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专利库 / 洗涤剂和清洁剂 / 洗涤剂 / 세정료용 조성물 및 세정료

세정료용 조성물 및 세정료

阅读:953发布:2024-02-22

专利汇可以提供세정료용 조성물 및 세정료专利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的服务。并且본 발명은 성분 (A): 이온성 계면활성제, 그리고 성분 (B):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 및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포력, 거품의 질이 양호하고, 세정시에 헹구기 쉽고, 세정 후에 끈적임이 없고, 촉촉한 감촉을 얻을 수 있는 세정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下面是세정료용 조성물 및 세정료专利的具体信息内容。

  • 성분 (A): 이온성 계면활성제, 그리고
    성분 (B):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 및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료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는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료용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평균량체수가 2 -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료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로서 트리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료용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세정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료.
  • 성분 (A): 이온성 계면활성제, 그리고
    성분 (B):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 및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료.






  • 说明书全文

    세정료용 조성물 및 세정료{COMPOSITION FOR WASHING AGENT, AND WASHING AGENT}

    본 발명은 기포력, 거품의 질이 양호하며, 세정시에 헹구기 쉽고 세정 후에 끈적임이 없으며, 촉촉한 감촉을 얻을 수 있는 세정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11년 11월 7일 일본 국내에 출원된 특원2011-243373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근래, 피부 및 두발용 세정료에 있어서, 세정력만이 아니라 기포력, 거품의 미세함, 강력성, 지속력 등의 거품의 질, 세정 후의 감촉이 우수한 것들이 요구되고 있다. 피부 및 두발용 세정료의 주성분으로서 지방산 비누나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가 자주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경우, 기포력은 우수하나 거품의 질이나 씻어낸 후의 촉촉한 느낌 등은 불충분하였다.

    세정력이 우수한 한편 세정 후의 감촉도 양호한 세정료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사용감을 향상시킨 세정료로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및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을 함유한 세정료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기포성 계면활성제, 탄화수소계 페이스트상 유제 및 비탄화수소계 페이스트상 유제를 함유하는 수성 피부 세정료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하이드록시알킬에테르카르본산염과 포수율이 100% 이상인 유성성분을 함유하는 세정료가 개시되어 있다. 게다가, 특허문헌 4에는 고급 지방산 염, 아미노산계 폴리머 및 이온성의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피부세정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으로,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은 안료분산성이 우수하여 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5에는 (a) 체질분체, (b) 유제 0.1 - 30 질량%, (c)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0.001 - 3 질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고, 분체와 유제의 젖음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이 배합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6에는 디펜타에리스리톨과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을 에스테르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이며,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의 수산기가가 20 - 70 mgKOH/g이고, 산가가 3 mgKOH/g 이하인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은 포수성이 높은 한편 안료 등의 분산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물(및/또는 다가 알코올)의 배합량이 많으면서도 보수안정성 및 경시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및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특허문헌 1: 특개평5-170622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2006-335673호 공보

    특허문헌 3: 특개2008-231346호 공보

    특허문헌 4: 특개2004-210704호 공보

    특허문헌 5: 특개2004-277400호 공보

    특허문헌 6: 국제공개 제2006/080389호

    특허문헌 1 - 4에 기재된 세정료는 종래보다도 세정력과 사용감이 개선되어 있기는 하지만, 기포력, 거품의 품질, 세정 후의 촉촉한 느낌 등은 불충분하였다.

    또한, 특허문헌 5 및 6에는 세정료에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 또는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배합함으로써 기포력, 거품의 질이 양호하여 세정시에 헹구기 쉽고, 세정 후에 끈적임이 없으며, 촉촉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기재도 시사도 되어있지 않다.

    상기와 같은 배경으로부터, 기포력, 거품의 질이 양호하여 세정시에 헹구기 쉽고, 세정 후에 끈적임이 없으며, 촉촉한 감촉을 얻을 수 있는 세정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포력, 거품의 질이 양호하여 세정시에 헹구기 쉽고, 세정 후에 끈적임이 없으며, 촉촉한 감촉을 얻을 수 있는 세정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검토를 거듭한 결과,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의 중합물 또는 그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세정료에 배합함으로써 기포력, 거품의 질이 양호하여 세정시에 헹구기 쉽고, 세정 후에 끈적임이 없으며, 촉촉한 감촉이 얻어지는 세정료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성분 (A): 이온성 계면활성제, 그리고

    성분 (B):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 및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료용 조성물;

    (2) 상기 성분 (B)가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세정료용 조성물;

    (3) 상기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평균중합도가 2 -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세정료용 조성물;

    (4) 상기 성분 (B)로서 트리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세정료용 조성물;

    (5) (1) -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정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료;

    (6) 성분 (A): 이온성 계면활성제, 그리고

    성분 (B):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 및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료,

    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포력, 거품의 질이 양호하며, 세정시에 헹구기가 쉽고 세정 후에 끈적임이 없으며, 촉촉한 감촉을 얻을 수 있는 세정료용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세정료를 제공할 수 있다.

