说明书全文 |
소수성으로 개질된 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내수성 화장품 제제{WATER-RESISTANT COSMETIC FORMULATIONS COMPRISING A HYDROPHOBICALLY MODIFIED VINYLPYRROLIDONE COPOLYMER}
본 발명은 화장품 제제의 내수성을 개선시키는 수단으로서 N-비닐피롤리돈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아크릴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의 용도, 및 일광 차단 지수를 높이는 선스크린 조성물에서의 이들 공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고, 또한 본 발명은 이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피부에 적용되는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우수한 내수성이 종종 바람직하다. 소비자는, 예를 들어 마스카라와 같은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이 루액이나 땀방울 어느 것에 의해서도 지워지지 않을 것을 바란다. 유사하게, 소비자는 땀나는 스포츠 활동이나 야외에서 수영하는 동안에 유해한 UV 선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적용된 선스크린 조성물이 대부분 상기 활동 동안에 피부에 남아 있기를 바란다. 많은 화장품 제제가 이미 방수 또는 내수 성질들을 요구해 왔지만, 여전히 화장품 제제의 적용시 개선된 피부 촉감과 함께 더 오랫동안 지속되는 내수성을 가진 제품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내수성을 요구하는 수많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화장품 제제는, 적용시 왁스 같고, 유분 많고, 끈적거리고, 번지르르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여겨졌다. 따라서, 소비자는 개선된 내수성을 가진 화장품 제품 뿐만 아니라, 적용시 탄력 있고 부드러운 인상을 뒤에 남기고, 왁스 같거나, 유분 많거나, 번지르르한 느낌이 들지 않는 제품을 요구한다. 화장품 제제의 내수성을 달성하기 위해, 중합체가 종종 화장품 제제에 첨가된다. 그러나, 공지된 조성물의 단점은 보통 까다로운 취급성과 상응하는 화장품 제제로의 도입성이다. 따라서, 화장품 제제의 제조자는 가열, 중화 단계 또는 기타 특별한 가공처리 단계가 생략될 수 있는 제제로, 바람직하다면 화장품 제제의 유성 상 및 수성 상 둘다로 쉽게 도입될 수 있는 내수성을 높이는 새로운 공급 재료를 바란다. N-비닐피롤리돈 및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화장품 제제에서의 이들의 용도는, 예를 들어 US 5 219 559 및 US 3 423 381에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품명 안타론(Antaron) V-216 및 안타론 V-220을 갖는 폴리(N-비닐피롤리돈/헥사데켄) 공중합체 또는 폴리(N-비닐피롤리돈/에이코센) 공중합체가 종종 내수성을 얻기 위해 화장품 제제에 사용되었다. 이들 두 공중합체는 유용성(oil-soluble)이고, 안타론 V-216은 점성 액체이고, 안타론 V-220은 왁스성 고체이다. 이들의 물리적 성질 때문에, 두 중합체는 화장품 제제로 바람직하게 도입될 수 없다. 또한, 폴리(N-비닐피롤리돈/에이코센)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화장품 제제의 점도가 종종 바람직하지 않은 정도로 증가한다. 또한, 생성되는 화장품 제제가 피부에 적용된 경우, 종종 끈적거리고 번지르르한 인상을 뒤에 남긴다. EP 0 815 829에서는 화장품 제제의 내수성 및 젖음 내마모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C 1 -C 30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기재 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제안했다. US 2005/01412080에서는 화장품 제제의 내수성을 개선하기 위해 둘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기재 공중합체를 제안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용시 탄력 있고 부드러운 인상을 뒤에 남기고, 왁스 같거나, 유분 많거나, 번지르르한 느낌이 들지 않는 우수한 내수성을 가진 화장품 제제에 간단하고 비용-효율적인 방식으로 도달하는 것이었다. 또한, 화장품 제제의 내수성을 개선시키는 물질은 용이하게 그리고 융통성 있게 화장품 제제로 도입될 수 있어야 한다.
이 목적은 화장품 제제의 내수성을 개선시키는 작용제로서 a) 40 내지 95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b) 5 내지 60 중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아크릴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의 사용을 통해 달성된다.
화장품 제제의 내수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N-비닐피롤리돈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아크릴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대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도 마찬가지로 공지되어 있다. EP 0 876 819에서는, 예를 들어 제약 활성 성분인 디아제팜과 같은 수불용성 물질의 제조시 표면-활성 물질로서 (메트)아크릴산의 장쇄 알킬 에스테르 및 N-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의 용도를 제안하고 있다. EP 0 953 358에서는, 예를 들어 정제와 같은 고체 제약 및 화장품 투여 형태를 제조하기 위한 매트릭스 물질로서 (메트)아크릴산의 장쇄 알킬 에스테르 및 N-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의 용도를 제안하고 있다. EP 1 669 374에서는, 예를 들어 단량체 N-비닐피롤리돈 및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수성 분산액의 제조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내수성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 사용되는 공중합체는 a) 40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중량%, 특히 65 내지 75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b) 5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 특히 25 내지 35 중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아크릴산 유도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내수성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 사용되는 공중합체는 80 중량%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초과,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96 중량% 초과, 특히 99 중량% 초과의 N-비닐피롤리돈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아크릴산 유도체로 이루어져 있다. 소수성으로 개질된 아크릴산 유도체는 바람직하게는 α 위치에 있는 수소 라디칼이 예를 들어 알킬 라디칼 또는 아릴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C 1 내지 C 6 -알킬 라디칼, 구체적으로 메틸과 같은 탄화수소 라디칼로 대체되고/되거나, 두번째 α 위치에 있는 카르보닐 기가 4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진 알콕시 라디칼로 치환된 아크릴산 화합물이다. 소수성으로 개질된 아크릴산 유도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I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이다.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R 1 은 수소 또는 메틸, 특히 메틸이고, R 2 는 C 8 내지 C 32 -알킬, 바람직하게는 C 10 내지 C 28 -알킬, 특히 바람직하게는 C 12 내지 C 24 -알킬,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C 14 내지 C 22 -알킬, 특히 C 18 -n-알킬이다. 알킬 라디칼은 비분지형, 즉 n-알킬 라디칼일 수 있거나, 일- 또는 다분지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킬 라디칼이 비분지형이다. 소수성으로 개질된 아크릴산 유도체의 바람직한 예는 데실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미리스틸 아크릴레이트, 세틸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올레일 아크릴레이트, 베헤닐 아크릴레이트, 헥사코실 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미리스틸 메타크릴레이트, 세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올레일 메타크릴레이트, 베헤닐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헥사코실 메타크릴레이트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또는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이고, 특히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이다. 화장품 제제의 내수성을 개선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서, 65 내지 75 중량%, 특히 약 70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25 내지 35 중량%, 특히 약 30 중량%의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95 중량% 초과의, 특히 오로지 N-비닐피롤리돈 및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공중합체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내수성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 사용되는 공중합체의 K 값 (문헌 [Fikentscher - Cellulosechemie 1932, Vol. 13, pp. 58-64 및 pp. 71-74]에 따름)은 대개 7 내지 13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0의 범위, 특히 20 내지 80의 범위이다. 공중합체의 K 값은, K 값에 의해 좌우되는 0.1 내지 5 중량% 범위의 농도에서 25℃에서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중의 공중합체의 용액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화장품 제제의 내수성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공중합체는 고체 형태로, 예를 들어 파우더 또는 플레이크로서, 또는 수-계 분산액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공중합체의 수-계 분산액의 농도는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수성 분산액의 점도는 공중합체의 함량에 좌우된다. 