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뮴 나노클러스터 형성에 따른 형광세기를 이용한 카드뮴의 검출방법 및 카드뮴 검출키트 |
||||||||||||||||||||||||||||||||||||||||||||||||||||||||||||||||||||||||||||||||||||||||||||||||||||||||||||||||||||||||||||||||||||||||||||||||||||||||||||||||||||||||||||||||||||||||||||||||||||||||||||||||||||||||||||||||||||||||||||||||||||||||||||||||||||||
申请号 | KR1020150098667 | 申请日 | 2015-07-10 | 公开(公告)号 | KR101703964B1 | 公开(公告)日 | 2017-02-22 | |||||||||||||||||||||||||||||||||||||||||||||||||||||||||||||||||||||||||||||||||||||||||||||||||||||||||||||||||||||||||||||||||||||||||||||||||||||||||||||||||||||||||||||||||||||||||||||||||||||||||||||||||||||||||||||||||||||||||||||||||||||||||||||||
申请人 | 광주과학기술원; | 发明人 | 김민곤; 문효영; 노유선; 조은정; | |||||||||||||||||||||||||||||||||||||||||||||||||||||||||||||||||||||||||||||||||||||||||||||||||||||||||||||||||||||||||||||||||||||||||||||||||||||||||||||||||||||||||||||||||||||||||||||||||||||||||||||||||||||||||||||||||||||||||||||||||||||||||||||||||||
摘要 | 본발명은카드뮴의검출방법에관한것으로서, 형광세기변화를측정할수 있는카드뮴나노클러스터의합성을유도하는알부민및 환원제를시료에순차적으로첨가함으로써, 쉽고빠르며간단하게카드뮴을정량및 정성적으로측정할수 있다. 아울러, 상기카드뮴검출방법에사용되는알부민과환원제는저렴함에도불구하고감도가우수하기때문에시료내에존재하는카드뮴의농도를직접적으로측정할수 있다. | |||||||||||||||||||||||||||||||||||||||||||||||||||||||||||||||||||||||||||||||||||||||||||||||||||||||||||||||||||||||||||||||||||||||||||||||||||||||||||||||||||||||||||||||||||||||||||||||||||||||||||||||||||||||||||||||||||||||||||||||||||||||||||||||||||||
权利要求 | Ⅰ) 사람 혈청 알부민, 난 알부민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환원제를 포함하는 검출조성물과 카드뮴이 함유된 시료를 혼합하고, 반응시켜 카드뮴 나노클러스터를 수득하는 단계; 및 Ⅱ) 상기 카드뮴 나노클러스터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형광 스펙트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뮴의 검출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카드뮴의 농도를 도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뮴의 검출방법.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수산화나트륨 (NaOH), 아스코르브산 (Ascorbic acid), 포름산 (Formic acid),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 (NaBH4) 및 옥살산 (Oxal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뮴의 검출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Ⅰ) 단계에서 환원제의 농도는 0.25 내지 0.9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뮴의 검출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Ⅱ) 단계는 45 내지 60 ℃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뮴의 검출방법. 사람 혈청 알부민, 난 알부민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환원제를 포함하는 카드뮴 검출용 조성물. 삭제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수산화나트륨 (NaOH), 아스코르브산 (Ascorbic acid), 포름산 (Formic acid),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 (NaBH4) 및 옥살산 (Oxal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뮴 검출용 조성물.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부민은 고체 상태 파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뮴 검출용 조성물.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고체 상태 NaO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뮴 검출용 조성물. 제7항,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드뮴 검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뮴 검출용 키트.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뮴 검출용 키트는 가열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뮴 검출용 키트.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은 블루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 PN 반도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뮴 검출용 키트.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뮴 검출용 키트는 형광 광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뮴 검출용 키트.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광원은 UV lam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뮴 검출용 키트.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뮴 검출용 키트는 형광 검출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뮴 검출용 키트.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뮴 검출용 키트는 형광 검출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뮴 검출용 키트. |
|||||||||||||||||||||||||||||||||||||||||||||||||||||||||||||||||||||||||||||||||||||||||||||||||||||||||||||||||||||||||||||||||||||||||||||||||||||||||||||||||||||||||||||||||||||||||||||||||||||||||||||||||||||||||||||||||||||||||||||||||||||||||||||||||||||
说明书全文 |
|
NO. | 검출 조성물 | 시료 500 ㎕ (염화카드뮴의 농도(mM)) | |
알부민 500 ㎕ (종류) | 환원제 50 ㎕ (종류) | ||
실시예 1 | 증류수 | 증류수 | 10 mM |
실시예 2 | 증류수 | 1 M NaOH | 10 mM |
실시예 3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증류수 | 증류수 |
실시예 4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1 M NaOH | 증류수 |
실시예 5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증류수 | 10 mM |
실시예 6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1 M NaOH | 10 mM |
실시예 7 | 증류수 | 증류수 | 10 mM |
실시예 8 | 증류수 | 1 M NaOH | 10 mM |
실시예 9 | 50 ㎎/㎖ 난 알부민 | 증류수 | 증류수 |
실시예 10 | 50 ㎎/㎖ 난 알부민 | 1 M NaOH | 증류수 |
실시예 11 | 50 ㎎/㎖ 난 알부민 | 증류수 | 10 mM |
실시예 12 | 50 ㎎/㎖ 난 알부민 | 1 M NaOH | 10 mM |
비교예 1 | 증류수 | 증류수 | 10 mM |
비교예 2 | 증류수 | 1 M NaOH | 10 mM |
비교예 3 | 50 ㎎/㎖ 소 혈청 알부민 | 증류수 | 증류수 |
비교예 4 | 50 ㎎/㎖ 소 혈청 알부민 | 1 M NaOH | 증류수 |
비교예 5 | 50 ㎎/㎖ 소 혈청 알부민 | 증류수 | 10 mM |
비교예 6 | 50 ㎎/㎖ 소 혈청 알부민 | 1 M NaOH | 10 mM |
시험예
< 시험예 1> 사람 혈청 알부민 및 환원제를 사용하여 시료로부터 카드뮴 검출.
