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세안제 {SKIN CLEANING COSMETIC COMPOSITIONS AND CLEANSER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세정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보습효과가 뛰어난 사용감을 나타내는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얼굴 노폐물과 메이컵 잔류물 등을 제거하거나 메이크업을 지우는 세안제 조성물을 말한다.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여 우수한 세정력을 목적으로 유분과 보습제를 배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계면에 흡착하여 계면의 자유에너지를 낮추어 계면의 성질을 현저히 변화시키는 물질로서, 한 분자 내에 물과 친화성을 갖는 친수성기와 오일과 친유성기를 동시에 갖는 양 친매성 물질을 말한다. 이는 크게 화학적으로 합성된 화학계면활성제와 천연유래의 천연계면활성제로 구분되며, 화학계면활성제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고분자계 계면활성제 등이 있고, 천연계면활성제에는 레시틴, 라놀린, 사포닌 및 미생물에서 추출되는 생계면활성제(biosurfactant) 등이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그 구조에 따라 유화, 가용화, 분산, 세정, 소포, 기포, 대전방지, 보습, 살균, 윤활 등의 기능을 가지며, 세탁제, 유연제 뿐만 아니라 화장품, 식품, 의약품, 윤활유 등 여러 공업분야에서 이용된다. 특히, 화장품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화장품의 주성분으로 사용되며, 화장품 내 계면활성제의 기능은 세정기능 (예컨대, 세안제, 모발 세정제, 신체 세정제 등에 사용됨), 유화제 기능 (예컨대, 크림, 로션 등에 사용됨), 가용화제 기능 (예컨대, 워터 베이스 제품에 향오일을 용해시킬 때 사용됨)이 있다. 화장료 분야에서 현재까지 많이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화학계면활성제이나, 이러한 화학계면활성제는 피부 자극이 크고 과다한 탈지성으로 각질층의 건조를 유발하여 피부를 거칠게 하며, 염증과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최근 피부의 자극을 최소로 하는 천연계면활성제를 개발하거나 상기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형을 유지할 수 있는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보고된 대부분의 천연계면활성제는 종류가 적고 대부분이 미생물 유래의 계면활성제이며, 화장품에 응용되는 예는 많지 않았다. 그 이유는, 생물유래 천연계면활성제를 화장품 분야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계면활성력이 우수한 동시에 성상이 안정하고 다른 원료와의 상용성이 좋으며 피부와의 친화성이 우수해야 하는데, 미생물 유래의 계면활성제들은 상기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먼지 및 피부 노폐물의 제거나 메이크업에 따른 유기물의 제거에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지만, 무기물이나 실리콘 등에 세정에는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계면활성제를 필수구성으로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일반적인 세정 효과뿐만 아니라 무기물에 대한 우수한 세정효과를 향상시킨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구체적인 선행기술을 보면, 일본의 가오 화장품 회사(KAO Corp.)는 토룰롭시스속(Torulopsis sp.) 효모로부터 당지질계 계면활성제인 소포로리피드(sophorolipids) 및 그 유도체를 생산하여 생물유화제 및 피부 보습제로서 화장품에 실용화하고 있다. 바실루스 폴리믹사(Bacillus polymyxa)라는 박테리아에 의해 생산되는 생체고분자(Biopolymer)도 화장품 및 샴푸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미합중국 특허 제4,329,448호). 또한 아시네토박터 칼로아세티쿠스CL(Acinetobacter calcoaceticus CL; KCTC 0081BP)로부터 분리한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화장료가 개발되어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5-0016701호). 그러나, 상기 천연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역시 분산성이 낮고, 제형화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천연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무기계 오염물에 대한 세정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피부에 대한 일반적인 세정효과 및 보습효과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무기계 오염물에 대한 세정 효과가 우수한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고, 보습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무기계 오염물을 포함한 오염원으로부터 피부 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세정력과 보습효과가 우수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세안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코올 0.01 내지 10중량% 및 하기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글리콜(glycol) 0.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다. [화학식 1] R 0 -OH (R 0 는 C 1 내지 C 10 의 알킬기이다) [화학식 2] R 1 -O-(R 2 -O)nR 3 (R 1 내지 R 3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 1 내지 C 10 의 알킬기이고, n은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코올은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글리콜은 에톡시디글리콜(Ethoxydiglycol), 디에톡시디글리콜(Diethoxydiglycol), 부톡시디글리콜(Butoxydiglyco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글리콜은 에톡시디글리콜 100 중량부, 그리고 상기 에톡시디글리콜에 대하여 디에톡시디글리콜 1 내지 100 중량부 및 부톡시디글리콜 1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점증제 및 pH조절제가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세안제는 상기 따른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코올 0.01 내지 10 중량% 및 하기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글리콜(glycol) 0.