화장품 제제의 내수성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공중합체는 대개 원하는 정도의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화장품 제제 중의 농도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앞서 보다 상세히 기술된 공중합체는 화장품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의 양,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 중량%의 양, 특히 1 내지 3 중량%로 사용된다. 화장품 제제의 내수성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공중합체는 실제로 화장품 제제의 제조 방법에서 임의의 적합한 시점에 첨가될 수 있다. 에멀젼의 경우, 공중합체는 에멀젼화 단계 이전에, 에멀젼화 또는 가열 단계 동안에, 냉각 단계 동안에, 또는 냉각 단계 이후에 수성 상에 첨가될 수 있다. 앞서 보다 상세히 기술된 공중합체는 추가 열의 도입 없이 찬물 (실온, 약 20℃)에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공중합체는 중화시킬 필요가 없고, 물 또는 기타 수성 매질 중의 적절한 분산액을 달성하기 위한 기타 특별한 처리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맥락 내에서, 화장품 제제의 내수성의 정도는 두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 (습윤)에 따르면, 내수성의 정도는 조사할 화장품 제제로 코팅된 표면 상에서의 물방울의 접촉각의 측정에 기초한 시험관내 시험으로 결정된다. 이 방법은 실험 부분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내수성을 결정하는 두 번째 방법은 선스크린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물의 작용 후의 일광 차단 지수 대 물의 작용 전의 일광 차단 지수의 비 (이후 SPF/이전 SPF)가 시험한 선스크린 제제의 내수성의 척도가 되는, COLIPA에 의해 문헌 ["Guidelines for Evaluating Sun Product Water Resistance (December 2005)"]에서 추천한 생체내 방법에 따라 수행된다. 내수성이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될 수 있는 화장품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얼굴, 손, 발 또는 신체를 위한 피부관리 조성물, 노화방지 제제, 선스크린 조성물, 곤충 기피제, 헤어스프레이, 컨디셔닝 무스, 헤어 겔, 드라이 로션, 데오도란트 조제물, 입술 관리 제제, 또는 눈, 입술 또는 얼굴용 메이크업 조성물과 같은, 피부, 헤어, 속눈썹 또는 눈썹에 적용될 수 있는 제제이다. 화장품 제제는 예를 들어 스프레이, 에멀젼, 로션, 겔, 리퀴드, 스틱, 왁스, 페이스트, 파우더 또는 크림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스킨케어 조성물의 예로는 보습 로션 및 크림, 화학 물질 또는 살충제와의 접촉으로부터의 보호 크림, 베이비 크림 및 애프터썬 크림이 있다. 눈, 입술 또는 얼굴용 메이크업 조성물의 예로는 마스카라, 아이브로 펜슬, 아이섀도, 콜, 아이라이너, 립 펜슬, 입술 윤곽 펜슬, 블러셔, 메이크업 (루스 또는 압축 파우더), 프라이머 및 컨실링 스틱이 있다. 선스크린 조성물의 예로는, 선스크린 에멀젼, 선스크린 로션, 선스크린 크림, 선스크린 에멀젼 스프레이, 수성 선스크린 겔 및 선스크린 리퀴드 스프레이가 있고, 여기서 다양한 선스크린 조성물은 예를 들어 UV-B 필터, UV-A 필터 또는 광대역 필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유기 또는 무기 UV 필터를 포함한다. 내수성이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될 수 있는 화장품 제제는, 내수성을 개선시키는 공중합체 이외에, 예를 들어 IKW, FCIO 및 SKW 협회에 의해 2005년에 완전 개정판으로 출판된 책자 ["Kosmetika - Inhaltstoffe - Funktionen [Cosmetics - Ingredients - Functions]"]에 기술된 바와 같이, 화장품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승인된 추가 성분을 포함한다. 다른 한편, 예를 들어 다양한 오일, 왁스, 용매, 유화제, 보존제, 항산화제, 비타민, 향료, 곤충 기피제, 염료, 안료, 습윤제, 충전제, 증점제, 안정화제, 완충제, 전착제, 산, 염기 또는 자외선 차단 필터 (UV 필터)와 같은 화장품 제제용 이들 성분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내수성이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될 수 있는 화장품 제제는 하나 이상의 수용성, 수불용성 또는 난용성, 바람직하게는 수불용성 또는 난용성 활성 성분 또는 효과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류의 활성 성분 또는 효과 물질의 예로는 항산화제, 비타민, 항비듬제, 표백제, 태닝제, 화장품 염료, 안료 및 효과 안료, 및 UV 필터, 바람직하게는 안료 및 효과 안료, 및 UV 필터가 있다. 안료 및 효과 안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오가닉 레이크(lake), 산화철, 이산화티타늄, 비스무트 옥시클로리드, 알루미늄 파우더, 이산화티타늄 또는 산화철로 코팅된 운모, 이산화티타늄 또는 산화철로 코팅된 칼슘 나트륨 보로실리케이트, 이산화티타늄 또는 산화철로 코팅된 알루미늄 보로실리케이트, 이산화티타늄 또는 산화철로 코팅된 합성 형광금운모, 카르민, 프러시안(Prussian) 블루, 크로뮴 옥시드 그린, 울트라마린 블루, 망간 바이올렛, 진주 에센스 또는 진주층이 있다. UV 필터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INCI 명명법에 따라) 화장품 용도로 승인된 다음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UV 필터가 있다: PABA, 캄포르(Camphor) 벤즈알코늄 메토술페이트, 호모살레이트 (HMS), 벤조페논-3 (BENZ-3),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PBSA), 테레프탈리덴 디캄포르 술폰산,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BMDBM), 벤질리덴 캄포르 술폰산, 옥토크릴렌 (OC),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 벤질리덴 캄포르,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EMC, OMC), PEG-25 PABA (PEG-PABA),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IMC), 에틸헥실 트리아존 (OT, ET),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DBT), 4-메틸벤질리덴 캄포르 (MBC), 3-벤질리덴 캄포르 (BC),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OS, ES), 에틸헥실 디메틸 PABA (OD-PABA, ED-PABA), 벤조페논-4 (BENZ-4),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 �놀 (비스옥틸트리아졸, BOT), 비스이미다질레이트 (BI),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AT), 폴리실리콘 15,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내수성을 증가시키는 공중합체 이외에, 선스크린 조성물 형태의 바람직한 화장품 제제는 상기 UV 필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UV 필터는 화장품 제제 중에 대개 적어도 0.05 중량%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특히 각각 책임 있는 국가 승인 기관에 의해 허가된 특정 UV 필터에 대해 허용되는 최대 농도까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UV 필터는 각각의 경우에 0.5 중량% 내지 1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12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10 중량%, 특히 2 중량%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내수성이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될 수 있는 화장품 제제는 선스크린 조성물 또는 눈, 입술 또는 얼굴용 메이크업 조성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메이크업 조성물은 아이라이너, 립스틱 또는 마스카라이다. 화장품 제제는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선스크린 조성물이다. 내수성을 증가시키는 공중합체 이외에, 예를 들어 마스카라, 메이크업, 립스틱, 아이섀도, 블러셔, 콜과 같은 눈, 입술 또는 얼굴용 메이크업 조성물은 대개 이미 예로서 앞서 언급되었던 활성 성분 및 효과 물질을 포함한다. 선스크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적합한 UV 필터,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전술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고 승인된 UV 필터를 포함하고, 이들은 UV-B 필터 (290 내지 320 ㎚ 범위에서 흡수), UV-A 필터 (320 내지 380 ㎚ 범위에서 흡수) 또는 광대역 필터 (290 내지 380 ㎚ 범위에서 흡수)이다. 선스크린 조성물은 대개 둘 이상의 UV 필터의 조합, 특히 바람직하게는 UV-A 영역 및 UV-B 영역 둘다에서 흡수하는 조합을 포함한다. 두 UV 필터의 제제는 종종 두 UV 필터 중 하나만을 각각 갖는 비교할 두 제제의 일광 차단 지수의 값들의 합에 상응하는 것보다 더 높은 일광 차단 지수를 갖는다 (상승작용). 바람직하게, 내수성이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될 수 있는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UV 필터는 대개 각각의 경우에 화장품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내수성을 증가시키는 공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UV 필터를 제외하고, 선스크린 조성물은 화장품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첨가제로서 고려될 수 있는 통상적인 화장품 보조제는, 예를 들어 보조유화제, 지방 및 왁스, 안정화제, 증점제, 생원성 활성 성분, 필름 형성제, 향, 염료, 펄제(pearlizing agent), 보존제, 안료, 전해액 (예를 들어 황산마그네슘) 및 pH 조절제이다. 적합한 보조유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소르비탄 에스테르 또는 부분적으로 에스테르화된 글리세리드와 같은 공지된 W/O 및 O/W 유화제이다. 지방의 전형적인 예는 글리세리드이고; 언급한 왁스는 그중에서도, 적절하다면 친수성 왁스와 조합한 밀랍, 파라핀 왁스 또는 마이크로왁스이다. 사용될 수 있는 안정화제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및/또는 아연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지방산의 금속 염이다. 적합한 증점제는, 예를 들어 가교된 폴리아크릴산 및 그의 유도체, 다당류, 특히 크산탄 검, 구아 검, 한천, 알기네이트 및 전충체,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와 같은 셀룰로스 유도체, 및 고 분자량의 지방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및 디에스테르, 지방 알콜, 모노글리세리드 및 지방산, 폴리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루비겔(Luvigel) ® EM 또는 카르보폴(Carbopol) ® ),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폴리우레탄 기재 관련 증점제 (예를 들어, 바스프(BASF)로부터의 루비겔 ® 스타(STAR))이다. 