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품위 현미의 도정 방법 및 그 장치

申请号 KR1020147030740 申请日 2013-06-10 公开(公告)号 KR101663148B1 公开(公告)日 2016-10-06
申请人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发明人 구마모토가쓰유키; 후지카와히데후미; 오구라요이치로;
摘要 미숙미및 크랙미등 불량물을많이포함한외국산의저품위현미라도, 쇄미의발생을저감할수 있는저품위현미의도정장치를제공한다. 상기세로형연삭식정곡기의연삭식제강금망통을지지하는지주에는, 상기도정실을향해돌출되어상기연삭식정백롤의원주방향으로의회전에의해곡물의이동에저항을부여하는장척형의저항체가설치되고, 상기세로형마찰식정곡기의마찰식제강금망통에는, 그내각부에복수의저항바가설치되고, 상기세로형마찰식정곡기의마찰식교반롤의길이방향으로는, 상기마찰식교반롤의원주방향으로의회전에의해, 상기복수의저항바와중첩되어곡물의이동에저항을부여하는장척형의교반바를구비하였다.
权利要求
  • 회전 가능한 주축(主軸)에 연삭식(硏削式) 정백(精白) 롤을 축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연삭식 정백 롤의 주위에는 간극(間隙)을 통하여 연삭식 제강(除糠) 금망통(金網筒)을 세워 설치하고, 그 간극을 도정실(搗精室)에 형성한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精穀機); 및 회전 가능한 주축에 마찰식 교반 롤을 축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마찰식 교반 롤의 주위에는 간극을 통하여 마찰식 제강 금망통을 세워 설치하고, 그 간극을 도정실에 형성한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를 연좌(連座)하여 구성되는 도정 장치로서,
    상기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의 연삭식 제강 금망통을 지지하는 지주(支柱)에는, 상기 도정실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연삭식 정백 롤의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곡물의 이동에 저항을 부여하는 장척형(長尺形)의 저항체가 설치되고, 상기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의 마찰식 제강 금망통에는, 그 내각부(內角部)에 복수의 저항 바가 설치되고, 상기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의 마찰식 교반 롤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마찰식 교반 롤의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저항 바와 중첩되어 곡물의 이동에 저항을 부여하는 장척형의 교반 바를 구비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연삭식 정곡기의 도정실과 상기 마찰식 정곡기의 도정실의 양쪽의 압력을 저압(低壓)으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저품위 현미의 도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형의 저항체, 상기 복수의 저항 바 및 상기 장척형의 교반 바는, 각각 각(角)기둥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각각의 상기 도정실 측으로 돌출하는 각부(角部)가 0.1㎜∼0.3㎜의 C 면취(面取)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저품위 현미의 도정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정 장치는, 상기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를 1번기로, 상기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를 2번기로, 상기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를 3번기로 각각 선택하여 3대의 연좌 구성으로 하는 한편, 상기 1번기로부터 배출되는 원료는 그 백도(白度)가 원료 현미의 백도값으로부터 6∼11 정도 백도값이 상승하도록 상기 도정실 내의 상기 저항체의 돌출량을 소정값으로 설정하여 이루어지는, 저품위 현미의 도정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번기의 도정실에 설치한 저항체와 상기 연삭식 정백 롤의 외주면과의 간극을 4㎜∼6㎜로 되도록 돌출량을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2번기 및 상기 3번기의 상기 저항 바와 상기 교반 바와의 간극을 4㎜∼6㎜로 설정하여 이루어지는, 저품위 현미의 도정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번기에는, 수분 첨가 장치가 부설되어 이루어지는, 저품위 현미의 도정 장치.
  • 회전 가능한 주축에 연삭식 정백 롤을 축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연삭식 정백 롤의 주위에는 간극을 통하여 연삭식 제강 금망통을 세워 설치하고, 그 간극을 도정실에 형성한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 및 회전 가능한 주축에 마찰식 교반 롤을 축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마찰식 교반 롤의 주위에는 간극을 통하여 마찰식 제강 금망통을 세워 설치하고, 그 간극을 도정실에 형성한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를 1번기로, 상기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를 2번기로, 상기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를 3번기로 선택하여 3대의 연좌 구성으로 한 도정 장치에 있어서의 저품위 현미의 도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1번기에 백도값 18∼22의 원료 현미를 공급하여 백도값 26∼29의 원료가 배출되도록 상기 도정실 내에 설치한 저항체의 돌출량을 조정하여 도정을 행하고, 이어서, 상기 2번기로부터 백도값 34∼38의 원료가 배출되도록 상기 도정실 내에 설치한 저항 바와 교반 바와의 간극을 조정하여 도정을 행하고, 또한 상기 3번기로부터 백도값 38∼42의 정품(精品)이 배출되도록 상기 도정실 내에 설치한 저항 바와 교반 바와의 간극을 조절하여 도정을 행하는,
    도정 장치에 있어서의 저품위 현미의 도정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번기의 도정실에 설치한 저항체와 상기 연삭식 정백 롤의 외주면과의 간극을 4㎜∼6㎜로 되도록 돌출량을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2번기 및 상기 3번기의 상기 저항 바와 상기 교반 바와의 간극을 4㎜∼6㎜로 설정하여 도정을 행하는, 도정 장치에 있어서의 저품위 현미의 도정 방법.
  • 说明书全文

