说明书全文 |
전철기 작동기 및/또는 로크 접속 장치 {COUPLING DEVICE FOR A POINT ACTUATOR AND/OR LOCK}
초기에 형성된 형태의 전철기 작동기는 예를 들어, AT-B 388 198 및 EP-B1 603 156에 기술되어 있다. AT-B 388 198 에 따른 배치에서, 긴 구멍의 접속부가 제공되며, 이를 거쳐 슬라이딩 로드에 의해 변위가능한 로킹 클램프는 전철기 레일 끝부분(switch tongue)과 분절 접속된다. 일체식 로크 또는 로킹 장치를 갖춘 전철기 작동기가 도입된 EP-B1 603 156에서, 이동가능한 레일 끝부분과의 접속부는 로크와 분절 연결된 조인트 부분, 또는 핀을 거쳐 전철기 레일 끝부분의 기부(foot)로 실행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장력 및 압력은 핀 접속부를 거쳐 전달되며, 부가적인 접속 로드는 트러스트 부재에 의해 결합이 수행되는 배치에 요구된다. 부가적인 접속 로드는 작동 및 역방향으로의 변위중에 장력 접속부를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커플링 또는 접속 장치는 레일 끝부분으로부터 진동을 연속 로드 조립체 또는 로크 및 작동기로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적용가능한 규범 하에서 허용가능한 레일 끝부분의 유극(tongue play)은 대략 3mm 로 제한된다. 또한, 분절은 부가적인 유극을 허용하며, 이로 인해 바람직하지 못한 전철기의 논-릴리스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로드 조립체, 특히 이동가능한 부품과 분절 결합된 슬라이딩 로드 또는 로킹 로드를 포함하는 철도 선로 전철기 또는 건널목(crossing)의 이동가능한 부품에 대한 전철기 작동기(switch actuator) 및/또는 로크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체식 로크, 및 전철기 레일 끝부분을 갖는 전철기 작동기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는 도 1의 평면도를 부분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따른 실시예를 확대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도 3과 유사한 접속부의 변경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도 3과 유사한 접속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에 의해 전철기 또는 건널목의 이동가능한 부품 또는 레일 끝부분의 진동이 작동 및 로킹 시스템과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며 힘이 유극없이 집중될 수 있어, 이에 의해 작업 안전 및 서비스 수명을 강화시킨다.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형성된 종류의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는 이동가능한 부품 또는 로드 조립체 특히, 전철기 레일 끝부분이 인장력을 전달하기 위해 로드 조립체 또는 이동가능한 부품과 결합된 핀 이면으로부터 결합된 스트랩으로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탄성 압축 부재가 로드 조립체와 스트랩 또는 이동가능한 부품 사이에 배열되어 있으며, 압축 부재는 강성 레일 부품상에서 이동가능한 부품의 인접 위치에서 로드 조립체에 의해 압축가능하며, 이러한 스트랩은 핀 상에서 인접부 밖으로 변위가능하다. 이동가능한 부품과 단단하게 연결된 스트랩이 인장응력만을 전달하기 위해 이면으로부터 로드 조립체에 연결된 핀과 결합됨으로 인해, 인장력의 안전한 흡수가 보장되며, 전철기 또는 레일 건널목의 이동가능한 부품 또는 전철기 레일 끝부분 상의 압축에 대한 압력의 전송은 로드 조립체와 스트랩 또는 이동가능한 부품 사이에 배열된 개별 탄성 압축 부재를 거쳐 작동된다. 상기 탄성 압축 부재는 단순히 압력만을 전송하며, 스트랩이 이면으로부터 핀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초래되어 압축되는 경우, 탄성 압축이 허용되며, 또한 스트랩은 핀 상에서 인접부를 벗어나 변위된다. 따라서, 인접 위치에서 형성된 유극은 스트랩과 핀 사이에 존재하여 탄성 압축부재가 삽입됨과 동시에 로드 조립체 상에서만 작동한다. 동시에 레일 끝부분의 유극은 상승된 기계적인 응력에 노출된 전철기 작동 수단 또는 로크 부품 또는 조인트없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의 바람직한 개선에 따라, 핀이 스트랩을 측면으로 둘러싼 포크 형상의 손잡이 내에 고정되고 로드 조립체와 연결되고, 로드 조립체의 변위 방향에 횡단하여 배열되도록 고안된다. 