실시예 1 내지 6에 따른 검출조성물과 시료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검출을 각각 수행하고, 이에 따른 각 형광 스펙트럼을 얻었다. 37 ℃, 300 rpm에서 시료를 검출 조성물과 혼합한 후, 2 분 후에 환원제를 첨가하여 혼합해준다. 이후 12 시간동안 37 ℃, 300 rpm 조건 하에서 반응시키고(Incubated shaker, 제조사: Jeiotech(Korea), 모델명: SI-300R),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에 대한 형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의 검출조성물 및 시료를 혼합하여 얻은 각각의 형광 이미지를 분석하여, 도출된 형광세기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드뮴 이온 즉 염화카드뮴, 사람 혈청 알부민, NaOH의 존재 유무에 따른 형광세기를 비교하였는 바,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조성물(알부민과 환원제)을 사용한 실시예 6에서만 약 8000 au의 높은 형광세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카드뮴 나노클러스터가 형성됨에 따라 형광세기가 다른 실시예에 비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검출 과정을 통해서만 카드뮴의 존재 여부와 농도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료에 카드뮴이 존재하지 않으면, 검출 조성물을 혼합하여도 형광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실시예 4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조성물을 이용한 검출 방법은 카드뮴과 선택적으로 반응하고, 상기 반응을 통해 카드뮴 나노클러스터를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내지 5의 경우 검출조성물 중 알부민에 존재하는 트립토판의 잔기로부터 발생되는 형광으로 인해 다소 형광세기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으나, 이는 카드뮴의 존재하에 증가되는 형광세기보다 2.5배 이상 낮은 수치이기 때문에, 카드뮴을 검출함에 있어서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도이다.
< 시험예 2> 난 알부민 및 환원제를 사용하여 시료로부터 카드뮴 검출.
실시예 7 내지 12에 따른 검출조성물과 시료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검출을 각각 수행하고, 이에 따른 각 형광 이미지를 얻었다. 37 ℃, 300 rpm에서 시료를 검출 조성물과 혼합한 후, 2 분 후에 환원제를 첨가하여 혼합해준다. 이후 12 시간동안 37 ℃, 300 rpm 조건 하에서 반응시키고(Incubated shaker, 제조사: Jeiotech(Korea), 모델명: SI-300R),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에 대한 형광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7 내지 12의 검출조성물 및 시료를 혼합하여 얻은 각각의 형광 이미지를 분석하여, 도출된 형광세기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드뮴 이온 즉 염화카드뮴, 난 알부민(OVA), NaOH의 존재 유무에 따른 형광세기를 비교하였는 바, 상기 도 2에서 사람 혈정 알부민(HSA)을 사용하여 얻은 형광 세기보다 낮지만 유사한 패턴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조성물을 모두 사용한 실시예 12에서만 약 6000 au의 높은 형광세기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조성물에 의해 카드뮴 나노클러스터가 형성됨에 따라 형광세기가 다른 실시예 7 내지 11에 비해 높게 나타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조성물을 이용한 검출 방법을 통해서 시료 내에 존재하는 카드뮴의 존재 여부 및 농도를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카드뮴이 존재하지 않는 실시예 10을 통해 본 발명의 검출 조성물만으로 높은 형광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방법은 카드뮴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반응하고, 상기 알부민과 카드뮴의 반응을 통해 카드뮴 나노클러스터를 형성하기 때문에, 감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상기 실시예 9 내지 11의 경우 알부민이 갖고 있는 트립토판의 잔기로부터 발생되는 형광으로 인해 다소 형광세기가 증가하였으나, 이는 카드뮴의 존재 하에 증가되는 형광세기보다 5 배 이상 낮은 수치이기 때문에, 카드뮴의 검출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도이다.