    (세정료용 조성물)

    본 발명의 세정료용 조성물은 하기 성분 (A) 및 (B)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성분 (A): 이온성 계면활성제, 그리고

    성분 (B): 하이드록 스테아린산 중합물, 및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성분 (A)의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세정료를 시작으로 하는 각종 화장료 등에 배합가능한 이온성 계면활성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비누용 소지(素地), 라우린산나트륨, 팔미틴산나트륨 등의 지방산 비누;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칼륨 등의 탄소수 8 - 22의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이하, POE라 칭함)-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POE-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의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 염;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등의 N-아실사르코신산;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나트륨(코코일메틸타우린나트륨이라고 칭하기도 함), 라우릴메틸타우린나트륨 등의 탄소수 8 - 22의 지방산아미드술폰산 염; POE-올레일에테르인산나트륨, POE-스테아릴에테르인산 등의 인산에스테르 염; 디-2-에틸헥실술포숙신산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신산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 술포숙신산 나트륨 등의 술포숙신산 염; 선형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선형 도데실벤젠술폰산트리에탄올아민, 선형 도데실벤젠술폰산 등의 알킬벤젠술폰산 염; N-라우로일글루타민산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타민산모노나트륨 등의 N-아실글루타민산 염; N-야자유 지방산 아실글리신칼륨, N-스테아로일글리신나트륨 등의 N-아실글리신 염; 경화 야자유 지방산 글리신황산나트륨 등의 탄소수 8 - 22의 지방산에스테르 황산에스테르 염; 로트유 등의 황산화유; POE-알킬에테르카르본산, POE-알킬아릴에테르카르본산 염, α-올레핀술폰산 염, 탄소수 8 - 22의 지방산 에스테르 술폰산 염, 이급 알코올 황산에스테르 염, 탄소수 8 - 22의 지방산 알킬올아미드황산 에스테르 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숙신산나트륨, N-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디트리에탄올아민, 카제인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료용 조성물에 있어서는, 지방산 비누, 탄소수 8 - 22의 지방산 아미드술폰산 염, 알킬황산에스테르 염, N-아실글루타민산 염 및 N-아실글리신 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방산 비누, N-아실글루타민산 염, 탄소수 8 - 22의 지방산 아미드술폰산 염, 및 N-아실글리신 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중, 탄소수 8 - 22의 지방산 아미드술폰산 염이 특히 바람직하고,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나트륨(코코일메틸타우린나트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염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등의 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 염화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등의 디알킬디메틸암모늄 염; 염화 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염화 세틸피리디늄 등의 알킬피리디늄 염; 알킬 사급암모늄 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 염, 알킬이소퀴놀리늄 염, 디알킬모폴리늄 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 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알코올 지방산 유도체, 염화 벤잘코늄 및 염화 벤제토늄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2-운데실-N,N,N-(하이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하이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틸옥시-2-나트륨 염 등의 이미다졸린계 양성 계면활성제;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산산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알킬아미드베타인, 및 술포베타인 등의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료용 조성물에 있어서는,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이미다졸린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베타인계 계면활성제가 보다 바람직하고, 야자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이 특히 바람직하다.