생원성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식물 추출물,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종합 비타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통상적인 필름 형성제는, 예를 들어 키토산, 미세결정질 키토산 또는 4급화 키토산,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아크릴산 중합체 시리즈, 4급 셀룰로스 유도체 및 유사 화합물과 같은 히드로콜로이드이다. 적합한 보존제는, 예를 들어 포름알데히드 용액,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또는 소르브산이다. 적합한 펄제는,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와 같은 글리콜 디스테아르산 에스테르 뿐만 아니라 지방산 및 지방산 모노글리콜 에스테르이다. 사용될 수 있는 염료는, 예를 들어 1984년 바인하임 소재 화학 출판사에 의해 발행된 독일 연구회 염료 위원회로부터의 문헌 ["Kosmetische Faerbemittel [Cosmetic Colorants]"]에 목록으로 기재된 바와 같은, 화장품 용도로 승인된 적합한 물질들이다. 이들 염료는 대개 총 혼합물을 기준으로 0.001 내지 0.1 중량%의 농도로 사용된다. 추가 함량의 항산화제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항산화제는 화장품 및/또는 피부과 용도에 통상적이거나 적합한 모든 항산화제이다. 항산화제는 아미노산 (예를 들어, 글리신, 히스티딘, 티로신, 트립토판) 및 그의 유도체, 이미다졸 (예를 들어, 우로칸산) 및 그의 유도체, D,L-카르노신, D-카르노신, L-카르노신과 같은 펩티드 및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안세린), 카로테노이드, 카로틴 (예를 들어, β-카로틴, 리코펜) 및 그의 유도체, 클로로겐산 및 그의 유도체, 리포산 및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디히드로리포산), 금티오글루코스, 프로필티오우라실 및 기타 티올 (예를 들어, 티오로독신, 글루타티온, 시스테인, 시스틴, 시스타민 및 글리코실, N-아세틸, 메틸, 에틸, 프로필, 아밀, 부틸 및 라우릴, 팔미토일, 올레일, γ-리놀레일, 콜레스테릴 및 그의 글리세릴 에스테르) 및 그의 염,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티오디프로피온산 및 그의 유도체 (에� ��테르, 에테르, 펩티드, 리피드, 뉴클레오티드, 뉴클레오시드 및 염) 및 매우 낮은 내량 (예를 들어, pmol 내지 μmol/㎏)의 술폭시민 화합물 (예를 들어, 부티오닌 술폭시민, 호모시스테인 술폭시민, 부티오닌 술폰, 펜타-, 헥사- 헵타티오닌 술폭시민), (금속) 킬레이트제 (예를 들어, α-히드록시 지방산, 팔미트산, 피트산, 락토페린), α-히드록시산 (예를 들어, 시트르산, 락트산, 말산), 부식산, 담즙산, 담즙 추출물, 빌리루빈, 빌리베르딘, EDTA 및 그의 유도체, 불포화 지방산 및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γ-리놀렌산, 리놀레산, 올레산), 엽산 및 그의 유도체, 유비키논 및 유비키놀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C 및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Mg-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빌 아세테이트), 토코페롤 및 유도체 (예를 들어, 비타민 E 아세테� �트, 토코트리엔올), 비타민 A 및 유도체 (비타민 A 팔미테이트), 및 벤조인 수지의 코니페릴 벤조에이트, 루틴산 및 그의 유도체, α-글리코실루틴, 페룰산, 푸르푸릴리덴글루시톨, 카르노신, 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노르디히드로구아이크산,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트산, 트리히드록시부티로페논, 요산 및 그의 유도체, 만노스 및 그의 유도체, 아연 및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ZnO, ZnSO 4 ), 셀레늄 및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셀레노메티오닌), 및 스틸벤 및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스틸벤 옥시드, 트랜스-스틸벤 옥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유리하게 선택된다. 예를 들어, 차 추출물, 포도 추출물 또는 조류 추출물과 같은 천연 식물성 항산화제 착물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레스베라트롤과 같은 천연 또는 천연-동일 개개 물질이 또한 유리하다. 항산화제는, 산화로부터 화장품 및/또는 피부과용 제품의 보호 뿐만 아니라 인간 피부에서 산화방지 및 노화방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맥락 내에서, 인간 피부로 침투하여 그 안에서 그들의 효과를 효율적으로 증진시켜, 이로써 선스크린 제제의 경우에, 어떤 의미에서는 자외선 차단 필터에 대해 상승 작용적으로 UV 광 손상, 일광화상 및 반응성 산소 종 및 자유 라디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항산화제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비타민 C 및 비타민 E 및 이들의 유도체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조제물에서 전술한 항산화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양은 조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중량%, 특히 1 내지 10 중량%이다. 비타민 E 및/또는 그의 유도체가 항산화제로서 사용되는 경우,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0 중량%의 범위로 그들 각각의 농도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비타민 A 및/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카로테노이드가 항산화제 또는 항산화제들인 경우,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0 중량%의 범위로 그들 각각의 농도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화장품에 통상적인 오일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파라핀 오일,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세틸스테아릴 2-에틸헥사노에이트,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바셀린, 카프릴산/카프르산 트리글리세리드, 미세결정질 왁스, 라놀린 및 스테아르산이 있다. 그러나, 이 목록은 예시적인 것이고 완전한 것이 아니다. 화장품 중의 오일 및 가용화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INCI 명명법에 따름). 이소소르비드 디메틸에테르, 벤조트리아졸릴 도데실 p-크레졸, 디카프릴릴 말레에이트, 이소데실 올레에이트, 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디부틸 아디페이트,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코코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디카프릴릴 에테르, 2-프로필헵틸 카프릴레이트, 세테아릴 이소노나노에이트, 부틸렌 글리콜 코코에이트, 디에틸헥실 2,6-나프탈레이트, 트리 C12-13 알킬 시트레이트, C12-13 알킬 락테이트, 디 C12-13 알킬 말레이트, C12-13 알킬 옥타노에이트, 트리데실 살리실레이트, 디 C12-13 알킬 타르트레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디에틸헥실 아디페이트, 라우릴 락테이트, 에틸헥실 코코에이트, 에틸헥실 히드로스테아레이트, 옥틸 스테아레이트, 디에틸헥실 숙시네이트, PPG-2 미리스틸 에테르 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 �� 테트라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시오스테아레이트, PPG-3 벤질 에테르 미리스테이트,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디 PPG-3 미리스틸 에테르 아디페이트, 디 PPG-2 피레트-10 아디페이트, 시클로메티콘, N,N-디에틸-m-톨루아미드,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트리헵타노인, 이소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세틸 살리실레이트, 이소데실 살리실레이트, 에틸헥실 에틸헥사노에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및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및 라우릴 락테이트,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프로필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디카프레이트/디카프릴레이트, 트리옥� �노인, 변성 알콜, 옥틸도데칸올, 에틸헥실 벤조에이트, 옥틸도데실 벤조에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이소스테아릴 벤조에이트,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및 PPG-15 스테아릴 에테르 벤조에이트, 부틸옥틸 살리실레이트, 에틸부틸아세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호호바 오일,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폴리에스테르-10 및 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폴리에스테르-7 및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트리데실 트리멜리테이트, 데실테트라데실 세테아레이트, 메틸렌 디메틸에테르, 코코글리세리드, 폴리데켄 , 부틸 에틸프로판-디일 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 팔미테이트, 미네랄 오일,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및 토코페롤, 스쿠알렌, 프로필렌 글리콜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 락테이트,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에리트리틸 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 디이소프로필 이합체 디리놀레에이트, PEG/PPG-5/3 트리실록산, 디에틸헥실 말레이트, 디메틸 카프라미드, 카프릴릴 피롤리돈, 세틸 헥실헥사노에이트, 카프릴산/카프르산 트리글리세리드, 데실 코코에이트, 디에틸헥실 카르보네이트, 세테아릴 에틸헥사노에이트, 에틸헥실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트리스(PPG-3 벤질 에테르) 시트레이트, 세틸 PPG-2 이소데세트-7 카르복실레이트, 이소프로필 PPG-2 이소데세트-7 카르복실레이트, 이소프로필 C12-15 파레� �-9 카르복실레이트, PPG-3 미리스틸에테르, 펜에틸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및 실온에서 액체인 UV 필터 옥틸 디메틸 PABA, 호모살레이트, 옥토크릴렌,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 살리실레이트,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폴리실리콘-15. 