다만 난 알부민을 이용하여 형성된 카드뮴 나노클러스터는 사람 혈청 알부민을 이용하여 형성된 카드뮴 나노클러스터보다 형광세기가 1.5~2 배 낮음을 확인할 수 있고, 감도가 사람 혈청 알부민을 이용한 경우보다 더 낮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난 알부민은 감도 및 검출 시간이 길고, 형광 세기가 다소 낮으나, 가격이 저렴하므로 정성적인 카드뮴 검출에 이용할 수 있어 용도 및 장소에 따라 난 알부민 또는 사람 혈청 알부민 중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 시험예 3> 소 혈청 알부민 및 환원제를 사용하여 시료로부터 카드뮴 검출.
비교예 1 내지 6에 따른 검출조성물과 시료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검출을 각각 수행하고, 이에 따른 각 형광 이미지를 얻었다. 37 ℃, 300 rpm에서 시료를 검출 조성물과 혼합한 후, 2 분 후에 환원제를 첨가하여 혼합해준다. 이후 12 시간동안 37 ℃, 300 rpm 조건 하에서 반응시키고(Incubated shaker, 제조사: Jeiotech(Korea), 모델명: SI-300R),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에 대한 형광 이미지를 측정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6의 검출조성물 및 시료를 혼합하여 얻은 각각의 형광 이미지를 분석하여, 도출된 형광세기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드뮴 이온 즉 염화카드뮴, 소 혈청 알부민(OVA), NaOH의 존재 유무에 따른 형광세기를 비교하였는 바, 상기 도 2 및 도 3과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3 내지 비교예 6은 모두 약 2000 내지 3000 au의 형광세기를 나타내고 있었다.
즉, 비교예 6과 다른 비교예 3 내지 5와 형광세기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소 혈청 알부민은 카드뮴 이온과 반응하여 카드뮴 나노클러스터를 형성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비교예 3 내지 6은 알부민만 첨가한 실시예 3 및 9와 유사한 정도의 형광세기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소 혈청 알부민의 트립토판 잔기로부터 측정된 형광세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소 혈청 알부민은 카드뮴 이온과 반응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4> 카드뮴 이온의 농도별 시료에 대한 사람 혈청 알부민 및 환원제를 이용한 카드뮴 검출
아래 표 2의 검출 조성물과 시료를 혼합하여 형광 세기를 도출하였다. 검출 과정은 구체적으로 37 ℃, 300 rpm에서 시료를 알부민과 혼합한 후, 2 분 후에 환원제를 첨가하여 혼합해준다. 이후 12 시간동안 37 ℃, 300 rpm 조건 하에서 반응시키고(Incubated shaker, 제조사: Jeiotech(Korea), 모델명: SI-300R),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에 대한 형광 이미지를 측정하였다.
NO. | 검출 조성물 | 시료 500 ㎕ (카드뮴 이온의 농도(nM)) | |
알부민 500 ㎕ (종류) | 환원제 50 ㎕ (종류) | ||
실시예 13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1 M NaOH | 10 -3 |
실시예 14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1 M NaOH | 10 -2 |
실시예 15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1 M NaOH | 10 -1 |
실시예 16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1 M NaOH | 10 -0 |
실시예 17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1 M NaOH | 10 1 |
실시예 18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1 M NaOH | 10 2 |
실시예 19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1 M NaOH | 10 3 |
실시예 20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1 M NaOH | 10 4 |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13 내지 20의 검출조성물 및 시료를 혼합하여 얻은 각각의 형광 이미지를 분석하여, 도출된 형광세기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검출 조성물과 혼합된 시료 내에 카드뮴 이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도축되는 형광세기도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카드뮴 이온의 농도가 높을수록 알부민과 결합하여 형성된 카드뮴 나노클러스터의 직경이 커지기 때문에, 상기 카드뮴 나노클러스터에 의존적인 형광세기도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검출 방법으로 시료 내에 카드뮴 이온이 존재하는 가에 대한 여부뿐만 아니라, 농도도 확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검출방법 및 검출키트를 이용하여 시료에 존재하는 카드뮴의 정량적 및 정성적 검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시험예 5> 검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검출 온도 조건.
상기 시험예 1 내지 4에 적용된 12 시간의 반응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검출 과정에서 다양한 조건(온도, 반응시간 및 환원제 농도)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조건에서 카드뮴을 검출할 경우 종래 직접적인 단백질 합성법(protein directed synthesis method)보다 현저히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실시예 6의 검출 조성물과 시료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검출을 각각 수행하고, 이에 따른 각 형광 이미지를 얻었다.