    양성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정료용 조성물 중 성분 (A)의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세정효과를 나타내는데 충분한 농도라면 좋고, 상기 세정료용 조성물이 배합되는 세정료의 종류, 그 외의 배합성분의 종류나 양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세정료용 조성물은 성분 (A)의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세정료용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하여 5 - 60 질량%, 바람직하게는 5 - 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40 질량% 함유할 수 있다.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세정료용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하여, 5 질량%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세정성, 기포성 등의 기능이 얻어지기 어려우며, 60 질량%를 넘어 배합된 경우에는 얻어진 조성물이 겔화될 염려가 있고, 안정한 처방물을 얻기 어려워진다. 즉, 본 발명의 세정료용 조성물은 성분 (A)를 세정료용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하여 5 - 60 질량 배합함으로써 세정성, 기포성 등의 기능을 얻기 쉽고, 얻어진 조성물이 겔화되지 않고 안정한 처방물이 얻어지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성분 (A)의 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양성 계면활성제 또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성분 (A)로는 지방산 비누, 탄소수 8 - 22의 지방산 아미드술폰산 염, 알킬황산에스테르 염, N-아실글루타민산 염, N-아실글리신 염,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및 이미다졸린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지방산 비누, N-아실글루타민산 염, N-아실글리신 염,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및 이미다졸린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료용 조성물에서 성분 (A)는 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세정료용 조성물 내에 첨가된 것만이 아니라, 세정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중화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정료용 조성물은 성분 (B)로서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 및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한다. 성분 (B)로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만을 함유할 수도 있고,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만을 함유할 수도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과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로는 모노머인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이 여러 개 중합된 중합물인 것을 말한다.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은 분자 내에 수산기를 1개 가지고 있으며,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의 중합반응은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분자 내의 수산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다른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분자 내의 카르복실기 또는 수산기와 에스테르화하는 반응, 즉 분자간 에스테르화스 반응이다.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로는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의 중합물을 들 수 있다.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의 중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중합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을 반응용기에 넣고, 산, 알칼리, 그 외의 금속촉매의 존재하에서 또는 비존재하에서, 바람직하게는 반응에 불활성인 유기용매 및/또는 기체 중에서, 180℃ - 220℃의 온도에서 5 - 30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에스테르화 반응(중합반응)을 수행한다.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으로는 예를 들어, 피마자 종자유를 가수분해하여 얻어지는 리시놀산을 수소첨가하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으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코구라고우세이코우교우(주) 제품인 상품명 "12-히드로산(HP)", 카와켄 파인케이칼(주) 제품인 상품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니혼유지(주) 제품인 "피마자 경화 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은 그 평균중합도(평균량체수)가 2 -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 평균량체수라는 것은 모노머인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의 평균중합도를 말한다. 평균중합도가 상기 범위, 즉 2 - 12인 경우, 기포력, 거품의 질, 사용감이 향상된다. 또한,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평균중합도는 4 - 1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 - 1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평균중합도를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은,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의 중합반응 중에 반응 생성물의 산가를 측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즉,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의 중합반응 중에 반응 생성물을 샘플링하고, 그 산가를 측정함으로써 평균중합도를 계산하고, 원하는 평균중합도가 된 시점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중합반응)을 정지함으로써 용이하게 실시가능하다. 즉,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의 반응 생성물의 산가가 15.5 - 105 mgKOH/g이 된 시점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을 정지함으로써, 평균중합도가 2 - 12인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산가라는 것은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 1g 중에 존재하는 유리 지방산을 중화하는데 필요한 수산화칼륨의 mg 수를 말한다.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은, 상기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과 알코올을 에스테르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에스테르화 반응에 사용되는 알코올은 1가의 알코올일 수 있고, 다가 알코올일 수도 있다. 1가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틸알코올, t-부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네오펜틸글리콜, 소르비탄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과 에스테르화시키는 알코올로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소르비탄,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고, 디펜타에리스리톨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성분 (B)로서 사용되는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로는 디펜타에리스리톨과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트리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디펜타에리스리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알코올과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은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이 실시된다. 알코올 및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을 반응용기에 넣고, 불활성인 유기용매 및/또는 기체 중에서 200℃ - 220℃의 온도하에서 1 - 20 시간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한 후, 정제처리하여 알코올과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에는 필요에 따라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촉매로서는 산촉매 및 알칼리 토류금속의 알콕시드 등을 들 수 있고, 산촉매 또는 알칼리 토류금속의 알콕시드를 촉매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반응원료의 총 질량에 대하여 0.001 - 1.0 질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후, 수세, 알칼리에 의한 탈산 및 흡착처리 등의 공지의 정제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촉매나 원료 미반응물을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탈색, 탈취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얻어진 반응물을 더 정제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무색 - 담황색의 투명액상인 한편 무취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얻어진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은 하기에 설명하는 세정료의 구성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과 디펜타에리스리톨의 에스테르화 반응의 경우, 상기 반응에 사용하는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첨가량은 수산기가의 값을 하기에 나타내는 범위로 하고, 또한 미반응의 디펜타에리스리톨을 적게하는 것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즉, 에스테르화 반응에 사용하는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첨가량은 디펜타에리스리톨 1 몰에 대하여 1 - 6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 - 5몰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 4몰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첨가비를 조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의 외관, 점도 및 포수성을 필요에 맞는 것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포수성은 물을 포집하는 성질을 말하며, 포수율(%)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점도는 부룩필드 점도계, 스트레스제어식 레오미터 등에 의해 측정한 값을 말한다.

    성분 (B)로서 사용되는 상기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과 디펜타에리스리톨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의 수산기가는 바람직하게는 20 - 70 mgKOH/g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60 mgKOH/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50 mgKOH/g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 40 mgKOH/g이다. 수산기가가 20 mgKOH/g 미만이면 목적으로 하는 포수성, 분산성을 가지는 것을 얻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한, 수산기가가 70 mgKOH/g을 넘거나 20 mgKOH/g보다 작으면 제조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즉,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과 디펜타에리스리톨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의 수산기가가 20 - 70 mgKOH/g이라면 목적으로 하는 포수성, 분산성을 가지는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제조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의 수산기가를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즉 디펜타에리스리톨과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첨가량을 조정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산기가는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 1g 중에 포함되는 수산기를 아세틸화시키는데 필요한 수산화칼륨의 mg 수를 말한다.

