 토양에 선택적으로 2줄뿌림 살포할 수 있음은 물론 1회의 상기 농기계운행에 의해 토양을 잘게 분쇄하는 작업, 상기 비료를 2줄뿌림 살포하는 작업, 두둑을 형성하는 작업 및 두둑에 비닐을 피복하는 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을 보다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2� ��뿌림 살포기 및 두둑형성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트랙터 등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비료살포기는 비료가 수용되고 하부에 비료배출구가 형성된 호퍼와, 상기 호퍼의 비료 유출구 하부에 설치되어 살포팬과, 상기 살포팬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상의 비료살포기는 상기 비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 곳까지 상기 비료를 살포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비료의 소비에 의해 토양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굳은 토양에서 상기 농기계를 운행할 시 굳은 토양에 상기 농기계의 바퀴자국이 남게 됨과 더불어 상기 농기계의 하중에 의해 굳은 토양이 더욱 굳어지게 됨으로써, 토양과 비료가 용이하게 섞여지기가 여의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비료가 불필요한 곳까지 살포될 염려가 없음은 물론 셔터로 인해 상기 비료를 2줄뿌림 살포하고자 하는 곳에 필요한 양만큼 선택적으로 살포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비료가 토양과 보다 용이하게 섞여질 수 있게 되고, 더불어 작업자가 농기계를 보다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농기계의 이동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가 상기 셔터를 보다 수월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상기 비료를 분쇄되기 전의 토양 또는 분쇄된 토양에 선택적으로 2줄뿌림 살포할 수 있음은 물론 1회의 상기 농기계운행에 의해 토양을 잘게 분쇄하는 작업, 상기 비료를 2줄뿌림 살포하는 작업, 두둑을 형성하는 작업 및 두둑에 비닐을 피복하는 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을 보다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2줄뿌림 살포기 및 두둑형성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농기계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되어 비료를 수용하고 저면부 양측에 2개의 비료배출 구가 형성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내에 가로방향으로 회전설치되어 상기 호퍼에 수용되는 비료를 타격하여 분쇄하는 타격부와, 상기 타격부의 하부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호퍼내에 가로방향으로 회전설치되어 상기 타격부에 의해 분쇄된 비료를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양방향스크류와, 상기 양방향스크류에 의해 양방향으로 이동되는 비료가 2개의 상기 비료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2줄뿌림 살포될 수 있도록 상기 비료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2개의 셔터로 이루어지는 줄뿌림 살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줄뿌림 살포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농기계에 연결설치된 로터리에 선택적으로 회전결합되고, 상기 로터리의 상부에 구비되는 유압실린더의 일단이 상기 프레임상에 형성되는 연결부재에 축결합되어 길이가 선택적으로 신장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상기 줄뿌림 살포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킨 채 상기 농기계를 운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셔터는 상기 호퍼상에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레버에 의해 상기 비료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비료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2줄뿌림 살포되는 상기 비료가 상기 로터리의 전방방향 또는 후방방향에 선택적으로 살포되어지도록 상기 비료배출구의 하단에 살포방향조절부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줄뿌림 살포부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줄뿌림 살포부에 의해 외부로 2줄뿌림 살포된 상기 비료의 주변 흙을 이용하여 두둑을 형성하는 두둑형성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농기계에 연결설치되어 토양을 잘게 분쇄하는 로터리와; 상기 로터리의 후방에 설치되어 비료를 수용하고 저면부 양측에 2개의 비료배출구가 형성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내에 가로방향으로 회전설치되어 상기 호퍼에 수용되는 비료를 타격하여 분쇄하는 타격부와, 상기 타격부의 하부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호퍼내에 가로방향으로 회전설치되어 상기 타격부에 의해 분쇄된 비료를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양방향스크류와, 상기 양방향스크류에 의해 양방향으로 이동되는 비료가 2개의 상기 비료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2줄뿌림 살포될 수 있도록 상기 비료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2개의 셔터로 이루어지는 줄뿌림 살포부와; 상기 줄뿌림 살포부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줄뿌림 살포부에 의해 외부로 2줄뿌림 살포된 상기 비료의 주변 흙을 이용하여 두둑을 형성하는 두둑형성부와; 상기 두둑형성부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두둑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두둑에 비닐을 피복하는 비닐피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1회의 상기 농기계운행에 의해 토양을 잘게 분쇄하는 작업, 상기 비료를 2줄뿌림 살포하는 작업, 두둑을 형성하는 작업 및 두둑에 비닐을 피복하는 작업이 동시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작업이 가능한 2줄뿌림 비료살포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30)과 줄뿌림 살포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30)은 농기계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30)에는 비료를 외부로 2줄뿌림 살포하는 줄뿌림 살포부(50)가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0)이 상기 농기계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30)상에 설치되는 수직대(31)에는 상부링크결합구(31a)와 하부링크결합구(31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30) 및 상기 줄뿌림 살포부(50)상에는 각각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농기계의 동력원, 즉 상기 농기계의 PTO축과 연결되는 연결축(33)과; 상기 연결축(33)과 연결되어 상기 농기계의 PTO축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 전함과 동시에 감속기어(35a)가 구비되는 회전축(35)과; 상기 회전축(35)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 1풀리(37)와; 상기 제 1풀리(37)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호퍼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양방향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 