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피 수거함

申请号 KR1020020031431 申请日 2002-06-04 公开(公告)号 KR1020030094573A 公开(公告)日 2003-12-18
申请人 우트론 주식회사; 发明人 임연섭;
摘要 PURPOSE: A cartridge collecting box is provided to prevent the cartridge collecting box from being separated from a gun caused by the impact of shooting, and to quickly collect many cartridges in shooting. CONSTITUTION: A cartridge collecting box is composed of a support unit(20) fixed to the upper part of a gun body, and a containing unit(10)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and having a containing space(11). A placing groove(21) is formed in the support unit. A screw(23)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unit, and fixes the gun body to the placing groove. A cartridge port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ntaining unit, and faces to a cartridge discharge port of the gun.
权利要求
  • 총몸체(60)의 상부와 대응되어 끼워지는 안착홈(21)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총몸체(60)가 안착홈(21)에 고정되도록 일측에 조임나사(23)가 내향 설치되는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20)와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에 힌지 연결되고 탄피방출구(50)에서 방출되는 탄피가 내측 수납공간(11)에 수납되도록 상기 탄피방출구(50)와 대향되는 탄피입출구(13)가 일측에 형성되는 수납부(10)로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피수거함.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는, 각각의 외측면으로 통공(12)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피수거함.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는, 하부가 개폐되도록 밑판(16)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돌출편(14)이 하부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14)에는 밑판(16)이 슬라이딩 결합시 고정 장착되도록 판스프링(15)이 탄성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피 수거함.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나사(23)는, 조임나사(23)가 상기 지지부(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편(24)이 단부에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피수거함.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21)은, 상기 총몸체(60)에 긁힘을 방지하고 밀착 고정 되도록 탄성부재(22)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피수거함.
  • 说明书全文

    탄피 수거함{box accepting empty cartridge}

    본 발명은, 탄피 수거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에 탄피의 회수를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고 안착홈과 조임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부로 구성되어 사격시 총에 밀착 고정됨으로 사격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탄피 회수시 편리하게 탄피를 회수할 수 있는 탄피 수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총 사격시에 발생되는 탄피는 탄알의 유출확인과 탄피의 재활용 측면에서 전량 회수되고 있다. 따라서, 각 부대에서는 부사수가 사수의 일측에 근접 위치하여 별도의 수거함을 탄피가 방출되는 탄피배출구에 대고 방출되는 탄피를 받아 내거나,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구(1)가 연결된 수집통(2)을 탄피배출구의 측면에 장착하여 탄피를 회수하였다.

    그러나, 부사수가 탄피 수집망을 사수의 측면에 서서 탄피배출구에서 방출되는 탄피를 회수시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성이 크고, 사격하는 사수와 부사수가 근접하여 있으므로 부사수가 사격의 소음으로 인해 청각에 장애가 올 수 있으며, 탄피수집통을 탄피배출구 측면에 장착하여도 탄피의 방출방향이 일정하지 않아 탄피가 수집통 밖으로 방출되어 외부로 방출된 탄피를 다시 주워서 모아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고, 장착된 탄피수집통이 사격의 충격으로 인해 분리되어 사격을 방해할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걸이구(1)를 총몸체에 걸어 탄피를 수집통(2)으로 회수할 경우, 한번에 회수할 수 있는 량이 한정되어 있어 다량의 탄피가 발생되는 사격에서는 사격 중간 중간에 수집통(2)에 가득 채워진 탄피를 그때마다 총몸체에서 분리하여 탄피를 회수하고 다시 총몸체에 장착하여 사격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격에 의한 충격으로 인해 탄피 수거함이 총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량의 탄피가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사격 중간에도 탄피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탄피 수거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사격시 발생되는 화학 가스를 외부로 방출가능토록 하고 탄피 수거함에 수납되어 있는 탄피의 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탄피 수거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탄피 수거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피 수거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탄피 수거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피 수거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AA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AA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수납부 20...지지부