다음의 오일 및 가용화제가 바람직하다 (INCI 명명법에 따름). 디부틸 아디페이트,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2-프로필헵틸 카프릴레이트, 디에틸헥실 2,6-나프탈레이트, C12-13 알킬 락테이트, 디 C12-13 알킬 말레이트, 디 C12-13 알킬 타르트레이트, PPG-2 미리스틸 에테르 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시오스테아레이트, N,N-디에틸-m-톨루아미드,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트리헵타노인, 이소데실 살리실레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및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및 라우릴 락테이트,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프로필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프로필렌 글리콜/디카프레이트/디카프릴레이트, 에틸헥실 벤조에이트,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및 PPG-15 스테아릴 에테� �� 벤조에이트, 에틸부틸아세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코코글리세리드, 카프릴산/카프르산 트리글리세리드, 데실 코코에이트, 디에틸헥실 카르보네이트, 이소프로필 PPG-2 이소데세트-7 카르복실레이트, 이소프로필 C12-15 파레트-9 카르복실레이트, 펜에틸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다음의 오일 및 가용화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INCI 명명법에 따름). 디부틸 아디페이트,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디 C12-13 알킬 타르트레이트, N,N-디에틸-m-톨루아미드,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트리헵타노인, 에틸헥실 벤조에이트,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에틸부틸아세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디에틸헥실 카르보네이트, 펜에틸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또한, 본 발명의 맥락 내에서, 예를 들어 피부를 팽팽하게 하거나 순환을 촉진하기 위한 카페인, 셀프-태닝 목적을 위한 디히드록시아세톤 및/또는 에리트룰로스, 피부 진정을 위한 비사볼올 및/또는 판테놀, 및/또는 보습 강화 (보습)용, 피부를 매끄럽게 하기 위한 물질, 특히 예를 들어 비타민 A 및/또는 그의 유도체와 같은 피부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활성 물질, 식물 추출물 또는 그밖의 단백질-유사 물질과 같은, 다른 활성 기능을 가진 천연 및/또는 천연-동일 및/또는 합성 활성 물질을 조제물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 내에서 화장품 및/또는 피부과용 조제물의 추가 성분은 예를 들어 미용 화장품에서 피부의 컬러링(coloring) 뿐만 아니라 제품 자체의 컬러링과 같은 추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안료형, 유성 및/또는 수성 화장용 컬러-부여 원료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보조제 및 첨가제의 총 분획은 화장품 제제를 기준으로 1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6 내지 40 중량%이고, 비수성 분획 ("활성 물질")은 2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이다. 화장품 제제는 자체 공지된 방법, 즉 예를 들어 고온, 저온, 고온-고온/저온 또는 PIT 에멀젼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것은 순전히 기계적 공정이고, 화학 반응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조성물은 특히 예를 들어 유중수 크림, 수중유 크림 또는 로션, 에어로졸 및 펌프 폼, 폼 크림, 겔, 오일, 그리스 스틱, 파우더, 스프레이 또는 알콜성-수분 로션으로서, 액체, 페이스트 또는 고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선스크린 조제물이다. 마지막으로, 기본적으로 내수성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하는 자체 공지된 추가 물질도 또한 화장품 제제에 첨가할 수 있다. 선스크린 조성물의 일광 차단 지수는 내수성을 개선시키는 공중합체를 첨가함으로써 증가하는 것으로 확립되었다. UV 필터가 아닌 물질을 첨가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UV 필터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제의 일광 차단 지수를 높이면, UV 차단 성능을 동시에 또한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선스크린 조성물 중의 UV 필터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UV 필터를 포함하는 선스크린 조성물의 내수성을 개선시키고/거나 하나 이상의 UV 필터를 포함하는 선스크린 조성물의 일광 차단 지수를 높이는 작용제로서, a) 40 내지 95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b) 5 내지 60 중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아크릴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의 용도를 추가로 제공한다. 선스크린 제제의 공중합체 및 추가 성분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이미 앞서 제공된 설명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40 내지 95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b) 5 내지 60 중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아크릴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가 화장품 제제의 조제물에 첨가되는, 화장품 제제의 내수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공중합체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이미 앞서 제공된 설명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공중합체는 실제로 화장품 제제를 제조하는 동안에 임의의 적합한 시점에 첨가될 수 있다. 에멀젼의 경우,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 수 상에 첨가된다. 적합한 에멀젼은 그 중에서도 O/W 매크로에멀젼, O/W 마이크로에멀젼 또는 O/W/O 에멀젼이고, 이들 에멀젼은 DE-A-197 26 121에서와 같이 상 전환 기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수불용성 또는 난용성 활성 성분 또는 효과 물질, 및 a) 40 내지 95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b) 5 내지 60 중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아크릴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선스크린 조성물 및 눈, 입술 또는 얼굴용 메이크업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장품 제제를 추가로 제공한다. 공중합체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이미 앞서 제공된 설명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UV 필터, 및 a) 40 내지 95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b) 5 내지 60 중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아크릴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선스크린 제제를 또한 제공한다. 공중합체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이미 앞서 제공된 설명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가능한 추가 성분 및 제제 유형은 선스크린 조성물의 논의시 이미 논의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염료, 하나의 안료 또는 하나의 효과 안료, 및 a) 40 내지 95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b) 5 내지 60 중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아크릴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눈, 입술 또는 얼굴용 메이크업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공중합체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이미 앞서 제공된 설명에서 찾아볼 수 있다. 화장품 제제는 투명할 수도 있고, 또는 투명하지 않을 수도 있고, 다음의 유형이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로션, 밀크, 크림, 스프레이, 쉐이크-웰, 폼, 겔, 크림 겔, 수-함유 겔, 수중유 에멀젼, 유중수 에멀젼, 유중수중유 에멀젼, 수중유중수 에멀젼, 수/실리콘 에멀젼, 실리콘/수 에멀젼, 히드로-알콜 용액, 알콜 용액, 실리콘 겔, 단일-상 오일 제제, 압축 또는 루스 파우더, 립스틱, 무계면활성제 겔.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수불용성 또는 난용성 활성 성분 또는 효과 물질을 포함하는 선스크린 조성물 및 눈, 입술 또는 얼굴용 메이크업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장품 제제에서, 및 하나 이상의 UV 필터를 포함하는 선스크린 제제에서, 및 하나 이상의 염료, 하나의 안료 또는 하나의 효과 안료를 포함하는 눈, 입술 또는 얼굴용 메이크업 조성물에서, 공중합체는 a) 60 내지 80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b) 20 내지 40 중량%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아크릴산 유도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소수성으로 개질된 아크릴산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I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이고, 이 공중합체는 90 중량% 초과, 특히 95 중량% 초과의 N-비닐피롤리돈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아크릴산 유도체로 이루어져 있다. <화학식 I> 여기서, R 1 은 수소 또는 메틸, 특히 메틸이고, R 2 는 C 8 내지 C 32 -알킬, 바람직하게는 C 10 내지 C 28 -알킬, 특히 바람직하게는 C 12 내지 C 24 -알킬,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C 14 내지 C 22 -알킬, 특히 C 18 -n-알킬이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 내수성이 되도록 개질된 화장품 제제 또는 내수성이 되도록 