    저품위 현미의 도정 방법 및 그 장치{HULLING METHOD FOR LOW-QUALITY BROWN RICE AND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미숙미(未熟米)가 다수 혼입된 현미나, 금이 간 쌀 즉 크랙미(cracked rice)가 다수 혼입된 현미 등, 딱딱한 쌀과 부드러운 쌀이 혼합된 품질이 나쁜 원료 현미라도 쇄미(碎米; crushed rice)의 발생을 저감하여 도정할 수 있는 저품위 현미의 도정(搗精)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미 공장 등에 설치되어 있는 정곡기(精穀機)를 가동할 때는, 작업자가 미리 현미의 성상(性狀)(수분이나 품종이나 산지나 수확 후의 조제 방법 등)을 확인한 후, 이에 기초하여 작업자가 경험이나 감에 의해 도정실(搗精室) 내의 저항체를 이동 조절하여 도정이 개시된다. 이것은, 현미의 성상에 따라, 정곡기에 최적인 도정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도정도(搗精度)나 수율(收率)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것에 기여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람의 손에 의한 정곡기의 저항체의 이동 조절은 재현성이 부족하고, 설정 기준도 애매한 것이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등은, 이와 같은 작업자의 경험이나 감에 의하지 않고, 현미의 성상에 따라, 저항체와 연삭 롤 주위면과의 간극(間隙)을 정확하게 선택하고, 조정이 간단하게 행해지도록 한 정곡기에서의 저항체 조절 방법 및 그 저항체 조절 지그를 출원하고, 이미 특허 문헌 1에 의해 공개되어 있다.

    이것은, 저항체를 정백실(精白室) 내를 향해 돌출량을 조절할 때, 도정해야 할 현미의 성상에 따라, 상이한 외경(外徑)을 가지는 복수의 측정부를 구비한 저항체 조절 지그를 사용하고, 상기 저항체 조절 지그의 도정해야 할 현미에 해당하는 1개의 측정부를 정백 롤과 저항체와의 간극에 삽입하고, 연삭 롤과 저항체와의 간격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현미의 성상에 따라, 저항체의 돌출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로써, 현미의 성상에 따라, 저항체와 연삭 롤 외주면과의 간극의 값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어,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정곡기에서의 저항체 조절 방법에 있어서는, 불량물이 적은 고품위 현미에 대응할 수 있지만, 중국, 한국 및 대만 등 동남아시아에서의 불량물이 많은 저품위 현미에 대응할 수 없었다. 즉, 동남아시아 에 있어서는, 수율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정선(精選)을 행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며, 원료 현미의 품위는 매우 나쁘다. 예를 들면, 중국, 한국 및 대만에서의 단립종(短粒種)의 현미는, 정립(整粒) 현미 중에 크랙미가 22∼23 중량%, 미숙미가 7 중량% 정도 함유한 저품위 현미로 되어 있다. 한편, 일본에서의 단립종의 현미는, 크랙미가 5∼6 중량%, 미숙미가 2∼3 중량% 정도 함유한 고품위 현미로 되어 있다. 따라서, 중국, 한국 및 대만에서의 단립종의 현미를 전술한 방법으로 조절하여 정곡기에 의해 도정해도, 불량물이 많으므로, 쇄미가 많이 발생하여, 수율이 크게 저하되도록 되어 있었다.