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다. [화학식 1] R 0 -OH (R 0 는 C 1 내지 C 10 의 알킬기이다) [화학식 2] R 1 -O-(R 2 -O)nR 3 (R 1 내지 R 3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 1 내지 C 10 의 알킬기이고, n은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코올은 화장료에 사용이 허용되는 알코올류 범위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코올은 화장료는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코올로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에탄올을 사용하는 경우 피부자극이 적고, 유기계 오염원에 대한 우수한 세정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기계 오염물은 유기계 화장료 및 기타 피부에 잔류할 수 있는 유기 오염물질을 통칭하는 것으로 본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코올이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유기물에 대한 용해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유기계 오염물에 대한 세정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하는 경우 알코올 함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피부보습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코올은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2 내지 7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높은 세정효과를 나타내면서도 피부 안정성 및 보습효과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글리콜은 폴리올류를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글리콜은 피부자극이 없어 민감한 피부나 건조한 피부에도 자극 없이 피부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보습효과가 우수하여 피부에 보습력을 높여줄 수 있다. 일반적인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의 계면활성제를 필수 구성으로 포함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건조한 피부를 형성하여 피부 보습 저하로 주름을 형성하거나 피부 자극으로 피부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피부 지질을 과도하게 벗겨 내기 때문에 피부 질환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미용상 또는 자외선을 막기 위한 용도로서 BB크림 또는 선크림 등의 유기계 화장료에 대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상기 유기계 화장료 제품에는 자외선차단 또는 기미, 잡티 등의 커버력을 강화하기 위한 용도로서 용도로 티타늄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등의 무기물질(이하, 무기계 화장료라 한다)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무기계 화장료는 피부에 대한 흡착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거나 지방산을 검화시킨 일반적인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로서는 세정 효과가 미미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세정되지 않아 피부에 잔류하는 무기계 화장료는 피부에 남아 모공을 막아 피부호흡을 방해하고, 모공에 침투하여 모공에 염증을 일으키기 때문에 치명적인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된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글리콜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피부자극이 없으면서도 먼지나 피부 노폐물 등 일반적인 피부 오염물 제거는 물론, 유기계 오염물을 용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기계 화장료 사용에 따른 오염물과 결합하여 피부에 잔류에는 다양한 오염원을 제거하여 피부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먼지나 피부 노폐물과 메이크업잔여물 등 일반적인 오염물 뿐만 아니라, 피부에 잔류하는 무기계 화장료에 대한 세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글리콜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원료 간에 원활한 분산을 가능하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글리콜로서 피부에 잔류에는 오염물의 제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계면활성제를 필수구성으로 포함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계면활성제 사용에 따른 피부트러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안정성이 보다 높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글리콜은 상기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글리콜이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세정력이 너무 저하되여 오염물질에 대한 세정 효과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정제수 및 다른 원료의 함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제형화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글리콜은 상기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2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피부 안정성 및 보습효과가 극대화 되면서 우수한 세정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글리콜은 에톡시디글리콜(Ethoxydiglycol), 디에톡시디글리콜(Diethoxydiglycol), 부톡시디글리콜(Butoxydiglyco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톡시디글리콜, 디에톡시디글리콜 및 부톡시디글리콜은 무기 분체 내지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무기계 화장료에 대한 세정력이 매우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글리콜은 에톡시디글리콜 100 중량부, 그리고 상기 에톡시디글리콜에 대하여 디에톡시디글리콜 1 내지 100 중량부 및 부톡시디글리콜 1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세정력이 매우 높은 장점을 나타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글리콜은 에톡시디글리콜 100 중량부, 그리고 상기 에톡시디글리콜에 대하여 디에톡시디글리콜 10 내지 50 중량부 및 부톡시디글리콜 