37 ℃, 300 rpm로 시료를 알부민과 혼합한 후, 2 분 후에 환원제를 첨가하여 혼합해준다. 이후 3 시간동안 다양한 온도 조건하에서, 300 rpm로 반응시키고(Incubated shaker, 제조사: Jeiotech(Korea), 모델명: SI-300R),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에 대한 형광 이미지를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온도 조건은 각각 25 ℃, 35 ℃, 45 ℃ 및 55 ℃로 하여 각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6의 검출조성물 및 시료를 혼합하여 다양한 온도 하에서 얻은 각각의 형광 이미지를 분석하여, 도출된 형광세기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방법에서의 검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상기 알부민과 카드뮴 이온의 반응을 통해 형성된 카드뮴 나노클러스터를 제조하는 단계를 최적화하여 카드뮴 나노클러스터가 빠르게 제조되도록 하여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용과 더불어 도 6의 결과를 종합하면 25 ℃에서 55 ℃의 온도 조건 중에서 55 ℃에서 카드뮴을 검출할 경우, 형광세기가 가장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검출 조건 중에서 온도가 55 ℃일 때, 알부민과 카드뮴의 반응이 빠르게 이뤄져 카드뮴 나노클러스터 제조가 빠르게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55 ℃에서의 형광세기가 25 ℃에서의 형광세기보다 약 2배 정도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6> 검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환원제 농도 조건.
아래 표 3의 검출 조성물과 시료를 혼합하여 형광 세기를 도출하였다. 검출 과정은 구체적으로 55 ℃, 300 rpm로 시료를 알부민과 혼합한 후, 2 분 후에 환원제를 첨가하여 혼합해준다. 이후 2 시간동안 55 ℃ 조건하에서, 300 rpm로 반응시키고(Incubated shaker, 제조사: Jeiotech(Korea), 모델명: SI-300R),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에 대한 형광 이미지를 측정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21 내지 의 검출조성물 및 시료를 혼합하여 얻은 각각의 형광 이미지를 분석하여, 도출된 형광세기를 도 7에 나타내었다.
NO. | 검출 조성물 | 시료 500 ㎕ (염화카드뮴의 농도(mM)) | |
알부민 500 ㎕ (종류) | 환원제 50 ㎕ (종류) | ||
실시예 21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0 M NaOH | 10 |
실시예 22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0.0625 M NaOH | 10 |
실시예 23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0.125 M NaOH | 10 |
실시예 24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0.25 M NaOH | 10 |
실시예 25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0.5 M NaOH | 10 |
실시예 26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1 M NaOH | 10 |
실시예 27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2 M NaOH | 10 |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방법에서의 검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상기 알부민과 카드뮴 이온의 반응을 통해 카드뮴 나노클러스터가 합성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형광특성을 나타내는 카드뮴 나노클러스터를 빠른 시간 내에 최대한 확보하여야 한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환원제인 NaOH(수산화나트륨)의 농도를 바꿔준 검출 조성물로 카드뮴 시료를 검출한 결과, 1 M 농도의 환원제(NaOH)를 사용한 실시예 26보다 0.5 M 농도의 환원제(NaOH)를 사용한 실시예 25가 약 2 배 이상 더 높은 형광세기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조성물에서 환원제의 농도를 0.25 내지 0.9 M로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검출 조성물을 이용하여 카드뮴을 검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4 배 이상 단축시킬 수 있다.
만일 상기 검출 조성물 중에서 환원제의 농도가 0.25 M보다 낮거나 0.9 M보다 높으면 카드뮴과 알부민의 반응을 통해 카드뮴 나노클러스터가 합성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충분히 합성되도록 검출시간을 10 시간 이상 할애해야 하며, 검출시간이 10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감도 및 정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 시험예 7> 검출 조건에 따른 최적의 검출 시간 확인
실시예 25의 검출 조성물과 시료를 사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시간에 따른 카드뮴 검출 특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55 ℃, 300 rpm에서 시료를 검출 조성물과 혼합한 후, 2 분 후에 환원제를 첨가하여 혼합해준다. 이후 반응 시간을 달리하여, 55 ℃, 300 rpm 조건 하에서 반응시키고(Incubated shaker, 제조사: Jeiotech(Korea), 모델명: SI-300R),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에 대한 형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상기 반응 시간은 각각 0.5 시간, 1 시간, 1.5 시간, 2 시간. 2.5 시간 및 3 시간으로 하였다. 이는 도 8의 그래프 내에 55 ℃라고 표기하였다.
