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두둑용 비닐수거기

申请号 KR1020070088917 申请日 2007-09-03 公开(公告)号 KR1020090023845A 公开(公告)日 2009-03-06
申请人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发明人 황정동; 배석복; 강철환; 성재덕; 심강보; 서득용; 장익주; 김태수;
摘要 A vinyl collecting device is provided, which makes the vinyl collected more easily by gathering the collected vinyl to the end of the ridge between fields using a collection fork. A vinyl collecting device comprises: a main frame(10) which is fixed to the rear of a cultivator; a digging part(20) which is supported in the main frame and digs both side end points of the vinyl buried in the ground; and a collecting part(30) which is supported in the main frame and gathers the vinyl. The digging part is combined with the rearward pipe of the main frame by the medium of a clamp and comprises first and second perpendicular frames in which a number of pinholes are pun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which are fix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and second perpendicular frames.
权利要求
  • 관리기 후방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된 채 땅속에 묻혀있는 비닐의 양쪽 단부를 굴취하여 주는 굴취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된 채 굴취된 비닐을 끌어 모으는 수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두둑용 비닐수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취부는, 클램프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 파이프 양쪽에 지지되는 제 1, 2 수직프레임; 상기 제 1, 2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각각 고정되되, 앞쪽이 예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굴취하기 좋은 모양을 갖는 제 1, 2 굴취보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두둑용 비닐수거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상기 제 1, 2 수직프레임 상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2 축부재; 상기 제 1, 2 축부재 상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비닐의 양쪽을 끌어 모으는 제 1, 2 수집갈퀴; 상기 제 1, 2 축부재 사이에 위치한 채,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는 제 3 축부재; 상기 제 3 축부재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비닐의 중앙을 끌어 모으는 제 3 수집갈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두둑용 비닐수거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 파이프 일측단에, 일단이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 파이프 타측단에 후크 결합되어, 상기 제 1, 2, 3 수집갈퀴가 올려진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차단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두둑용 비닐수거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2 수직프레임에 각각 조립되는 제 1, 2 접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두둑용 비닐수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 파이프의 둘레에 조임볼트의 조임력에 의해 결합되는 수평관부와, 상기 제 1, 2 수직프레임의 둘레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제 1, 2 수직프레임에 형성되는 수 개의 핀홀중 선택된 핀홀과 핀이 결합되는 수직관부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두둑용 비닐수거기.
  • 说明书全文

    밭두둑용 비닐수거기{A apparatus of removing vinyl use ridge}

    본 발명은 밭의 두둑에 덮어 놓은 비닐을 손쉽게 수거하기 위한 밭두둑용 비닐수거기에 관련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비닐 굴취(掘取)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흙에 묻힌 비닐의 양쪽을 굴취하여 주고, 굴취한 비닐을 수집 갈퀴에 의해 두둑의 끝으로 모아줌으로써 비닐을 보다 용이하게 전량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을 둔 밭두둑용 비닐수거기에 관한 것이다.