5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보다 높은 세정력과 함께 우수한 온도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점증제 및 pH조절제가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상기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를 적정하게 유지하여 피부 도포력을 높이면서도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상기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점증제로 카보머(Cabom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점증제는 상기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1.5 중량%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7 중량%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따를 때,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글리콜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상기 특성을 고려할 때 피부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pH 조절제로서는 트리에타놀아민(triethanolamine)로서 상기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1.5 중량%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7 중량%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따를 때, 보다 높은 피부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세안제는 상기 따른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상기 세안제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티슈오프(Tissue off, 미용티슈로 닦아내는) 타입의 유성세안제와 워시오프(wash off, 물로 씻어내는) 타입의 수성세안제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세안제는 피부의 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화장료를 말한다. 상기 세안제는 피부표면의 땀, 먼지, 피부 노폐물이나 화장료 잔여물, 기타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건강한 피부상태를 유지하고 피부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불순물이 피부에 잔류하는 경우 모세혈관이 수축되어 혈액순환이 약화되고, 모공이 막히게 되어 신진대사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공급을 방해 받게 되어 각종 피부드러블과 피부 각화현상이 더욱 심해지고 과산화지질 등이 축적으로 조기 노화의 원인된다. 상기 화장료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므로, 상기 계면활성제 사용에 따른 피부트러블 등의 문제가 없으며, 상기 따른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높은 세정 효과과 함께 보습력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고, 보습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무기계 오염물 특히, 무기물질 및 실리콘류의 오염물을 포함한 다양한 오염원으로부터 우수한 피부 세정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세안제는 계면활성제 사용에 따른 피부질환 등의 문제가 없고 우수한 세정력과 보습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세정력 평가실험 결과에 관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 제조예 :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피부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조성으로서 실시예 1 내지 6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와 비교를 위하여 하기의 표 2 및 3에 기재한 바와 같은 조성으로, 비교예 1 내지 2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일반적인 피부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Ethoxydiglycol | 20.0 | - | - | 10 | - | 10 | Diethoxydiglycol | - | 20.0 | - | - | - | 3 | Butoxydiglycol | - | - | 20.0 | - | 10 | 7 | Carbomer | 0.5 | 0.5 | 0.5 | 0.5 | 0.5 | 0.5 | Triethanolamine | 0.5 | 0.5 | 0.5 | 0.5 | 0.5 | 0.5 | Ethanol | 5.0 | 5.0 | 5.0 | 5.0 | 5.0 | 5.0 | Methylparaben | 0.2 | 0.2 | 0.2 | 0.2 | 0.2 | 0.2 | Perfume | 0.2 | 0.2 | 0.2 | 0.2 | 0.2 | 0.2 | Glycerin | 5.0 | 5.0 | 5.0 | 5.0 | 5.0 | 5.0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단위: 중량%)
원료명 | 비교예 1 | Polyquaternium-10 | 0.1 | Sodium lauryl sulfate | 20.0 | Sodium laureth sulfate | 25.0 | Cocamidopropyl betain | 5.0 | Lauramide DEA | 2.5 | Citric acid | 0.2 | NaCl | 1.0 | Glycerin | 5.0 | Methylparaben | 0.2 | Perfume | 0.2 | 정제수 | 잔량 |
(단위: 중량%)
원료명 | 비교예 2 | Glycerin | 5.0 | Polysorbate 60 | 1.4 | Sorbitan sesquioleate | 0.5 | PEG-100 stearate | 0.8 | Glyceryl stearate | 2.0 | Cetearyl alcohol | 2.0 | Mineral oil | 45.0 | Microcrystalline wax | 1.5 | Xanthan gum | 0.5 | Methylparaben | 0.2 | Propylparaben | 0.1 | Phenoxyethanol | 0.5 | Perfume | 0.2 | 정제수 | 잔량 |
(단위: 중량%)
[ 실험예 1: 온도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온도별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4℃, 25℃, 37℃ 및 50℃에서 조성물의 상 유지 수준을 한달간 측정하는 방법으로 온도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상기 기준온도에서 점성있는 수성 또는 유성 세안제 조성물이 상을 유지하는 정도를 지수화 하여 판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온도 안정성을 평가하는 지수는 우수하면 5점, 약간의 경도 변화만 있으면 4점, 경도변화가 심하나 제형이 유지되면 3점, 경도변화가 심하고 제형에 약간의 이상이 있으면 2점, 제형에 심한 이상이 있으면 1점으로 하여 판단하였다.
