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
|||||||||||||||||||||||||||||||||||||||||||||||||||||||||||||||||||||||||||||||||||||||||||||||||||||||||||||||||||||||||||||||||||||||||||||||||||||||||||||||||||||||||||||||||||||||||||||||||||||||||||||||||||||||||||||||||||||||||||||||||||||||||||||||||
申请号 | KR1020130122914 | 申请日 | 2013-10-15 | 公开(公告)号 | KR1020150043910A | 公开(公告)日 | 2015-04-23 | ||||||||||||||||||||||||||||||||||||||||||||||||||||||||||||||||||||||||||||||||||||||||||||||||||||||||||||||||||||||||||||||||||||||||||||||||||||||||||||||||||||||||||||||||||||||||||||||||||||||||||||||||||||||||||||||||||||||||||||||||||||||||||
申请人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发明人 | 정민우; 김영준; 유용희; | ||||||||||||||||||||||||||||||||||||||||||||||||||||||||||||||||||||||||||||||||||||||||||||||||||||||||||||||||||||||||||||||||||||||||||||||||||||||||||||||||||||||||||||||||||||||||||||||||||||||||||||||||||||||||||||||||||||||||||||||||||||||||||||||
摘要 | 본발명은스크럽제, 폴리올및 유화안정화제를포함하는고형의피부각질제거용화장료조성물에관한것이다. 보다상세하게는, 본발명의피부각질제거용화장료조성물은조성물총 중량대비스크럽제 5 내지 70 중량%, 폴리올 10 내지 70 중량% 및유화안정화제 3 내지 20 중량% 포함한다. 본발명의피부각질제거용화장료조성물은상 안정성및 사용감이우수하다. 특히, 본발명의화장료조성물은유화안정화제로서피이지-150 디스테아레이트, 세테아레스-20 또는피이지-60 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를포함함으로써, 화장료를피부에도포할때 체온에의해녹아펴발림성이좋게하고, 폴리올내에서스크럽제의응집을막아상을안정화시켜준다. | ||||||||||||||||||||||||||||||||||||||||||||||||||||||||||||||||||||||||||||||||||||||||||||||||||||||||||||||||||||||||||||||||||||||||||||||||||||||||||||||||||||||||||||||||||||||||||||||||||||||||||||||||||||||||||||||||||||||||||||||||||||||||||||||||
权利要求 |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스크럽제 5 내지 70 중량%, 폴리올 10 내지 70 중량% 및 유화안정화제 3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럽제는 천연물 소재, 식물 소재, 광물 소재 및 합성 소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펜틸렌글라이콜, 피이지-6 및 피이지-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안정화제는 피이지-150 디스테아레이트, 피이지-90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베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 피이지-6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레스-20, 올레스-20, 세테스-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 알코올,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포타슘 카보머, 피이지-8 비즈왁스 및 실리카 실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안정화제는 피이지-150 디스테아레이트, 세테아레스-20, 피이지-6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피이지-8이고, 상기 유화안정화제는 피이지-150 디스테아레이트, 세테아레스-20, 피이지-6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소듐바이카보네이트 5 내지 70 중량%, 피이지-8 또는 글리세린 10 내지 70 중량%, 피이지-150 디스테아레이트 1 내지 10 중량%, 및 세테아레스-20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
||||||||||||||||||||||||||||||||||||||||||||||||||||||||||||||||||||||||||||||||||||||||||||||||||||||||||||||||||||||||||||||||||||||||||||||||||||||||||||||||||||||||||||||||||||||||||||||||||||||||||||||||||||||||||||||||||||||||||||||||||||||||||||||||
说明书全文 |
|
유화안정화제 명칭 | 투명성 | 안정도 |
피이지-150 디스테아레이트(PEG-150 Distearate) | 투명 | 안정 |
폴리글리세릴-10베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 (Polyglyceryl-10 Behenate/Eicosadioate) | 불투명 | 표면에서 분리 일어남 |
피이지-6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PEG-60 Glyceryl Isostearate) | 투명 | 경도 낮음. |
세테아레스-20(Ceteareth-20) | 투명 | 경도 높음.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 불투명 | 석출 발생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 불투명 | 석출 발생 |
세테아릴 알코올,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Cetearyl Alcohol, Cetearyl Glucoside) | 불투명 | 경도 높음. 석출 발생 |
포타슘 카보머(Potassium carbomer) | 불투명 | 경도 높음. 석출 발생 |
피이지-8 비즈왁스(PEG-8 Beeswax) | 불투명 | 경도 낮음. 석출 발생 |
실리카 실릴레이트 (Silica Silylate) | 불투명 | 경도 낮음. 표면 분리 |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온에서 피이지-8에 유화안정화제의 종류에 따라 표면에 피이지-8이 표면에 배어 나오거나, 유화안정화제가 석출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는 유화안정화제와 피이지-8과의 용해도와 구조적인 특성 등에 의한 것으로, 제형의 안정도를 고려하여 유화안정화제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험을 통해 피이지-150 디스테아레이트, 세테아레스-20 또는 피이지-6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가 화장료 조성물의 가장 안정한 상을 유지시켜 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용하는 폴리올의 종류에 따라 유화안정화제의 투명성, 안정성 정도가 다르나, 폴리올의 점도가 낮은 경우 형성되는 제형의 점도가 낮은 것이 일반적이다.