    일본 특허 제4930956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숙미 및 크랙미 등 불량물을 많이 포함한 외국산의 저품위 현미라도, 쇄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저품위 현미의 도정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주축(主軸)에 연삭식(硏削式) 정백 롤을 축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연삭식 정백 롤의 주위에는 간극을 통하여 연삭식 제강(除糠) 금망통(金網筒)을 세워 설치하고, 그 간극을 도정실에 형성한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와, 회전 가능한 주축에 마찰식 교반 롤을 축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마찰식 교반 롤의 주위에는 간극을 통하여 마찰식 제강 금망통을 세워 설치하고, 그 간극을 도정실에 형성한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를 연좌(連座)하여 구성되는 도정 장치로서, 상기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의 연삭식 제강 금망통을 지지하는 지주(支柱)에는, 상기 도정실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연삭식 정백 롤의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곡물의 이동에 저항을 부여하는 장척형(長尺形)의 저항체가 설치되고, 상기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의 마찰식 제강 금망통에는, 그 내각부(內部)에 복수의 저항 바가 설치되고, 상기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의 마찰식 교반 롤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마찰식 교반 롤의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저항 바와 중첩되어 곡물의 이동에 저항을 부여하는 장척형의 교반 바를 구비한다는, 기술적 수단을 강구했다.

    또한, 제2항에 의하면, 상기 장척형의 저항체, 상기 복수의 저항 바 및 상기 장척형의 교반 바는, 각각 각(角)기둥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각각의 상기 도정실 측으로 돌출하는 각부(角部)가 0.1㎜∼0.3㎜의 C 면취(面取)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항에 의하면, 상기 도정 장치는, 상기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를 1번기로, 상기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를 2번기로, 상기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를 3번기로 각각 선택하여 3대의 연좌 구성으로 하는 한편, 상기 1번기로부터 배출되는 원료는 그 백도(白度)가 원료 현미의 백도값으로부터 6∼11 정도 백도값이 상승되도록 상기 도정실 내의 상기 저항체의 돌출량을 소정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4항에 의하면, 상기 1번기의 도정실에 설치한 저항체와 상기 연삭식 정백 롤의 외주면과의 간극을 4㎜∼6㎜로 되도록 돌출량을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2번기 및 3번기에서의 상기 저항 바와 상기 교반 바와의 간극을 4㎜∼6㎜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5항에 의하면, 상기 3번기에 수분 첨가 장치가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6항에 의하면, 회전 가능한 주축에 연삭식 정백 롤을 축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연삭식 정백 롤의 주위에는 간극을 통하여 연삭식 제강 금망통을 세워 설치하고, 그 간극을 도정실에 형성한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와, 회전 가능한 주축에 마찰식 교반 롤을 축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마찰식 교반 롤의 주위에는 간극을 통하여 마찰식 제강 금망통을 세워 설치하고, 그 간극을 도정실에 형성한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를 구비하고, 상기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를 1번기로, 상기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를 2번기로, 상기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를 3번기로 선택하여 3대의 연좌 구성으로 한 도정 장치에 있어서의 저품위 현미의 도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1번기에 백도값 18∼22의 원료 현미를 공급하여 백도값 26∼29의 원료가 배출되도록 상기 도정실 내에 설치한 저항체의 돌출량을 설정하여 도정을 행하고, 이어서, 상기 2번기로부터 백도값 34∼38의 원료가 배출되도록 상기 도정실 내에 설치한 저항 바와 교반 바와의 간극을 설정하여 도정을 행하고, 또한 상기 3번기로부터 백도값 38∼42의 정품(精品)이 배출되도록 상기 도정실 내에 설치한 저항 바와 교반 바와의 간극을 설정하여 도정을 행하는 도정 장치에 있어서의 저품위 현미의 도정 방법으로 했다.

    또한, 제7항에 의하면, 상기 1번기의 도정실에 설치한 저항체와 상기 연삭식 정백 롤의 외주면과의 간극을 4㎜∼6㎜로 되도록 돌출량을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2번기 및 3번기의 상기 저항 바와 상기 교반 바와의 간극을 4㎜∼6㎜로 설정하여 도정을 행하는 도정 장치에 있어서의 저품위 현미의 도정 방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정 장치에 원료 현미가 공급되면, 먼저,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에 있어서 미립(米粒)의 표면이 연삭식 정백 롤의 연마재에 의해 연마되어 표피가 깎여진다. 이 때, 도정실에서는 현미가 유동(流動)하고 있지만, 도정실로 돌출되어 설치된 장척형의 저항체에 현미의 배아부가 충돌함으로써 탈아(脫芽)된다. 이 저항체와 배아부가 충돌하는 횟수가 증가함으로써 탈아율(脫芽率)은 증가된다. 그리고, 원료 현미를 100 중량%로 하면,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에 있어서 5∼20 중량%의 현미가 탈아되게 된다.