    성분 (B)로서 사용되는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과 디펜타에리스리톨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의 산가는 바람직하게는 3 mgKOH/g 이하, 즉 0 - 3 mgKOH/g이다. 산가가 3 mgKOH/g을 넘으면 냄새가 발생해버리는 일이 있다.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의 산가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는 방법으로는 에스테르화 반응 중에 반응 생성물을 샘플링하여 산가를 측정하고, 샘플의 산가가 3 mgKOH/g 이하가 된 시점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을 정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료용 조성물 중, 성분 (B)의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 및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의 함유량은 상기 세정료용 조성물이 배합된 세정료의 기포력, 거품의 질, 사용감의 개선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농도일 수 있고, 상기 세정료용 조성물이 배합되는 세정료의 종류, 그 외의 배합성분의 종류나 양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세정료용 조성물은 성분 (B)의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 및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세정료용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하여 0.1 - 15 질량%, 바람직하게는 0.5 - 1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8 질량% 함유할 수 있다. 성분 (B)의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 및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의 함유량이 세정료용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하여 0.1 - 15 질량%면 기포력, 거품의 질이 양호하여 세정 후에 끈적임이 없고, 촉촉한 감촉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료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세정료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각종 성분을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천연 수용성 고분자,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 합성 수용성 고분자 및 무기 수용성 고분자 등의 수용성 고분자; 자외선 흡수제, 금속이온 봉쇄제; 저급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 등의 분산매; 단당, 올리고당 및 다당; 아미노산; 유기 아민; 합성 수지 에멀전; 방부제; pH 조정제; 비타민류; 식물추출 엑기스; 산화방지제; 산화방지조제;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천연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갈락탄, 구아검, 캐롭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퀸스시드(마르멜로), 조류 콜로이드, (갈조 엑기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등의 식물계 고분자,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플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및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를 들 수 있다.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스나트륨, 결정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분말 등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카보폴)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공중합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및 양이온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벤토나이트, 규산AlMg(비검), 라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및 무수규산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파라아미노안식향산(이하, PABA라 칭함), PABA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부틸에스테르 등의 안식향산계 자외선 흡수제;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등의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하이드록시-4-n-옥토시벤조페논, 4-하이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3-(4'-메틸벤질리덴)-d,l-캄퍼, 3-벤질리덴-d,l-캄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에스테르, 2-페닐-5-메틸벤족사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잘아진, 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닐리덴)-3-펜탄-2-온, 및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금속 이온 봉쇄제로는 예를 들어,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염 및 하이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이온 봉쇄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저급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틸알코올, t-부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네오펜틸글리콜, 소르비톨, 소르비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D-글리세릴알데히드, 디히드록시아세톤 등의 삼탄당; D-에리트로오스, D-에리트룰로오스, D-트레오스 등의 사탄당; L-아라비노스, D-자일로스, L-리소오스, D-아라비노스, D-리보오스, D-리불로오스, D-자일룰로오스, L-자일룰로오스 등의 오탄당; D-글루코스, D-탈로스, D-프시코스, D-갈락토스, D-프룩토스, L-갈락토스, L-만노오스, D-타가토스 등의 육탄당; 알도헵토오스, 헵툴로오스 등의 칠탄당; 옥토오스 등의 팔탄당; 2-데옥시-D-리보오스, 6-데옥시-L-갈락토스, 6-데옥시-L-만노오스 등의 데옥시당; D-글루코사민, D-갈락토사민, 시알산, 아미노우론산, 무라민산 등의 아미노당; 및 D-글루쿠론산, D-만누론산, L-글루론산, D-갈락트론산, L-이두론산 등의 우론산 등을 들 수 있다.

    올리고당으로는 예를 들어, 겐티아노스, 움벨리페로스, 락토오스, 플란테오스, 이소리크노오스류, 라피노스, 리크노오스류, 움빌리신 및 스타키오스 베바스코스류 등을 들 수 있다.

    다당으로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콘드로이틴황산, 덱스트린, 글루코만난, 키틴, 갈락탄, 테르마탄황산, 글리코겐, 아라비아검, 헤파란황산, 트라가간트검, 케라탄황산, 콘드로이틴, 무코이틴황산, 구아검, 덱스트란, 케라토황산, 로커스트콩검, 숙시노글루칸 및 카로닌산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으로는 예를 들어, 쓰레오닌, 시스테인 등의 중성 아미노산, 하이드로키실리딘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아실사르코신나트륨(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아실글루타민산염, 아실β-알라닌나트륨, 글루타치온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아민으로는 예를 들어,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몰포린,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및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수지 에멀전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알킬 중합체 에멀전, 메타크릴산알킬 중합체 에멀전, 아크릴산·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전, 메타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전, 아크릴산알킬·스티렌 공중합체 에멀전, 메타크릴산알킬·스티렌 공중합체 에멀전, 아세트산비닐중합체 에멀전,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전, 아세트산비닐함유 공중합체 에멀전, 비닐피롤리돈·스티렌 공중합체 에멀전, 실리콘함유 공중합체 에멀전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수지 에멀전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방부제로는 예를 들어,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페녹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pH 조정제로는 예를 들어, 에데트산, 에데트산이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비타민류로는 예를 들어,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E, 비타민 K 및 그것들의 유도체,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등을 들 수 있다.

    식물추출 엑기스로는 알로에베라, 위치하젤, 하마멜리스, 오이, 레몬, 라벤더, 장미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유용성 비타민 C 유도체, 토코페롤류 및 그것들의 유도체 그리고 그것들의 염,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및 몰식자산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산화방지조제로는 예를 들어, 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 마론산, 숙산산, 푸마르산, 케팔린, 헥사메타포스페이트, 피트산 및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료용 조성물의 그 외의 태양으로는,

    성분 (A): 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 (B):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 및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성분 (C): 분산매, 및

    물을 함유하는 세정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세정료용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하여,

    상기 성분 (A)가 5 - 60 질량%,

    상기 성분 (B)가 0.1 - 15 질량%,

    상기 성분 (C)가 1 - 50 질량%,

    물이 5 - 90 질량%이고,

    상기 각 성분의 합계량이 100 질량%를 넘지 않는 세정료용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료용 조성물의 그 외의 태양으로는,

    성분 (A): 지방산 비누, 지방산 아미드술폰산 염, 알킬황산에스테르 염, N-아실글루타민산 염, 및 N-아실글리신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성분 (B):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산매, 및

    물을 함유하는 세정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세정료용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하여,