온도 | 4℃ | 25℃ | 37℃ | 50℃ | 실시예 1 | 5점 | 5점 | 5점 | 4점 | 실시예 2 | 5점 | 5점 | 5점 | 4점 | 실시예 3 | 5점 | 5점 | 5점 | 4점 | 실시예 4 | 5점 | 5점 | 5점 | 4점 | 실시예 5 | 5점 | 5점 | 5점 | 4점 | 실시예 6 | 5점 | 5점 | 5점 | 5점 | 비교예 1 | 4점 | 5점 | 5점 | 3점 | 비교예 2 | 5점 | 5점 | 5점 | 3점 |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 의하는 경우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온도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특히 상기 50℃ 기준값은 생활환경 중 상대적으로 고온환경을 상정한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5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온도 안정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6의 경우에는 상기 50℃에서도 상기 비교에 1 및 2는 물론 실시예 1 내지 5에 비해서도 매우 높은 온도 안정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세정력 평가] 1. 표준 오염물질 세정력 평가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세정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준 오염물질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준 오염물질은 선제품이나 메이크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이산화티탄과 흑색의 산화철로 베이스로 하였고, 구체적으로는 이산화티탄 40중량%와 Dimethicone Copolyol 10중량%, Cyclomethicone 49중량%, 흑색의 산화철 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표중 오염물질은 화장료로 사용되는 물질로서 피부에 자극이 없고, 피부에 도포하고 세정 했을 경우 피부에 잔류물이 잘 보일 수 있도록 제조하였다. 표준 오염물질 세정력 평가는 우선 피시험자 팔뚝에 3cm x 3cm정도의 영역을 설정하여 앞에서 만든 표준오염물을 3.0±0.3mg/cm 2 으로 일정하게 도포하고 상온에서 40분간 건조시킨다. 오염물로 비교되는 견본간의 변별력을 나타내고자 이산화티탄과 눈에 잘 구분이 되게끔 흑색의 산화철을 분산,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2를 각각 1.0ml적용하여 클렌징기기로 일정한 힘으로 5회 반복운동 후 티슈로 잔존한 오염물질+시료를 압착하여 제거하였다. 오염물질의 잔존량은 색차계(Color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 세정력(%) | 실시예 1 | 87 | 실시예 2 | 72 | 실시예 3 | 86 | 실시예 4 | 65 | 실시예 5 | 62 | 실시예 6 | 78 | 비교예 1 | 43 | 비교예 2 | 54 |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은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우수한 세정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준 오염물질 세정력 평가 시험 에 따른 세정력은 실시예 1 > 실시예 3 > 실시예 6 >실시예 2 > 실시예 4 > 실시예 5 > 비교예 2 > 비교예 1의 순으로 세정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인체접포 세정력 평가 시험 상기 실험예 2의 표준 오염물을 가지고 인체의 손 상등부에 직접 도포한 후, 상기 실시예 3의 조성물을 가지고 세정 전, 후의 세정력을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직접 확인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피부 세정용 조성물이 우수한 세정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3: 사용감 평가] 점성있는 수성, 유성 세안제 조성물을 주로 사용하는 20~35세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점성있는 수성, 유성 세안제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후 각각의 사용감을 평가하게 하였다. 상기 사용감 평가는 사용편리성과 사용 후 피부상태에 대한 관능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종합하여 나타내었다. 이때 관능평가는 매우 우수(5점), 우수(4점), 보통(3점), 나쁨(2점), 및 매우 나쁨(1점)의 기준에 의거하여 수행하고 평점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1 평점 = {(매우 우수 인원수) x 5 + (우수 인원수) x 3 + (보통 인원수) x 1 + (나쁨 인원수) x (-3) + (매우 나쁨 인원수) x (-5) } / 평가 총 인원수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비교예 1 | 비교예 2 | 사용 편리성 | 3.65 | 3.60 | 3.62 | 3.60 | 3.58 | 3.61 | 3.55 | 2.42 | 사용후 세정된 느낌 | 3.95 | 3.75 | 3.92 | 3.25 | 3.31 | 3.86 | 2.85 | 3.01 | 사용후 피부느낌(촉촉함) | 3.87 | 3.92 | 3.90 | 3.65 | 3.61 | 3.70 | 2.45 | 3.02 | 전반적인 만족도 | 3.67 | 3.48 | 3.72 | 3.10 | 3.05 | 3.55 | 2.82 | 3.16 |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6은 비교예 1 및 2 보다 사용시 편리성 및 사용 후 세정된 느낌 및 사용 후 피부의 촉촉한 느낌에 대한 만족감도 우수하고 전반적인 만족도도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가 실시예 1, 3에 비해 사용 후 피부느낌(촉촉함)은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지만, 전체적으로 실시예 3이 실시예 1, 2에 비해 더 우수한 평가점수를 보여 실시예 3의 조성물이 더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