개질된 선스크린 제제 또는 눈, 입술 또는 얼굴용 메이크업 조성물은 65 내지 75 중량%, 특히 약 70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25 내지 35 중량%, 특히 약 30 중량%의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95 중량% 초과, 특히 오로지 N-비닐피롤리돈 및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내수성이 되도록 개질된 선스크린 제제는 PABA, 캄포르 벤즈알코늄 메토술페이트, 호모살레이트 (HMS), 벤조페논-3 (BENZ-3),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PBSA), 테레프탈리덴 디캄포르 술폰산,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BMDBM), 벤질리덴 캄포르 술폰산, 옥토크릴렌 (OC),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 벤질리덴 캄포르,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EMC, OMC), PEG-25 PABA (PEG-PABA),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IMC), 에틸헥실 트리아존 (OT, ET),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DBT), 4-메틸벤질리덴 캄포르 (MBC), 3-벤질리덴 캄포르 (BC),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OS, ES), 에틸헥실 디메틸 PABA (OD-PABA, ED-PABA), 벤조페논-4 (BENZ-4),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비스옥틸트리아졸, BOT), 비스이미다질레이트 (BI), 비스-에틸헥실옥� ��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AT), 폴리실리콘 15,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2,4,6-트리스 (비페닐)-1,3,5-트리아진 (TBT), 메타논 1,1'-(1,4-피페라진디일)비스[1-[2-[4-(디에틸아미노)-2-히드록시벤조일]페닐]] (CAS 번호 919803-06-8), 1,1-디-(카르복시-(2',2'-디메틸-프로필))-4,4-디페닐부타디엔, 메로시아닌 유도체, 벤질리덴 말로네이트 UVB 필터,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UV 필터를 포함한다. 내수성이 되도록 개질된 선스크린 제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 (HMS),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PBSA),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BMDBM), 옥토크릴렌 (OC),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EMC), 에틸헥실 트리아존 (OT, ET),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DBT),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OS, ES),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비스옥틸트리아졸, BOT),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AT),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DHHB), 2,4,6-트리스 (비페닐)-1,3,5-트리아진 (TBT), 메타논 1,1'-(1,4-피페라진디일)비스[1-[2-[4-(디에틸아미노)-2-히드록시벤조일]페닐]] (CAS 번호 919803-06-8), 메로시아닌 유도체, 벤질리덴 말로네이트 UVB 필터 및 이산화티타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UV 필터를 포함한다. 메로시아닌 유도체는 WO 2004006878에 기술되어 있고, E 또는 Z 배위로 둘다 존재할 수 있는 화학식 A 또는 B가 특히 바람직하다. 벤질리덴 말로네이트 UVB 필터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C 또는 D에 해당된다. 내수성을 증가시키는 공중합체, 구체적으로 약 70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약 30 중량%의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UV 필터 에틸헥실트리아존 (OT, ET) 이외에, PABA, 캄포르 벤즈알코늄 메토술페이트, 호모살레이트 (HMS), 벤조페논-3 (BENZ-3),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PBSA), 테레프탈리덴 디캄포르 술폰산,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BMDBM), 벤질리덴 캄포르 술폰산, 옥토크릴렌 (OC),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 벤질리덴 캄포르,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EMC, OMC), PEG-25 PABA (PEG-PABA),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IMC),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DBT), 4-메틸벤질리덴 캄포르 (MBC), 3-벤질리덴 캄포르 (BC),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OS, ES), 에틸헥실 디메틸 PABA (OD-PABA, ED-PABA), 벤조페논-4 (BENZ-4), 메틸렌 비스-벤� �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비스옥틸트리아졸, BOT), 비스이미다질레이트 (BI),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AT), 폴리실리콘 15,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2 UV 필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내수성이 되도록 개질된 선스크린 제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내수성을 증가시키는 공중합체, 구체적으로 약 70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약 30 중량%의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UV 필터 호모살레이트 (HMS) 이외에, PABA, 캄포르 벤즈알코늄 메토술페이트, 벤조페논-3 (BENZ-3),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PBSA), 테레프탈리덴 디캄포르 술폰산,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BMDBM), 벤질리덴 캄포르 술폰산, 옥토크릴렌 (OC),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 벤질리덴 캄포르,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EMC, OMC), PEG-25 PABA (PEG-PABA),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IMC), 에틸헥실 트리아존 (OT, ET),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DBT), 4-메틸벤질리덴 캄포르 (MBC), 3-벤질리덴 캄포르 (BC),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OS, ES), 에틸헥실 디메틸 PABA (OD-PABA, ED-PABA), 벤조페논-4 (BENZ-4), 메� ��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비스옥틸트리아졸, BOT), 비스이미다질레이트 (BI),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AT), 폴리실리콘 15,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2 UV 필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내수성이 되도록 개질된 선스크린 제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내수성을 증가시키는 공중합체, 구체적으로 약 70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약 30 중량%의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UV 필터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PBSA) 이외에, PABA, 캄포르 벤즈알코늄 메토술페이트, 호모살레이트 (HMS), 벤조페논-3 (BENZ-3), 테레프탈리덴 디캄포르 술폰산,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BMDBM), 벤질리덴 캄포르 술폰산, 옥토크릴렌 (OC),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 벤질리덴 캄포르,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EMC, OMC), PEG-25 PABA (PEG-PABA),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IMC), 에틸헥실 트리아존 (OT, ET),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DBT), 4-메틸벤질리덴 캄포르 (MBC), 3-벤질리덴 캄포르 (BC),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OS, ES), 에틸헥실 디메틸 PABA (OD-PABA, ED-PABA), 벤조페논-4 (BENZ-4), 메� ��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비스옥틸트리아졸, BOT), 비스이미다질레이트 (BI),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AT), 폴리실리콘 15,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2 UV 필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내수성이 되도록 개질된 선스크린 제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내수성을 증가시키는 공중합체, 구체적으로 약 70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약 30 중량%의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UV 필터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BMDBM) 이외에, PABA, 캄포르 벤즈알코늄 메토술페이트, 호모살레이트 (HMS), 벤조페논-3 (BENZ-3),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PBSA), 테레프탈리덴 디캄포르 술폰산, 벤질리덴 캄포르 술폰산, 옥토크릴렌 (OC),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 벤질리덴 캄포르,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EMC, OMC), PEG-25 PABA (PEG-PABA),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IMC), 에틸헥실 트리아존 (OT, ET),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DBT), 4-메틸벤질리덴 캄포르 (MBC), 3-벤질리덴 캄포르 (BC),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OS, ES), 에틸헥실 디메틸 PABA (OD-PABA, ED-PABA), 