    상기 성분 (A)가 5 - 50 질량%,

    상기 성분 (B)가 0.5 - 10 질량%,

    상기 성분 (C)가 1 - 40 질량%,

    물이 5 - 90 질량%이고,

    상기 각 성분의 합계량이 100 질량%를 넘지 않는 세정료용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료용 조성물의 그 외의 태양으로는,

    성분 (A): 지방산 비누, 지방산 아미드술폰산 염, 알킬황산에스테르 염, N-아실글루타민산 염 및 N-아실글리신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성분 (B): 평균체량수가 2 -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 및 트리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성분 (C):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느 1종 이상의 분산매, 및

    물을 함유하는 세정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세정료용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하여,

    상기 성분 (A)가 5 - 50 질량%,

    상기 성분 (B)가 0.5 - 10 질량%,

    상기 성분 (C)가 1 - 40 질량%,

    물이 5 - 90 질량%이고,

    상기 각 성분의 합계량이 100 질량%를 넘지 않는 세정료용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세정료)

    본 발명에 따른 세정료는 상술한 세정료용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정료는 세안료, 클렌징 화장료, 바디샴푸, 샴푸, 저자극성 샴푸(베이비 샴푸), 저자극성 바디샴푸, 펫용 세정제 등에 사용할 수 있다. 그 외, 의료(依料)용 액체세제, 식품용 세정제, 벽면세정용 액체세제 등의 각종 세정제에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료의 제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예를 들어 페이스트상, 겔상, 고형상, 무스상 등으로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세정료는 페이스트상 세정료, 겔상 세정료, 액상 세정료, 고형상 세정료, 무스상 세정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액상, 고형상, 및 무스상 세정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료는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의 중합물, 및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배합하고 있으므로, 통상의 세정료보다도 기포력, 거품의 질이 양호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세정료를 거품을 일게 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양호한 거품의 질이 요구되는 액상, 고형상 및 무스상 세정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료는 종래 공지의 세정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료용 조성물로서 예를 든 상기 성분 (A) 및 (B) 중 어느 1종 또는 여러 종류를 함유한 세정료를 제조하고, 그 후 상기 세정료에 남은 성분 또는 이것들을 포함하는 세정료 원료를 첨가하여 세정료를 완성시킬 수 있다.

    [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6, 비교예 1 - 8 ]

    (제법)

    표 1 - 3에 나타낸 배합으로 클렌징폼을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표 1 - 3 중 성분 a를 전부 혼합하고, 70℃에서 용해시켜 혼합물 a를 얻었다. 한편으로, 표 1 - 3 중, 성분 b를 전부 혼합하고, 70℃에서 용해시켜 혼합물 b를 얻었다. 70℃의 온도에서 혼합물 b에 혼합물 a를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여 비누화 반응을 수행하고, 비누화 반응이 종료된 후, 교반하면서 냉각하여 크리미 클렌징폼을 얻었다.

    표 1 - 3에서 사용되는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의 평균량체수는 6이다. 또한, 실시예 1 및 4에서 사용되는 트리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은 평균량체수가 6인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과 디펜타에리스리톨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이다.

    또한, 성분 a 중의 스테아린산, 라우린산, 미리스틴산은 성분 b 중의 수산화칼륨에 의해 비누화되어 크리미 클렌징폼 내에 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존재한다.

    (평가)

    각 크리미 클렌징 폼에 대하여 거품 생성 용이성, 거품의 세밀함, 거품의 탄성(점성), 거품의 지속력, 헹굼 용이성, 헹굼 후 잔존감, 건조 후의 미끌거림, 건조 후의 촉촉한 느낌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크리미 클렌징 폼 2g을 손바닥에 덜어 거품을 만들어 얼굴 전체에 균일하게 도포한 후, 10초간 세안하였다. 그 후, 25℃의 흐르는 물에서 20초간 헹군 후, 타올로 건조시켰다. 이 평가를 전문 패널 5명에게 수행하고, 거품 생성 용이성, 거품의 세밀함, 거품의 탄성(점성), 거품의 지속력, 헹굼 시의 헹굼 용이성, 헹굼 후의 잔존감, 건조 후의 미끌거림, 건조 후의 촉촉한 느낌을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 거품 생성 용이성 >

    A: 5명 전원이 매우 거품 생성이 양호하다고 회답하였음.

    B: 5명 중 4명이 거품 생성이 양호하다고 회답하였음.

    C: 5명 중 3명이 거품 생성이 양호하다고 회답하였음.

    D: 5명 중 2명이 거품 생성이 양호하다고 회답하였음.

    < 거품의 세밀함 >

    A: 5명 전원이 매우 거품이 세밀하다고 회답하였음.

    B: 5명 중 4명이 거품이 세밀하다고 회답하였음.

    C: 5명 중 3명이 거품이 세밀하다고 회답하였음.

    D: 5명 중 2명이 거품이 세밀하다고 회답하였음.

    < 거품의 탄성(점성) >

    A: 5명 전원이 매우 탄성이 있다고 회답하였음.

    B: 5명 중 4명이 탄성이 있다고 회답하였음.

    C: 5명 중 3명이 탄성이 있다고 회답하였음.

    D: 5명 중 2명이 탄성이 있다고 회답하였음.

    < 거품의 지속력 >

    A: 5명 전원이 거품이 지속된다고 회답하였음.

    B: 5명 중 4명이 거품이 지속된다고 회답하였음.

    C: 5명 중 3명이 거품이 지속된다고 회답하였음.