또한, 상기 검출 조건 중에서 온도를 55 ℃에서 37 ℃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과 모두 동일하게 수행하여 상기 실험과 이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는 도 8의 그래프 내에 37 ℃라고 표기하였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시험예 5, 6에서 확정된 조건(온도 및 환원제의 농도)으로 시료를 검출한 경우, 상기 알부민과 카드뮴 이온의 반응을 통해 형성된 카드뮴 나노클러스터가 완전히 합성되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최적화된 환원제 농도를 갖는 실시예 25의 검출 조성물과 시료 및 최적화된 검출 온도 55 ℃로 수행하였을 때, 2 시간 이후부터 가장 높은 형광 세기를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카드뮴 검출 방법은 55 ℃ 및 0.5 M 환원제 농도 조건 하에서 검출 조성물 중 알부민과 시료의 카드뮴이 활발하게 반응하여 빠르게 카드뮴 나노클러스터를 형성하기 때문에, 2 시간 이후부터는 높은 형광 세기를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온도를 37 ℃로 수행하였을 때는 가장 높은 형광세기가 관찰되지 않았다. 즉 반응 시간이 증가됨에도 불구하고 형광세기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을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형광세기가 약 4000 au이하로 확인되었는 바, 온도가 40 ℃ 미만이면 카드뮴 나노클러스터가 완전히 제조되기까지 3 시간 이상의 긴 시간이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검출 조성물을 사용하여 카드뮴 검출을 수행할 경우, 온도와 환원제 농도를 모두 만족하여야만 알부민과 카드뮴의 반응속도가 빨라, 빠른 시간 내에 형광세기를 도출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시키지 못한다면 알부민과 카드뮴 이온과의 반응 속도가 현저히 낮아지기 때문에, 카드뮴 농도를 도출하기 위한 충분한 형광세기를 얻기 위해서 시간이 4 배 이상 더 필요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다양한 농도의 카드뮴 이온을 포함하는 시료를 제조하고, 상기 각 시료에 50 ㎎/㎖ 사람 혈청 알부민 및 0.5 M NaOH의 검출 조성물을 혼합하여 얻은 형광 스펙트럼으로부터 형광세기를 분석하여 도 9에 나타내었다. 여기에 사용된 시료와 검출 조성물을 표 4에 보다 자세히 나타내었다.
NO. | 검출 조성물 | 시료 500 ㎕ (카드뮴 이온의 농도(nM)) | |
알부민 500 ㎕ (종류) | 환원제 50 ㎕ (종류) | ||
실시예 28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0.5 M NaOH | 10 -3 |
실시예 29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0.5 M NaOH | 10 -2 |
실시예 30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0.5 M NaOH | 10 -1 |
실시예 31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0.5 M NaOH | 10 -0 |
실시예 32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0.5 M NaOH | 10 1 |
실시예 33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0.5 M NaOH | 10 2 |
실시예 34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0.5 M NaOH | 10 3 |
실시예 35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0.5 M NaOH | 10 4 |
구체적으로, 55 ℃, 300 rpm로 시료와 알부민을 혼합한 후, 2 분 후에 환원제를 첨가하여 혼합해준다. 이후 반응 시간을 달리하여, 55 ℃, 300 rpm 조건 하에서 반응시키고(Incubated shaker, 제조사: Jeiotech(Korea), 모델명: SI-300R),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에 대한 형광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도출된 형광세기를 도 9에 나타내었다. 상기 반응 시간은 2 시간으로 하였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드뮴 이온의 농도에 따른 그래프의 기울기가 도 5의 그래프의 기울보다 더 가파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최적의 검출 조건에서 카드뮴을 검출할 경우 카드뮴에 대한 감도 및 정확도가 더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시험예 8> 검출 과정에서 형성된 카드뮴 클러스터의 특성.
실시예 25의 검출 조성물과 카드뮴 이온이 존재하는 시료를 사용하여 아래 검출 과정을 통해 카드뮴 검출 특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55 ℃, 300 rpm에서 시료를 검출 조성물과 혼합한 후, 2 분 후에 환원제를 첨가하여 혼합해준다. 이후 2 시간 동안, 55 ℃, 300 rpm 조건 하에서 반응시키고(Incubated shaker, 제조사: Jeiotech(Korea), 모델명: SI-300R), 반응이 종료된 검출액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반응이 종료된 검출액을 통과해 나온 광원을 분석함으로써 형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상기 반응이 종료된 검출액은 시료와 검출 조성물이 혼합된 후, 반응이 완전히 종료되어 카드뮴 클러스터, 시료, 미반응된 검출 조성물이 혼합되어 있는 용액을 의미한다.
이와 비교하기 위하여, 카드뮴이 존재하지 않는 시료를 이용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과정과 모두 동일하게 반응시킨 후, 반응이 종료된 검출액을 제조하였고, 이를 대조군이라 한다.