    다음에, 원료는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에 공급된다.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에서는 미립끼리를 서로 접촉시켜 표면의 표피가 벗겨진다. 이 때, 전회의 공정의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로 충분히 탈아를 행하고 있으므로, 후속 공정의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의 도정실 내의 압력을 저압으로 할 수 있다. 도정실에서는 마찰식 제강 금망통의 내각부에 설치한 복수의 저항 바와 마찰식 교반 롤에 설치한 교반 바와의 중첩에 의해 현미가 교반되어 복수의 저항 바에 현미의 배아부가 복수 회 충돌하는 것에 의한 충격으로 탈아가 행해진다. 그리고, 원료 현미를 100 중량%로 하면,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에 있어서 60∼95 중량%의 현미가 탈아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에 장척형의 저항체를 설치하는 것과,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에 저항 바 및 교반 바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정곡기의 도정실 내의 압력을 저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알갱이들끼리의 압력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충격만으로 탈아되도록 된다. 그러므로, 미숙미와 크랙미의 혼입율이 많은 저품위 현미에 있어서는, 알갱이들끼리의 마찰 압력이 생기지 않으므로, 쇄미가 발생하는 비율이 종래의 2분의 1에서 3분의 1의 비율로 격감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제2항에 의하면, 상기 장척형의 저항체, 상기 복수의 저항 바 및 상기 장척형의 교반 바는, 각각 각기둥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각각의 상기 도정실 측으로 돌출하는 각부가 0.1㎜∼0.3㎜의 C 면취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저항체, 저항 바 및 교반 바의 각부가 샤프한 에지로 형성되고, 이 각부에 현미의 배아부가 충돌하는 횟수가 증대하고, 현미의 배아부가 반복 충격을 받아 탈아가 극히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된다.

    제3항에 의하면, 상기 도정 장치는, 상기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를 1번기로, 상기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를 2번기로, 상기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를 3번기로 각각 선택하여 3대의 연좌 구성으로 하는 한편, 상기 1번기로부터 배출되는 원료는 그 백도가 원료 현미의 백도값으로부터 6∼11 정도 백도값이 상승되도록 상기 도정실 내의 상기 저항체의 돌출량을 소정값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로써, 원료 현미의 백도를 측정했을 때의 백도값을 18∼22[가부시키가이샤 게트 과학 연구소제의 현미·정미 백도계(白度計) C―300에 의해 측정한 값]로 하면, 1번기로부터 배출되는 원료의 백도를 측정했을 때의 백도값이 26∼29로 되도록 저항체의 돌출량이 설정된다. 즉, 도정 장치 전체의 도정 비율을 100%로 하면, 1번기의 도정 비율이 30∼50%이며, 2번기의 도정 비율이 30∼40%이며, 3번기의 도정 비율이 10∼30%의 개산값(槪算値)이 백도값으로부터 산출된다. 이와 같은 도정 비율에 의해 저품위 현미이면 쇄미 비율을 억제하여 탈아율이 극히 높은 정품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일본산 등의 고품위 현미를 도정할 때는, 1번기의 도정 비율을 40∼50%로 하면, 미립 표면에 상처가 생겨, 밥을 지었을 때는 배유(胚乳) 성분이 누출되어 너무 진 밥이 되어 도정 조건으로서는 전혀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제4항에 의하면, 상기 1번기의 도정실에 설치한 저항체와 상기 연삭식 정백 롤의 외주면과의 간극을 4㎜∼6㎜로 되도록 돌출량을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2번기 및 3번기의 상기 저항 바와 상기 교반 바와의 간극을 4㎜∼6㎜로 설정하면, 1번기의 도정 비율을 30∼50%, 2번기의 도정 비율을 30∼40% 및 3번기의 도정 비율을 10∼30%로 설정한 도정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5항에 의하면, 상기 3번기에 수분 첨가 장치가 부설되어 있으므로, 3번기의 부하를 경감하고, 또한 도정실 내의 원료의 온도를 낮게 하여 도정할 수 있기 때문에, 쇄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3번기로부터 배출되는 원료의 표면의 소지(素地)를 정밀하게 하여 광택을 높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정 장치에 관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1번기를 구성하는 하부 이송식의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의 도정부(搗精部)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2번기 및 3번기를 구성하는 상부 이송식의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의 개략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의 도정부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의 도정실에서의 작용도이다.
    도 7은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의 도정실에서의 작용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정 장치에 관한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가장기를 구성하는 하부 이송식의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의 도정부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며, 도 4는 2번기 및 3번기를 구성하는 상부 이송식의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의 개략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상기의 도정부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도정 장치(1)는, 세로형의 정곡기를 복수 대 연좌한 형식이며, 1번기(2)와 2번기(3)와 3번기(4)의 3대 연좌식으로서 구성되어 있다(도 1 참조).

