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자, 유근피 및 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申请号 | KR1020110077617 | 申请日 | 2011-08-04 | 公开(公告)号 | KR1020130015565A | 公开(公告)日 | 2013-02-14 | ||||||||||||||||||||||||||||||||||||||||||||||||||||||||||||||||||||||||||||||||||||||||||||||||||||||||||||||||||||||||||||||||||||||||||||||||||||
申请人 | (주)아모레퍼시픽; | 发明人 | 정종엽; 홍연주; 김연준; 한상훈; | ||||||||||||||||||||||||||||||||||||||||||||||||||||||||||||||||||||||||||||||||||||||||||||||||||||||||||||||||||||||||||||||||||||||||||||||||||||||||
摘要 | PURPOSE: An external use skin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of citron,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barks, and Salicornia herbacea is provided to enhance the expression of hyaluronic acid synthase2(HAS2) gene and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MMP-12. CONSTITUTION: An external use skin composition contains two or more kinds selected from extracts of citron,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barks, and Salicornia herbacea as active ingredients. The external use skin composition contains 0.0001-20 wt% of the extracts. The composition promotes hyaluronic acid generation and versican gene expression. The composition is used for moisturizing, enhancing elasticity, and preventing skin aging. [Reference numerals] (AA) HAS 2 gene expression; (BB) Comparative value(FOLD); (CC) Comparative embodiment 1; (DD) Comparative embodiment 2; (EE) Comparative embodiment 3; (FF) Comparative embodiment 4; (GG) Embodiment 1; (HH) Embodiment 2 | ||||||||||||||||||||||||||||||||||||||||||||||||||||||||||||||||||||||||||||||||||||||||||||||||||||||||||||||||||||||||||||||||||||||||||||||||||||||||||
权利要求 | 유자 추출물, 유근피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자 추출물, 유근피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20 중량% 로 함유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히알루론산 생성을 촉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버시칸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MMP-12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용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용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说明书全文 |
|
프라이머 이름 | 서열 |
HAS-2 정방향 프라이머 | 5'-TTTCTTTATGTGACTCATCTGTCTCACCGG-3' |
HAS-2 역방향 프라이머 버시칸 정방향 프라이머 버시칸 역방향 프라이머 MMP-12 정방향 프라이머 MMP-12 역방향 프라이머 | 5'-ATTGTTGGCTACCAGTTTATCCAAAGGG-3' 5'-GTCACCTTCCAACTATCCGGT-3' 5'-AGCACGGTAGTCCATTCTTTCT-3' 5'-GGAGTCCCCGATCTCCATCAT-3' 5'-ACGGTTCATGTCAGGTGTGTA-3' |
GAPDH 정방향 프라이머 | 5'-CAACTACATGGTTTACATGTTCC-3' |
GAPDH 역방향 프라이머 | 5'-GGACTGTGGTCATGAGTCCT-3' |
상기 프라이머는 SCI급 논문들을 토대로 제작하였다.
상기 추출된 총 RNA 1μg을 50mM 트리스-HCl(Tris-HCl, pH 8.3), 75mM KCl, 3mM MgCl 2 , 0.1M DTT, 10mM dNTP 및 40 유닛/μl RNase 저해제가 함유된 역전사 반응 완충액 25μl에 넣고, 0.5μg/μl 올리고(dT) 16 의 프라이머와 200 유닛 수퍼스크립트 II[SuperScript II, GiboBRL]의 역전사 중합효소를 첨가하여 42℃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역전사 반응 용액 2.5μl를 엠플리택(AmpliTaq) DNA 중합효소[0.04U; Perkin Elmer, Shelton, CT], 50mM 트리스(pH 8.3), 0.25mg/ml 우혈청알부민, 3mM MgCl 2 , 0.25mM dNTPs, SYBR 그린 I의 1/50,000 희석액[Molecular Probes, Eugene, OR]이 함유된 PCR 반응 완충액 50 리터에 섞고, 10μM의 프라이머를 첨가하여 94℃에서 30초간 변성, 53℃에서 30초간 어닐링 및 72℃에서 1분간 확장하는 사이클을 30회 수행하였다. 상대적인 mRNA 레벨은 아이사이클러(ICycler)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SYBR 그린 I 형광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분석하였다. 내부 표준물질로 GAPDH(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를 사용하여 유전자의 정량적 발현 수준을 보정하였다. HAS2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은 도 1에 나타내었고, 버시칸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유자, 유근피, 함초 추출물을 단독 처리한 경우(비교예 2~4), 상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하여 HAS2 유전자 및 버시칸 유전자의 발현량이 어느 정도 증가하였으나, 유자추출물과 유근피 추출물의 복합 처방을 사용한 실험군(실시예 1)의 경우에는 단독 처리군보다 소량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HAS2 유전자 및 버시칸 유전자의 발현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유자 유근피 및 함초 추출물의 복합 처방을 사용한 실험군(실시예 2)의 경우 역시 단독 처리군보다 소량을 사용했음에 도 불구하고 HAS2 유전자 및 버시칸 유전자의 발현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2종 복합추출물에 비하여도 현저한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유자추출물과 유근피 추출물을 복합 사용하면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복합 추출물에 함초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경우에는 히알루론산 합성을 보다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세포외기질 구조를 강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유자, 유근피, 함초 추출물 처리에 의한 HaCaT 세포에서의 MMP-12의 발현 감소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버시칸의 분해저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하여 버시칸 분해를 담당하는 MMP-12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mRNA 양에 의해 측정하였다.