    밭작물을 파종하거나 심기 위해서는 관리기 등의 농기계를 이용하여 밭에 두둑 및 고랑을 만들고, 두둑에는 수분증발 및 잡초의 성장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비닐을 피복한다. 비닐을 피복 한 후 비닐이 바람에 의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의 양단부를 고랑의 흙을 이용하여 덮음으로써 단단히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비닐에 일정간격으로 구멍을 뚫고, 이 구멍을 통해 모종 또는 종자를 심게 된다. 한편, 밭작물을 수확한 후에는 비닐도 수거해야 하는데, 종전에는 작업자가 직접 괭이로 비닐의 양단부 상에 있는 흙을 걷어낸 후 비닐을 잡아당겨 수거하였다. 그 러나, 인력에 의한 수거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어서 간편하게 비닐을 수거할 수 있는 기계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이에, 국내특허등록 제10-591484호에서는 트랙터의 후위에 견인 설치되어 비닐을 자동으로 수거해 주는 트랙터 부착형 비닐수거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종래의 비닐수거기는 도 1에서와 같이 트랙터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메인프레임(1)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되어 지면의 피복된 비닐을 긁어 모으는 수거부(3)와, 상기 수거부를 상,하 진동시키는 진동부(5)로 구성된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비닐수거기의 가장 큰 맹점은 흙에 묻혀있는 비닐의 양쪽단부를 흙으로부터 파헤쳐서 굴취할 수 있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단순히 비닐을 잡아당겨 수거하는 기능만을 하게 된다. 비닐의 양단부를 덮고 있는 흙은 재배 기간 동안 단단하게 굳어져 있기 때문에 단순히 비닐을 잡아당기는 기능만으로 비닐을 제거할 경우는 비닐이 찢어지기 쉽고, 이로 인해 찢긴 비닐이 밭에 그대로 남게 되어 완전한 비닐수거가 어렵게 되며 잔류 비닐을 수거하기 위한 별도의 노동력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비닐수거기는 트랙터에 설치된 채 사용되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수거작업을 완료한 이후에 다음 수거작업을 위해 이동 중 일 때는 트랙터에 의해 비닐수거기를 들어올려서 작업을 중지하고, 재작업시에는 비닐수거기를 밭에 내려놓고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트랙터에 의한 비닐수거기의 승강 작동은 숙련자여야만 가능하므로 반드시 숙련된 운전자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비닐수거기를 들어올렸다가 내려놓을 때 적당한 위치에 내려놓아야 비닐수거작업이 제대로 되기 때문이다. 비닐수거기를 너무 내리면 수거날(3a)이 땅속에 박히면서 흙을 심하게 파헤치게 되므로 부하가 크게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동력소모의 증가는 물론 비닐수거기의 수명을 단축하는 원인이 된다. 반대로 비닐수거기를 덜 내리게 되면 수거날(3a)이 비닐을 수거하지 못하게 되므로 수거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물론,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수거날(3a)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는 있으나, 여러 개의 수거날을 일일이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시간적으로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닐 굴취 보습을 구비하고 있어서 흙에 묻힌 비닐의 양쪽을 굴취하고, 굴취한 비닐을 수집갈퀴에 의해 두둑의 끝으로 모아줌으로써 비닐을 보다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두둑용 비닐수거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수집갈퀴의 접철 조작이 손쉽고 간단한 밭두둑용 비닐수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리기 후방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된 채 땅속에 묻혀있는 비닐의 양쪽 단부를 굴취하여 주는 굴취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된 채 굴취된 비닐을 끌어 모으는 수거부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굴취부는, 클램프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 파이프 양쪽에 지지되는 제 1, 2 수직프레임; 상기 제1, 2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각각 고정하고, 앞 쪽이 예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굴취하기 좋은 모양을 갖는 제1, 2 굴취 보습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수거부는, 상기 제1, 2 수직프레임 상에 각각 고정되는 제1, 2 축부재; 상기 제1, 2 축부재 상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비닐의 양쪽을 끌어 모으는 제1, 2 수집갈퀴; 상기 제1, 2 축부재 사이에 위치한 채,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는 제3 축부재; 상기 제 3 축부재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비닐의 중앙을 끌어 모으는 제3 수집갈퀴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 파이프 일측단에, 그 일단이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 파이프 타측단에 후크 결합되어, 상기 제1, 2, 3 수집갈퀴가 올려진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차단바를 더 포함한다. 제 1, 2 수직프레임에 각각 조립되는 제 1, 2 접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 파이프의 둘레에 조임볼트의 조임력에 의해 결합되는 수평관부와, 상기 제1, 2 수직프레임의 둘레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제1, 2 수직프레임에 형성되는 수 개의 핀홀 중 선택된 핀홀과 핀 결합되는 수직관부가 일체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비닐 굴취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흙에 묻힌 비닐의 양쪽을 굴취하여 주는 기능에 의해 비닐을 수월하게 수거할 수 있고, 지면에 비닐조각이 남지않게 되어 별도의 노동력이 필요 없으므로 경제적이고 편리하다. 또한, 수집갈퀴의 접철이 손쉽고 간단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닐수거기는 관리기의 후방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10)과,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지지되어 땅속에 묻혀 있는 비닐의 양쪽 단부를 굴취하여 주는 굴취부(20)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되어 굴취된 비닐을 끌어 모으는 수거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관리기(미도시)의 후방에 견인상태가 되도록 설치되며, 도면에서 보듯이 사각 파이프를 장방형으로 용접시켜 구성된다. 여기서, 메인프레임(10)의 후방 파이프(12)는 전방이나 측방의 파이프에 비해 약간 길게 구성하여 후술될 차단바의 용이 설치가 가능토록 하였다.