    D: 5명 중 2명이 거품이 지속된다고 회답하였음.

    < 헹굼 용이성 >

    A: 5명 전원이 헹구기 쉽다고 회답하였음.

    B: 5명 중 4명이 헹구기 쉽다고 회답하였음.

    C: 5명 중 3명이 헹구기 쉽다고 회답하였음.

    D: 5명 중 2명이 헹구기 쉽다고 회답하였음.

    < 헹굼 후의 잔존감 >

    A: 5명 전원이 잔존감이 없다고 회답하였음.

    B: 5명 중 4명이 잔존감이 없다고 회답하였음.

    C: 5명 중 3명이 잔존감이 없다고 회답하였음.

    D: 5명 중 2명이 잔존감이 없다고 회답하였음.

    < 건조 후의 미끌거림 >

    A: 5명 전원이 미끌거림이 없다고 회답하였다.

    B: 5명 중 4명이 미끌거림이 없다고 회답하였다.

    C: 5명 중 3명이 미끌거림이 없다고 회답하였다.

    D: 5명 중 2명이 미끌거림이 없다고 회답하였다.

    < 건조 후의 촉촉한 느낌 >

    A: 5명 전원이 촉촉한 느낌이 있다고 회답하였다.

    B: 5명 중 4명이 촉촉한 느낌이 있다고 회답하였다.

    C: 5명 중 3명이 촉촉한 느낌이 있다고 회답하였다.

    D: 5명 중 2명이 촉촉한 느낌이 있다고 회답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 - 3에 나타내었다.

    (질량%)

    표 1
    성분
    실시예
    1 2 3 5 6
    a






    스테아린산 *1 18 18 18 18 18
    라우린산 *2 5 5 5 5 5
    미리스틴산 *3 9 9 9 9 9
    야자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30%) *4 4 4 4 4 4
    코코일메틸타우린Na(30%) *5 2 2 2 2 2
    트리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디펜타에리스리틸 *6 2 - - - -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7 - 0.5 1 4 6
    b






    글리세린 6 6 6 6 6
    디프로필렌글리콜 5.5 5.5 5.5 5.5 5.5
    소르비톨(70%aq) 2 2 2 2 2
    PEG-400 *8 12.5 12.5 12.5 12.5 12.5
    자기유화형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9 1 1 1 1 1
    EDTA-2Na 0.05 0.05 0.05 0.05 0.05
    KOH(50%) 11.6 11.6 11.6 12.3 12.4
    21.35 22.85 22.35 18.65 16.55
    100 100 100 100 100
    거품 생성 용이성 A B B A A
    거품의 세밀함 A B A A A
    거품의 탄성(점성) A B B A A
    거품의 지속력 B B B B B
    헹굼 용이성 A B B A A
    헹굼 후의 잔존감 B B A A A
    건조 후의 미끌거림 B B B B B
    건조 후의 촉촉한 느낌 A A A A A

    *1: 「NAA-180」(니츄사 제품)

    *2: 「LUNAC L-98」(카오케미칼사 제품)

    *3: 「NAA-142」(니츄사 제품)

    *4: 「레본2000」(산요카세이사 제품)

    *5: 「니콜 CMT-30」(닛코케미칼사 제품)

    *6: 「사라코스WO-6」(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7: 「사라코스S-6C」(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8: 「PEG-400」(산요카세이사 제품)

    *9: 「EMALEX GMS-ASE」(니혼에멀전사 제품)

    (질량%)

    표 2
    성분
    비교예
    1 2 4 5 6
    a






    스테아린산 *1 18 18 18 18 18
    라우린산 *2 5 5 5 5 5
    미리스틴산 *3 9 9 9 9 9
    야자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30%) *4 4 4 4 4 4
    코코일메틸타우린Na(30%) *5 2 2 2 2 2
    트리에틸헥사노인 *6 - 2 - - -
    모노이소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 *7 - - - - -
    이소스테아린산트레할로오스에스테르즈 *8 - - 2 - -
    올리브유 - - - 2 -
    바셀린 *9 - - - - 2
    b






    글리세린 6 6 6 6 6
    디프로필렌글리콜 5.5 5.5 5.5 5.5 5.5
    소르비톨(70%aq) 2 2 2 2 2
    PEG-400 *10 12.5 12.5 12.5 12.5 12.5
    자기유화형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1 1 1 1 1 1
    EDTA-2Na 0.05 0.05 0.05 0.05 0.05
    KOH(50%) 11.6 11.6 11.6 12.3 12.4
    21.35 21.85 21.35 21.35 21.35
    100 100 100 100 100
    거품 생성 용이성 B C D D D
    거품의 세밀함 C C C B C
    거품의 탄성(점성) C D D C D
    거품의 지속력 C C D C D
    헹굼 용이성 B C C C C
    헹굼 후의 잔존감 B D C D C
    건조 후의 미끌거림 B C C C C
    건조 후의 촉촉한 느낌 D B A B B

    *1: 「NAA-180」(니츄사 제품)

    *2: 「LUNAC L-98」(카오케미칼사 제품)

    *3: 「NAA-142」(니츄사 제품)

    *4: 「레본2000」(산요카세이사 제품)

    *5: 「니콜 CMT-30」(닛코케미칼사 제품)