도 10A는 카드뮴 이온이 존재하는 시료와 존재하지 않는 시료를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8의 검출 과정을 통해 얻은 반응이 종료된 검출액과 대조군을 에너지 분산 엑스선 분광학(energy-disperive X-ray spectroscopy, 제조사: JEOL(Japan), 모델명: JEM-2100F)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이때, w/CdNCs는 카드뮴 이온이 존재하는 시료를 실시예 25로 상술한 과정으로 반응시켜 제조된 반응이 종료된 검출액을 측정한 것이고, w/oCdNCs는 카드뮴 이온이 존재하지 않는 시료를 이용한 대조군을 측정한 것이다.
도 10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드뮴 이온이 존재하는 시료를 검출한 반응이 종료된 검출액에는 카드뮴 원자가 관찰된 반면, 카드뮴 이온이 존재하지 않는 시료를 이용한 대조군에는 카드뮴 원자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카드뮴과 알부민의 결합을 통해서만 카드뮴 나노클러스터가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B는 카드뮴 이온이 존재하는 시료를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8의 검출 과정을 통해 얻은 반응이 종료된 검출액을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제조사: JEOL(Japan), 모델명: JEM-2100F)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반응이 종료된 검출액 내에 존재하는 카드뮴 나노클러스터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카드뮴 나노클러스터의 모양이 구형이라는 것과 약 5 ㎚의 직경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카드뮴 나노클러스터의 직경은 카드뮴 이온이 존재하는 시료에서 카드뮴 이온의 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0C는 카드뮴 이온이 존재하는 시료를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8의 검출 과정을 통해 얻은 반응이 종료된 검출액을 동적광산란법(dynamic light scattering, 제조사: Otsuka electronic(Japan), 모델명: ELS-Z)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반응이 종료된 검출액에 존재하는 카드뮴 나노클러스터의 직경은 약 4.5 내지 5.3 nm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도 10B의 투과전자현미경 결과와 일치한다.
도 10D는 카드뮴 이온이 존재하는 시료를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8의 검출 과정을 통해 얻은 반응이 종료된 검출액을 형광 방출 스펙트럼(fluorescence emission spcetra, 제조사: Mannedorf(Switzerland), 모델명: TECAN)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반응이 종료된 검출액은 반응에 의해 형성된 카드뮴 나노클러스터에 의해 흡수파장이 365 ㎚이고, 방출파장이 460 ㎚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자외선(UV) 하에서 형광을 띄는 카드뮴 나노클러스터가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이 종료된 검출액은 자외선(UV) 아래에서 형광이미지 측정 장비 (Chemi-doc, 제조사: Bio-rad(USA), 모델명: Universal Hood Ⅲ))와 분석 프로그램(Image lab software version 4.0)을 이용하여 형광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형광세기를 측정하여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은 카드뮴 이온 농도에 따라, 시험예 8의 검출 과정을 통해 얻은 반응이 종료된 검출액에 형성된 카드뮴 나노클러스터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카드뮴 이온 농도를 갖는 시료를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8의 검출 과정과 모두 동일하게 얻은 반응이 종료된 검출액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다만, 상기 검출 과정에서 시료 내에 존재하는 카드뮴 이온의 농도가 0 nM, 0.1 nM 및 100 nM이 되도록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상기 카드뮴 이온의 농도가 다른 시료 각각에 검출 조성물만(실험예 25)을 혼합하여 서로 다른 카드뮴 나노클러스터 농도를 갖는 반응이 종료된 검출액을 얻었고, 이를 HPLC로 분석하였다.
이때, 도 11A는 상기 카드뮴 이온이 존재하는 시료에서 카드뮴 이온의 농도가 0 nM인 것이고, 도 11B는 카드뮴 이온의 농도가 0.1 nM인 것이고, 도 11C는 카드뮴 이온의 농도가 100 nM인 것이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드뮴 이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HPLC 분석 그래프 중 특정 영역에서의 신호(빨간 원)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형성된 카드뮴 나노클러스터 내에 존재하는 카드뮴 원자의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다시 말해 시료 내 카드뮴 이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형성되는 카드뮴 나노클러스터의 직경도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2는 카드뮴 이온 농도에 따라, 시험예 8의 검출 과정을 통해 얻은 반응이 종료된 검출액에 형성된 카드뮴 나노클러스터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카드뮴 이온 농도를 갖는 시료를 이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8의 검출 과정과 모두 동일하게 얻은 반응이 종료된 검출액을 말디토프 질량분석기(MALDI-TOF MS, 제조사: ASTA (KOREA))로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다만, 상기 검출 과정에서 시료에서 카드뮴 이온의 농도가 0 nM, 0.1 nM 및 100 nM이 되도록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상기 카드뮴 이온의 농도가 다른 시료 각각에 검출 조성물만(실험예 25)을 혼합하여 서로 다른 카드뮴 나노클러스터 농도를 갖는 반응이 종료된 검출액을 얻어 이를 분석하였다.