    상기 굴취부(20)는 클램프(40)를 매개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후방 파이프(12)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수 개의 핀홀(22a,24a)이 천공되어 있는 제 1, 2 수직프레임(22,24)과, 상기 제 1, 2 수직프레임(22,24)의 하단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2 굴취보습(26,28)으로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40)는 상기 후방 파이프(12)의 둘레에 조임볼트(46)에 의해 조임 결합되는 수평관부(42)와, 상기 제 1, 2 수직프레임(22,24)의 둘레에 끼워진 채 상기 제 1, 2 수직프레임에 천공된 수 개의 핀홀(22a,24a) 중에서 선택된 핀홀과 핀이 결합되는 수직관부(44)가 일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클램프(40)는 수평상의 후방 파이프(12)와 수직상의 각 수직프레임(22,24) 을 효과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조임볼트(46)의 조임 여부에 따라 후방 파이프(12)를 따라 위치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각 수직프레임(22,24)의 설치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2 굴취보습(26,28)은 흙을 파헤쳐서 비닐의 양단을 굴취해야 하므로 흙을 파헤치기 용이한 형태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2 굴취보습(26,28)은 앞쪽이 삼각뿔과 같이 예리한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거부(30)는 상기 제 1, 2 수직프레임(22,24) 상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2 축부재(32,33)와, 상기 제 1, 2 축부재 상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비닐의 양쪽을 끌어 모으는 작용을 하는 제 1, 2 수집갈퀴(34,35)와, 상기 제 1, 2 축부재(32,33) 사이에 위치한 채 상기 메인프레임(10)에 고정되는 제 3 축부재(36)와, 상기 제 3 축부재(36)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비닐의 중앙을 끌어 모으는 작용을 하는 제 3 수집갈퀴(37)로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후방 파이프(12) 일측단에, 일단이 탄성부재(39)(도면에서 코일스프링으로 도시되어 있음)에 의해 탄력 결합되고, 상기 후방 파이프(12)의 타측단에, 타단이 후크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 1, 2, 3 수집갈퀴(34,35,37)가 접철된 상태(올려진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차단바(3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차단바(38)는 제 1, 2, 3 수집갈퀴(34,35,37)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타단의 후크부(38a)를 후방 파이프(12)의 타측단에 걸어 고정하여 상기 각 수집갈퀴가 내려오지 않도록 차단하고, 상기 각 수집갈퀴를 사용할 때는 후크부(38a)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수집갈퀴를 밑으로 내려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탄성부재(39)는 후크부를 결합 및 해제할 때 용이하게 하는 기능과, 후크부의 고정을 해제하였을 때 차단바(38)의 일단은 후방 파이프(12)에 매달려 있도록 하는 행거(hanger)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차단바(38)를 설치 및 해체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든 적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 1, 2 수직프레임(22,24)에는 비닐수거기가 안정적으로 운행되도록 하기 위해, 비닐수거기의 운행시 지면과 접지상태에 있는 접지부(50)가 설치된다. 상기 접지부(50)는 제 1, 2 수직프레임(22,24)의 체결편(22b,24b)에 볼트 조립되는 브라켓(52)과, 상기 브라켓의 하단에 볼트 조립되는 접지판(54)을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52)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체결공(52a)이 천공되어 있어서 접지판(54)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비닐수거기에 대한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리기의 후방에 비닐수거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관리기를 운전하게 되면, 비닐수거기의 양측에 위치하는 굴취부(20)의 제 1, 2 굴취보습(26,28)이 흙으로 덮여있는 비닐의 양단을 파헤쳐서 비닐이 찢기지 않고 용이하게 수거되도록 하고, 이어서 굴취부(20)의 바로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수거부(30)의 수집갈퀴가 관리기의 진행방향으로 끌어 모으게 된다.

    이때, 상기 비닐의 양단은 제 1, 2 수집갈퀴(34,35)에 의해 끌어 모아지고, 비닐의 중앙은 제 3 수집갈퀴(37)에 의해 끌어 모이게 되어, 결국 모든 비닐을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2, 3 수집갈퀴(34,35,37)는 유선형으로 되어서 비닐을 수집갈퀴 안쪽에 무리없이 포집되게 함으로써 비닐을 간편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각 수집갈퀴는 제 1, 2, 3 축부재(32,33,36)으로 부터 분해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정 수집갈퀴의 훼손시 새로운 수집갈퀴로 교체하기가 간편하다.

    밭두둑의 비닐을 모두 수거한 다음에는 제 1, 2, 3 수집갈퀴(34,35,37)는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접철을 해야 한다. 접철시에는 각 수집갈퀴를 위로 회전시킨 후 일단이 후방 파이프(12)의 탄성부재(39)에 매달려 있는 차단바(38)로 타단에 형성된 후크부(38a)를 후방 파이프(12)의 일측에 걸어서 고정한다. 그러면, 상기 각 수집갈퀴(34,35,37)는 차단바(38)에 걸려서 더 이상 아래로 내려오지 못하고 절첩된 상태가 되므로 비닐수거기의 이동이 수월해 진다.

    도 1은 종래 비닐수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수거기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수거기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수거기에 있어서 굴취부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수거기에 있어서 비닐 수거작용을 측면에서 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프레임 12 : 후방 파이프 20 : 굴취부

    22,24 : 제 1, 2 수직프레임 26,28 : 제 1, 2 굴취날

    30 : 수거부 32,33,36 : 제 1, 2, 3 축부재

    34,35,37 : 제 1, 2, 3 수집갈퀴 38 : 차단바 39 : 탄성부재

    40 : 클램프 42: 수평관부 44 : 수직관부 46 : 조임볼트

    50 : 접지부 52 : 브라켓 54 : 접지판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