각질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험예에서 선택된 유화안정화제 및 스크럽제를 사용하여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스크럽제로 소듐바이카보네이트를 사용하고 실시예의 신규한 유화안정화제와 비교예의 기존의 폴리올의 점증을 위해 사용되는 기존의 원료를 사용하여 그 물성을 비교하였다.
<제조 방법>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5 내지 6은 폴리올에 유화안정화제를 넣고 75℃까지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시키고 스크럽제를 넣어 충분히 분산시킨 후 40℃에서 용기에 배출하면 표면이 단단한 고형밤 성상의 제형이 형성된다. 비교예 1 내지 4는 실온에서 폴리올에 유화안정화제를 분산시키면서 투입하고 스크럽제를 투입하여 점도를 형성하였다.
성분명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1 | 2 | 3 | 4 | 5 | 6 | |
피이지-8 | To 100 | - | To 100 | To 100 | - | To 100 | - | To 100 | - |
글리세린 | - | To 100 | 20.0 | - | To 100 | - | To 100 | - | To 100 |
세테아레스-20 | 5.0 | 5.0 | 5.0 | - | - | - | - | - | - |
피이지-150 디스테아레이트 | 5.0 | 5.0 | 5.0 | - | - | - | - | - | - |
포타슘카보머 | - | - | - | 1.0 | 1.0 | - | - | - | - |
실리카 시릴레이트 | - | - | - | - | - | 5.0 | 5.0 | - | - |
폴리글리세릴-10 베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 | - | - | - | - | - | - | - | 5.0 | 5.0 |
폴리소르베이트 20 | - | - | - | 5.0 | 5.0 | 5.0 | 5.0 | 5.0 | 5.0 |
향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소듐바이카보네이트 | 40.0 | 40.0 | 40.0 | 40.0 | 40.0 | 40.0 | 40.0 | 40.0 | 40.0 |
실험예 2. 상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의 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25℃ 및 45℃에서 4주 동안 보관하면서 상(phase)의 분리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상 안정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냈으며,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다.
평가 방법
○ : 양호
Χ : 불안정
항목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1 | 2 | 3 | 4 | 5 | 6 | |
실온 | ○ | ○ | ○ | Χ | ○ | ○ | ○ | ○ | ○ |
45℃ 보관 | ○ | ○ | ○ | Χ | ○ | Χ | Χ | Χ | Χ |
상기 표 3의 상 안정성 평가에 있어서, 25℃ 4주 경시 견본의 경우, 비교예 1을 제외한 실시예 및 비교예 모두 안정함을 보였지만, 45℃ 4주 경시 견본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2를 제외하고는 모두 표면에 액이 배어 나오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이 비교예의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경시적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고온에서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의 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20 ~ 40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도포성, 마사지 용이성, 씻김성, 각질 제거력 및 사용 후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일반적인 각질제거용 제품의 사용방법에 따라 상기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로 얼굴을 마사지한 후, 도포성, 마사지 용이성, 씻김성에 대하여, '우수하다', '나쁘다' 중 한가지를 선택하도록 하였으며, 사용 후 만족도는 전반적인 제형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정리하여 표 4에 나타냈다.
평가 방법
◎ : 20명 중 15명 이상이 「우수하다」 라고 회답.
○ : 20명 중 10 ~ 14명 이상이 「우수하다」 라고 회답.
△ : 20명 중 6 ~ 9명 이상이 「우수하다」 라고 회답.
Χ : 20명 중 5명 이하가 「우수하다」 라고 회답.
- : 무응답
항목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1 | 2 | 3 | 4 | 5 | 6 | |
도포성 | ◎ | △ | ○ | - | △ | ○ | △ | ○ | △ |
마사지 용이성 | ◎ | △ | ○ | - | △ | △ | △ | ○ | △ |
씻김성 | ◎ | ◎ | ◎ | - | ◎ | ◎ | ◎ | △ | △ |
만족도 | ◎ | ○ | ○ | - | △ | △ | △ | △ | △ |
상기 표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에 비해 전반적으로 동일하거나 우월한 사용감을 보였으며, 특히, 비교예에 비해 탁월한 도포성과 마사지 용이성을 갖고 있고, 씻김성도 우수하여 비교예 대비 사용 후 만족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위의 표 3과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 안정성, 도포성, 마사지 용이성, 씻김성 및 사용 후 만족도 조사에서 실시예 1 내지 3 이 비교예 1 내지 6 보다 실온 및 고온에서 안정도가 향상되었고, 사용 시 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로서의 감성품질도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이 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로서 기존의 제형에 비해 탁월한 사용감을 가짐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