이때, 도 12 A는 상기 카드뮴 이온이 존재하는 시료에서 카드뮴 이온의 농도가 0 nM인 것이고, 도 12 B는 카드뮴 이온의 농도가 0.1 nM인 것이고, 도 12 C는 카드뮴 이온의 농도가 100 nM인 것이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료 내에 카드뮴 이온이 많을수록 형성된 카드뮴 나노클러스터를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그래프의 2 번째 신호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도 12C의 카드뮴이 없을 때와 그래프를 비교했을 때, 카드뮴 존재 시 피크의 shift된 정도인 2 kDa 을 카드뮴 분자량으로 나눠 계산한 바, 약 20개의 카드뮴 원자가 사람 혈청 알부민 안에 캡슐화 되어, 카드뮴 나노클러스터로 형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시험예 9> 다양한 시료로부터 카드뮴 검출 유무 확인
도 13은 수돗물(A), 분수대물(B), 연못물(C)과 같은 실제 시료로부터 최적화된 조건하에서 본 발명의 카드뮴 검출 방법을 수행한 후의 시료에서 형광 이미지를 얻고 이의 형광세기를 분석(도 10D를 제외한 모든 그래프의 형광세기 및 이미지는 ChemiDoc system(Bio-rad)를 사용하였음)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드뮴 검출 방법은 55 ℃, 300 rpm로 상기 실제 시료 500 ㎕를 50 ㎎/㎖ 농도의 사람 혈청 알부민 500 ㎕과 혼합한 후, 2 분 후에 50 ㎕의 다양한 농도의 NaOH를 첨가하여 혼합해준다. 이후 다양한 시간동안 55 ℃ 조건하에서, 300 rpm로 반응시키고(Incubated shaker, 제조사: Jeiotech(Korea), 모델명: SI-300R),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에 대한 형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제 시료에서 카드뮴 검출 한계는 수돗물 0.75 fM, 분수대 7.65 fM, 연못물 48.2 fM 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5 참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실제 시료에서도 카드뮴의 농도를 매우 고감도로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10> 본 발명에 따른 카드뮴 검출 방법의 특이성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방법이 카드뮴 이온에 대해서 특이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조건에서 검출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55 ℃, 300 rpm로 어느 하나의 금속 이온이 포함된 다양한 시료 500 ㎕를 50 ㎎/㎖ 농도의 사람 혈청 알부민 500 ㎕과 혼합한 후, 2 분 후에 50 ㎕의 다양한 농도의 NaOH를 첨가하여 혼합해준다. 이후 다양한 시간동안 55 ℃ 조건하에서, 300 rpm로 반응시키고(Incubated shaker, 제조사: Jeiotech(Korea), 모델명: SI-300R), 바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형광 스펙트럼을 얻고, 이에 대한 형광세기를 분석하여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내었다.
상기 금속 이온은 카드뮴 이온(Cd 2 + ), 금 이온(Au 3 + ), 크로뮴 이온(Cr 3 + ), 철 이온(Fe 2 + ), 니켈 이온(Ni 2 + ), 구리 이온(Cu 2 + ), 은 이온(Ag + ), 세륨 이온(Ce 3 + ), 팔라듐 이온(Pb 2 + ), 수은 이온(Hg 2 + )이다.
도 14는 카드뮴 이온에 대한 본 발명의 카드뮴 검출 방법의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과정을 통해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다양한 시료에 본 발명의 카드뮴 검출 방법을 수행하고, 이의 형광세기(fluorescence intensity(au))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14A는 ChemiDoc system(Bio-rad)을 이용하여 측정된 형광 이미지를 분석하여 얻은 그래프이고, 도 14B는 추가적으로 카드뮴 이온 (Cd 2+ ) 보다는 형광세기가 약하지만 어느 정도 형광을 보이는 금 이온(Au 3+ ), 크로뮴 이온(Cr 3+ ), 구리 이온(Cu 2+ )에 대해 TECAN을 이용하여 찍은 형광 스펙트럼 그래프이다.