    상기 도정 장치(1)의 일례로서, 1번기(2)는 하부 이송식의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를, 2번기(3)는 상부 이송식의 세로형 마찰 정곡기를, 3번기(4)는 동일하게 상부 이송식의 세로형 마찰 정곡기에 각각 선택하면 된다. 여기서, 연삭식 정곡기란, 미립의 표면을 줄이나 지석(grindstone)과 비비어 표피를 깎는 정곡 방식이며, 마찰식 정곡기란, 미립끼리를 서로 접촉시켜 표면의 표피를 벗기는 방법이다. 그리고, 2번기(3) 및 3번기(4)에는, 제강의 촉진을 현저하게 행하도록 송풍팬(5, 6)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한 3번기(4)에는 수분 첨가 장치(7)가 부설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처음 공정의 1번기(2)에서는 원료로 되는 현미의 표면을 거칠게 깎음으로써 표면의 마찰 계수를 증가시켜 두고, 다음 공정의 2번기(3)에서는 송풍팬(5)에 의해 제강을 촉진시키면서 비교적 가벼운 압력으로 충분한 정곡 작용을 행하게 하고, 최후의 공정의 3번기(4)에서는 송풍팬(6)에 의한 제강의 촉진과 함께, 수분을 첨가하여 마무리 정곡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정 장치(1)의 연좌의 배치 구성이면, 마찰 정곡 공정을 뒤 쪽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정곡 초기에 과잉의 압력이 생기지 않아, 미립의 두부(頭部) 결손상(缺損傷)이나, 정곡 초기의 미립의 불균일에 의한 금이 가는 균열 등 복수의 쇄미 발생 요인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정 장치(1)의 1번기(2)는, 기체(機體) 상부로부터 원료 현미를 공급하는 원료 공급구(8)와, 기체 중앙에 배치한 연삭 정곡 처리를 행하는 연삭식 정곡 처리부(9)와, 기체 측부에 배치되어 연삭 정곡 처리가 종료한 미립을 배출하는 정품 배출구(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정품 배출구(10)가 형성되는 배출 슈트(11)에는, 그 상부에 배출구의 압압력(押壓)을 조절하는 분동(分銅)(1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슈트(11)와 대향하는 측의 기체 측부에, 1번기(2)용의 조작반(13)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2번기(3)는, 기체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원료 공급구(14)와, 기체 중앙에 배치한 마찰 정곡 처리를 행하는 마찰식 정곡 처리부(15)와, 기체 상측부에 배치되어 마찰식 정곡 처리가 종료한 미립을 배출하는 정품 배출구(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정품 배출구(16)가 형성되는 배출 슈트(17)에는, 그 상부에 배출구의 압압력을 조절하는 분동(18)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슈트(17)와 대향하는 측의 기체 측부에, 2번기(3)용의 조작반(1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3번기(4)는, 기체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원료 공급구(20)와, 기체 중앙에 배치한 마찰 정곡 처리를 행하는 마찰식 정곡 처리부(21)와, 기체 상측부에 배치되어 마찰식 정곡 처리가 종료한 미립을 배출하는 정품 배출구(22)를 구비하고, 상기 정품 배출구(22)가 형성되는 배출 슈트(23)에는, 그 상부에 배출구의 압압력을 조절하는 분동(24)이 설치된다. 상기 3번기(4)는, 수분 첨가 장치(7)를 제외하면 상기 2번기(3)와 대략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 슈트(23)와 대향하는 측의 기체 측부에, 3번기(4)용의 조작반(25)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1번기(2)로 되는 하부 이송식의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하부 이송식의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2)는, 주축(26)을 상부 베어링부(27) 및 하부 베어링부(28)에 의해 본체 베이스(29)의 대략 중앙에 세워 설치하고, 상부 베어링부(27)의 바로 위에는 다수의 연삭식 정백 롤(30)을 탑재하여 일체적인 정백 롤 보디(roll body)(31)를 구성한다. 연삭식 정백 롤(30)의 주위에는 간극을 통하여 연삭식 제강 금망통(32)을 세워 설치하고, 상기 연삭식 제강 금망통(32)의 주위에는 간극을 통하여 제강 커버(33)를 장착한다. 그리고, 연삭식 제강 금망통(32)와 제강 커버(33)와의 간극의 공간을 제강실(34)에 형성하는 한편, 연삭식 제강 금망통(32)와 연삭식 정백 롤(30) 외주면과의 간극의 공간을 도정실(35)에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삭식 제강 금망통(32)를 지지하는 지주(36)에는, 도정실(35) 측으로 돌출되어 연삭식 정백 롤(30)의 원주 방향으로의 곡물의 이동에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체(37)가 설치되고, 이 저항체(37)는, 주축(26)의 축 방향으로 장척형으로 연직(沿直) 배치되어 있다.