벤조페논-4 (BENZ-4), 메� ��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비스옥틸트리아졸, BOT), 비스이미다질레이트 (BI),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AT), 폴리실리콘 15,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2 UV 필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내수성이 되도록 개질된 선스크린 제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내수성을 증가시키는 공중합체, 구체적으로 약 70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약 30 중량%의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UV 필터 옥토크릴렌 (OC) 이외에, PABA, 캄포르 벤즈알코늄 메토술페이트, 호모살레이트 (HMS), 벤조페논-3 (BENZ-3),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PBSA), 테레프탈리덴 디캄포르 술폰산,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BMDBM), 벤질리덴 캄포르 술폰산,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 벤질리덴 캄포르,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EMC, OMC), PEG-25 PABA (PEG-PABA),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IMC), 에틸헥실 트리아존 (OT, ET),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DBT), 4-메틸벤질리덴 캄포르 (MBC), 3-벤질리덴 캄포르 (BC),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OS, ES), 에틸헥실 디메틸 PABA (OD-PABA, ED-PABA), 벤조페논-4 (BENZ-4), 메� ��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비스옥틸트리아졸, BOT), 비스이미다질레이트 (BI),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AT), 폴리실리콘 15,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2 UV 필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내수성이 되도록 개질된 선스크린 제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내수성을 증가시키는 공중합체, 구체적으로 약 70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약 30 중량%의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UV 필터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EMC, OMC) 이외에, PABA, 캄포르 벤즈알코늄 메토술페이트, 호모살레이트 (HMS), 벤조페논-3 (BENZ-3),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PBSA), 테레프탈리덴 디캄포르 술폰산,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BMDBM), 벤질리덴 캄포르 술폰산, 옥토크릴렌 (OC),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 벤질리덴 캄포르, PEG-25 PABA (PEG-PABA),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IMC), 에틸헥실 트리아존 (OT, ET),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DBT), 4-메틸벤질리덴 캄포르 (MBC), 3-벤질리덴 캄포르 (BC),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OS, ES), 에틸헥실 디메틸 PABA (OD-PABA, ED-PABA), 벤조페논-4 (BENZ-4), 메� ��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비스옥틸트리아졸, BOT), 비스이미다질레이트 (BI),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AT), 폴리실리콘 15,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2 UV 필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내수성이 되도록 개질된 선스크린 제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내수성을 증가시키는 공중합체, 구체적으로 약 70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약 30 중량%의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UV 필터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OS, ES) 이외에, PABA, 캄포르 벤즈알코늄 메토술페이트, 호모살레이트 (HMS), 벤조페논-3 (BENZ-3),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PBSA), 테레프탈리덴 디캄포르 술폰산,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BMDBM), 벤질리덴 캄포르 술폰산, 옥토크릴렌 (OC),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 벤질리덴 캄포르,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EMC, OMC), PEG-25 PABA (PEG-PABA),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IMC), 에틸헥실 트리아존 (OT, ET),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DBT), 4-메틸벤질리덴 캄포르 (MBC), 3-벤질리덴 캄포르 (BC), 에틸헥실 디메틸 PABA (OD-PABA, ED-PABA), 벤조페논-4 (BENZ-4), 메� ��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비스옥틸트리아졸, BOT), 비스이미다질레이트 (BI),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AT), 폴리실리콘 15,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2 UV 필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내수성이 되도록 개질된 선스크린 제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내수성을 증가시키는 공중합체, 구체적으로 약 70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약 30 중량%의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UV 필터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비스옥틸트리아졸, BOT) 이외에, PABA, 캄포르 벤즈알코늄 메토술페이트, 호모살레이트 (HMS), 벤조페논-3 (BENZ-3),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PBSA), 테레프탈리덴 디캄포르 술폰산,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BMDBM), 벤질리덴 캄포르 술폰산, 옥토크릴렌 (OC),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 벤질리덴 캄포르,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EMC, OMC), PEG-25 PABA (PEG-PABA),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IMC), 에틸헥실 트리아존 (OT, ET),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DBT), 4-메틸벤질리덴 캄포르 (MBC), 3-벤질리덴 캄포르 (BC), 에틸헥실 살리 실레이트 (OS, ES), 에틸헥실 디메틸 PABA (OD-PABA, ED-PABA), 벤조페논-4 (BENZ-4), 비스이미다질레이트 (BI),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AT), 폴리실리콘 15,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2 UV 필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내수성이 되도록 개질된 선스크린 제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내수성을 증가시키는 공중합체, 구체적으로 약 70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약 30 중량%의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AT) 이외에, PABA, 캄포르 벤즈알코늄 메토술페이트, 호모살레이트 (HMS), 벤조페논-3 (BENZ-3),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PBSA), 테레프탈리덴 디캄포르 술폰산,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BMDBM), 벤질리덴 캄포르 술폰산, 옥토크릴렌 (OC),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 벤질리덴 캄포르,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EMC, OMC), PEG-25 PABA (PEG-PABA),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IMC), 에틸헥실 트리아존 (OT, ET),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DBT), 4-메틸벤질리덴 캄포르 (MBC), 3-벤질리덴 캄포르 (BC),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OS, ES), 에틸헥실 디메� �� PABA (OD-PABA, ED-PABA), 벤조페논-4 (BENZ-4),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비스옥틸트리아졸, BOT), 비스이미다질레이트 (BI), 폴리실리콘 15,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2 UV 필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내수성이 되도록 개질된 선스크린 제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내수성을 증가시키는 공중합체, 구체적으로 약 70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약 30 중량%의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UV 필터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이외에, PABA, 캄포르 벤즈알코늄 메토술페이트, 호모살레이트 (HMS), 벤조페논-3 (BENZ-3),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PBSA), 테레프탈리덴 디캄포르 술폰산,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BMDBM), 벤질리덴 캄포르 술폰산, 옥토크릴렌 (OC),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 벤질리덴 캄포르,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EMC, OMC), PEG-25 PABA (PEG-PABA),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IMC), 