2풀리(39)와; 상기 제 2풀리(39)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호퍼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타격부를 회전시키는 제 3풀리(41)와; 상기 제 1풀리(37)의 회전력을 상기 제 2풀리(39)로 전달하는 제 1체인(37a)과; 상기 제 2풀리(39)의 회전력을 제 3풀리(41)로 전달하는 제 2체인(39a)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0)상에 구비된 상기 회전축(35)이 보다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35)이 상기 프레임(30)에 베어링고정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제 1풀리(37), 상기 제 2풀리(39) 및 상기 제 3풀리(41)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줄뿌림 살포부(50)상에 구비되는 유압모터 등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줄뿌림 살포부(50)를 고정설치하여 상기 농기계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줄뿌림 살포부(50)는 비료를 외부, 즉 토양에 2줄뿌림 살포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프레임(30)에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줄뿌림 살포부(5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호퍼(51), 타격부(55) 및 양방향스크류(57) 및 셔터(도 3의 59)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퍼(51)는 상기 프레임(30)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비 료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면부 양측에 2개의 비료배출구(53)가 형성되되, 상기 비료배출구(53)의 형상은 도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호퍼(51)의 형상 및 구조 역시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프레임(30)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비료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타격부(55)는 상기 호퍼(51)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호퍼(51)에 수용되는 비료를 타격하여 분쇄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3풀리(41)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호퍼(51)에 수용되는 상기 비료를 타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타격부(55)는 상기 제 3풀리(41)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55a)과, 상기 회전축(55a)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55a)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타격부재(55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55a)은 보다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고정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타격부재(55b)는 상기 비료를 타격하여 분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타격부재(55b)가 상기 비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타격하여 분쇄하기 위해서 상기 타격부재(55b)상에 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타격부(55)는 덩어리진 상기 비료를 타격하여 분쇄할 수 있기 때문에 덩어리진 상기 비료가 2개의 상기 비료배출구(53)를 막을 우려가 없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비료가 외부로 원활하게 2줄뿌림 살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타격부(55)의 형상 및 구조는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비료를 타격하여 분쇄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양방향스크류(57)는 상기 타격부(55)에 의해 분쇄된 비료를 양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타격부(55)의 하부방향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호퍼(51)내에 가로방향으로 회전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양방향스크류(57)는 상기 제 2풀리(39)에 의해 회전되어 분쇄된 상기 비료를 양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방향스크류(57)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풀리(39)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축(57a)과, 상기 스크류축(57a)의 외주연에 양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스크류날개(57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축(57a)은 보다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고정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스크류축(57a)이 회전될 경우 상기 스크류축(57a)의 외주연에 형성된 상기 스크류날개(57b) 또한 상기 스크류축(57a)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날개(57b)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축(57a)의 외주연 중간을 기준으로 양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호퍼(51)내에 수용된 상기 비료를 양방향, 즉 상기 비료배출구(53)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크류축(57a)과 상기 스크류날개(57b)로 이루어지는 상기 양방향스크류(57)의 회전에 따라 상기 호퍼(51)내에 수용된 상기 비료가 상기 호퍼(51)의 저면부 양측에 형성된 2개의 상기 비료배출구(53)를 통하여 외부로 2줄뿌림 살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방향스크류(57)의 형상 및 구조는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타격부(55)에 의해 분쇄된 비료를 양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3은 비료배출구(5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59)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프레임(30)이 로터리(10)에 회전결합된 상태와 줄뿌림 살포부(50)의 후방에 위치하는 두둑형성부(90)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상기 비료배출구(53)의 하단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살포방향조절부(70)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셔터(59)는 2개의 상기 비료배출구(5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상기 비료배출구(53)에 각각 전후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비료배출구(5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단, 상기 셔터(59)의 형상 및 구조는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후로 슬라이딩운동하여 2개의 상기 