    제강실(34)의 아래쪽에는, 환형(環形)의 집강실(38)을 형성하고, 상기 집강실(38)의 바닥면에 쌀겨 배출구(39)를 설치하여 집강실(38)의 바닥면을 슬라이딩 이동하는 복수의 긁어내는 블레이드(blade)(40)에 의해 집강실(38) 바닥면에 퇴적된 쌀겨를 쌀겨 배출구(39)를 향해 이송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쌀겨 배출구(39)로부터는 배풍관(41)을 거쳐 집강용 팬(42)을 향해 흡인·배출하게 되어 있다.

    기체 하부의 본체 베이스(29)의 측부에는, 모터 베이스(43)가 부설되어 있고, 상기 모터 베이스(43)에는 주축(26) 구동용의 모터(44)를 고정하는 동시에, 모터(44)의 모터 축에 축장착된 모터 풀리(pully)(45)와 주축(26)에 축장착된 구동 풀리(46)와의 사이에 V벨트(47)를 연동·연결하고, 모터(44)의 동력을 주축(26)에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원료 공급구(8)를 구비하는 곡물 공급부(48)는, 곡물을 받아들이는 곡물 공급통(49)과, 상기 곡물 공급통(49)으로부터 받아들인 곡물을 원주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분산시키는 원뿔형상의 안내체(50)와, 커버체(51)와, 안내체(50)로부터 도정실(35)에 곡물을 보내기 위한 반송 나선(搬送螺旋)(52)을 구비하고 있다. 이상이 1번기로 되는 하부 이송식의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의 구성으로 된다.