에틸헥실 트리아존 (OT, ET),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DBT), 4-메틸벤질리덴 캄포르 (MBC), 3-벤질리덴 캄포르 (BC),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OS, ES), 에틸헥실 디메틸 PABA (OD-PABA, ED-PABA), 벤조페논-4 (BENZ-4),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비스옥틸트리아졸, BOT), 비스이미다질레이트 (BI),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AT), 폴리실리콘 15,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2 UV 필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내수성이 되도록 개질된 선스크린 제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내수성을 증가시키는 공중합체, 구체적으로 약 70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약 30 중량%의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UV 필터 2,4,6-트리스 (비페닐)-1,3,5-트리아진 (TBT) 이외에, PABA, 캄포르 벤즈알코늄 메토술페이트, 호모살레이트 (HMS), 벤조페논-3 (BENZ-3),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PBSA), 테레프탈리덴 디캄포르 술폰산,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BMDBM), 벤질리덴 캄포르 술폰산, 옥토크릴렌 (OC),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 벤질리덴 캄포르,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EMC, OMC), PEG-25 PABA (PEG-PABA),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IMC), 에틸헥실 트리아존 (OT, ET),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DBT), 4-메틸벤질리덴 캄포르 (MBC), 3-벤질리덴 캄포르 (BC),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OS, ES), 에틸헥실 디메틸 PABA (OD-PABA, ED-PABA), 벤조페논-4 (BENZ-4),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비스옥틸트리아졸, BOT), 비스이미다질레이트 (BI),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AT), 폴리실리콘 15,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2 UV 필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내수성이 되도록 개질된 선스크린 제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내수성을 증가시키는 공중합체, 구체적으로 약 70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약 30 중량%의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UV 필터 메타논 1,1'-(1,4-피페라진디일)비스[1-[2-[4-(디에틸아미노)-2-히드록시벤조일]페닐]] (CAS 번호 919803-06-8) 이외에, PABA, 캄포르 벤즈알코늄 메토술페이트, 호모살레이트 (HMS), 벤조페논-3 (BENZ-3),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PBSA), 테레프탈리덴 디캄포르 술폰산,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BMDBM), 벤질리덴 캄포르 술폰산, 옥토크릴렌 (OC),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 벤질리덴 캄포르,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EMC, OMC), PEG-25 PABA (PEG-PABA),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IMC), 에틸헥실 트리아존 (OT, ET),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DBT), 4-메틸벤질리덴 캄포르 (MBC), 3-벤질리덴 � ��포르 (BC),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OS, ES), 에틸헥실 디메틸 PABA (OD-PABA, ED-PABA), 벤조페논-4 (BENZ-4),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비스옥틸트리아졸, BOT), 비스이미다질레이트 (BI),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AT), 폴리실리콘 15,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2 UV 필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내수성이 되도록 개질된 선스크린 제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화장품 제제의 내수성을 개선시키는 작용제로서 N-비닐피롤리돈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아크릴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술한 공중합체를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면, 피부에 적용된 경우 왁스 같거나, 유분 많거나, 번지르르한 인상을 뒤에 남기기 않는 탁월한 내수성을 가진 화장품 제제를 얻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 사용되는 공중합체는 화장품 제제의 제조 동안에 문제 없이 수성 상 또는 유성 상으로 도입될 수 있다. 고체 혼합물로의 파우더 형태의 공중합체의 도입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공중합체의 사용은 하나 이상의 UV 필터를 포함하는 선스크린 조성물의 경우에, 증가한 내수성 외에 또는 이와 독립적으로, 일광 차단 지수의 증가에 이르게 한다. N-비닐피롤리돈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아크릴산 유도체로 이루어진 전술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제는 피부에 적용된 경우 왁스 같거나, 유분 많거나, 번지르르한 인상을 뒤에 남기지 않은 채 탁월한 내수성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예시되지만, 이들이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수성 선스크린 제제의 제조 미국에서 가넥스(Ganex) V 220으로 공지된, 안타론 V 220은 ISP로부터의 장쇄 알파-올레핀/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이다. 공중합체 1은 약 70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약 30 중량%의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99 중량% 초과의 N-비닐피롤리돈 및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이다. 공중합체 1은 EP 특허 1 669 374 A1의 실시예 5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먼저 수성 분산액의 형태로 제조되고, 그리고 나서 EP 특허 1 669 374 A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분무-건조의 결과로서 건조한 유동성 파우더로서 얻어진다. 공중합체 1은 45.1의 K 값 (에탄올 중 1% 농도)를 갖고, 이는 약 136,000 g/mol의 분자량에 상응한다. 제조: 상 A 및 상 B를 개별적으로 약 85℃까지 가열했다. 상 B를 상 A에 넣어 교반하고, 혼합물 A+B를 균질화했다. 혼합물 A+B를 교반하면서 약 30℃까지 냉각시켰다. 상 C를 혼합물 A+B에 넣어 교반하고, 혼합물을 균질화한 후,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실시예 2: COLIPA에 따른 생체내 SPF 값의 결정 SPF 생체내 값은 COLIPA에 의해 추천된 가이드라인 "국제 일광 차단 지수 (SPF) 시험 방법" (2006년 5월)에 따라 외부 기관이 결정했다. 생체내 SPF (프로덤(ProDerm)): 어플라이드 더마톨로지컬 리써치 게엠베하(Applied Dermatological Research GmbH) proDERM 기관에 의해 COLIPA 생체내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되는 SPF 생체내 값. 독립 기관에 의해 측정된 생체내 SPF 값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B1이 두 비교 실시예 V1 (내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추가 중합체 부재) 및 V2 (내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추가 중합체로서 안타론 V 220)에 비해 상당히 더 높은 생체내 SPF 값을 가짐을 보여 주었다. 이는 공중합체 1의 첨가가 일광 차단 지수의 증가에 이르게 함을 의미한다. 실시예 3: COLIPA 생체내 "강 내수성" 시험 방법에 따른 내수성의 결정 "강 내수성" 값은 "썬 제품 내수성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 (2005년 12월)"에서 COLIPA에 의해 추천된 생체내 방법에 따라 측정되었다. 제제 V1에 대한 "강 내수성" 값은 50%보다 상당히 더 낮아, 이는 COLIPA 방법에 따라 제제가 "강 내수성"이 아닌 것을 의미한다. 제제 V2 및 B1에 대한 "강 내수성" 값은 매우 유사하고, 50%보다 상당히 더 높아, 이는 두 제제가 유사한 내수성을 갖고, COLIPA 방법에 따라 두 제제가 "강 내수성"인 것을 나타낸다. 생체내 "강 내수성" 시험은 본원에서 두 제제가 "강 내수성"이라 지칭될 수 있도록 두 중합체, 안타론 V220 및 공중합체 1이 선스크린 제제의 내수성을 증가시킨 것을 보여 준다. 실시예 4: MMA 플레이트 상의 시험관내 접촉각 측정에 따른 내수성의 결정 방법 설명: 사용된 기판은 COLIPA에 의해 2007년에 출판되고 2009년에 업데이트된 "시험관내 UVA 방법"에서 추천한 바와 같이, 거칠게 만든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플레이트이다. 이들 PMMA 플레이트는 쇼엔베르그 게엠베하 앤드 컴퍼니 카게(Schoenberg GmbH & Co. KG)(독일)에 의해 제조되고 시판된다. 한정된 조도는 수 유동화 방법으로 샌드블라스팅에 의해 생성된다. 2㎛의 조도를 가진 플레이트가 하기 기술된 방법에 사용되었다. 시험할 제제를, COLIPA에 의해 2007년에 출판되고 2009년에 업데이트된 "시험관내 UVA 방법"에 기술된 바와 같은 동일한 원칙에 따라 PMMA 플레이트에 적용했다. PMMA 플레이트 당 적용되는 양은 1.00 ㎎/㎠였다. 제제 당 3 번의 측정이 수행되었고, 즉 동일한 제제를 3 개의 플레이트에 적용했다. 사전에 제제를 흠뻑 바른 라텍스로 만든 1회용 손가락 싸개로 덮인 집게 손가락을 사용하여 처음 중량을 잰 후, 제제를 플레이트 상에 편평하게 분무하고 작은 원 모양의 움직임을 그리며 문질렀다. 모서리도 충전하는 것이 중요하다. 에멀젼이 "파괴"되는 (투명하게 되는) 즉시, 플레이트를 또한 약한 압력으로 수평 스트리킹 이동으로 처리했다. 이 절차 후, 플레이트를 30 분간 어두운 판지 상자안에서 실온에서 보관했다. 그리고 나서 플레이트의 측정을 수행했다. 접촉각은 독일 함부르크 소재의 크루에스 게엠베하 (Kruess GmbH)의 접촉각 측정 장치 이지 드롭 및 관련 소프트웨어 DSA1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측정했다. 