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색소의 변색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기간을 지시하는 화장료 조성물

申请号 KR1020110049920 申请日 2011-05-26 公开(公告)号 KR1020120131621A 公开(公告)日 2012-12-05
申请人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发明人 김은영; 정원욱; 이의정; 진무현;
摘要 PURPOSE: A cosmetic composition which indicates expiration by a color change of a natural dye is provided to confirm expiration of the composition with the naked eye and to ensure convenience. CONSTITUTION: A cosmetic composition which indicates expiration by a color change of a natural dye contains 0.00001-1.0 wt% of the natural dye which prevents oxidation. The natural dye includes a Monascus color, a red cabbage color, a carthamus yellow, anthocyanin dye, green tea dye, cacao dye, or Lithospermum erythrorhizon dye. The cosmetic composition is preservative-free or contains 1.0 wt% or less of preservatives.
权利要求
  • 화장료 조성물의 산화를 방지하는 천연색소를 포함하고, 화장료의 유효기간의 만료 시점을 천연색소의 변색 발생 시점으로 지시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색소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0.00001 ~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색소는 홍국적색소, 적양배추색소, 홍화황색소, 안토시아닌색소, 녹차색소, 치자그린색소, 카카오색소 및 자초색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색소인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색소의 변색 발생 시점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일로부터 7일 ~ 60일 사이인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무방부제 또는 1.0 중량% 이하의 방부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기간 만료 시점은 상기 천연색소의 함량 조절에 의하여 결정되는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색소의 IC 50 이 100 ppm 이하인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0℃ ~ 10℃ 이하의 온도 하에서 보관하여 사용하는 방법.
  • 说明书全文

    천연색소의 변색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기간을 지시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INDICATING DISTRIBUTION PERIOD OF COSMETIC COMPOSITIION WITH DISCOLORATIION OF NATURAL PIGMENT}

    천연색소의 변색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기간을 지시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방부제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화장료로서, 유통기간 또는 유효기간 만료시점을 천연색소의 색상 변화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시키기 위해 인체에 도포, 산포 기타 이들에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적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화장품은 사용부위, 사용목적 또는 제품의 구성성분 및 형상 등에 의해 일반적으로 스킨 케어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케어 화장품, 헤어케어 화장품, 구강용 화장품, 방향 화장품 등으로 구분된다.

    최근의 화장품은 웰빙(well being)을 추구하는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천연성분들을 함유하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천연성분들은 피부 자극도가 정제된 다른 화장품 원료보다 높을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변색 및 변취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정제된 화장품 원료에 비해 매우 높다.

    화장료 조성물이 상온에 노출될 경우 화장료 조성물 성분의 산화가 발생하며, 화장료 조성물 내의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변화에 의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이 변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장품의 외관이 변화되어 유통기한을 인지시켜 줄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이 필요하다.

    화장료 조성물의 유통기간 또는 유효기간 만료시점을 천연색소의 색상 변화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산화를 방지하는 천연색소를 포함하고, 화장료의 유효기간의 만료 시점을 천연색소의 변색 발생 시점으로 지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천연색소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0.00001 ~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천연색소는 홍국적색소, 적양배추색소, 홍화황색소, 안토시아닌색소, 녹차색소, 치자그린색소, 카카오색소 및 자초색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색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천연색소의 변색 발생 시점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일로부터 7일 ~ 60일 사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무방부제 또는 1.0 중량% 이하의 방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기간 만료 시점은 상기 천연색소의 함량 조절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천연색소의 IC 50 이 100 pp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0℃ ~ 10℃ 이하의 온도 하에서 보관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내에 포함된 천연색소의 고유 색이 변경되는 시점을 조절함으로써, 화장료의 유통기간을 설정할 수 있고 아울러 소비자가 화장료의 유효기간 만료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가 냉장 보관을 필요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상온에서 사용하는 경우 천연색소가 화장료 조성물의 산화를 방지하고 천연색소 자체가 산화됨으로써 천연색소의 변색이 촉진되므로, 천연색소의 함량 또는 농도에 따라 유통기간의 만료 시점이 가변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가 화장품의 유통기간을 확인함으로써 최적의 상태에 있는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무방부제 또는 거의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이어서 유아용 화장료로서의 가치도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하의 내용들은 실시예적인 기재들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청구항 내용에 의하여 정의될 뿐 이하의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산화를 방지하는 천연색소를 포함하고, 화장료의 유효기간의 만료 시점을 천연색소의 변색 발생 시점으로 지시한다. 항산화력을 갖는 천연색소의 고유색이 변경되는 시점을 화장료 조성물의 유통기한으로 설정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력을 갖는 천연색소를 포함하며, 상기 항산화력을 갖는 천연색소는 홍국적색소, 적양배추색소, 홍화황색소, 안토시아닌색소, 녹차색소, 치자그린색소, 카카오색소 및 자초색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색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의 유효기간의 만료 시점을 천연색소의 변색 발생 시점으로 지시한다. 천연색소는 그 자체의 고유색을 가지고 있으나, 상온의 공기중에 노출됨으로써 산화되어 변색 및 탈색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천연색소의 변색 현상은 화장료 조성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천연색소의 함량 또는 농도에 의해 촉진 또는 억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장료 조성물의 유통기간 또는 유효기간을 조절할 수 있다. 천연색소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0.00001 ~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산화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천연색소의 색상 변화를 지연시켜 화장료의 유효기간의 만료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산화방지제는 천연색소에 비하여 산화방지력이 더욱 우수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산화에 의한 변색, 변취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산화방지제가 그의 역할을 다하게 되면, 그 이후에 천연색소가 변색되기 때문에, 화장료 제조사가 원하는 화장료의 유효기간의 만료시점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1.0 중량% 이하의 방부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통기간이 짧고 나아가 화장료를 상온에서 사용하는 시간 외에는 냉장 보관을 필요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0.0001 ~ 0.5 중량% 이하인 극미량의 방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상온에서 화장료를 방치할 경우 항산화력을 갖는 천연색소에 의해 화장료의 부패가 늦어질 수는 있으나, 천연색소의 항산화력이 그 기능을 다한 경우에는 화장료의 부패가 급격히 촉진되어 화장료의 유효기간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력을 갖는 천연색소를 포함한다. 천연색소는 화장료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소비자에게 무해하다. 또한, 천연색소의 변색으로 인해 화장료의 유통기간이 설정될 수 있도록 소비자에게 지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성분이다. 즉, 화장료 조성물이 상온에 노출된 경우 항산화력을 갖는 천연색소로 인해 화장료 조성물의 산화가 방지되나 천연색소 자체가 산화되어 천연색소의 고유 색상이 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천연색소의 항산화력이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면 화장료 조성물은 탈색되거나 짙은 색상의 내용물로 변색된다. 결국, 천연색소가 항산화력을 잃게 되면 화장료 조성물의 내용물도 함께 산화가 진행되므로, 예를 들어 백색의 유화물들이 황색으로 변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항산화력을 갖는 천연색소의 함량 또는 농도의 조절은 소비자에게 화장료 조성물의 유통기간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한다. 결국, 천연색소의 함량 또는 농도를 조절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산화를 방지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항산화력을 갖는 천연색소는 천연색소의 색상이 변경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화장료의 사용을 중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색상 인디케이터(indicato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색상 인디케이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천연색소는 천연색소의 IC 50 이 100 ppm 이하일 수 있다. IC 50 은 천연색소의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하나의 기준이며, 청남색의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Sigma) 라디칼 소거 작용에 필요한 농도로써, 라디칼의 50%를 소거시킬 수 있는 농도이다.