단계 1. 세포주에 UV 및 추출물 처리
상기 시험예 1에서 배양된 HaCaT 세포를 1x10 6 개의 밀도로 100mm 세포 배양 접시에 분주하여 배양하였고, FS40 램프[Westinghouse, Pittsburgh, PA, USA]를 이용하여 자외선 B를 10mJ/cm2로 조사한 후, 상기 분주하여 배양된 세포를 디메틸설폭시드(Dimethylsulfoxide;DMSO)를 처리한 배지(비교예 6), 상기 제조예 1~3의 추출물들을 디메틸설폭시드에 녹인 상태로 유자추출물(비교예 7), 유근피추출물(비교예 8), 함초추출물(비교예 9)을 각각 10ppm씩 처리한 배지, 상기 제조예 1,2의 추출물들을 디메틸설폭시드에 녹인 상태로 유자추출물 및 유근피추출물을 혼합하여 총 5ppm 의 복합추출물을 처리한 배지(실시예 3), 유자추출물, 유근피추출물 및 함초추출물을 혼합하여 총 5ppm 의 복합추출물을 처리한 배지(실시예 4)에서 37℃, 5% CO 2 배양기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때, 대조군은 UV를 조사하지 않은 샘플을 사용하였다(비교예 5).
단계 2. 정량적인 역전사 PCR 을 통한 MMP -12 유전자의 mRNA 합성 감소 확인
상기 세포를 회수하여 냉각된 4℃인산완충용액(PBS)으로 세척하고, TRIzol™ 시약 (Life Technologies, Inc.) 1 ml을 첨가하여 총 RNA를 추출하여 정량적인 실시간 DNA 연쇄중합반응을 수행하였다.
상기 추출된 총 RNA 1μg을 50mM 트리스-HCl(Tris-HCl, pH 8.3), 75mM KCl, 3mM MgCl 2 , 0.1M DTT, 10mM dNTP 및 40 유닛/μl RNase 저해제가 함유된 역전사 반응 완충액 25μl에 넣고, 0.5μg/μl 올리고(dT) 16 의 프라이머와 200 유닛 수퍼스크립트 II[SuperScript II, GiboBRL]의 역전사 중합효소를 첨가하여 42℃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역전사 반응 용액 2.5μl를 엠플리택(AmpliTaq) DNA 중합효소[0.04U; Perkin Elmer, Shelton, CT], 50mM 트리스(pH 8.3), 0.25mg/ml 우혈청알부민, 3mM MgCl 2 , 0.25mM dNTPs, SYBR 그린 I의 1/50,000 희석액[Molecular Probes, Eugene, OR]이 함유된 PCR 반응 완충액 50 리터에 섞고, 10μM의 프라이머를 첨가하여 94℃에서 30초간 변성, 53℃에서 30초간 어닐링 및 72℃에서 1분간 확장하는 사이클을 30회 수행하였다. 상대적인 mRNA 레벨은 아이사이클러(ICycler)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SYBR 그린 I 형광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분석하였다. 내부 표준물질로 GAPDH(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를 사용하여 유전자의 정량적 발현 수준을 보정하였다. 결과로서 MMP-12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유자, 유근피, 함초 추출물을 단독 처리한 경우(비교예 7~9), 상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비교예 6 에 비하여 MMP-12 유전자의 발현량이 어느 정도 감소하였으나, 유자추출물과 유근피 추출물의 복합 처방을 사용한 실험군(실시예 3)의 경우에는 단독 처리군보다 소량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MMP-12 유전자의 발현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유자 유근피 및 함초 추출물의 복합 처방을 사용한 실험군(실시예 4)의 경우 역시 단독 처리군보다 소량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MMP-12 유전자의 발현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2종 복합추출물에 비하여도 현저한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유자추출물과 유근피 추출물을 복합 사용하면 MMP-12 유전자의 발현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세포외기질 구조를 강화하는 버시칸의 분해를 억제할 수 있으며, 상기 복합 추출물에 함초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경우에는 버시칸의 분해를 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써 세포외기질 구조를 강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유자 추출물, 유근피 추출물 및 함초 추출물에 의한 HaCaT 세포에서의 히알루론산 생성 증가
