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총의 사격연습을 위한 부가장치{Addition apparatus for field firing of rifle}
도 1은 본 고안의 소총의 사격연습을 위한 부가장치가 소총에 장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상기 사격연습을 위한 부가장치를 발췌한 분리사시도와 그 결합상태도, 도 4는 상기 사격연습을 위한 부가장치의 각도조절 상태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구성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소총의 사격연습을 위한 부가장치에 의한 조준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R : 소총 T : 방아쇠 10 : 홀더 20 : 디지털카메라 21 : 광학기기 30 : 센서 31 : 라인
본 고안은 소총의 사격연습을 위한 부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총의 사격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습을 할 때 광학기기를 갖춘 디지털카메라를 총열에 인접되게 설치하여 격발과 동시에 표적을 조준한 상태를 촬영하여 화상으로 저장한 후 디지털카메라에 저장된 화상 또는 정지영상을 통해 사격연습 결과를 확인하게 됨으로써, 실탄사격을 하지 않고서도 격발순간의 조준상태를 통하여 사격연습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간편하게 사격연습을 할 수 있게 한 소총의 사격연습을 위한 부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사조직에서 개인화기로 휴대하는 소총은 적과 대면하는 상황에서 자신의 생명과 국가를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자위수단으로서 그 조작과 사용에 따른 중요성은 거론의 여지가 없다 할 것이며, 사격술을 연마하기 위한 부분도 매우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 소총으로 사격연습을 하기 위한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접안점이 되는 가늠자와 총신 끝에 형성된 가늠쇠를 탄착점에 일치되도록 조절하는 이른바, 영점사격을 거친 후 원거리에 위치한 표적을 조준하여 실탄사격을 하게 된 방법과 실탄을 장전하지 않은 채 단순히 표적을 향하여 격발연습을 하는 방법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실탄을 사용하는 사격연습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므로 전용의 사격장시설과 통제가 필수적이므로 수시로 사격연습을 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었으며, 사격 후 표적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이동을 해야되는 번거로움과 함께 표적을 맞추지 못한 경우에는 조준점이 어디인지 전혀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주로 실탄을 장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준과 격발연습을 하였으나 이 경우는 육안으로 확인이 전혀 불가능하였으므로 그 연습효과가 추상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소총에 레이저 발사장치를 장착하되 레이저의 조사에 반응하는 센서를 갖춘 표적을 설치하여 사격연습을 하게 된 장치도 등장한 바 있으나, 이 경우 실탄 대신 레이저를 이용한 것에 불과하므로 상기 실탄사격과 동일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에 소총으로 사격연습을 할 때 발생하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실탄을 장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표적을 조준하여 격발할 때의 상황을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후 그 저장된 영상을 판독하여 실탄사격에 준하는 연습결과를 얻을 있는 소총의 사격연습을 위한 부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상적인 형태로 된 소총의 총열 부위에 소총의 기능이나 조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부가장치가 장착되는 홀더가 붙이고 뗄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홀더에 망원렌즈 또는 망원경 등의 광학기기를 갖춘 디지털카메라가 설치하되 사격거리에 따라 피사체를 향하는 광학기기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놉이 구비되며, 상기 디지털카메라에 소총의 방아쇠와 연계하여 셔터동작을 하는 센서가 라인으로 연결됨으로써, 실탄을 장전하기 않은 상태에서 지정된 표적을 향하여 격발을 할 때 센서가 연동되면서 조준상태를 촬영 하여 화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화상을 통해 격발순간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소총의 사격연습을 위한 부가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소총의 사격연습을 위한 부가장치가 소총에 장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상기 사격연습을 위한 부가장치를 발췌한 분리사시도와 그 결합상태도이며, 도 4는 상기 사격연습을 위한 부가장치의 각도조절 상태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소총의 사격연습을 위한 부가장치에 의한 조준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소총의 사격연습을 위한 부가장치는 통상적인 형태로 된 소총(R)의 총열 부위에 결합되어 부가장치가 장착되는 홀더(10)와, 상기 홀더(10)에 설치된 망원렌즈 또는 망원경 등의 광학기기(21)를 갖춘 디지털카메라(20)와, 상기 홀더(10)에 지지되어 있는 광학기기(21)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 조절놉(22)과, 상기 디지털카메라(20)에 라인(31)으로 연결되어 소총(R)의 방아쇠(T)와 연계하여 셔터동작을 하는 센서(30)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소총(R)의 총열 부위에 결합되는 홀더(10)는 소총의 기능이나 조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붙이고 떼기가 용이하도록 총열에 거치되는 구조로 되고, 광학기기(21)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놉(22)은 디지털카메라(20)에 구비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홀더(10)에 설치된 상태에서 디지털카메라(20)와 함께 일체로 각도조절을 하게 된 것도 가능하다. 디지털카메라(20)에 라인(31)으로 연결되어 셔터동작을 하는 센서(30)는 소총(R)의 방아쇠(T)에 인접설치하여 방아쇠를 당기는 순간 센서(30)가 온(on) 되면서 라인(31)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를 디지털카메라(20)에 보내주게 됨으로써 디지털카메라(20)를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소총의 사격연습을 위한 부가장치는 소총(R)에 구비된 가늠자와 가늠쇠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사격자세에서 정해진 표적을 향해 조준을 한 후 방아쇠(T)를 당기게 됨으로써, 디지털카메라(20)에 라인(31)으로 연결된 셔터기능을 하는 센서(30)가 온(on) 되면서 라인(31)을 통해 디지털카메라(20)를 동작시키는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게 되므로 사격자가 조준한 장면이 디지털카메라(20)에 촬영된다. 상기 사격준비 과정에서 디지털카메라(20)에 구비된 광학기기(21)의 망원정도와 사격거리에 따른 각도는 한 지축을 기점으로 상하로 각도를 변위되게 한 통상적인 구조의 조절놉(22)으로 조절한 후 사격을 함으로써, 촬영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소총에 실탄을 장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격발에 의해 실탄사격과 동일한 조준상태를 촬영하게 되며, 그 결과 정조준 상태(도 5 참조)와 오탄이 나는 예(도 6 참조) 및 조준시 흔들림이 발생된 예(도 7 참조) 등의 화상을 획득하게 되며, 상기 디지털카메라에 저장된 화상을 통해 격발순간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격발순간 표적을 향한 각각의 조준결과를 토대로 격발자세와 조준이 양호한 상태와 조준이 잘못된 상태 및 격발시 소총이 흔들렸는지를 판단하여 지적된 부분을 개선하는 연습을 통해 사격기량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소총의 사격연습을 위한 부가장치는 광학기기를 갖춘 디지털카메라를 소총의 총열에 인접되게 설치하여 격발과 동시에 표적을 조준한 상태를 촬영하여 화상으로 저장한 후 그 저장된 조준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실탄사격을 하지 않고서도 격발순간의 조준상태를 토대로 사격술의 정도를 판단 및 교정을 하여 사격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간편하게 사격연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