    *6: 「TIO」(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7: 「사라코스41V」(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8: 「노무코트TQ-5」(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9: 「노무코트W」(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10: 「PEG-400」(산요카세이사 제품)

    *11: 「EMALEX GMS-ASE」(니혼에멀전사 제품)

    (질량%)

    표 3
    성분
    비교예
    7 8
    a






    스테아린산 *1 18 18
    라우린산 *2 5 5
    미리스틴산 *3 9 9
    야자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30%) *4 4 4
    코코일메틸타우린Na(30%) *5 2 2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2 -
    라우로일글루타민산디(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 *6 - 2
    b






    글리세린 6 6
    디프로필렌글리콜 5.5 5.5
    소르비톨(70%aq) 2 2
    PEG-400 *7 12.5 12.5
    자기유화형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8 1 1
    EDTA-2Na 0.05 0.05
    KOH(50%) 11.6 11.6
    21.35 21.35
    100 100
    거품 생성 용이성 B C
    거품의 세밀함 C C
    거품의 탄성(점성) B B
    거품의 지속력 D C
    헹굼 용이성 C C
    헹굼 후의 잔존감 C D
    건조 후의 미끌거림 C C
    건조 후의 촉촉한 느낌 B A

    *1: 「NAA-180」(니츄사 제품)

    *2: 「LUNAC L-98」(카오케미칼사 제품)

    *3: 「NAA-142」(니츄사 제품)

    *4: 「레본2000」(산요카세이사 제품)

    *5: 「니콜 CMT-30」(닛코케미칼사 제품)

    *6: 「에르듀PS-203」(아지노모토사 제푸)

    *7: 「PEG-400」(산요카세이사 제품)

    *8: 「EMALEX GMS-ASE」(니혼에멀전사 제품)

    그 결과, 트리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 또는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을 함유시킨 실시예 1 - 6의 크리미 클렌징 폼에서는 거품 생성 용이성, 거품의 세밀함, 거품의 탄성(점성), 거품의 지속력, 헹굼 용이성, 헹굼 후의 잔존감, 건조 후의 미끌거림, 건조 후의 촉촉한 느낌 모두 양호하였다.

    이에 대하여, 모노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 또는 이소스테아린산트레할로오스에스테르즈를 함유시킨 비교예 3 및 4의 크리미 클렌징 폼에서는, 이것들을 함유시키지 않은 비교예 1의 크리미 클렌징 폼과 비교하여 건조 후의 촉촉한 느낌은 개선되었으나, 거품 생성 용이성 등의 그 외의 평가항목은 모두 악화되었다.

    또한, 트리에틸헥사노인, 올리브유, 바셀린, 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을 함유시킨 비교예 2, 5, 6 및 7의 크리미 클렌징 폼에서도 비교예 1의 크리미 클렌징 폼에 비하여 건조 후의 촉촉한 느낌은 개선되었으나, 거품 생성 용이성 등의 그 외의 평가항목의 다수는 악화되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 포수율 100% 이상인 유제로서 열거되어 있었던 라우로일글루타민산디(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을 함유시킨 비교예 8의 크리미 클렌징 폼은 비교예 1의 크리미 클렌징 폼에 비하여 건조 후의 촉촉한 느낌은 개선되었으나, 거품 생성 용이성, 헹굼 용이성, 헹굼 후의 잔존감, 건조 후의 미끌거림은 악화되었다.

    < 포수율의 측정 >

    이소스테아린산트레할로오스에스테르즈, 모노이소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 트리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디펜타에리스리틸,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12-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트리에틸헥사노인, 바셀린 및 올리브유의 포수율을 측정하였다.

    (측정방법)

    우선, 300mL의 스테인레스 단지에 대상 샘플을 5g 계량하고, 상기 샘플과 프로펠러의 중량을 기록하였다. 이어서, 샘플 및 정제수를 70℃로 가온한 후, 프로펠러로 샘플을 교반하면서 정제수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정제수가 들어가지 않게 된 시점, 즉 물이 샘플로부터 배액되는 시점을 종점으로 하고, 여분의 물을 제거하였다. 그 후, 다시 한번 단지 및 프로펠러의 중량을 기록하고, 하기의 계산식으로 포수율을 계산하였다.

    포수율(%) = ([측정 후 중량] - [측정 전 중량])/[샘플링 양] × 100

    표 4 샘플링 양
    (g)
    측정 전
    중량
    (g)
    측정 후
    중량
    (g)
    포수율
    (%)
    이소스테아린산트레할로오스에스테르즈 *1 5.05 446.92 470.17 460.40
    이소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2 *2 5.13 451.61 460.52 173.68
    트리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디펜타에리스리틸 *3 5.02 444.97 453.30 165.94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4 5.16 450.72 451.95 23.84
    트리에틸헥사노인 *5 5.05 449.50 449.50 0.00
    바셀린 *6 5.00 448.99 448.99 0.00
    올리브유 5.09 446.01 446.01 0.00

    *1: 「노무코트TQ-5」(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2: 「사라코스41V」(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3: 「사라코스WO-6」(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4: 「사라코스S-6C」(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5: 「TIO」(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6: 「노무코트W」(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측정 및 계산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실시예 1 - 6에서 사용된 트리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디펜타에리스리틸 및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중 트리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디펜타에리스리틸의 포수율은 100% 이상으로 높았으나,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의 포수율은 23.84% 밖에 되지 않았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세정료의 효과, 즉 건조 후의 촉촉한 느낌 등이 세정료에 첨가되는 물질의 포수율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명백하다.