상기 시험예 1에서 배양된 세포주에 트립신을 처리하여 단일세포 현탁액을 만들고, T75 플라스크에 세포 1x10 6 개의 밀도로 분주하여, 37℃, 5% CO 2 배양기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분주하여 배양된 세포를 디메틸설폭시드(Dimethylsulfoxide;DMSO)를 처리한 배지(비교예 10), 상기 제조예 1~3의 추출물들을 디메틸설폭시드에 녹인 상태로 유자추출물(비교예 11), 유근피추출물(비교예 12), 함초추출물(비교예 13)을 각각 10ppm씩 처리한 배지, 상기 제조예 1, 2의 추출물들을 디메틸설폭시드에 녹인 상태로 유자추출물 및 유근피추출물을 혼합하여 총 5ppm 의 복합추출물을 처리한 배지(실시예 5), 유자추출물, 유근피추출물 및 함초추출물을 혼합하여 총 5ppm 의 복합추출물을 처리한 배지(실시예 6)에서 37℃, 5% CO 2 배양기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 시간 경과 시점에서 상기 세포 배양액을 회수하여 15,0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침강된 세포를 제거하고 상층액을 얻어 에첼론 생명과학 회사 (Echelon Bioscience, Salt Lake, UT)회사의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히알루론산 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유자, 유근피, 함초 추출물을 단독 처리한 경우(비교예 11~13), 상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비교예 10 에 비하여 히알루론산의 양이 어느 정도 증가하였으나, 유자추출물과 유근피 추출물의 복합 처방을 사용한 실험군(실시예 5)의 경우에는 단독 처리군보다 소량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히알루론산의 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유자 유근피 및 함초 추출물의 복합 처방을 사용한 실험군(실시예 6)의 경우 역시 단독 처리군보다 소량을 사용했음에도 히알루론산의 양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2종 복합추출물에 비하여도 현저한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유자추출물과 유근피 추출물을 복합 사용하면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복합 추출물에 함초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경우에는 히알루론산 합성을 보다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세포외기질 구조를 강화시킬 수 있으며, 히알루론산 감소로 인한 피부 탄력 저하 및 수분 함유량 감소를 예방할 수 있다.
[제형예 1] 영양화장수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 (중량%) |
유자 추출물 | 10 |
유근피 추출물 | 10 |
함초 추출물 | 10 |
스쿠알란 | 5.0 |
밀납 | 4.0 |
폴리솔베이트 60 | 1.5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1.5 |
유동파라핀 | 0.5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 5.0 |
글리세린 | 3.0 |
부틸렌글리콜 | 3.0 |
프로필렌글리콜 | 3.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 |
트리에탄올아민 | 0.2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정제수 | 잔량 |
합계 | 100 |
[제형예 2] 영양크림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 (중량%) |
유자 추출물 | 10 |
유근피 추출물 | 10 |
함초 추출물 | 10 |
폴리솔베이트 60 | 1.5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5 |
PEG60 경화피마자유 | 2.0 |
유동파라핀 | 10.0 |
스쿠알란 | 5.0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 5.0 |
글리세린 | 5.0 |
부틸렌글리콜 | 3.0 |
프로필렌글리콜 | 3.0 |
트리에탄올아민 | 0.2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정제수 | 잔량 |
합계 | 100 |
[제형예 3] 팩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 (중량%) |
유자 추출물 | 10 |
유근피 추출물 | 10 |
함초 추출물 | 10 |
폴리비닐알콜 | 13.0 |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 0.2 |
글리세린 | 5.0 |
알란토인 | 0.1 |
에탄올 | 6.0 |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 0.3 |
폴리솔베이트 60 | 0.3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정제수 | 잔량 |
합계 | 100 |
[제형예 4] 연고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 (중량%) |
유자 추출물 | 10 |
유근피추출물 | 10 |
함초 추출물 | 10 |
정제수 | 잔량 |
글리세린 | 8.0 |
부틸렌글리콜 | 4.0 |
유동파라핀 | 15.0 |
베타글루칸 | 7.0 |
카보머 | 0.1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 3.0 |
스쿠알란 | 1.0 |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 1.5 |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 0.4 |
스테아릴 알코올 | 1.0 |
방부제 | 적량 |
향 | 적량 |
색소 | 잔량 |
밀랍 | 4.1 |
합계 |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