비료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한편, 2개의 상기 비료배출구(53)에 각각 전후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설치된 2개의 상기 셔터(59)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호퍼(51)상에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레버(51a)에 의해 상기 비료배출구(5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51a)를 전방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셔터(59)는 후방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비료배출구(53)를 개방하게 되고, 이와 달리 상기 레버(51a)를 후방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셔터(59)는 전방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비료배출구(53)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호퍼(51)상에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상기 레버(51a)에 의해 상기 셔터(59)가 상기 비료배출구(5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보다 수월하게 상기 셔터(59)를 사용하여 상기 비료배출구(53)를 개폐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줄뿌림 살포부(50)가 상기 비료를 외부로 선택적으로 2줄뿌림 살포함으로써, 종래처럼 상기 비료가 불필요한 곳까지 살포될 염려가 없어지게 되어 불필요한 상기 비료의 소비에 의해 토양이 오염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셔터(59)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엑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비료배출구(53)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셔터(59)의 하측에 설치되되, 상기 엑츄에이터의 일단은 상기 셔터(59)의 하부와 연결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비료배출구(53)의 외주에 연결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엑츄에이터의 길이가 신장되면 상기 셔터(59)는 후방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비료배출구(53)를 개방하게 되고, 이와 달리 상기 엑츄에이터의 길이가 줄어들면 상기 셔터(59)는 전방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비료배출구(53)을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엑츄에이터로는 전동 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전동 실린더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셔터(59)를 전후방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료배출구(5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기 셔터(59)로 인해 작업자가 상기 비료를 2줄뿌림 살포하고자 하는 곳에 필요한 양만큼 선택적으로 살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비료배출구(53)를 통해 외부로 2줄뿌림 살포되는 상기 비료가 후술할 로터리의 전방방향 또는 후방방향에 선택적으로 살포되어지도록 도 4 및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비료배출구(53)의 하단에 살포방향조절부(70)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되, 상기 살포방향조절부(70)의 형상은 도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살포방향조절부(70)는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 기 살포방향조절부(70)를 관통하여 상기 비료배출구(53)에 체결되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73)로 인해 상기 비료배출구(53)의 하단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비료배출구(53)의 하단에 선택적으로 장착된 상기 살포방향조절부(70)의 경사면(70a)이 좌측으로 향하게 될 경우 상기 비료배출구(53)를 통해 외부로 2줄뿌림 살포되는 상기 비료가 상기 로터리의 후방방향에 선택적으로 살포되어지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비료배출구(53)의 하단에 선택적으로 장착된 상기 살포방향조절부(70)의 경사면(70a)이 우측으로 향하게 될 경우 상기 비료배출구(53)를 통해 외부로 2줄부림 살포되는 상기 비료가 상기 로터리의 전방방향에 선택적으로 살포되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비료배출구(53)를 통해 외부로 2줄뿌림 살포되는 상기 비료가 상기 로터리의 전방방향 또는 후방방향에 선택적으로 살포되어지도록 상기 비료배출구(53)의 하단에 상기 살포방향조절부(70)가 선택적으로 장착됨으로써,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비료를 분쇄되기 전의 토양 또는 분쇄된 토양에 2줄뿌림 살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30)은 상기 농기계에 연결설치되는 상기 로터리(10)에 회전결합될 수도 있다.

    즉, 로터리(10)의 후방에 상기 줄뿌림 살포부(50)가 설치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터리(10)는 굳은 토양을 잘게 분쇄하기 위한 것으 로써,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농기계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몸체(13)와; 상기 몸체(13)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농기계의 PTO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여 토양을 잘게 분쇄하는 분쇄부(도 5의 19);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13)의 상부에 형성되는 축(13d)에 상기 프레임(30)의 일단부가 회전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3)의 상기 축(13d)의 외주연을 수용하는 수용부(15)가 상기 축(13d)의 외주연을 수용한 채 볼트 및 너트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30)의 일단부에 체결고정됨으로써, 상기 프레임(30)이 상기 로터리(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30)이 보다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30)의 일단부가 상기 축(13d)에 베어링고정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3)상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링크결합구(13a) 및 하부링크결합구(13b)로 인해 상기 몸체(13), 즉 상기 로터리(10)가 상기 농기계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로터리(10)의 상부, 즉 상기 몸체(13)상에 형성되는 상기 상부링크결합구(13a)에는 유압실린더(13c)가 구비되는데, 여기서 상기 유압실린더(13c)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30)상에 형성되는 연결부재(도 5의 43)에 선택적으로 축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실린더(13c)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 상기 프레임(30)이 토양에서 상부방향으로 일정높이 회전이동하게 되고, 이와 달리 상기 유압실린더(13c)의 길이가 신장되면 상기 프레임(30)이 토양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로터리(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유압실린더(13c)의 일단이 상기 