도 14A 및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양한 금속 이온들에 대하여 본 검출 방법의 특이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각각의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다양한 시료를 검출 및 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카드뮴 이온을 포함하는 시료에 대해 검출한 결과가, 다른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시료에 대해 검출한 결과보다 형광세기가 약 4 내지 10 배 정도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검출방법은 카드뮴 이온에 대해 특이성 즉 선택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금속 이온이 존재하는 시료에서도, 카드뮴 이온과 본 검출 방법에서 사용되는 알부민과 선택적으로 반응하여 카드뮴 나노클러스터를 형성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물질들이 혼재되어 있는 실제 시료에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방법을 수행하면 고감도 및 선택적으로 카드뮴 이온에 대한 존재 여부와 농도를 측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11> 본 발명에 따른 카드뮴 검출 방법에 대한 정확도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방법이 카드뮴 이온의 농도를 검출함에 있어서 정확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조건에서 검출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55 ℃, 300 rpm로 카드뮴 이온을 포함하는 다양한 시료 500 ㎕를 50 ㎎/㎖ 농도의 사람 혈청 알부민 500 ㎕과 혼합한 후, 2 분 후에 50 ㎕의 0.5 M NaOH를 첨가하여 혼합해준다. 이후 2 시간 동안 55 ℃ 조건하에서, 300 rpm로 반응시키고(Incubated shaker, 제조사: Jeiotech(Korea), 모델명: SI-300R), 바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형광 스펙트럼을 얻고, 이로부터 계산된 검출한계(LOD)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시료는 수돗물(tap water), 분수대물(fountain water), 연못물(pond water)에 상술한 바와 같이 이때, 10 -3 nM, 10 -2 nM, 10 -1 nM, 10 0 nM의 농도로 카드뮴 이온을 각각 혼합하여 제조한 것이다.
검출한계(LOD)는 LOD=3 × S R /m으로 계산될 수 있고, 이때 m은 검량선의 기울기이고, S R 은 표준편차이다.
표 5는 카드뮴 이온을 포함하는 다양한 시료에 대하여 본 발명의 검출 방법을 통해 카드뮴 이온에 대한 검출한계를 계산하여 나타낸 것이다.
시료 종류 500 ㎕ | 시료에 첨가된 카드뮴(Cd 2 + )의 농도(nM) | 검출 조성물 | 검출 한계 (LOD) | |
알부민 500 ㎕ (종류) | 환원제 50 ㎕ (종류) | |||
수돗물 (tap water) | 10 -3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0.5 M NaOH | 0.75 fM |
10 -2 | ||||
10 -1 | ||||
10 0 | ||||
분수대물 (fountain water) | 10 -3 | 7.65 fM | ||
10 -2 | ||||
10 -1 | ||||
10 0 | ||||
연못물 (pond water) | 10 -3 | 48.2 fM | ||
10 -2 | ||||
10 -1 | ||||
10 0 |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카드뮴 검출 방법은 0.75 fM, 7.65 fM, 48.2 fM의 검출한계(LOD)를 가지고 있음을 화인하였다.
본 발명의 카드뮴 검출 방법은 국제적으로 규정된 카드뮴의 허용범위보다 낮은 검출한계(LOD)를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시료(수돗물, 분수대물, 연못물 등)에서 유해하지 않은 범위의 카드뮴 농도도 검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민감하게 카드뮴 이온 농도를 즉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한편, 55 ℃, 300 rpm로 카드뮴 이온을 포함하는 다양한 시료 500 ㎕를 50 ㎎/㎖ 농도의 사람 혈청 알부민 500 ㎕과 혼합한 후, 2 분 후에 50 ㎕의 0.5 M NaOH를 첨가하여 혼합해준다. 이후 2 시간 동안 55 ℃ 조건하에서, 300 rpm로 반응시키고(Incubated shaker, 제조사: Jeiotech(Korea), 모델명: SI-300R), 바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형광 스펙트럼을 얻고, 이로부터 측정된 카드뮴의 농도와 계산된 정확도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상기 시료는 수돗물(tap water), 분수대물(fountain water), 연못물(pond water)에 상술한 바와 같이 이때, 0.5 nM, 1 nM, 5 1 nM의 농도로 카드뮴 이온을 각각 혼합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때, 정확도(%)은 측정된 카드뮴의 농도/시료에 첨가된 카드뮴 농도 × 100 (%)이다.
시료 종류 500 ㎕ | 시료에 첨가된 카드뮴(Cd 2 + )의 농도(nM) | 검출 조성물 | 측정된 카드뮴(Cd 2 + )의 농도(nM) | 정확도(%) | |
알부민 500 ㎕ (종류) | 환원제 50 ㎕ (종류) | ||||
수돗물 (tap water) | 0.5 | 50 ㎎/㎖ 사람 혈청 알부민 | 0.5 M NaOH | 0.486 | 97.15 |
1 | 1.006 | 100.56 | |||
5 | 5.494 | 109.88 | |||
분수대물 (fountain water) | 0.5 | 0.437 | 87.47 | ||
1 | 0.810 | 81.04 | |||
5 | 4.915 | 98.30 | |||
연못물 (pond water) | 0.5 | 0.528 | 105.67 | ||
1 | 0.975 | 97.45 | |||
5 | 4.681 | 93.62 |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제 알고 있는 농도의 카드뮴의 농도 대비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방법을 통해 이온을 검출한 결과, 80~110 %의 높은 정확도(%)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제 수돗물, 분수대물, 연못물에 존재하는 다양한 물질에 영향을 받지 않고, 높은 정확성으로 카드뮴 이온의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