    21...안착홈 22...탄성부재

    23...조임나사 24...걸림편

    50...탄피방출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총몸체의 상부에 대응되어 걸쳐지도록 안착홈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총몸체가 안착홈에 진입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조임나사가 일측에 내향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일측으로 일정 궤적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고 상기 총몸체의 탄피방출구에서 방출되는 탄피가 내측 수납공간에 수납되도록 상기 탄피방출구와 대향되는 탄피입출구가 일측에 형성되는 수납부로 구성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납부에는, 외측면으로 통공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납부는, 하부가 개방되어 밑판이 입출입하며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밑판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돌출편이 저부 양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에는 슬라이딩 결합되는 밑판이 고정 장착되도록 판스프링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임나사에는, 조임나사가 지지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부에 걸림편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총몸체의 긁힘을 방지하고 밀착 고정 되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총몸체(60)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20)와 힌지 연결되어 내측에 탄피의 회수를 위한 수납공간(11)이 형성되는 수납부(10)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10)와 지지부(20)은, 가열·가압 또는 이 두 가지에 의해서 성형이 가능한 재료인 합성수지로 구성되거나 비철금속 또는 티탄(비중 4.5)보다도 비중이 가벼운 금속인 베릴륨 ·마그네슘·알루미늄·티탄 등과 같은경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부(20)는, 일측에 연결수단(30)에 의해 일정 궤적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부(10)와 연결수단(3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고 내측으로 상기 총몸체(60)의 상부에 대향되어 끼어지도록 안착홈(21)이 형성되고 사격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한 유동을 방지토록 조임나사(23)가 일측에 내향 돌출 되도록 하여 상기 안착홈(21)에 장착되어 있는 총몸체(60)을 고정한다.

    상기 연결수단(30)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와 볼트에 의해 제1연결편(31)과 제2연결편(32)이 상기 수납부(10)와 지지부(20)에 각각 회전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편(31)과 제2연결편(32)은 최대각이 90도 범위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연결 된다.

    또한, 도 5a 또는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에 형성되는 안착홈(21)은, 상기 총몸체(60)이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밀착 고정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총몸체(60)의 상부 형상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총몸체(60) 상부의 긁힘을 방지하고 밀착 고정 되도록 상기 안착홈(21)를 따라 탄성부재(22)를 더 설치하여도 좋다.

    더하여, 상기 안착홈(21)에 끼어지는 총몸체(60)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20)의 일측에는 조임나사(23)가 내향설치된다. 상기 조임나사(23)는, 상기 안착홈(21)에 끼워진 총몸체(6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지지부(20)의 하부 일측에 관통되어 회전 결합에 의해 내향 돌출토록 설치되고, 상기 조임나사의 단부에는 상기 총몸체(60)에 접촉되어 마찰 면적을 증대시키고 상기 조임나사(23)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하는 탄성재질의 걸림편(24)이 설치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조임나사(23)는, 도 6a 또는 6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의 내측으로 상기 걸림편(24)과 총몸체(60)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부(20)와 걸림편(24) 사이에 고정스프링(25)을 개재하여 설치하여도 좋다. 이로인해, 지지부(20)와 걸림편(24)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고정스프링(25)은 압축됨으로서 잠재적 에너지로 저장되어 있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갑자기 힘을 제거하면 이들 에너지가 밖으로 한번에 해방되어 조임나사(23)가 총몸체(60)를 압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20)의 일측으로 힌지연결되는 수납부(10)는, 상기 탄피방출구(50)와 대응되는 면적의 형상을 갖도록 일측으로 탄피입출구(13)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상기 탄피를 수납하는 일정공간의 수납공간(11)이 형성되며 외측면으로는 공기의 입,출입이 가능한 통공(12)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탄피입출구(13)는, 상기 탄피방출구(50)에서 방출되는 탄피가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상기 탄피방출구(50)의 크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노리쇠의 전진 및 후퇴 작용시 노리쇠 손잡이가 수납부(10)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탄피방출구(50)에서 방출되는 탄피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수납공간(11)에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총몸체(60)에 근접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11)은, 상기 탄피방출구(50)에서 방출되는 탄피가 탄피입출구(13)를 통해 수납부(10)의 내측에 수납되도록 일정 공간이 형성되며, 다량의 탄피를 수납시킬 경우에는 탄피가 수납되는 수납공간(11)이 충분하도록 수납부(10)를 하방향으로 늘려 제작하여도 좋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수납부(10)의 저부는, 개방되어 밑판이 입출입하며 착탈가능토록 하여 상기 수납공간(11)에 수납되어 있는 탄피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저부 양측으로 상기 밑판(16)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돌출편(14)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14)에는 밑판(16)이 슬라이딩 결합되었을 경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토록 판스프링(15)이 설치된다.1