프레임(30)상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재(43)에 축결합되어 길이가 선택적으로 신장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상기 프레임(30)에 고정설치된 상기 줄뿌림 살포부(50)를 토양에서 상부방향으로 일정높이 회전이동시킨 채 상기 농기계를 운행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이때 상기 농기계의 무게중심이 상기 농기계의 전방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농기계를 보다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농기계의 이동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농기계를 운행할 시 상기 로터리(10)가 토양을 잘게 분쇄하기 때문에 상기 농기계의 하중에 의해 토양이 더욱 굳어지게 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토양과 비료가 보다 용이하게 섞여질 수 있게 되는 이점 또한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줄뿌림 살포부(50)의 후방에는 상기 줄뿌림 살포부(50)에 의해 줄뿌림 살포된 상기 비료의 주변 흙을 이용하여 두둑을 형성하는 두둑형성부(9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두둑형성부(90)는 상기 줄뿌림 살포부(5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30)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둑형성부(90)는 상기 줄뿌림 살포부(5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30)에 설치되는 가로대(93)와; 상기 가로대(93)에 상하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95)와; 상기 지지대(95)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97)와; 상기 지지대(95)의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상기 비료의 주변 흙을 파헤쳐 고랑을 형성함과 동시에 파헤쳐진 흙을 배출된 상기 비료상에 복토하여 두둑을 형성하는 두둑형성부재(99);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95)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상기 높이조절부재(97)는 상기 가로대(93)의 양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97a)과, 상기 고정판(97a)의 일면에 상기 지지대(95)를 수용하고 일측에 나사공(미도시)이 형성된 수용판(97b)과, 상기 수용판(97b)의 상기 나사공(미도시)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대(95)를 상기 수용판(97b)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미도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두둑형성부재(99)는 상기 지지대(95)의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상기 비료의 주변 흙을 파헤쳐 고랑을 형성시키는 배토삽(99a)과, 상기 배토삽(99a)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배토삽(99a)에 의해 파헤쳐진 흙을 상기 비료상에 복토하여 두둑을 형상하는 호형상의 두둑형성판(99b)으로 이루어진다.

    도 5은 상기 두둑형성부(90)가 형성한 두둑에 비닐을 피복하는 비닐피복부(100)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두둑형성부(90)의 후방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닐피복부(10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비닐피복부(100)는 상기 두둑형성부(9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30)에 설치되어 상기 두둑형성부(90)에 의해 형성된 두둑에 비닐을 피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비닐피복부(100)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함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농기계(5)의 후방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로터리(10), 상기 줄뿌림 살포부(50), 상기 두둑형성부(90) 및 상기 비닐피복부(100)가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농기계(5)를 운행하게 되면 토양을 잘게 분쇄하는 작업, 상기 비료를 2줄뿌림 살포하는 작업, 두둑을 형성하는 작업 및 두둑에 비닐을 피복하는 작업을 동시에 행해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농기계(5)를 1회 운행할 시 토양을 잘게 분쇄하는 작업, 상기 비료를 2줄뿌림 살포하는 작업, 두둑을 형성하는 작업 및 두둑에 비닐을 피복하는 작업이 동시에 행해지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보다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상기 줄뿌림 살포부가 상기 비료를 외부로 선택적으로 2줄뿌림 살포함으로써, 종래처럼 상기 비료가 불필요한 곳까지 살포될 염려가 없어지게 되어 불필요한 상기 비료의 소비에 의해 토양이 오염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상기 비료배출구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기 셔터로 인해 작업자가 상기 비료를 2줄뿌림 살포하고자 하는 곳에 필요한 양만큼 선택적으로 살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리가 토양을 잘게 분쇄하기 때문에 상기 농기계의 하중에 의해 토양이 더욱 굳어지게 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토양과 비료가 보다 용이하게 섞여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로터리의 상부에 구비되는 유압실린더의 일단이 상기 프레임상에 형성되는 연결부재에 축결합되어 길이가 선택적으로 신장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상기 줄뿌림 살포부를 토양에서 상부방향으로 일정높이 회전이동시킨 채 상기 농기계를 운행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이때 상기 농기계의 무게중심이 상기 농기계의 전방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농기계를 보다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농기계의 이동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호퍼상에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셔터가 상기 비료배출구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보다 수월하게 상기 셔터를 사용하여 상기 비료배출구의 공간을 개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비료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2줄뿌림 살포되는 상기 비료가 상기 로터리의 전방방향 또는 후방방향에 선택적으로 살포되어지도록 상기 비료배출구의 하단에 살포방향조절부가 선택적으로 장착됨으로써,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비료를 분쇄되기 전의 토양 또는 분쇄된 토양에 2줄뿌림 살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줄뿌림 살포된 상기 비료의 주변 흙을 이용하여 두둑을 형성하는 상기 두둑형성부와, 상기 두둑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두둑에 비닐을 피복하는 상기 비닐피복부가 각각 더 구비됨으로써, 1회의 상기 농기계운행에 의해 토양을 잘게 분쇄하는 작업, 상기 비료를 2줄뿌림 살포하는 작업, 두둑을 형성하는 작업 및 두둑에 비닐을 피복하는 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을 보다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