이러한 포크 형상의 손잡이는 핀이 레일 기부 아래에 위치되는 배열에서 실행가능하다. 따라서, 레일 끝 기부에 의해 초래된 임의의 장애물 없이 소형 치수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핀은 슬라이딩 로드 또는 로킹 로드의 축에 대체로 위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탄성 압축 부재는 바람직하게 핀과 레일 기부 사이에 배열되어 스트랩 또는 레일 기부 자체 상에 작용한다. 특히, 간단한 방식에서 탄성 부재가 접촉부를 거쳐 이동가능한 부품 또는 스트랩과 협력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형태의 배열이 고안된다. 이러한 압축 스프링은 진동으로부터 로드 조립체의 안전한 충격흡수를 위해 상당량의 힘을 단거리로 흡수할 수 있다. 너무 빠른 마모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배열은 바람직하게 접촉부가 캠버 형상의 외부면(cambered outer surface)을 가지며, 또한 바람직하게 핀은 배럴 형상으로(in a barrel-shaped manner) 굽어진 외부면을 갖도록 고안된다. 캠버 형상의 외부면을 갖는 접촉부는 편심 압력을 안전하게 수용하는 반면에, 배럴 형상을 갖는 핀의 외형은 스트랩을 기계식으로 압력을 가하지 않고 편심 인장력을 전송한다. 너무 빠른 마모의 위험은 압축 스프링이 로드 조립체의 원추 형상으로 테이퍼진 리세스 또는 로드 조립체 헤드 내에 배열되거나, 로드 조립체의 축을 벗어나 피봇회전하도록 로드 조립체 또는 로드 조립체 헤드와 각각 접속되는 경우 보다 감소된다. 이러한 경우에, 압축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에 대한 적합한 정지부가 제공된 원추형상 영역 내에서 축을 벗어나 피봇회전가능하다. 원칙적으로, 피봇회전성은 탄성 코어에 의해 보장될 수 없으며, 이에 의해 로드 조립체 또는 로드 조립체 헤드의 리세스 내의 압축 스프링의 고정이 실행되어, 간단하게 장착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경우의 배치는 힘 전달 방식 및 마찰 결합 방식으로 압축 스프링이 헬리컬 형상의 스프링에 의해 형성된 장력 스프링으로 연결되며, 접속부로부터 떨어져 마주하는 장력 스프링의 내부 단부는 로드 조립체 또는 로드 조립체 헤드의 각각의 축선 보어 내에 유극을 가지며 고정되어 있으며, 압축 스프링에 의해 둘러 싸여져 있는 외부 단부는 접촉부와 연결된다. 각각의 로드 조립체 또는 로드 조립체 헤드의 축선 보어 내에 고정되고, 헬리컬 형상의 스프링에 의해 형성된 압축 스프링은 원추형상으로 테이퍼진 리세스 내에서 압축 스프링의 피봇회전을 허용한다. 이 후, 본 발명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질 것이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은 표준 레일로서, 레일(1)에서 전철기 레일 끝부분(2)이 압축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전철기 작동기(3)는 일체식 로크를 포함하며, 전철기 레일 끝부분(2)이 표준 레일(1)에서 압축되거나 또는 표준 레일로부터 벗어남을 가능하게 한다. 전철기 레일 끝부분(2)을 표준 레일(1)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하는데 요구되는 인장력의 전달은 핀(5)과 협력하는 크랭크식 스트랩(4)을 거쳐 작동된다. 핀(5)은 포크 형상의 손잡이(6) 내에 고정되며, 캠버 형상의 재킷 튜브(7)를 운반하여 인장력이 전달됨에 따라 스트랩(4)과 재킷 튜브(7) 사이에 라인 접점만이 존재한다. 스트랩(4)은 스크류 볼트(8)를 거쳐 전철기 레일 끝부분(2)과 단단하게 접속된다. 도 2에 도시된 평면도에서, 캠버 형상의 외형을 갖는 핀(5)이 도시되어 있으며, 또한 핀을 운반하는 포크 형상의 손잡이(6)가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6)는 스트랩(4)의 부품을 둘러싸고 있어, 소형의 구성이 실행가능하다. 구조물의 상세도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다. 도 3으로부터 명백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캠버 형상의 외부면을 갖는 트러스트 부분(9)은 전철기 작동기(3)와 접속되며, 이는 보어내에 삽입된 나선 형상의 가요성 장력 스프링(10)에 의해 유극없이 수행된다. 