    더하여, 상기 수납공간(11)에 적층되는 탄피의 량을 확인하고 사격에 의해 뜨거워진 탄피의 온도를 공기를 통해 낮아지도록 하며 사격후 발생되는 화약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고 중량이 경감 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10)의 외측면으로 다수개의 통공(12)이 형성되는데, 상기 통공(12)은, 탄피가 통공(12)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총몸체(60)의 상부와 대향되도록 형성된 상기 지지부(20)의 안착홈(21)을 상기 총몸체(60)의 상부에 끼우고 상기 지지부(20)의 일측에 관통되어 내향돌출 되도록 설치된 조임나사(23)를 회전하여 상기 총몸체(10)에 압착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조임나사(23)의 단부에는 걸림편(24)을 설치하여 조임나사(23)가 상기 지지부(20)의 내측에서 이동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지지부(20)의 일측에 관통되는 조임나사(23)에는, 상기지지부(20)와 걸림편(24) 사이에 고정스프링(25)을 개재하여 상기 조임나사(23)를외부에서 잡아당겨 상기 총몸체(60)의 상부를 지지부(20)의 안착홈(21)에 끼우고 상기 조임나사(23)를 놓음으로 압축되어 있던 고정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총몸체(60)를 압착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지부(20)를 총몸체(60)의 상부에 고정한 후, 상기 지지부(20)와 힌지연결되어 있는 수납부(10)를 회전 이동하여 상기 탄피방출구(50)와 대응되도록 탄피입출구(13)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총몸체(60)의 방아쇠를 당기면 노리쇠에 장치된 공이는 튀어나가서 탄피 뒤에 있는 신관을 때려 탄알이 발사되고, 탄알이 발사되면 노리쇠가 후퇴하면서 탄피를 약실에서 빼내고 갈퀴와 차개의 작용으로 탄피를 탄피방출구(50)를 통해 우전방으로 방출한다.

    이때, 상기 탄피방출구(50)에서 방출된 탄피는, 상기 탄피입출구(13)를 통해 수납부(10) 내측으로 이동되어 수납공간(11)에 수납되며, 수납부(10)의 외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2)은, 사격 후 발생되느 화약가스를 방출시키고 상기 수납공간(11)에 수납된 탄피의 온도를 낮추어 주고 수납된 탄피의 량도 확인 할 수 있어 수납되어 있는 탄피가 넘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탄피의 회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사격시 다량의 탄피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사격 중간 중간에 수시로 상기 지지부(20)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수집부(10)를 직각방향으로 회전하여 적층되는 탄피를 외부로 회수하고 다시 수집부(10)를 탄피방출구(50)과 대응되는 위치에 원위치 시킴으로서 다량의 탄피가 방출되는 사격에서도 사용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 도 4 또는 도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10)의 저부가 개방되고 밑판(16)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수납공간(11)에 적층되어 있는 탄피를 외부로 꺼낼 경우, 상기 수납부(10) 저부에 결합되어 있는 밑판(16)을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탄피가 하방향으로 방출하고 다시 결합한다. 이때, 상기 돌출편(14)에 설치된 판스프링(15)은 상기 밑판(16)을 탄성 압축하여 결합된 밑판(16)이 상기 수납부(10)의 저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사수가 사수의 측면에서 탄피를 회수할 필요가 없어 안전사고와 부사수의 청각 장애를 줄일 수 있고, 사격시 탄피수거를 전량 수거함으로서 총알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탄피수거함이 총몸체에 밀착고정되어 안전하게 사격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사수 없이 사수 혼자서도 탄피를 회수할 수 있으며, 총몸체의 일측에 밀착 고정하여 사격에 의한 충격으로 인해 탄피 수거함이 총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량의 탄피가 발생되는 사격에서 수납부에 적정량의 탄피가 수납되었을 경우 수집부을 회전하여 탄피를 회수하고 다시 탄피수거함을 원 위치로 회전하여 사격이 가능함으로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격이 가능한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다수의 통공이 수납부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사격에 의해 뜨거워진 탄피를 공기에 의해 식힐 수 있고, 탄피수거함에 적층되어 수납되어 있는 탄피의 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적절한 시기에 탄피를 회수 할 수 있으며, 사격후 발생되는 화약가스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고, 수납부의 중량을 경감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