    [ 실시예 7 - 9 ]

    (제법)

    표 5에 나타낸 배합으로 클렌징 폼을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 - 3과 동일한 제법을 사용하여 크리미 클렌징 폼을 얻었다.

    (평가)

    각 크리미 클렌징 폼에 대하여 거품 생성 용이성, 거품의 세밀함, 거품의 탄성(점성), 거품의 지속력, 헹굼 용이성, 헹굼 후의 잔존감, 건조 후의 미끌거림, 건조 후의 촉촉한 느낌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질량%)

    표 5
    성분
    실시예
    7 8 9
    a






    스테아린산 *1 18 18 18
    라우린산 *2 5 5 5
    미리스틴산 *3 9 9 9
    야자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30%) *4 4 4 4
    코코일메틸타우린Na(30%) *5 2 2 2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2량체) 2 - -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4량체) - 2 -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10량체) - - 2
    b






    글리세린 6 6 6
    디프로필렌글리콜 5.5 5.5 5.5
    소르비톨(70%aq) 2 2 2
    PEG-400 *6 12.5 12.5 12.5
    자기유화형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7 1 1 1
    EDTA-2Na 0.05 0.05 0.05
    KOH(50%) 11.6 11.6 11.6
    21.35 21.35 21.35
    100 100 100
    거품 생성 용이성 B A A
    거품의 세밀함 A A A
    거품의 탄성(점성) B B A
    거품의 지속력 B B B
    헹굼 용이성 B A A
    헹굼 후의 잔존감 B A A
    건조 후의 미끌거림 B B B
    건조 후의 촉촉한 느낌 B B A

    *1: 「NAA-180」(니츄사 제품)

    *2: 「LUNAC L-98」(카오케미칼사 제품)

    *3: 「NAA-142」(니츄사 제품)

    *4: 「레본2000」(산요카세이사 제품)

    *5: 「니콜 CMT-30」(닛코케미칼사 제품)

    *6: 「PEG-400」(산요카세이사 제품)

    *7: 「EMALEX GMS-ASE」(니혼에멀전사 제품)

    [ 실시예 10, 비교예 9 ]

    (제법)

    표 6에 나타낸 배합으로 베이비 샴푸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표 6 중의 성분을 전부 혼합하고, 70℃에서 용해시키고, 교반하면서 냉각하여 베이비 샴푸를 얻었다.

    (평가)

    각 베이비 샴푸에 대하여, 거품 생성 용이성, 거품의 세밀함, 거품의 탄성(점성), 거품의 지속력, 헹굼 용이성, 헹굼 후의 잔존감, 건조 후의 미끌거림, 건조 후의 촉촉한 느낌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질량%)

    표 6
    성분
    실시예 비교예
    10 9














    한천·잔탄검 혼합물 *1 0.75 0.75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6량체) *2 2 -
    야자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30%) *4 20 20
    코코일메틸타우린Na(30%) *3 5.6 5.6
    데실글루코시드(40%) *4 5 5
    하이드록시에틸우레아(50%) *5 5 5
    글리세린 5 5
    펜틸렌글리콜 5 5
    페녹시에탄올 0.4 0.4
    EDTA-2Na 0.01 0.01
    56.24 58.24
    100 100
    거품 생성 용이성 A B
    거품의 세밀함 A C
    거품의 탄성(점성) B C
    거품의 지속력 B C
    헹굼 용이성 A C
    헹굼 후의 잔존감 A C
    건조 후의 미끌거림 B C
    건조 후의 촉촉한 느낌 A C

    *1: 「노무코트AG」(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2: 「사라코스HS-6C」(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3: 「레본2000」(산요카세이사 제품)

    *4: 「마이돌10」(카오사 제품)

    *5: 「HYDROVANCE」(아크조노벨사 제품)

    그 결과,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산(6량체)을 함유시킨 실시예 10의 베이비 샴푸는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6량체)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9의 베이비 샴푸와 비교하여, 거품 생성 용이성, 거품의 세밀함, 거품의 탄성(점성), 거품의 지속력, 헹굼 용이성, 헹굼 후의 잔존감, 건조 후의 미끌거림, 건조 후의 촉촉한 느낌 모두 양호하였다.

    [ 산업상 이용가능성 ]

    본 발명의 세정료용 조성물은, 특히 각종 세정료의 제조 분야에서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高效检索全球专利

    专利汇是专利免费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国家发明专利查询检索分析平台,是提供专利分析,专利查询,专利检索等数据服务功能的知识产权数据服务商。

    我们的产品包含105个国家的1.26亿组数据,免费查、免费专利分析。

    申请试用

    分析报告

    专利汇分析报告产品可以对行业情报数据进行梳理分析,涉及维度包括行业专利基本状况分析、地域分析、技术分析、发明人分析、申请人分析、专利权人分析、失效分析、核心专利分析、法律分析、研发重点分析、企业专利处境分析、技术处境分析、专利寿命分析、企业定位分析、引证分析等超过60个分析角度,系统通过AI智能系统对图表进行解读,只需1分钟,一键生成行业专利分析报告。

    申请试用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