보어를 운반하는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카운터너트(11)가 도시되어 있다. 원추 형상으로 테이퍼진 내경을 갖는 리세스 내에 압축 스프링(12)이 삽입되어 있으며, 그 외부 셀은 동력 전달 및 마찰 결합 방식으로 보어(16)의 내부 단부 상에 끼워져 있는 고무 외장(13)에 의해 형성된다. 전철기 레일 끝부분(2)이 인접 위치로 변위됨에 따라, 압축 스프링(12)은 접촉부(9)를 거쳐 스트랩(4)과 작용하도록 유입되며, 이로 인해 전철기 레일 끝부분(2)이 표준 레일(1)에서 탄성 압축되도록 초래하는 동시에, 핀(5)은 스트랩(4)을 동시에 들어올리며, 인접 관계에서 벗어나게 된다. 압축 스프링(12)의 동시의 압축 응력 하에서의 최대 변위는 접촉부(9)가 로드 조립체의 개별 단부면(14) 상에서 직접적으로 인접해 있는 경우에, 도달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의 배열은 로드 조립체 및 전철기 작동기(3)에 진동을 안전하게 차단하기 위해 유극(a)이 표준 레일에서 압축된 위치에 놓여있는 레일 그ㅌ부분과 평행하게 놓여져 있도록 고안된다. 동시에, 핀(5)은 거리(b)만큼 변위되어져 있으며, 스트랩(4)과 결합이 해제된다. 전철기 레일 끝부분이 관련 레일과의 접촉으로부터 벗어나 변위됨에 따라, 스트랩(4)의 내부면(15)은 접촉부(9)와 스트랩(4) 사이에서 요구되는 압력 접속부 없이 캠버 형상 또는 배럴 형상의 외형을 갖는 핀(5) 상에서 다시 인접 관계에 놓이게 된다. 로드 조립체 헤드(17)의 원추형 리세스(16)가 로드 조립체의 종축으로부터 압축 스프링(12)의 피봇회전을 허용하며, 자동 축 정열은 장력 스프링(10)에 의해 해제 상태로 다시 도달하게 될 것이다.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 변경된 로드 조립체 헤드가 제공되며 스트랩(4)이 또한 변경되어져 있다. 또한, 도 4에서, 표준 레일(1)에서의 레일 끝부분(2)의 인접 위치가 다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에서, 고무 외장(13)과 함께 압축 스프링 스택(12)은 삽입된 스트랩 또는 레일 끝 기부 상에서 압축된다. 이러한 압축은 화살표(19) 방향으로 핀(5)의 동시 이동에 영향을 미치며, 배럴 형상을 갖는 핀(5)의 외형은 스트랩(4)의 내부에 위치된 단부면(15)위로 다시 들어올려진다. 따라서, 압축 스프링(12) 및 고무 외장(13)의 삽입시에 전철기 작동기(3) 내부로 진동이 도입될 수 있다. 관련 접촉면(15) 상에서 핀(5)의 외형의 접촉 이후에 화살표(19) 방향과 반대의 장력 방향으로의 결합은 압축 스프링(12)이 완전히 복원되고 레일 끝 기부 또는 스트랩(4)과 강제로 결합하지 않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열은 레일 끝부분 상에서의 횡단 및 수직 이동을 제공하기 위한 방식으로 캠버 형상의 튜브를 덮는 레일 끝부분 상에 고정 스트랩의 장착을 요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일 끝부분이 인접 관계에 놓여져 있음으로, 접촉부(9)는 고정 스트랩의 단부면 상에서 인접하게 되며 압축 스프링(12)을 거쳐 스톡 레일에서 레일 끝부분(2)을 압축시킨다. 레일 끝부분을 벗어난 활성화된 이동은 상기 레일 단부에 제공된 유극을 극복한 이후에 실행가능하며, 접촉부의 횡단이동은 압축 스프링이 장착된 원추형 개구로 인해 간단한 방식으로 조화를 이룬다. 레일 끝부분이 개방된 위치에서 압축 스프링에 의해 활성화된다면, 부가적인 레일 끝부분 유극을 완전하게 방지하기 위해 임의의 위치에서 유극없이 압축 응력을 제공한다. 레일 끝의 진동은 작동 및 로킹 시스템으로부터 차단되며, 경사 위치는 방향을 조절하고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소정의 힘의 안전한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없이 유지된다. 도 5로부터, 스트랩(4)이 전철기 레일 끝부분(2) 상이 아닌 보어(16)를 운반하는 로드 조립체 헤드(17) 상에서 고정되며 전철기 작동기(3)와 접속된 도 3에 도시된 배치와는 다른, 변경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반면에, 상기 실시예에서 핀(5)을 운반하는 손잡이(6)는 스크류 볼트(8)를 거쳐 전철기 레일 끝부분(2)과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다. 전술한 도면의 참조부호 등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갖는 도 5에서 동일하게 사용되며, 압축 부재 및 트러스트 부분(9)은 적절한 압축을 가능하게 하도록 전철기 레일 끝부분(2)의 기부 상에서 직접 작용하도록 유입된다. |