    다음에,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2번기(3) 및 3번기(4)로 되는 상부 이송식의 세로형 마찰 정곡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상부 이송식의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3, 4)는, 본체 베이스(53) 상의 원통 케이싱(54) 내에,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55)을 세워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55)에는 하부에 상부 이송 나선(56)을 축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축(55)의 상부에 마찰식 교반 롤(57)을 각각 축장착한다. 그리고, 마찰식 교반 롤(57)의 외주를 동심형으로 포위하는 마찰식 제강 금망통(58)을 세워 설치하고, 상기 마찰식 제강 금망통(58)과 마찰식 교반 롤(57)과의 간극을 도정실(59)에 형성하고 있다. 또한, 마찰식 교반 롤(57) 표면의 길이 방향으로는 장척형의 교반 바(57a)를 형성하는 동시에, 교반 바(57a)에 따라 분풍공(噴風孔)(도시하지 않음)이 개구되어 있어, 송풍팬(5, 6)으로부터의 분풍이, 중공형의 회전축(55) 및 분풍공을 통하여 도정실(59)에 유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마찰식 제강 금망통(58)에는, 그 내각부에 복수의 각기둥형의 저항 바(6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마찰식 제강 금망통(58)과 원통 케이싱(54)과의 간극은 집강실(60)에 형성하고, 상기 집강실(60)의 바닥부에는, 회전축(55)으로부터 연계하는 쌀겨 긁어내는 날개(61)를 위치시켜, 집강실(60) 바닥부를 간헐적으로 소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집강실(60)에는, 흡인 덕트(duct)(62)가 연통되고, 상기 흡인 덕트(62)의 흡인풍에 의해, 쌀겨 긁어내는 날개(61)에 의해 집강된 쌀겨가 기기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배출 슈트(17, 23)의 상부에는, 배출구(63)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의 토출(吐出)을 규제하는 저항 커버(64)와, 저항 커버(64)의 압압력을 조절하는 분동(18, 2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부호 "65"는 원료 공급구(14, 20)로부터 상부 이송 나선(51)까지 곡물을 반송하는 반송 나선이다. 이상이 2번기 및 3번기로 되는 상부 이송식의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의 구성으로 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도정 장치(1)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정 장치(1)의 원료 공급구(8)로부터 투입된 원료 현미는, 먼저, 1번기의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2)에 있어서 미립의 표면이 연삭식 정백 롤(30)의 연마재에 의해 연마되어 표피가 깎아진다. 이 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의 돌출량 조절 핸들(66)의 조작에 의한, 저항체(37)과 연삭식 정백 롤(30)의 외주면과의 간극 L을 5∼6㎜로 되도록 돌출량을 설정하는 것과, 각부(C)를 0.1㎜∼0.3㎜의 C 면취에 의해 형성하는 것에 의한 상승 효과에 의해 탈아가 촉진된다. 즉, 도정실(35)에서는 연삭식 정백 롤(30)의 회전 방향 r을 향해 회전함으로써 원료 현미가 유동(流動) 상태로 되지만, 도정실(35) 내의 저항체(37)에 현미의 배아부가 충돌하는 충격에 의해 탈아가 행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저항체(37)와 현미의 배아부가 충돌하는 횟수의 증가에 따라 탈아율은 더욱 상승하게 된다.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2)에 있어서는, 원료 현미를 100 중량%로 하면, 5∼20중량%의 현미가 탈아되게 된다.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2)의 정품 배출구(10)로부터 배출되는 원료는, 이어서, 2번기의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3)의 원료 공급구(14)에 공급된다.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3)에서는 미립끼리를 서로 접촉시켜 표면의 표피가 벗겨진다. 이 때, 전회의 공정의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2)에 있어서 충분히 탈아가 행해지고 있으므로, 후속 공정의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3)의 도정실 내의 압력을 저압으로 할 수 있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정실(59) 내에 있어서 저항 바(69)와 교반 바(57a)와의 간극 L을 5∼6㎜로 되도록 돌출량을 설정하는 것과, 저항 바(69) 및 교반 바(57a)의 각부(C)가 0.1㎜∼0.3㎜의 C 면취에 의해 형성하는 것에 의한 상승효과에 의해 탈아가 촉진된다. 즉, 도정실(59)에서는 마찰식 제강 금망통(58)의 내각부에 설치한 복수의 저항 바(69)와 마찰식 교반 롤(57)에 설치한 교반 바(57a)와의 중첩에 의해 현미가 교반되어, 복수의 저항 바(69)에 현미의 배아부가 복수 회 충돌하는 것에 의한 충격으로 탈아가 행해진다. 그리고, 원료 현미를 100 중량%로 하면,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2)에 있어서 60∼95 중량%의 현미가 탈아되게 된다.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3)의 정품 배출구(16)로부터 배출되는 원료는, 이어서, 3번기의 세로형 마찰식 정미기(4)의 원료 공급구(20)에 공급된다.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4)에서는 상기 마찬가지로 미립끼리를 서로 접촉시켜 표면의 표피가 벗겨진다. 그러나,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4)에 있어서는, 수분 첨가 장치(7)로부터 정곡 실내를 향해 안개형의 수분이 첨가되므로, 저부하로 미립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면서 도정할 수 있어, 쇄미의 발생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세로형 마찰식 정미기(4)로부터 배출되는 원료의 표면의 소지를 정밀하게 하여 광택을 높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원료 현미를 100 중량%로 하면,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4)에 있어서(95) 중량%의 현미를 탈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2)에 장척형의 저항체(37)를 설치하는 것과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3, 4)에 저항 바(69) 및 교반 바(57a)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정곡기(2, 3, 4)의 도정실(35, 59) 내의 압력을 저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알갱이들끼리의 압력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충격만으로 탈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미숙미와 크랙미의 혼입율이 많은 저품위 현미에 있어서는, 알갱이들끼리의 마찰 압력이 생기지 않으므로, 쇄미가 발생하는 비율이 종래의 2분의 1에서 3분의 1의 비율로 격감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중국산의 단립종의 현미에 의해 도정 시험을 행하였다.

    원료 품종으로서는, 2009년산의 일본국 단립종 「공규(空育; kongyu) 131」을 계통으로 하는 「공규 9031」을 사용하였다. 도정도의 기준으로 하여는 백도를 사용하였다. 백도는, 가부시키가이샤 게트 과학 연구소 제작의 현미·정미 백도계 C―300에 의해 측정하였다.

    최초에, 본 발명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은 표준의 교반 롤 및 정곡 금망을 구비한 3회 연속시트의 도정 장치에 의해 도정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로 되었다.

    [표 1]

    다음에, 본 발명의 샤프 에지의 장척형의 저항체(37), 저항 바(69) 및 교반 바(57a)를 구비하는 동시에, 간극의 조정제의 3회연속시트의 도정 장치에 의해 도정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가 되었다.

    [표 2]

    유량 7.2ton/Hr 저항체(37)와 연삭식 정백 롤(30)과의 간극 L: 4.5㎜

    저항 바(69)와 교반 바(57a)와의 간극 L: 4.5㎜

    또한, 유량을 5 ton/Hr로 했을 때의 도정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으로 되었다.