    IC 50 의 수치가 작을수록 라디칼 소거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즉, 적은 양 또는 농도의 항산화제가 일정량의 라디칼 50%의 양을 소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높은 항산화력을 갖고 있다. 천연색소의 IC 50 은 100 ppm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pp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0℃ ~ 10℃ 이하의 냉장 조건 하에 보관하여 사용하는 화장료로서, 대략 7일 ~ 60일의 유통 기간을 갖는다. 짧은 유통기간을 고려하여, 이러한 화장료는 배달 형식의 유통 방법을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기재일 뿐 하기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는 천연색소로서 홍국적색소, 적양배추색소, 홍화황색소, 안토시아닌색소, 녹차색소, 치자그린색소, 카카오색소 및 자초색소를 사용하였으며, 비교예로는 α-토코페롤 및 L-아스크로브산을 사용하였다.

    천연색소가 산화를 방지하는 효과, 즉 항산화능을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Sigma)에 대한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으로 MS 블로이스의 방법(MS Blois, Nature, 25:1199, 1958)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DPPH가 라디칼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 청남색을 띄고 있으며, 파장 517 nm에서 특징적으로 흡광도를 나타낸다. 이들 라디칼이 소거되어 점차 라디칼의 양이 줄어들면 파장 517 nm에서의 흡광도가 줄어들게 되며, 라디칼이 완전히 제거된 후에는 흡광도가 나타나지 않고, 청남색을 띄지 않아서 천연색소의 탈색 현상이 나타난다. DPPH와 천연색소가 혼합된 상태에서 용액색상은 이들 고유의 색상이 서로 혼합된 색상으로 발현된다.

    결국, 천연색소와 DPPH의 혼합 용액에서 청남색의 DPPH 라디칼이 소거되는 경우에 맑은 용액으로 변하게 되고, 파장 517 nm에서 흡광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IC 50 을 얻기 위해 적정 농도로 계열희석(5단계) 하여 조제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계열희석(5단계)는 각각의 천연색소 추출물 용액 제조시 초기 고농도의 용액으로 제조하여 1차 EDA(%)를 측정하며, 이후에 다시 용액을 50%로 희석한 후 EDA(%)를 측정하는 실험을 5회에 걸쳐 희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계열희석(5단계)는 IC 50 을 얻기 위한 천연색소 추출물 용액의 적정농도를 구하는 방법이다.

    DPPH는 3.94 mg을 메탄올에 녹여 50 ㎖가 되게 부피를 조절하여 최종 반응 농도가 0.1 mM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100 ㎕의 메탄올 원액에 농도별 시험물질 100 ㎕를 넣어 시험물질의 고유색을 보정하였고, 100 ㎕의 0.2 mM DPPH 용액에 100 ㎕ 3차 증류수를 넣어 공시험군을 준비하여, 3회 반복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천연색소의 종류에 따른 IC 50 값을 하기의 표 1에 정리하였다.

    색소의 종류 IC 50 (ppm)
    홍국적색소 35
    적양배추색소 46
    홍화황색소 69
    안토시아닌색소 48
    녹차색소 79
    치자그린색소 68
    카카오색소 45
    자초색소 15
    α-토코페롤 6.99
    L-아스크로브산 1.25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천연색소 중에서 자초색소의 IC 50 이 가장 적어서 항산화력이 가장 강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천연색소들 모두 IC 50 이 100 ppm 이하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내에 포함되어 색상 인디케이터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