독일 포르츠하임 소재의 게엘티 게젤샤프트 푸에르 로에테크니크 엠베하(GLT Gesellschaft fuer Loettechnik mbH)의, 0.48 ㎜의 내부 직경 및 0.86 ㎜의 외부 직경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튜브 아트 5125PPS-B를 포함한 정밀 투여 바늘을 2 ㎖ 주사기 상에 돌려 고정시켰다. 주사기의 실린더를 제거하고, 플런저를 회전가능한 강철 실린더 상에 두었다. 물의 양을 보다 잘 투여할 수 있도록 이 장치를 주사기 상에 두었다. 흠뻑 젖도록 하기 위해, 18.2 MOhm×㎝의 절연 저항을 가진 증류수를 두 배로 사용했다. 30 개의 물 방울을 각각의 플레이트에 적용했다. 정확히 5 초간의 기준선의 조절 및 적용 직후 각 방울을 측정했다. 본원에서, 0.5 초마다 상을 기록했다. 소프트웨어 DSA 1에 의해 방울 윤곽을 평가하기 위해 오직 탄젠트 방법 1만을 사용했다(웹사이트 http://www.kruss.de/de/theorie/messungen/kontaktwinkel/messung-des-kontaktwinkels.html 참조). 방울 당 약 10 개의 상을 5 초의 측정 동안에 기록하여, 약 10 개의 접촉각을 측정했다. 소프트웨어에 의해 이들로부터 평균을 계산했다. 이로써, 플레이트 당 30 개의 방울이 30 개의 접촉각을 생성하고, 이로부터 평균을 계산했다. 제제의 접촉각은 3 개의 플레이트로부터 계산한 평균치였다. 측정된 접촉각은 제제의 소수성 성질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지게 한다. 접촉각이 클수록 제제는 보다 더 소수성이 된다. 제제가 보다 더 소수성이면, 보다 더 내수성이 되며, 제제가 내수성이 된다. 접촉각 측정 방법의 결과는 본원에서 제제 V1이 매우 작은 접촉각을 가짐을 보여 준다. 제제 V2 및 B1은 상당히 더 큰 접촉각을 갖는다. 공중합체 1을 함유한 B1은 안타론 V220을 함유한 V2보다 훨씬 더 큰 접촉각을 갖는다. 실시예 5: SPF 7을 갖는 내수성 선스크린 제제의 제조 제조: 상 A 및 상 B를 개별적으로 약 85℃까지 가열했다. 상 B를 상 A에 넣어 교반하고, 혼합물 A+B를 균질화했다. 혼합물 A+B를 교반하면서 약 30℃까지 냉각시켰다. 상 C를 혼합물 A+B에 넣어 교반하고, 혼합물을 균질화한 후,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실시예 6: 실시예 4에 기술된 측정 방법에 따르는 PMMA 플레이트 상의 시험관내 접촉각 측정에 따른 내수성의 결정 접촉각 측정 방법의 결과는 본원에서 제제 V3이 매우 작은 접촉각을 가짐을 보여 준다. 제제 V4의 접촉각은 제제 V3의 접촉각보다 약간 더 크지만, 접촉각은 계속 중간이다. 제제 B2는 제제 V3 및 V4보다 상당히 더 큰 접촉각을 갖는다. 공중합체 1을 함유한 제제 B2는 안타론 V216을 함유한 V4보다 훨씬 더 큰 접촉각을 갖는다. 실시예 7: SPF 14를 갖는 내수성 선스크린 제제의 제조 렉스필름 썬(Lexfilm Sun)은 이놀렉스 케미칼 컴파니(Inolex Chemical Company)의 제품이다. 솔텍스(Soltex) OPT는 다우 어드밴스드 머테리얼즈(Dow Advanced Materials)의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폴리머의 48% 농도 분산액이다. 공중합체 1의 경우에서와 같이, 공중합체 2도 70 중량%의 N-비닐피롤리돈 및 30 중량%의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99 중량% 초과의 N-비닐피롤리돈 및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이다. 공중합체 2는 원칙적으로, 낮은 몰 질량이 규명된 것을 제외하고는, 공중합체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공중합체 2는 24.8의 K 값 (에탄올 중 1% 농도)를 갖는다. 제조: 상 A 및 상 B를 개별적으로 약 85℃까지 가열했다. 상 B를 상 A에 넣어 교반하고, 혼합물 A+B를 균질화했다. 혼합물 A+B를 교반하면서 약 30℃까지 냉각시켰다. 상 C를 혼합물 A+B에 넣어 교반하고, 혼합물을 균질화한 후,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실시예 8: 실시예 4에 기술된 측정 방법에 따르는 PMMA 플레이트 상의 시험관내 접촉각 측정에 따른 내수성의 결정 접촉각 측정 방법의 결과는 본원에서 제제 V5가 매우 작은 접촉각을 가짐을 보여 준다. 제제 V7 및 V8은 측정 한계 미만인 그렇게 작은 접촉각을 갖는다. 제제 V6, B3, B4 및 B5는 제제 V5, V7 및 V8보다 상당히 더 큰 접촉각을 갖는다. 렉스필름 썬을 함유한 제제 V7 및 솔텍스 OPT를 함유한 제제 V8은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은 플라시보 V5보다 더 작은 접촉각을 나타냈다. 이들 실시예에서, 두 중합체 렉스필름 썬 및 솔텍스 OPT는 각각의 경우에 제제의 내수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제 B3 및 B4는 완전히 동일한 접촉각을 갖는데, 이는 제제의 내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중합체 1을 먼저 수성 상으로 뿐만 아니라 먼저 유성 상으로 식별가능한 차이 없이 도입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공중합체 1을 함유한 제제 B3 및 공중합체 2를 함유한 제제 B5의 접촉각은 매우 유사하고, 두 접촉각은 안타론 V220을 함유한 제제 V6의 접촉각보다 더 크다. 45.1의 K 값 (에탄올 중 1% 농도)을 갖는 공중합체 1 및 24.8의 K 값 (에탄올 중 1% 농도)을 갖는 공중합체 2는 본원에서 안타론 V220보다 우수한 내수성을 증가시키는 성능을 나타냈다. 실시예 9: SPF 18을 갖는 이산화티타늄을 함유한 내수성 선스크린 제제의 제조 제조: 상 A을 85℃까지 가열하고, 상 A를 완전히 용융시킨 후, 상 B를 첨가했다. 혼합물 A+B를 균질화했다. 상 C를 약 85℃까지 가열하고, 잠시 균질화한 후, 혼합물 A+B에 넣어 균질화했다. 혼합물 A+B+C를 저온 조건 하에 교반했다. 약 30℃에서, 상 D를 첨가했다. 그리고 나서, 혼합물 A+B+C+D를 후균질화하고,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실시예 10: 실시예 4에 기술된 측정 방법에 따르는 PMMA 플레이트 상의 시험관내 접촉각 측정에 따른 내수성의 결정 접촉각 측정 방법의 결과는 본원에서 제제 V9가 작은 접촉각을 갖고, 제제 V10 및 B6이 더 큰 접촉각을 가짐을 보여 준다. 공중합체 1을 함유한 제제 B6은 내수성이 적어도 안타론 V220을 함유한 제제 V10 만큼이다. 실시예 11: SPF 16을 갖는 산화아연을 함유한 내수성 선스크린 제제의 제조 제조: 상 A를 85℃까지 가열하고, 상 A를 완전히 용융시킨 후, 상 B를 첨가했다. 혼합물 A+B를 균질화했다. 상 C를 약 85℃까지 가열하고, 잠시 균질화한 후, 혼합물 A+B에 넣어 균질화했다. 혼합물 A+B+C를 저온 조건 하에 교반했다. 약 30℃에서, 상 D를 첨가했다. 그리고 나서, 혼합물 A+B+C+D를 후균질화하고,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실시예 12: 실시예 4에 기술된 측정 방법에 따르는 PMMA 플레이트 상의 시험관내 접촉각 측정에 따른 내수성의 결정 접촉각 측정 방법의 결과는 본원에서 제제 V11이 중간 접촉각을 갖고, 제제 V12 및 B7이 상당히 더 큰 접촉각을 가짐을 보여 준다. 공중합체 1을 함유한 제제 B7은 안타론 V220을 함유한 제제 V12보다 훨씬 더 큰 접촉각을 갖고, 따라서 내수성이 훨씬 더 크다. 실시예 13: SPF 30을 갖는 내수성 선스크린 제제의 제조 제조: 상 A를 85℃까지 가열하고, 상 A를 완전히 용융시킨 후, 상 B를 첨가했다. 혼합물 A+B를 균질화했다. 상 C를 약 85℃까지 가열하고, 잠시 균질화한 후, 혼합물 A+B에 넣어 균질화했다. 혼합물 A+B+C를 저온 조건 하에 교반했다. 약 30℃에서, 상 D를 첨가했다. 그리고 나서, 혼합물 A+B+C+D를 후균질화하고,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실시예 14: 실시예 4에 기술된 측정 방법에 따르는 PMMA 플레이트 상의 시험관내 접촉각 측정에 따른 내수성의 결정 접촉각 측정 방법의 결과는 본원에서 제제 V13 및 V14가 중간 접촉각을 가짐을 보여 준다. V14의 접촉각은 V13의 접촉각보다 약간 더 우수하지만, 제제 B8의 접촉각만큼 높지 않다. 공중합체 1을 함유한 제제 B8은 플라시보 (제제 V13) 및 안타론 V220을 함유한 제제 V14보다 내수성이 상당히 더 크다. 실시예 15: 내수성 아이라이너의 제조 상 D에서 사용된 레플렉스(Reflecks)™ 안료는 레플렉스™ 디멘션스 루미너스 레드(Dimensions Luminous Red)이다. 제제 V15 및 V16의 제조: 상 A 및 B를 각각 개별적으로 80℃까지 가열했다. 균질화기 (8000-9000 rpm에서 2분)를 사용하여 교반하면서 상 A를 상 B에 첨가했다. 그리고 나서, 혼합물 A+B를 저온 조건 하에 교반했다. 40℃ 미만에서, 상 C를 균질화기 (9000 rpm에서 1분)를 사용하여 교반했다. 마지막으로, 안료 (상 D)를 교반기를 사용하여 10 분간 교반했다. 제제 B9의 제조: 상 A 및 B를 각각 개별적으로 80℃까지 가열했다. 그리고 나서, 균질화기 (8000-9000 rpm에서 2분)를 사용하여 교반하면서 상 A를 상 B에 넣어 혼합했다. 그리고 나서, 혼합물 A+B를 저온 조건 하에 교반했다. 40℃ 미만에서, 상 F를 균질화기 (9000 rpm에서 1분)를 사용하여 혼합물 A+B에 넣어 혼합했다. 그리고 나서, 상 D (안료)를 10 분간 교반했다. 상 F의 제조에 주목한다: 공중합체 1을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에욱실(Euxyl) PE 9010을 넣어 혼합했다. 실시예 16: 신속한 내수성 시험 아이라이너 적용기의 도움으로, 눈꺼풀 위에서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과 같이 유리판 위에서 제제 V15, V16 및 B9 각각의 획을 그었다. 3개 시료의 3개의 획을 동일한 유리판 위에서 서로 옆에 나란히 그었다. 유리판을 찬 음료수로 채운 비이커 안에 놓고, 이렇게 물 속에서 60 시간보다 더 오랫동안 실온에서 두었다. 상기 판의 제거시, 제제 V15 및 V16의 획은 즉시 녹아 없어졌다. 제제 B9의 획은 여전히 상기 판에 단단히 붙어 있었다. 단지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질렀을 경우에만 제제 B9의 획이 용해되었다. 실시예 17: 실시예 4에 기술된 측정 방법에 따르는 PMMA 플레이트 상의 시험관내 접촉각 측정에 따른 내수성의 결정 접촉각 측정 방법의 결과는 본원에서 제제 V15 및 V16이 유사한 중간 접촉각을 가짐을 보여 준다. 제제 B9의 접촉각은 매우 크고 제제 B15 및 B16의 접촉각보다 상당히 더 크다. 이로써 공중합체 1을 함유한 제제 B9는 플라시보 (제제 V16) 및 루비세트 셰이프(Luviset Shape)를 함유한 제제 V15보다 내수성이 상당히 더 크다. 이는 신속한 내수성 시험 (실시예 16)에서 이미 증명되었다. 추가의 제제 실시예: 다음의 화장품 제제는 공지된 방식으로 당업자에 의해 제조된다. 하기 제제에서, 다음의 의미가 적용된다. *: 수성 분산액 형태의 미립자 유기 UV 필터, 여기서 입자는 50 내지 200 ㎚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표에서 중량% 데이터는 단지 활성 성분 (UV 필터)만을 지칭한다. **: 미립자 유기 UV 필터, 여기서 활성 성분은 캡슐화 형태로 존재하고, 입자는 50 내지 200 ㎚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표에서 중량% 데이터는 단지 활성 성분 (UV 필터)만을 지칭한다. ***: 미립자 무기 UV 필터, 여기서 입자는 50 내지 200 ㎚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표에서 중량% 데이터는 단지 활성 성분만을 지칭한다. 화학식 (A) 또는 (B)의 메로시아닌: 화학식 (A) 또는 (B)에 상응하는, WO 2004006878에 기술된 바와 같은 메로시아닌 유도체는 둘다 E 또는 Z 배위로 존재할 수 있다. 화학식 (C) 또는 (D)의 말로네이트: 화학식 (C) 또는 (D)에 상응하는 벤질리덴 말로네이트 UVB 필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