    [표 3]

    유량 5ton/Hr 저항체(37)와 연삭식 정백 롤(30)과의 간극 L: 4.5㎜

    저항 바(69)와 교반 바(57a)와의 간극 L: 4.5㎜


    상기 표 1, 표 2 및 표 3의 결과로부터 중국산의 저품위 현미를 도정할 때는, 표 2 및 표 3과 같이 1번기로부터 배출되는 원료의 백도가 원료 현미의 백도값으로부터 6∼11 정도 백도값이 상승되도록 저항체(37)의 돌출량을 소정값으로 설정하면, 쇄미 비율을 억제하여 탈아율이 극히 높은 정품이 얻어지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도정 비율에 대하여 언급하면, 저품위 현미에서는 1번기의 도정 비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표 1의 23.8%로부터 표 2 및 표 3의 43.4∼49.8%로 약 2배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본산의 고품위 현미를 도정할 때는, 1번기의 도정 비율을 43.4∼49.8%로 하면, 미립 표면에 상처가 생겨, 밥을 했을 때는 배유유 성분이 누출되어 너무 진 밥이 되어 도정 조건으로서는 전혀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한국산의 단립종의 현미에 의해 도정 시험을 행하였다.

    원료 품종으로서는, 2009년산의 일본국 단립종에 가까운 「5번」을 사용하였다. 원료 현미는 금이 간 알갱이의 혼입율이 22%, 미숙립(未熟粒)의 혼입율이 10%였다. 도정도의 기준으로서는 백도를 사용하였다. 백도는, 가부시키가이샤 게트 과학 연구소제의 현미·정미 백도계 C―300에 의해 측정하였다.

    최초에, 본 발명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은 표준의 교반 롤 및 정곡 금망을 구비한 3회 연속시트의 도정 장치에 의해 도정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가 되었다.

    [표 4]

    다음에, 본 발명의 샤프 에지의 장척형의 저항체(37), 저항 바(69) 및 교반 바(57a)를 구비하는 동시에, 간극의 조정제의 3회 연속 시트의 도정 장치에 의해 도정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로 되었다.

    [표 5]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에 샤프 에지로 형성된 장척형의 저항체를 설치하는 것과,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에 샤프 에지로 형성된 저항 바 및 교반 바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정곡기의 도정실 내의 압력을 저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알갱이들끼리의 압력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충격만으로 탈아되도록 된다. 그러므로, 미숙미와 크랙미의 혼입율이 많은 저품위 현미에 있어서는, 알갱이들끼리의 마찰 압력이 생기지 않으므로, 쇄미의 발생하는 비율이 종래의 2분의 1에서 3분의 1의 비율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1번기로부터 배출되는 원료의 백도를 측정했을 때의 백도값이 24∼33로 되도록 저항체의 돌출량을 설정하고, 백도를 기준으로 한 1번기의 도정 비율을 30∼40%로 하여 도정함으로써, 쇄미 비율을 억제하여 탈아율이 극히 높은 정품을 얻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정곡기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곡물의 정곡이나, 커피 원두의 연마에 적용할 수 있다.

    1; 도정 장치
    2; 1번기
    3; 2번기
    4; 3번기
    5; 송풍팬
    6; 송풍팬
    7; 수분 첨가 장치
    8; 원료 공급구
    9; 연삭 정곡 처리부
    10; 정품 배출구
    11; 배출 슈트
    12; 분동
    13; 조작반
    14; 원료 공급구
    15; 마찰 정곡 처리부
    16; 정품 배출구
    17; 배출 슈트
    18; 분동
    19; 조작반
    20; 원료 공급구
    21; 마찰 정곡 처리부
    22; 정품 배출구
    23; 배출 슈트
    24; 분동
    25; 조작반
    26; 주축
    27; 상부 베어링부
    28; 하부 베어링부
    29; 본체 베이스
    30; 연삭식 정백 롤
    31; 정백 롤 보디
    32; 연삭식 제강 금망통
    33; 제강 커버
    34; 제강실
    35; 도정실
    36; 지주
    37; 저항체
    38; 집강실
    39; 쌀겨 배출구
    40; 긁어내는 블레이드
    41; 배풍관
    42; 집강용 팬
    43; 모터 베이스
    44; 모터
    45; 모터 풀리
    46; 구동 풀리
    47; V벨트
    48; 곡물 공급부
    49; 곡물 공급통
    50; 안내체
    51; 커버체
    52; 반송 나선
    53; 본체 베이스
    54; 원통 케이싱
    55; 회전축
    56; 상부 이송 나선
    57; 마찰식 교반 롤
    57a; 교반 바
    58; 마찰식 제강 금망통
    59; 도정실
    60; 집강실
    61; 쌀겨 긁어내는 날개
    62; 흡인 덕트
    63; 배출구
    64; 저항 커버
    65; 반송 나선
    66; 돌출량 조절 핸들
    67; 지주 커버
    68; 스페이서
    69; 저항 바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